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1/05 23:49:46
Name 방과후계약직
Subject [일반] 쓰레기 대학원에서 정승처럼 졸업하기 6
이번주는 박사학위 이후 졸업논문의 주제를 이어 저널에 투고 하기위해 애썼습니다. 논문을 쓰는 일은 고통스러운 일입니다. 연구의 결과는 이미 나와 있지만, 이것을 잘 포장하고, 문장 하나하나의 detail에서 틀리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하기 때문에 최적화가 되어 있지 않으면 고통스럽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위의 내용보다... 사실은 지도교수의 비효율적인 지도 방식으로 인해 논문 작업이 더 어려운 것이 피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이런 경우는 저뿐만 아니라 다른 대학원생들한테도 해당되는  일이 더군요..

사실 제가 쓰고 있는 내용은 이러한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입니다. 무엇이라도 생산성을 나타내지 못한다면 인생이 아까우니까요.. 그럼 본격적으로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1.           수강 계획

이 절은 모든 대학원생들에게 연구한 혼자 진행하는 것이 아님을 일깨워 주기 위해서 다른 절 보다 앞당겨 쓰게 되었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연구는 혼자 진행하는 것이 맞다. 그러나 이때의 연구는 홀로 설 준비가 되어 있는 기초가 탄탄한 대학원생에 해당되는 이야기이다. (설령 기초가 탄탄 하더라도, 동료연구자들과 대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의 효율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그러나 실제로 자신의 과를 바꾼 학생이거나, 혹은 학부 때 공부를 게을리 한 사람이라면, 철저한 수강 계획으로 보다 탄탄한 실력을 쌓아 두어야 한다.

때문에 우선 강의 편람을 짜두어야 한다. 배려심이 많은 학부라면, 강의 편람을 종이로 배포하겠지만, 인터넷으로 찾아 들어가야 하는 경우 본인이 직접 자신과 관련되어 있는 학과의1학기 2학기 교과목을 확인하고, 자신의 연구주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수강 계획을 채워야만 한다. 운이 좋다면, 수강 교과목을 통해서 조금 더 빨리 자신의 연구 한계점까지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흥미로운 학구적 깨달음은 자칫 무기력에 빠질 수 있는 환경에서 연구에 대한 동기부여를 줄 수도 있다.


                                         2.           TEXTBOOK의 중요성

앞서 언급하였듯이, 어떤 연구라도, 그 시작은 뿌리가 되는 textbook을 찾는 것이 아닐까 한다. 연구의 질은 논리의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에 달려 있다. 하지만 복잡한 현상일수록, 논리의 전개 과정은 길어지게 된다. 이때 좋은 연구자 라면, 논리의 맥과 흐름을 자연스레 집어내어, 정량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따라서 좋은 공학 연구를 한다는 것은, 연구자로 하여금, 복잡한 현상을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배경과 튼튼한 기초를 필요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신입 연구자에게 좋은 textbook을 만나는 것은 좋은 부모를 만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필자가 전공하는 원자력 학계를 예로 설명해 보겠다. 원자력산업은 그 영역(노심, 핵연료, 재료, 열수력, 방사선, 안전)이 워낙 복잡하고 방대하여, 신입 연구자가 만나야 하는 부모가 한 두 명이 아니다. 또한 연구의 깊이가 깊어 질 수록, 연구자는 단지 application뿐만 아니라 기본이 되는 물리학을 습득해야만이 진정한 의미의 자연을 이해할 수 있기에, 종으로 횡으로 많은 부모님을 모셔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부모님들로부터, 유기적으로 연결된 지적 체계를 쌓는 연습을 하다 보면, 공통 분모가 되는 물리학 부모님을 자주 만나게 된다. 필자는 이때부터 진정한 공부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연구 초반에는 횡으로 application textbook을 많이 읽게 되는데, 이러한 부모님은 대게 깐깐하고 재미가 없다. 그러나 이 시간이 지나 physics 부모님을 자주 만나 보게 되면 연구가 재미있기 때문이다.

