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1/09 06:28:18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제일 효과적인 금연 방법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로켓펀치
19/11/09 06:52
수정 아이콘
전부 다 공감됩니다.
4번의 경우에는 운동을 섞는게 오히려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어서 전 오히려 운동량을 늘리긴 했습니다. 뭔가 답답할 때 평소보다 소리 좀 크게 내면서 운동하면 뭔가 개운해졌거든요. 물론 식단은 버리고 그냥 운동만 했습니다...
6번은 그냥 술도 같이 끊어서 나름 편했어요

몇개를 더 더해보면
커피를 피하자? 각성제 계열의 제품들을 섭취하면 더 땡기는거 같아서 카페인 없거나 낮은 차로 대체한다음에 그걸 엄청난 양으로 마셨습니다.
땡길때는 모든걸 내려놓고 잠시 휴식 - 갑자기 충동이 오면 5분 타이머 맞춰 놓고 스트레칭이나 명상 하면서 휴식합니다.
언제나 피우는 타이밍이 있다면 대체자를 찾는다 - 버릇이나 패턴화가 되어버렸다면 그걸 대체할 걸 찾아주면 좋습니다. 저는 식후땡 -> 달달한 디저트 (버블티나 아이스크림), 일어나서 피는 담배 -> 요가 + 스트레칭 으로 그냥 참기보다는 다른 행동을 대신 하니 훨씬 편했습니다.
굶지 말자, 잠 많이 자자 - 배가 너무 고프거나 잠이 너무 오면 인간은 제정신이 아니게 됩니다. 자주자주 먹어주고 최대한 잠을 많이 잡시다.
purplejay
19/11/09 07:19
수정 아이콘
챔픽스 미만잡입니다..
치토스
19/11/09 08:05
수정 아이콘
저는 우선 하루에 한갑반~두갑 정도 15년 이상 피고 있는 사람인데요. 다른거 다 참겠는데 제일 못 참는 경우가

1.회사에서 스트레스 받을때

2. 집에 혼자 있는데 갑자기 엄청나게 공허해질때

저 경우 때문에 계속 실패 했습니다.
-안군-
19/11/09 08:06
수정 아이콘
주변에 나 금연한다고 알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눈치보이는 건 상당히 효과가 있죠.
3년 금연하고 다시 피우고 있습니다.. ㅠㅠ 이놈의 스트레스...
19/11/09 08:34
수정 아이콘
타짜 보고 말레 피우던게 엊그제 같은데 크
이제는 아이코스의 노예가ㅠㅠ
19/11/09 09:23
수정 아이콘
저희 아버지 근 40년 담배 피셨는데 손자 태어난다고 하니 약 드시면서 딱 끊으시더라고요. 정말 절대 못 끊으실줄 알았는데 끊으시더라는.
와룡선생
19/11/09 09:49
수정 아이콘
6번이 젤 힘들어요..
잘 참고 있다가 술 마시다가 흡연자들끼리 밖으로 나가면 나도 모르게 친구야 나도 하나만...
그리고 원점.. ㅜㅜ
19/11/09 10:28
수정 아이콘
전자담배로 갈아탄 지 4년쯤 됐네요. 연초보단 나을거라고 자기위안합니다 흐흐
19/11/09 10:32
수정 아이콘
???:담배를 절대 피우면 안되요 이 규칙만 지키시면 금연에 성공하실수 있습니다
세상의빛
19/11/09 10:34
수정 아이콘
챔픽스 복용이 현재까지 알려진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이긴 합니다. 요새는 보험공단에 금연치료 등록하면 약값도 지원이 되니 금연 생각 있으신 분들은 병원으로 가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Cazellnu
19/11/09 10:36
수정 아이콘
그냥 안피면됩니다.
뭐로 끊어야지 언제부터 해야지 이런거말고
바로 지금부터 피지마세요
그렇게 15년넘게핀 담배를 안핀지 오년이 되었네요
19/11/09 11:03
수정 아이콘
대단하세요
저도 지금부터 헬스장을 가면 될텐데...
StayAway
19/11/09 15:27
수정 아이콘
본인이 된다고 다른 사람이 되는 건 아니잖아요.
그냥 안피면 됩니다로 끊으셨으면 거의 금연계의 마이클 조던이신데..
해맑은 전사
19/11/09 16:36
수정 아이콘
사실 저도 이렇게 끊었습니다. 결혼 앞 두고 색시에게 원하는거 물어보니 금연이라 해서 바로 끊었습니다.

그 전에도 1년 정도 끊은적 있었는데, 그 때도 똑같았습니다. 그냥 안피기. 공허 할때랑 스타 한겜 끝났을 때, 응가 할때, 매운 음식 먹고 나서, 술마실 때 마다 피고 싶었지만 다른거에 기대기 싫어 그냥 안폈습니다.

