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8/09 16:39:49
Name 성상우
Subject [일반] 바둑에 대하여 (수정됨)
바둑에 대하여

바둑은 중국의 고대의 요순시대에 요임금이 자식의 교육을 위해 만들었다고 합니다. 당나라시절에는 바둑으로 관리를 뽑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사기에 백제왕이었던 개로왕이 고구려승려인 도림과 바둑을 두다 나랏일을 그르친 것이 실려 있습니다. 일본은 에도막부시절에 바둑4대가문이 바둑으로 명인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했다고 합니다.

이후 현대에 들어와서 일본에 프로제도가 생기고 현재의 대국방식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고 많은 발전이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남철9단이 한국기원을 만드셨고 김인9단이 눈부신 활약을 하셨습니다. 조훈현9단의 응씨배우승이후 한국바둑은 급성장했고 조훈현9단, 서봉수9단, 유창혁9단, 이창호9단의 4인방이 한국바둑을 이끌고 세계를 제패했습니다.

세계최강 이창호9단 다음으로는 이세돌9단과 박정환9단이 뒤를 이었고 지금은 중국바둑이 크게 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과거 중국바둑은 중일슈퍼대항전과 응씨배에서의 조훈현9단과의 대결로 유명한 섭위평9단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중국의 마샤오춘9단이 이창호9단과 세계대회를 놓고 경쟁을 했고 또 위빈9단이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창하오9단이 응씨배에서 우승하기도 했습니다.

구리9단은 이세돌9단과의 라이벌관계로 유명하고 또 지금의 커제9단은 너무 강해서 저도 놀라고 있습니다. 식사를 한후에나 휴일에 휴식을 할때 가끔씩 바둑TV를 볼때가 있는데 그러면 많이 힐링이 됩니다. 그래서 새로운 힘이 생기고 더 열심히 살아야겠다고 마음에 다짐을 하게 됩니다. 저는 여러가지 경로로 바둑을 접할때 느끼는바가 있습니다. 그중에 몇가지를 얘기하려고 합니다.

첫째 바둑을 통해 알수 있는 것은 무엇을 할때 전문적으로 배워야 한다는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바둑을 아무리 좋아해도 동네바둑으로 계속 둬보면 제대로 늘지가 않고 어느정도까지 성장할수 있지만 그 이상은 될수가 없습니다. 결국 전문적으로 배우는 것이 시간과 노력으로 따져도 훨씬 빨리 늘게되고 아마나 프로의 자리에까지 이를수가 있는 것입니다.

시험적으로 다년간 전문적으로 배운 아마고수와 그냥 혼자서 동네바둑으로 터득한 사람이 바둑을 둬보면 그냥 게임이 안될 것입니다. 설명을 하지 않아도 희롱을 당하는 수준으로 몇점 접어주고 바둑을 둬야 할 것입니다. 물론 독학으로라도 책으로 열심히 배운 사람은 조금 다를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도 예를 들어 충암고교에서 열심히 바둑에만 전념한 바둑영재나 충암고교를 졸업하고 프로로 집단연구를 하는 기사들과 둔다면 여지없이 무너지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무엇이든 어렵더라도 큰 성과를 올리고자 한다면 전문적으로 배울수밖에 없습니다. 다른 길을 찾아간다면 헛수고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둘째 바둑을 통해 알수 있는 것은 회전율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영국의 딥마인드라는 회사는 바둑인공지능인 알파고를 만들어서 바둑규칙만 일러주고 스스로 바둑을 터득하고 바둑을 완성하게 만드는 시도를 했습니다. 짧은 시간에 수없이 스스로 바둑을 둬보는데 이러한 회전율을 통해 알파고는 일반 바둑기사보다 더 강하게 되었습니다.

알파고는 또 이세돌9단과 세기의 대결을 벌였는데 4:1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저는 이전에 IBM의 딥블루라는 인공지능이 체스챔피언을 이겼기 때문에 아마도 알파고가 이기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을 했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알파고가 승리를 거두니까 믿기지가 않았습니다.

이세돌9단을 이긴 알파고는 지금은 바둑의 완성단계에 돌입해가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현재는 많은 바둑기사들이 알파고를 통해서 배우고 있는 실정입니다. 회전율 즉 많이 실행에 옮겨보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성공에 가까워지는 것입니다. 이것은 모든 일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학교공부나 여러 시험에서 참고서나 예상문제를 많이 회독을 하는 회전율을 높인다면 자연히 성적이 좋아질 것입니다.

셋째 바둑을 통해 알수 있는 것은 완벽주의를 버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국이 끝난뒤에 바둑기사의 대국소감을 들어보면 자주 듣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초반에 좋지 않았는데 나중에 기회를 맞아서 이겼다는 이야기입니다. 사실 바둑의 처음부터 끝가지 자신의 뜻대로 풀리는 경우는 드문 것입니다. 그러므로 인생을 맞이할때도 완벽주의를 버릴 필요가 있습니다.

