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7/29 09:51:52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다큐] 러시아 다큐 "로마노프 왕조" 外 (수정됨)

제1부 링크:
(나머지 회차는 해당 링크의 계정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다큐에 대한 영어권 사이트 리뷰: https://topdocumentaryfilms.com/romanovs/


유튜브를 둘러보다가 아주 훌륭한 다큐를 발견했습니다.
러시아가 직접 제작한 [로마노프 왕조]에 대한 다큐멘터리인데요
영어로 더빙되어 있어서, 한번 감상해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로마노프 왕조의 시조 미하일부터 마지막 차르 니콜라이 2세까지 총 8부작인데
적절한 연출, 대사는 한마디도 없지만 표정만으로 훌륭한 연기를 보여주는 재연배우들,
그리고 화려한 CG와 상황에 맞는 배경음악이 다큐에 재미를 더해줍니다.

또 한가지 인상적인 점은 각 인물들에 대한 세부적인 묘사뿐만 아니라
당시의 국제적 상황, 국가의 제도와 개혁의 내용들, 인구나 재정상태에 대한 통계 등을
보기 쉬운 지도와 그래픽으로 상세히 알려줍니다.  

넷플릭스에 자체 제작 [마지막 차르]라는 제목의 다큐/팩션이 올라와있는데
그런 [기괴한 망작]에는 비교할 수 없는 퀄리티입니다.

제1부는 미하일 로마노프가 주인공이고
제2부는 소피아 로마노프나가 주인공입니다.
제3부는 표트르 대제가 주인공이며
제4부는 표트르 사후 왕위쟁탈전에 대한 전환기를 다루고
제5부는 러시아의 여제 예카테리나 대제가 주인공입니다.
제6부는 나폴레옹에 맞섰던 알렉산더
제7부는 알렉산더2세와 니콜라이 1세
제8부는 역시 니콜라이 2세와 대혁명으로 막을 내립니다.

같은 제작사에서 [소련의 동부전선]을 다룬 무려 18부작 (...) 다큐도 있고
[크림전쟁]을 다룬 4부작 다큐도 있더군요. 크림전쟁의 부제가 [제0차 세계대전]인데
이 전쟁이 크림반도에서 태평양까지 영국/프랑스/오스만제국 vs 러시아가 전쟁을 치르면서
나폴레옹 전쟁 이후 사상처음으로 종군기자가 등장하고 또
기관총 등을 이용한 대량학살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러시아에서 제작한 다큐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영국, 프랑스가 나쁜놈들로 묘사되기는 하지만
전반적인 국제정세와 당시의 시대적 맥락 그리고 전황을 파악하기에 좋은 자료인 거 같아요.

또 같은 제작사에서 [한국전쟁]에 대한 다큐도 만들었는데, 보지는 못했습니다.
대충 리플보니까 다소 친소편향적인 (러시아 제작인걸 감안하면........ 여윽시..) 내용이라고 하는데
이건 한 번 보고 말씀드릴게요.

