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1/07 16:56:01
Name HEM15
Subject [일반] 평범한 행복함
저는 작년에 결혼한 평범한 주부입니다. 내년 1월이면 결혼한지 2년이되는 부부이자 이제 태어난지 500일이 넘은 아들의 엄마이기도합니다.

하루하루 시간이 어찌나 빨리 지나가는지 아침에 아이 밥먹이고 청소하고 징징거리는 아이(재접근기..) 안아주고 산책갔다가 집에와서 점심먹이고 반찬만들고 아침에 못했던 집정리를 마치고 아이 저녁먹이고 잠시 앉아있다가 아이 목욕마치면 남편이 퇴근을합니다. 그럼 남편 저녁차려주고 설거지하고 한숨돌리고 아이를 재우고 저는 육퇴를하지요. 그럼 대충 시간이 9시쯤됩니다. 그게 매일 반복이지요.

처음에는 이 모든것들이 내 삶이라는게 버거웠습니다.
친구도 부모님도 계시지않는 타지역에 덩그러니 혼자떨어져서 오로지 남편과 아이와 산다는게 보통일이 아니라는게 알게됐죠. 하지만 이젠 그게 행복이라는걸 알게됐구요.

뒤늦게 찾아온 산후우울증을 극복하게된건 남편의 공이 컸습니다. 그렇다고해서 뭘 특별하게 해주거나 그런건 없었어요. 워낙 로맨스와는 거리가 먼.. 남편이라 기대도 안합니다 크크크 다만 남편 출근하는것도 모르고 자고있는 제게 뽀뽀를 해준다거나 내가 먹어도 맛이 없는 내 요리를 언제나처럼 맛있게 먹어준다거나 집앞에 편의점을 갈때에도 자연스럽게 맞잡는 손이라던지 정말 뜬금없이 나보고 이쁘다고 해주는 말한마디라던지.. 그런것들이 어느순간 행복이라고.. 소중하다고 느껴졌지요.

2교대 근무로 8시에 출근해서 8시에 퇴근하는 남편은 무척이나 힘들텐데도 퇴근과 출근을 할때에는 항상 제게 웃으며 인사합니다. 출근할때에는 다녀올게~ 잘있어~ 퇴근에는 나왔어~ 잘 있었어? 하는 멘트지요. 2년가까이 저 멘트를 하고있네요 크크크

지금은 아침에 퇴근하고 자고있는 남편입니다. 그런 남편 얼굴을 보고있는데 뭔가모를 안쓰러움과 사랑스러움이 느껴지네요. 음... 아직도 저희가 신혼인건지 콩깍지가 덜 벗겨졌나봅니다. 머리는 산발에 입까지 벌리고자는데도 사랑스럽다는게 참 제가 생각해도 황당합니다.
그만큼 제가 남편을 사랑하고있고 남편또한 제게 사랑을 주고있는거겠죠.

매일매일 이런 일상의 소소하지만 작은행복을 느끼고 배우고 있습니다. 제 친구가 결혼하면 많은 감정들을 배우고 느낄수있다더니 그말이 진짜였나봅니다. 앞으로 함께 할 날이 더 많겠지요. 모든순간들이 행복일수는 없더라도 지금 제 남편이라면 앞으로의 날들도 잘 이겨낼수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저는 이만 징징거리는 아들이랑 놀아주러갑니다. 혼자 잘 놀다가 안아달라고 징징거리네요.

피지알분들도 남은하루 행복하게 보내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11/07 17:03
수정 아이콘
부럽습니다 진정한 행복아닌가 싶어요 앞으로 더 큰 행복있으시길
19/11/07 17:03
수정 아이콘
기분 좋은 글이네요
사랑가득한 글 감사합니다
작성자님도 행복하세요
19/11/07 17:19
수정 아이콘
이제 결혼 2년인데 아이가 500일이라면?!!
19/11/07 17:26
수정 아이콘
네 크크크 혼수먼저 마련했습죠 크크크
19/11/07 18:57
수정 아이콘
후 이래서 눈치 빠른 사람은...
강미나
19/11/07 23:48
수정 아이콘
요즘 세상에 애국하신거죠 훈훈합니다.
CozyStar
19/11/07 17:26
수정 아이콘
로맨스랑 멀지만....로맨틱하네요 크크크

과속인데도 결혼생활 잘 유지하는 집이니 서로 참 대단하다고 생각됩니다.

행복하세요 ^^
19/11/07 17:30
수정 아이콘
저도 결혼하고 아이를 낳으면서 느끼게 된 감정이 이런거였습니다.
평범함이라는게 굉장히 어렵고, 평범함을 열심히 살아갈때 행복이 있다는거요.
대학을 다니고 취업활동하고 그러면서, 되게 특별해지고자 애썼는데..
사실은 남들처럼 평범하게 살아가는것조차도 쉽지 않은거였더라고요.