모든 것이 딱딱 맞아떨어지기를 바라는 것은 어리석은 생각입니다. 그것은 입신이라고 불리우는 바둑9단에게도 잘 일어나지 않는 일입니다. 물론 바둑의 신이라면 모르겠습니다. 사람은 살아갈 때 역경을 맞게 되어있고 많은 어려움이 닦치고 많은 장애가 있습니다. 자신에게 둘러싼 상황이 완벽하지 못한 것을 탓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주도적으로 어려움을 이겨내고 상황을 자기의 것으로 만들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완벽주의는 지식인들이 빠지기 쉬운 함정인데 완벽주의로 하다보면 오히려 좋은 성과와 좋은 성적을 올리지 못하고 일을 그르칠때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완벽주의를 극복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법은 현재에 주어진 상황에 맞게 최적화하면 이상적인 결과를 얻게 됩니다. 즉 어떤 상황에 있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하느냐가 중요한 것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두꺼비
19/08/09 16:58
수정 아이콘
읽다 보니 서명인이 그립네요.
19/08/09 17:05
수정 아이콘
당구도 체계적으로 배우면 300, 500, 1000으로 금방 가지만, 안배우고 그냥 치기만해서는 평생 200에 머물거나, 좀 센스가 있으면 250, 300에 머물죠.

