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2/11 18:45:33
Name Leeka
Subject [일반] 애플의 모니터. XDR 디스플레이가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제품의 주요 스펙

Retina 6K 디스플레이

32형(대각선) IPS LCD 디스플레이(산화물 TFT 기술)

해상도: 6016 x 3384 픽셀(2,040만 픽셀, 218ppi)
화면비: 16:9
XDR(Extreme Dynamic Range)

밝기: 1000 니트 지속 밝기(전체 화면), 1600 니트 피크 밝기1
명암비: 1,000,000:1
색상: 넓은 색영역(P3), 10비트 색깊이로 10억 7천 3백만 가지 색상 표현

SDR 밝기: 500 니트
시야각: 좌측 89º, 우측 89º, 상단 89º, 하단 89º 각도에서도 고충실도 색상과 명암비를 갖춘 초광시야각
전면 라미네이팅 처리, 반사율 1.65%(일반)




크기 - 71.8cm x 41.2cm
USB C 포트 3개 + 썬더볼트 포트 1개 지원





가격 -

스텐다드 글래스 : 6,499,000
Nano-texture 글래스 : 7,899,000

애플케어+ (보험) : 619,000

프로 스텐드 (말그대로 스텐드.. XDR 디스플레이는 정말 디스플레이만 팝니다) : 1,249,000
VESA 마운트 어댑터 (VESA를 장착하기 위해선 이 어뎁터가 필요합니다) : 249,000

프로 스텐드 또는 VESA 어뎁터는 필수입니다. (아니면 직접 스텐드를 만들거나 / 사제 스텐드 저렴한게 나오면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Nano-texture 글래스에 프로스텐드 사용시는 9,148,000 원이 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12/11 18:49
수정 아이콘
디자인 하시는 분들은 필수품인가요?? 궁금하네요
19/12/11 18:52
수정 아이콘
그렇지는 않다고 합니다.. 디자인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저정도 장비를 필수로 써야한다면 중소기업 혹은 프리랜서들은....

들어보니 헐리우드 영화 편집하는 스튜디오들이 저정도 장비를 쓰는 모양입니다
센터내꼬야
19/12/11 19:33
수정 아이콘
헐리우드에서도 편집하는 곳에서는 필요 없어요.... 그냥 사고 싶었던 곳에만 있을거에요. 편집에는 저런게 필요가 없거든요. 그냥 적당한 델모니터 정도면 되어서...0
This-Plus
19/12/11 19:40
수정 아이콘
일정 품질 이상부터는 자기만족이 더 큽니다.
19/12/11 18:58
수정 아이콘
아 어제 치킨만 안먹었어도 사는건데.. 아깝
몽키매직
19/12/11 18:59
수정 아이콘
예상대로 FALD 576 스팟 (32 × 18) 이라 명암비를 1:1000000 으로 표기는 해도 바로 옆 픽셀하고 명암비가 이렇게 나오는 건 아니고 다스플레이의 다른 구역과 비교해야 그 명암비가 나옵니다. 188×188 픽셀에 백라이트 한 구역... 해상도에 비해서 로컬디밍 구획 수가 아쉽죠... 밝기 스펙은 개쩔긴 합니다.
덴드로븀
19/12/11 19:06
수정 아이콘
비슷한 동급? 모니터에 비해서 가격은 어떤건가요?
전문가모니터 영역일테니 쉽게 비교가 안될것 같긴한데...
몽키매직
19/12/11 19:08
수정 아이콘
동급 디스플레이가 없습니다.
1000니트도 잘 없는데 얘는 1600니트...
물론 진짜인지는 물건 나와서 리뷰해봐야 압니다.
아이폰11 프로도 스펙시트는 1200니트인데 실측해보면 700-800정도...
19/12/11 20:42
수정 아이콘
에이조같은데서 4K 1000니트급 나오긴 할텐데.. 가격은 여기도 만만치않죠.
유료도로당
19/12/11 19:12
수정 아이콘
[과연 얼마나 비싸려나 크크크] 하면서 각오하고 내렸는데도 생각보다 훨씬 더 비싸서 놀라고 갑니다... 크크
Et Cetera
19/12/11 19:40
수정 아이콘
배그하면 위장한거 보이나요?
다시마두장
19/12/11 19:50
수정 아이콘
모니터 가격이야 품질이 그만큼 좋다 칠 수 있지만, 무조건 스탠드 혹은 VESA 마운트 중 하나를 택하게 하는 부분이 정말로 악랄한 것 같습니다.