아무튼 최소 [로마노프 왕조] 다큐는 딱히 정치적 bias가 들어갈 여지가 적으니
정말 강력 추천합니다. 역사 다큐물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일종의 탬플릿을 제공하는 거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7/29 10:19
수정 아이콘
영어로 더빙된거랑, 한번 감상해봐도 좋은거랑은 어떤 인과관계지요?
저격수
19/07/29 10:25
수정 아이콘
적어도 러시아어가 아니니까요 - 아닐까요
aurelius
19/07/29 10:31
수정 아이콘
러시아어가 아니라는 점에 의의가 있습니다 :)
일각여삼추
19/07/29 10:43
수정 아이콘
기대중이었는데 넷플릭스 마지막 차르는 왜 별로일까요
aurelius
19/07/29 10:49
수정 아이콘
역사적 배경과 맥락, 그리고 니콜라이 2세 본인에 대한 묘사와 더불어 그 시대적 배경과 정책 등 보다는 선정성(섹스와 노출)과 야사(라스푸틴 관련)에 치중합니다. 해설자 중 한명으로 Simon Sebag Montefiore가 나오는데, 그런 네임드가 참여했음에도 왜 이딴 결과물이 나오는지 알 수 없습니다.
일각여삼추
19/07/29 12:1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그럭저럭 볼만하지 않을까 싶었는데 그런 미비한 점이 있었군요.
드러나다
19/07/29 11:19
수정 아이콘
아. 영어 잘하고 싶다..
닭장군
19/07/29 11:43
수정 아이콘
이제 유리와 하나가 된다
다람쥐룰루
19/07/29 14:11
수정 아이콘
영어...군요
니콜라이 2세는 우리나라에서도 꽤나 유명하죠 크크크크 몇년 전에 누구덕분에 많이 알려져서
19/07/29 14:29
수정 아이콘
블랙위도우 가문인가?
홍승식
19/07/29 15:29
수정 아이콘
한국어 화자에 대한 혐오를 멈춰주세요. 엉엉엉 ㅠㅠㅠ
19/07/29 15:49
수정 아이콘
영어못한다고 놀리시는겁니까 지금
ㅠㅠ
19/07/29 15:49
수정 아이콘
저는 이분 한국인 아니라고 확신합니다.
패스파인더
19/07/29 20:01
수정 아이콘
소비에트 스톰은 어느정도 알아듣겠는데...사전지식이 없으니까 힘드네영..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211 [일반] [단상] 현대판 친일파는 도대체 왜 그럴까? [69] aurelius12459 19/08/13 12459 27
82204 [일반] [기사] 김대중이라면 한일갈등을 어떻게 바라보았을까? [23] aurelius8734 19/08/13 8734 4
82201 [일반] [역사] 패전 직후의 일본, 그리고 미국 [25] aurelius11507 19/08/13 11507 19
82162 [정치] [명단] 8월9일 정부 인사 개각 발표 [133] aurelius16668 19/08/09 16668 3
82029 [일반] [기사] 北 억류됐던 한국계 미국인 "'중요한 정보 입수' CIA에 넘겨줘" [45] aurelius11692 19/07/30 11692 6
82016 [일반] [다큐] 러시아 다큐 "로마노프 왕조" 外 [14] aurelius7231 19/07/29 7231 0
81983 [일반] [강연] 세계대전과 루즈벨트, 스탈린, 그리고 처칠 [13] aurelius7090 19/07/25 7090 2
81970 [일반] [기사] 英 존슨 신임 총리 '中 일대일로에 열광…중국투자도 환영'.gisa [22] aurelius7944 19/07/25 7944 0
81968 [일반] [1부] 중동, 러시아, 유럽과 대한민국의 국익 [43] aurelius9868 19/07/25 9868 25
81947 [정치] [단상] 영공침범 러시아 군용기에 대한 경고사격. 대담하지만 훌륭한 조치 [72] aurelius12572 19/07/23 12572 23
81942 [정치] [기사] 軍, 호르무즈 파병 방안 검토 착수… 靑은 긍정도 부정도 안해 [61] aurelius13329 19/07/23 13329 8
81927 [일반] [역사]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의 자발적 부역자들 [9] aurelius8242 19/07/22 8242 12
81897 [일반] [뻘글] 야밤의 서재 자랑 [9] aurelius6704 19/07/19 6704 4
81891 [정치] [뉴스] 정부,"日수출규제 대응 특별근로연장, 인허가 단축, 예타면제 등 검토 [45] aurelius11721 19/07/19 11721 4
81884 [일반] [역사] 스페인 유대인들의 역사 [8] aurelius8408 19/07/19 8408 14
81869 [일반] [인물] 신임 美아태차관보 데이비드 스틸웰은 누구? [14] aurelius7578 19/07/18 7578 4
81792 [일반] [단상] 단어의 마술, 북한 무인목선의 진실 [68] aurelius10401 19/07/12 10401 10
81787 [일반] [도서] 이낙연 총리가 추천하는 책 "붕괴" [25] aurelius9320 19/07/12 9320 4
81778 [일반] [소식] 북한이 헌법을 개정했습니다. [38] aurelius12109 19/07/11 12109 3
81737 [일반] [단상] 나혜석, 그녀를 이제서야 발견했습니다. [20] aurelius7619 19/07/09 7619 2
81731 [일반] [FT] 푸틴과의 90분 단독 인터뷰 [24] aurelius10281 19/07/08 10281 5
81700 [일반] [토막글] 트위터로 팔로우하기 좋은 사람들 [14] aurelius7966 19/07/05 7966 0
81696 [일반] [유럽] 유럽 최고위직 인선을 두고 또 혼파망 [27] aurelius9601 19/07/05 9601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