바둑도 그냥 두기만 해서는 잘 안늘고, 책 좀 펴놓고 보고 동영상도 보고 하면 빨리 늡니다. 그냥 두기만 해서는 저급에서부터 아마 초단급으로 올라가는게 굉장히 더디지만, 공부를 좀 하면서 두면 아마5단(아마추어 수준에서는 한계치)까지는 굉장히 빠르게 도달합니다.
소환술사
19/08/09 17:09
수정 아이콘
추...천..
Cazellnu
19/08/09 17:32
수정 아이콘
사람과 사람이 서로 한수씩 두는것이라
최대의 이득을 이상적으로 뽑아먹는게 불가능하죠.
롤에서 양학을 하러 심해로 들어가는 이유가 저거니까요.
엇비슷하거나 한두수 차이나는 정도로는 일방적으로 털어먹기가 어렵다 라는것.
ChloeCreative
19/08/09 17:39
수정 아이콘
와....글쓰는 실력이 진짜 엄청 늘어나신듯;;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9/08/09 18:19
수정 아이콘
회전율 하니까 생각나는게.. 인터넷 시대 이후에 등장한 젊은 포커 플레이어들은 인터넷 포커를 창을 여러개 띄워놓고 각기 다른 게임을 동시에 한다더군요. 이런식으로 하다보니 기존 포커플레이어들을 능가하는 게임수를 쌓아서 빠르게 성장한다고..
19/08/09 19:31
수정 아이콘
바둑에도 다면기라는 행사성 대국이 종종 있습니다.
프로기사 한 명이 여러 팬들의 바둑판을 돌아가면서 즉각적으로 파악해서 여러 판을 동시에 두는 행사입니다.
스타본지7년
19/08/09 20:51
수정 아이콘
사족으로 바둑 다면기의 최대 기록은 녜웨이핑 9단의 150면기입니다. 99년 11월에 기록했죠.
19/08/09 22:52
수정 아이콘
엄청나네요^^
Janzisuka
19/08/09 18:54
수정 아이콘
굿굿!! 잘 읽었습니다
이 페이스면 1년안에 시한편 나올듯!!!
BlazePsyki
19/08/09 19:23
수정 아이콘
글솜씨가 많이 느셨네요.
다독, 다작, 다상량이 역시 진리인걸 느끼고 갑니다.
WhenyouinRome...
19/08/09 19:34
수정 아이콘
예전의 같은 분이 맞나 싶을만큼 글이 깔끔하군요!
StayAway
19/08/09 19:35
수정 아이콘
한국형 그 분 맞나요? 괄목상대가 요기잉네..
화염투척사
19/08/09 19:35
수정 아이콘
이게 회전율의 힘인건지.. 예전글보다 훨씬 읽기에 좋습니다. 특히 성경내용은 해당 종교인이 아니면 공감이 어려운 부분이 많은데, 이번글은 그런 부분도 없어 훨씬 읽기가 편합니다.
엘렌딜
19/08/09 19:39
수정 아이콘
추천합니다. 굉장히 잘 읽었고, 통찰력을 배워갑니다.
전문직이되자
19/08/09 19:39
수정 아이콘
굳굳~
이세돌 알파고 승부 보고 바둑에 필받아서 책도보고 했는데 인터넷에서 혼자하려니 어렵더라고요. 주변에 기원이 있었으면 좋았을텐데 아쉽네요.
스타본지7년
19/08/09 20:51
수정 아이콘
서울에는 동호회가 꽤 있습니다. 네이버 카페에 검색해보시면 몇개 나오지요.
암드맨
19/08/09 19:51
수정 아이콘
피지알형 여몽님...진짜 대단합니다.
제발조용히하세요
19/08/09 19:54
수정 아이콘
이번 글은 읽기도 좋네요. 잘 읽었습니다.
지금만나러갑니다
19/08/09 20:15
수정 아이콘
딱히 좋은 글도 잘쓴글도 아닌데 칭찬이 많군요
19/08/09 20:37
수정 아이콘
예전 글을 보고 오시면 이 글은 선녀...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9/08/09 20:49
수정 아이콘
스타에서 단축키 쓰는 사람보고 딱히 잘한다 어떤다 할 것도 없지만 그가 얼마전까지 마우스로 일일이 클릭하던 사람이라면 칭찬할만 합니다ㅠ
성상우
19/08/09 20:5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전문적인 과정으로 체계적으로 배우면 확실히 그냥 혼자서 하는 것보다 뛰어난 성과를 얻는 것은 틀림이 없습니다. 좋은 의견과 사례를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에 감사합니다. 롤을 통한 좋은 비유에 감사드립니다. 제가 모르는 새로운 세계들에 대해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듣고 견문을 넓힙니다. 글솜씨에 대한 좋은 평가의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유튜브에 보니까 알파고에 관련된 동영상이 많이 올려져 있어서 흥미있게 보았습니다. 목진석9단과 김성룡9단과 이희성9단이 진행하는 알파고에 관련된 프로그램인데 너무 관심있게 보았습니다. 더욱 좋은 글을 쓰려고 분발하고 노력하겠습니다.
coconutpineapple
20/06/05 04:49
수정 아이콘
마치 드래곤교자라는 것과 매우 비슷한 영상을 갖고 있는 위치에 있다는 이야기를 해주셔서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프레임을 완전히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공도리도리
19/08/09 21:16
수정 아이콘
와 정말 글이 괄목상대하셨군요. 나름의 복기와 노고를 거쳐, 더 나은 글쓴이 혹은 작가가 되셨음에 저 또한 칭찬들 드립니다. 글 잘 읽었습니다
치카치카
19/08/09 21:39
수정 아이콘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살다보면 처음엔 좋지 않아도 기회를 맞아
생각외로 잘풀리는 경우가 있죠.
FreeSeason
19/08/09 21:50
수정 아이콘
성장속도가 손오반이네요
텔레토비
19/08/09 22:17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이렇게 글을 잘 쓰시는거 보니 이전의 글들은 컨셉용으로 후루룩 쓰신 것이였군요,,
앞으로도 좋은글 기대합니다 ~
다람쥐룰루
19/08/09 22:29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저도 바둑을 좋아하는데 바둑공부는 정말 체계적으로 해야하는것같아요
저출산고령화
19/08/09 22:45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첨언하자면 글에서 하고 싶은 말을 더 줄이고, 그걸 더 자세히 설명하는 방식으로 글을 쓰시면 더 읽기 편할거 같아요.
미카엘
19/08/09 23:23
수정 아이콘
일취월장이라는 말을 이런 곳에 써야 하는 것인가..
성상우
19/08/09 23: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괄목상대라는 고사성어로 칭찬을 해주심을 감사드립니다. 더 좋은 글을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글을 쓸때 좀더 퇴고에 힘을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도 살다보면 주위사람들이 여러가지 일들을 겪다가 나중에 풀리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되었습니다. 성장속도가 손오반이라고 하셨는데 칭찬에 감사하고 더욱 빨리 글을 쓰는 능력이 성장할수 있도록 힘쓰겠습니다. 이전에 글에 대해서 컨셉이 아닌가 생각하셨다니 글이 너무 미흡했다고 생각하신것같은데 지적하신 부분을 반영하여 좀더 공을 들여서 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바둑공부는 바둑TV와 K바둑에서 교육용USB도 판매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고 싶은 말을 줄이고 설명하는 방식으로 글을 쓸것을 말씀하셨는데 좀더 주제가 분명하고 디테일한 글을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일취월장이라는 고사성어를 써서 격려를 해주셨는데 감사드리고 정성과 내용이 있는 글을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coconutpineapple
20/06/05 04:4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정말로 좋은 의견과 견해입니다
-안군-
19/08/10 00:21
수정 아이콘
괄목상대: 눈을 비비고 상대방을 다시 봄.
진짜로 괄목상대 할 지경이네요. 대단하십니다.
아참 알파고에 대해서는, 알파고 제로(커제를 상대로 완승했죠) 이후로는 원조(?)인 딥마인드사에서는 더이상 연구를 멈췄고요, 대신 구현 방법이나 이론 등이 논문을 통해 다 공개되어서, 중국 등에서 계속 연구를 진행중이라 들었습니다. 현재 딥마인드사는 스타크래프트를 학습시키는 중이라고...
여섯넷백
19/08/10 01:34
수정 아이콘
추천드립니다.