평범함이 때로는 어렵지만, 저 역시도 그 잔잔함속에서 행복을 매일매일 배워가고 있습니다 :)
타는쓰레기
19/11/07 17:37
수정 아이콘
사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사지 멀쩡하고 세끼 안 굶고 애들하고 웃고 울고 화내면서 살고 책도 읽어주고 노래도 부르고
이거만큼 행복한 삶이 없죠...
설탕가루인형
19/11/07 19:17
수정 아이콘
달달하네요~ 이런 작은 행복이 삶의 질을 결정하는 거 같아요.
푸른호박
19/11/08 01:19
수정 아이콘
서로를 배려하고 아껴주는건 부부가 아니더라도 인간관계에서 참 중요하지요.
늘 행복하시길 응원합니다. 행복 보다 가치있는 감정은 없지요.
19/11/08 06:16
수정 아이콘
두 분 모두 앞으로도 오랫동안 행복하시길 빕니다
19/11/08 10:28
수정 아이콘
돌이켜보면, 아이들 키울 때가 가장 행복했었다 ..싶어요.
종일 아이들에게 매달려 매일 같은 일을 반복하면서도, 그 일상이 늘 활기차고 즐거웠었거던요.
잔잔한 일상의 행복함, 언제나 누리시길...바랍니다.
14th.ghost
19/11/08 13:01
수정 아이콘
따뜻한 글 감사합니다.
항상 행복하시길 기원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502 [정치] 지소미아 관련 일본 경제산업성 기자회견 질의문답 [169] 아름다운돌13263 19/11/22 13263 0
83501 [정치] [1보]日정부 "개별 품목 심사해 韓수출 허가한다는 방침 변화없다" + 추가속보 [121] castani13503 19/11/22 13503 0
83500 [일반] 겨울왕국 2는 왜 스크린 독과점 영화가 되었나? [21] 스위치 메이커7861 19/11/22 7861 2
83499 [정치] GSOMIA 협정 파기 일시 동결 [175] 及時雨17709 19/11/22 17709 0
83497 [일반] 갓민일보 기념-[이달의 기자상 수상작] "한국 사회 잔혹극 '살해 후 자살'" [9] 벨로티12267 19/11/22 12267 15
83496 [일반] 전략의 3요소 [13] 성상우6689 19/11/22 6689 2
83495 [일반] [역사] 메이지 유신에 대한 간략한 요약 [18] aurelius8458 19/11/22 8458 9
83494 [일반] 애플제품구매시 참고하세요. [84] 김환영19693 19/11/22 19693 51
83493 [일반] 단상: 원숭이와 욥과 어머니와 안티고네와 빌리와 라헬의 슬픔 [12] 삭제됨6347 19/11/22 6347 22
83492 [일반] 미칠듯한 기술력의 겨울왕국2 (스포없음) [32] Rorschach11634 19/11/22 11634 3
83491 [일반] (번역) 간만에 훈훈한 이야기 하나 올려봅니다 [6] OrBef8464 19/11/22 8464 20
83490 [일반] 유니클로 제품의 변신과 매출회복? [27] 곰주12990 19/11/21 12990 0
83489 [일반] 빵집 할머니 사건 30대 기소유예로 종결 [16] 라이언 덕후15036 19/11/21 15036 3
83487 [정치] 궁금해서 찾아본 국민과의 대화 내용 요약 [160] 껀후이18287 19/11/21 18287 0
83486 [일반] [역사] 일본은 언제 자국을 상대화했을까? [11] aurelius8533 19/11/21 8533 10
83485 [일반] 미-중 패권 전략 : 일대일로와 우주인터넷 [37] 아리쑤리랑19119 19/11/21 19119 71
83484 [일반] 겨울왕국2 간단 스포리뷰 [41] 치열하게10896 19/11/21 10896 0
83483 [일반] [도서] 프랑스인이 쓴 북한현대사 [8] aurelius7851 19/11/21 7851 6
83482 [정치] 문재인의 국민과의 대화, 황교안의 청년 간담회 및 단식 관련 단상 [99] 유료도로당14156 19/11/21 14156 0
83481 [일반] 제 얘기를 잠시 여기다 적겠습니다 [32] 앎과모름의차이8802 19/11/21 8802 6
83480 [일반] 아이리시맨 - 그리고 남겨진 것들.(스포!) [7] aDayInTheLife6381 19/11/20 6381 1
83479 [정치] 경제이슈를 정쟁에 이용하는 것의 부당함 [55] coyner8770 19/11/20 8770 0
83478 [정치] 민중당 홍콩진압 규탄 성명 [9] 나디아 연대기9412 19/11/20 941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