물론 뛰어난 학생은 이미 학부 때 이를 마스터하여 application에서 바로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필자의 생각에는 나는 그런 학생이 아니었나 보다 하고 씁쓸함을 감출 수 없다. 체계적 학부 및 대학원의 교육과정이란 이런 일련의 textbook의 논리 과정을 잘 연결할 수 있게 학생들을 배려해 주는 것이 아닐까? Physical Chemistry를 지은 Atkins에게 감사하다.

대학원 생활을 하다 보면textbook 원서 파일을 갈구하게 된다. 아래는textbook pdf 를 구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이와 같은 정보는 "내가 원하는 학습 환경을 얼마만큼 잘 구성할 수 있는가" 하는 능력과 직결 되어있다. 이는 결국 영어를 얼마만큼 잘 하느냐에 달려 있다. 대다수의 고급 정보는 영어로 기술되어 있는데, 미국인 대학원생들도 마찬가지로 pdf textbook를 찾게 된다. 따라서 필자는 영어 커뮤니티 사이트 즉 reddit에서 이러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http://booksee.org/

논문을 구할 때 쓰는 사이트를 알려드리고자 한다. 본 사이트는 해외 학회에서 만난 친구를 통해 알게 되었다. access 되지 않는, 대다수의 논문을 구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http://sci-hub.bz/


3.           논문의 순서

전공분야 Textbook은 시대의 흐름에도 도태되지 않고 살아남은 논문들을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흐름으로 묶은 내용이라고 볼 수 있다. 때문에, 현재의 연구흐름에서 좋은 논문을 읽는 것은 좋은 책을 읽는것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책에서도 입문서가 있듯이, 논문에도 초보 연구자가 읽기 좋은 논문이 있다.

우선 연구 초기에는 오래된 리뷰논문을 중점으로 연구를 시작하여야 한다. 리뷰논문은 책과 경계선이 크지 않을수록 초보 연구자에게 더 잘 읽힐 것이고, 만일 거리가 멀다면, 읽기 힘들 것이다. 좋은 리뷰 논문이 없다면, 차선으로 최신의 한글 보고서를 통해서 연구를 진행한 해도 좋다. 그리하여 이해의 폭이 넓어졌을 때, 최신의 리뷰 논문 그리고 full paper 논문을 읽어야 한다. 만일 독자 여러분의 기반이 다져졌다면, 최신의 letter 형식의 논문만 읽어도, 최근 학계의 연구 흐름을 꿰뚫어 볼 수 있어야 한다.


                                         4.           논문 읽는 방법


박사 시간 동안에는 한정된 시간동안 최대한의 성과를 이끌어 내야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셀 수 없는 정도의 논문이 쏟아져 나오고 있기 때문에, 최대한 본인의 연구주제에 맞는 논문을 찾아내어 깊은 감동을 받아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효과적으로 논문을 읽을 줄 알아야 하는데, 교과서를 읽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차례대로 논문을 읽다 보면, 당신의 석사과정은 실패할 확률이 크다. 차례대로 읽는다는 선입견을 버리시라. 논문은 적힌 순서대로 읽는 것이 아니다.