특히 회전율과 바둑(엄밀히 말하면 딥마인드지만)을 연결 한 부분은 정말 인상 깊네요. 잘 읽었습니다.
성상우
19/08/10 12:5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괄목상대라는 고사성어가 너무 좋은 고사성어여서 감사드립니다. 유튜브에 올려진 바둑TV에서 제작된 알파고 특집프로그램이 있는데 너무 유익하고 알찬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오랫기간동안 나누어서 유튜브로 봤는데 지금까지와는 다른 관점을 열어주는 훌륭한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인간이 미처 생각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 인공지능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수 있었습니다. 딥마인드사에서 알파고에 스타크래프트를 학습시킨다니 그러면 전략게임에도 많은 발전을 가져오리라고 생각됩니다. 관심을 가져주시고 추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의지박약킹
19/08/10 13:44
수정 아이콘
와 회전율의 위대함을 직접 보여주시네..

다만 회전율은 좀 어색하고 다른 단어가 있을 것 같은데요. 뭐가 좋을까요
RushHour
19/08/10 14:13
수정 아이콘
마지막 문단이 정말 인상깊습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성상우
19/08/10 16:07
수정 아이콘
회전율이 중요한 것같습니다. 보통의 경우에 여러 다양한 시험에서 참고서와 예상문제집등을 여러 회독을 하면 자연히 성적이 좋아집니다. 회독을 많이 할수록 더욱 좋은 성적을 올릴것입니다. 회차로 승부를 보는 방법인데 상당히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양(量)으로 승부를 보는 방법인데 이 회차법은 상당히 강력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양(量)을 중시하다보면 나중에는 세밀한데까지 이르러서 완성도가 높아진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 문단에 대해서 인상깊었다고 하시니 감사합니다. 앞으로 더욱 좋은 글을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380 [일반] 한국(KOREA)형 음식모델(3) [17] 성상우6433 19/08/24 6433 3
82359 [일반] 창조(Creation)이론 [24] 성상우6060 19/08/23 6060 4
82337 [일반] 플레임(Flame)이론 [8] 성상우4989 19/08/22 4989 7
82291 [일반] 한국(KOREA)형 음식모델(2) [12] 성상우4449 19/08/21 4449 3
82272 [일반] 한국(KOREA)형 음식모델 [22] 성상우6054 19/08/20 6054 10
82260 [일반] 공수도에 대하여 [28] 성상우7572 19/08/19 7572 4
82257 [일반] 한국(KOREA)이 최강이 되는 법 [41] 성상우8277 19/08/18 8277 8
82250 [일반] 시대전망(2) [14] 성상우6446 19/08/17 6446 3
82238 [일반] 최후의 바톤 [10] 성상우5662 19/08/15 5662 4
82224 [일반] 바둑을 공부하는 한가지 방법 [21] 성상우12781 19/08/14 12781 5
82205 [일반] 야구(Baseball)에 대하여 [11] 성상우5442 19/08/13 5442 1
82170 [일반] 한국(KOREA)형 게임모델 [30] 성상우7533 19/08/10 7533 4
82169 [일반] 바둑에 대하여 [39] 성상우9700 19/08/09 9700 24
82154 [일반] 축구에 대하여 [13] 성상우6068 19/08/08 6068 2
82143 [일반] 한략(韓略) [12] 성상우6063 19/08/07 6063 3
82128 [일반] 영웅(英雄)의 전략 [9] 성상우5653 19/08/06 5653 5
82098 [일반] 챔피언의 단계(Stage Of Champion) [25] 성상우7251 19/08/03 7251 4
82053 [일반] 한국(KOREA)형 전략전술모델(2) [33] 성상우5902 19/07/31 5902 7
82036 [일반] 오리지날(Original)전략과 믹스(Mix)전략 [24] 성상우5279 19/07/30 5279 4
82021 [일반] 잠식(蠶食)전략 [11] 성상우4713 19/07/29 4713 4
82009 [일반] 무기의 시대(Age Of Weapon) [12] 성상우7462 19/07/28 7462 7
81999 [일반] 차선을 선택하라 [22] 성상우7395 19/07/27 7395 5
81995 [일반] 경쟁하는 인물들 [22] 성상우6349 19/07/26 6349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