아이맥은 VESA 마운트 어댑터 품질이 엄청 안 좋은 것 같던데, 애플이 제대로 된 어댑터를 만들려면 25만원이나 들어가나 보네요 크크크
라방백
19/12/11 19:53
수정 아이콘
해상도 6k 맞춘다고 5760이 아니라 간신히 살짝 6000 넘긴것 같은 느낌인데.. . 올초에 발표된 아마 게이밍 모니터중에 가장 스펙이 좋을 ASUS PG27UQX가 27인치고 4K이긴 한데 주사율이 144Hz이고 밝기나 로컬디밍수나 발색도 비슷한 수준에서 3500$ 이니 6k 해상도를 만드는 비용이 비싼것과 애플프라이스가 둘다 들어가 있다고 봐야할듯...
박수영
19/12/11 20:36
수정 아이콘
진짜 가격이 으마으마 하네요 저는 재대로된 4k 모니터도 써본적이 없어서 감도 안잡히네요
구경남b
19/12/11 20:53
수정 아이콘
혹시 이쪽 영역 잘 아시는 분들은 도대체 저 모니터가 어떤 면에서 압도적인 퀄리티가 있다는 건가요? 6k든 뭐든 ppi로 보면 평이하고 p3지원 디스플레이는 시중에 널렸고... 도대체가 미스테리함.. 차이가 많이 나나요? 아이맥 5k가 얼마나 혜자로 나왔는지 갈수록 느끼네요;
BlueTypoon
19/12/11 22:58
수정 아이콘
잘 아는건 아니지만 눈에 띄는 스펙은 6k 빼면 밝기이긴 합니다. 모니터가 밝기에 따라서도 가격 영향이 커서요.
보통 모니터가 250~350정도의 밝기인편이라서 1000니트면 엄청 밝은 모니터네요. 개인적으로는 500만 넘어도 실내에서는 눈 아픈 기분이 드는데 1000이면 필요이상의 밝기가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빛 반사 막고 핸드폰 밝기랑 비교해보면 실외에서도 사용에 문제없는 모니터같기도 하네요.
몽키매직
19/12/12 08:52
수정 아이콘
저도 실내에서, 특히 작업환경에서 400 니트 이상은 어지간하면 오버스펙이라고 생각합니다. 1000 니트 이상은 빛이 밝은 환경이어야 효과를 볼수 있어서 오히려 대낮에 밖에 들고 다니는 스마트 폰 같은 곳이 훨씬 중요하죠...
퀴로스
19/12/12 06:44
수정 아이콘
HDR reference display란 점 하나만 가지고 저 정도 가격이면 싸다고 할 수 있죠. 구글에 "HDR reference display" 검색해 보시면 대략 어느정도 가격대인지 알 수 있습니다. 거기에 1600니트란 밝기도 더해졌으니까, 그래픽이나 영화관련 업체에서 10대~100대씩 살때에 가격 절감을 생각하면 엄청난 차이죠.
키모이맨
19/12/11 21:03
수정 아이콘
돈 많으면 사보고싶네...
MissNothing
19/12/12 09:10
수정 아이콘
슬슬 애플에서 단일품목으로 천만원 넘는게 나올듯 크크크
환경미화
19/12/12 09:48
수정 아이콘
drx인줄...
-안군-
19/12/12 13:51
수정 아이콘
살 사람은 사겠지만.. 지금은 래퍼런스급 제품이라는 의미 외에는 다른게 안보이는군요.
하긴 저렇게 비싸도 에이조같은 진짜 플래그십 동급 제품보다는 싸다는게 함정이지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8558 [일반] [속보] 프랑스 니스 성당에서 칼부림, 2명 사망 1명 참수 [125] aurelius17446 20/10/29 17446 0
86508 [일반] 최근 한국은 지표상으로 좀 더 성평등하게 바뀌었나? [112] kien14781 20/06/01 14781 1
83972 [일반] 믿는 쿠팡 로켓배송에 발등찍히다... [47] 자작나무28017 20/01/09 28017 1
83787 [일반] 중고 나라에서 사기를 당했습니다 [75] 하버파크13631 19/12/18 13631 1
83707 [일반] 애플의 모니터. XDR 디스플레이가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22] Leeka11149 19/12/11 11149 0
83692 [일반] 취직 했습니다. [35] 클로로루실후르9205 19/12/10 9205 29
83634 [일반] '한샘' 사건 기억하시나요? [69] 오리아나15308 19/12/04 15308 0
80281 [일반]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 "과기원 여성교수확대법" 주장 [162] 삭제됨18266 19/03/01 18266 2
80275 [일반] 출생율뿐아니라 혼인 건수의 감소도 점점 심화되고 있네요 [61] 싶어요싶어요11896 19/03/01 11896 7
80265 [일반] 아이폰xs 쓰다가 다시 아이폰7로 돌아온 후기 [25] 삭제됨10886 19/02/28 10886 2
80263 [일반] ‘페미니스트 대통령’은 왜 남녀 모두를 잃었나 [103] 나디아 연대기17572 19/02/28 17572 16
80248 [일반] 청와대에 올라간 20대 지지율 관련 보고서가 흥미롭네요. [236] 아름다운돌28008 19/02/27 28008 49
80230 [일반] [혐주의] 금천구 식당 폭행 사건 [102] swear17800 19/02/25 17800 0
80183 [일반] 고1 낙태의 기억 [151] 이혜리21625 19/02/19 21625 29
80133 [일반] 권력 관계의 성관계에 대해서 규정을 해야 할 때입니다. [40] 홍승식11541 19/02/15 11541 10
80090 [일반] 역차별을 주제로 한 이번 100분토론 감상 [290] 필링31334 19/02/13 31334 26
79984 [일반] 남녀 임금격차에 대한 짧은 생각 [116] 삭제됨13959 19/02/03 13959 2
79967 [일반] 안희정 무죄 뒤집어졌다···2심서 징역 3년6월 구속 [316] 고통은없나24512 19/02/01 24512 4
79809 [일반] '지하철 패딩 테러는 없었다'…경찰, 오인 신고로 결론 [121] 마빠이19238 19/01/20 19238 6
47969 [일반] 대한민국 총리라는게 답이 없어요. [47] 사유라6241 13/11/25 6241 7
47962 [일반] K팝스타3 극찬받은 참가자 일진? [83] 소나기가내려온다13631 13/11/25 13631 0
47960 [일반] 정 총리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해 "역사를 전체맥락에서 봐야" [61] 삭제됨5512 13/11/25 5512 2
47834 [일반] 런던에서 느꼈던 한국과 일본의 위상(?)차이에 대한 개인적 경험... [81] Neandertal18602 13/11/19 1860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