우선 논문의 제목을 읽고, 바로 초록과 논문의 그림을 먼저 확인 하시라, 좋은 논문일수록 한눈에 확인 가능한 그림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관한 결론과 해석을 초록에 잘 써 두었다. 만일 초록과 그림이 당신의 연구 주제나 흥미를 끈다면, 우선 결론과 토의 부분을 읽으라, 통상 소개와 방법론은 부분은 맨 마지막에 읽는 것이 효과적으로 논문을 읽는 방법론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델타 페라이트
19/11/06 22:02
수정 아이콘
저는왜 sci-hub.bz 에 연결이 안되는지..
아무튼 좋은 논문일수록 결론과 해석을 초록에 잘써두었다는 말에 공감합니다. 초록을 무슨 인트로덕션 처럼 써놓고 만 논문들이 너무 많은데, 그런 논문치고 끝까지 읽어보니 좋은 내용이 있더라 하는 경우 거의 못봤음요 ㅡㅡ;;;
방과후계약직
19/11/06 23:51
수정 아이콘
bz에서 io로 바뀌었나요?! 저도 최근에 확인을 안해봐서 모르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875 [일반] [헬스]또다시 논란이 생긴 헬스 유투버계 [74] 도뿔이26831 20/03/05 26831 2
84873 [일반] [스연] 대한민국 최초의 트렌디 드라마 [17] 나의 연인11782 20/03/05 11782 3
84872 [일반] [스연] henrik widegren - 통계적으로 유의한 사랑노래 [2] FLUXUX7253 20/03/05 7253 2
84871 [일반] [스연] 골목식당 찌개백반집 고기프로 단골손님 [4] Croove9226 20/03/05 9226 0
84870 [일반] [스연] BTS - Black Swan MV [12] 덴드로븀5917 20/03/05 5917 1
84869 [일반] [스연] 한국 힙합 어워드 수상 결과 [21] 류수정6653 20/03/04 6653 1
84868 [일반] [스연] 윤도현의 러브레터 라이브 스트리밍 [10] style8069 20/03/04 8069 2
84867 [일반] [스연] 세상이 바뀌었고, 이젠 걸그룹도 변해야 할 때 [63] 치열하게13831 20/03/04 13831 1
84860 [일반] [스연] 도쿄올림픽을 무관중으로 치루자는 이야기가 있네요 [19] 강가딘11991 20/03/04 11991 1
84859 [일반] (미국 경선) 수퍼 화요일 결과의 윤곽이 나오고 있습니다. [43] OrBef11750 20/03/04 11750 1
84858 [일반] 코로나19 병의원 손실 보상안 공개 및 상상코로나(?) [80] Timeless10970 20/03/04 10970 9
84857 [일반] [단상] 21세기 한국 외교에 대한 몇가지 생각 [13] aurelius10276 20/03/04 10276 20
84856 [일반] 요즘 출퇴근길 단상 - 예쁜 여자들이 많아졌다! [57] 지니팅커벨여행15851 20/03/04 15851 2
84855 [일반] [스연] 아이유가 참이슬 모델로 복귀합니다. + 근황 [24] VictoryFood11686 20/03/04 11686 4
84854 [일반] 왜 영세 건설업체들은 사회보험 정산을 받지 않을까 [12] 나눔손글씨8906 20/03/04 8906 11
84852 [일반] (삼국지) 손권의 거짓 항복과 세 번의 승리 [41] 글곰9240 20/03/03 9240 16
84850 [일반] [스연] NHK에서 쥬리 다큐멘터리 나올예정 [14] 어강됴리11451 20/03/03 11451 1
84849 [일반] [스연] 방탄 전세계 초동 506만장으로 추정 (차트마스터기준) [35] 로즈마리10527 20/03/03 10527 1
84848 [일반] 제가 사용하는 책상파이 시스템 [18] 담배상품권15378 20/03/03 15378 2
84846 [일반] 남편'을' 덕질한 기록을 공유합니다. (2) [106] 메모네이드17171 20/03/03 17171 50
84845 [일반] [그래픽] 코로나 관련 통계 추이 [112] 김홍기14451 20/03/03 14451 0
84844 [일반] 생각보다 간단하게 해먹기 쉬운 이연복식 간짜장을 집에서 만들어봅시다.JPG [34] 살인자들의섬11931 20/03/03 11931 1
84843 [일반] [토막글] 1942년부터 미국은 히로히토를 괴뢰로 삼으려했다 [7] aurelius9402 20/03/03 9402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