다들 독하다 하는데, 한번 해 보면 정말 별거 아닙니다. 서울대 가려고 공부하는 분들이 더 대단하죠.
강미나
19/11/09 16:39
수정 아이콘
사실 저도 이렇게 술 끊었습니다. 문득 집에 들어오는 길에 오늘부터 먹지 말아야지 생각하고 주변에 한바퀴 얘기하니 끝.
The Normal One
19/11/09 18:05
수정 아이콘
저도 이렇게 끊었네요
19/11/09 11:33
수정 아이콘
액상형 전자담배로 바꾸고 점점 니코틴 용량을 줄여나가면서 무니코틴으로 바꿨는데 이제 이것만 그만두면 끝나네요! 물론 정부는 싫어하겠지만요
형돈이와대준이
19/11/09 11:40
수정 아이콘
담배 끊는다면서 "갖고 있는 담배만 다 피우고 끊을게" 라는 사람들이 있는데..저는 절대 그 말을 믿지 않습니다. 끊을거면 있는 것부터 버리고 끊어야죠 크크. 마찬가지로 "내년부터 끊을게" 하는 사람들도...끊을거면 지금 바로 끊어야죠
19/11/09 12:03
수정 아이콘
저는 술들어가면 담배 절대 못끊겠던데.. 그래서 한번에 둘다 끊으니 괜찮더군요.
Sinister
19/11/09 16:19
수정 아이콘
올해 내시경 했는데 십이지장 궤양을 앓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주 원인인 세균에 저는 해당 사항이 없었습니다. 의사가 꼽은 원인인자는 담배였고 나으려면 금연 하라고 해서 그 때부터 한 대도 안 피우고 있습니다. 6개월 정도 지났는데 한 번 아프면 끊어지더라구요.
야크모
19/11/09 17:08
수정 아이콘
저도 뭔가 결심을 하면 스트레스 받고 잘 안되고...
걍 어느 순간부터 뇌와 눈알을 비우고 멍하니 안하는게 낫더라구요.
금연도 다이어트도
19/11/09 22:39
수정 아이콘
이거라도 없으면 진짜 삶의 낙이없어서.. 여자 없어 못생겻우 술도 싫어 취미도 다 재미없어... 담배정돈 허락하기로 했습니다 ㅠㅠ
카스가 아유무
19/11/11 11:35
수정 아이콘
저도 그냥 안폈어요. 담배따위에게 중독되겠냐는 마인드로 그냥 안피니까 되더라구요. 10년피던거 끊은지 5년 다돼가네요
익명인
19/11/11 13:28
수정 아이콘
5번은 영화 신세계 보면... 바로 실패하겠네요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524 [정치] 권기식 한중도시우호협회장: 광주는 애국이고 홍콩은 반중국 [31] 나디아 연대기10762 19/11/24 10762 0
83523 [일반] 최근에 사용한 노트북 몇개 초간단 리뷰로 적어보겠습니다 (맥북 프로 16',서피스 랩탑3 등) [28] 랜슬롯12729 19/11/24 12729 4
83522 [일반] 겨울왕국2 후기 - 최고 보단 최선의 속편(스포?) [58] aDayInTheLife8880 19/11/24 8880 0
83521 [일반] 무료 가족 사진 촬영 이벤트 조심하세요. [37] PENTAX12963 19/11/23 12963 12
83520 [일반] [해외축구] 토트넘 무리뉴 데뷔전 짧은 감상 [15] 공부맨9650 19/11/23 9650 1
83519 [정치] "격해지는 한일 무역분쟁. 분쟁원인을 살펴보자." 슈카월드 요약 [45] 모모스201316102 19/11/23 16102 0
83518 [일반] 김장은 다들 잘 하셨나요? (feat 좋은 절임배추 구매하는 법) [6] 크림샴푸7255 19/11/23 7255 4
83517 [일반] [야구]그 시대는 꿈으로 남고 -1- [3] Sinister7284 19/11/23 7284 6
83516 [정치] 애국이냐 이적이냐. 낙인찍기. [7] LunaseA11156 19/11/23 11156 0
83515 [일반] 뭐하러 영화제 씩이나 가서 영화를 보나요? [6] Espio7980 19/11/23 7980 4
83514 [일반] 법륜스님 즉문즉설 참가 (수원 컨벤션센터, 11월 12일) 후기 [7] 삭제됨6689 19/11/23 6689 6
83512 [일반] [팝송] 콜드플레이 새 앨범 "Everyday Life" [8] 김치찌개7404 19/11/23 7404 3
83511 [일반] [킹치만클럽]아 이쪽이니까 타시라구요! <트렌드 코리아 2020> [21] 별빛서가9440 19/11/23 9440 30
83510 [일반] 고양이 입양한 이야기 2 (사진들) [25] InYourHeart7888 19/11/22 7888 18
83509 [일반] 창세기의 전략 [22] 성상우7473 19/11/22 7473 3
83508 [정치] 내달 한일정상회담이 열립니다. [28] 마빠이11816 19/11/22 11816 0
83507 [정치] 지소미아 문제는 패배가 곧 승리 [33] LunaseA14078 19/11/22 14078 0
83506 [정치] “타이완, 한일 갈등에 양국 관광객 급증…반도체도 반사이익” [21] 나디아 연대기10163 19/11/22 10163 0
83505 [일반] 김학의 전 법무차관 1심 무죄 [42] 우리는 하나의 빛9694 19/11/22 9694 4
83504 [일반] 세 부류의 선진국들 - 영미형, 대륙유럽형, 그리고 동아시아형 [9] 데브레첸7642 19/11/22 7642 1
83503 [정치] [단상] 지소미아 건의 교훈 [53] aurelius10559 19/11/22 10559 0
83502 [정치] 지소미아 관련 일본 경제산업성 기자회견 질의문답 [169] 아름다운돌13263 19/11/22 13263 0
83501 [정치] [1보]日정부 "개별 품목 심사해 韓수출 허가한다는 방침 변화없다" + 추가속보 [121] castani13503 19/11/22 1350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