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2/08 12:40:57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도서추천] The Future is Asian
그제 출간한 따끈따끈한 신작입니다.

Image result for the future is asian

제2세계, 커넥토그래피의 저자 파라그 카나의 신작, [아시아가 미래다]입니다. 
저자는 21세기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곳은 아시아이며, 아시아에 대한 이해 없이는 세계를 논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데,
사실 우리 입장에서는 너무나 당연한 말이라...크크크
그래도 아시아 각지에서 벌어지고 있는 수많은 경제협력, 지정학적 갈등 등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거 같습니다.
특히 중국의 [일대일로]의 강점과 약점을 나름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있고, 
일대일로 외에도 터키, 러시아, 카자흐스탄, 이란 등 눈여겨봐야 할 수많은 [상호작용]들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한 학자는 [18세기 표트르 대제는 세계의 대세가 유럽에 있다는 걸 깨닫고 수도를 상크트페테르부르크로 옮겼는데,
그가 오늘날 살아있었더라면 블라디보스토크로 옮겼을거]라고 농담했다는군요. 

아무튼 현재 아마존 킨들에서 온라인으로 바로 구매할 수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읽어보는 것도 좋을듯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onan O'Brien
19/02/08 13:36
수정 아이콘
재미있을 것 같네요.
도축하는 개장수
19/02/08 14:01
수정 아이콘
홍위병이 없었다면 이미 세계를 먹었을지도...
닭장군
19/02/08 14:28
수정 아이콘
이제 습위병 한번만...
개발괴발
19/02/08 14:16
수정 아이콘
어휴 러시아 수도 블라디보스토크 상상만해도 깝깝하네요 안그래도 숨이 맥히는 지정학느님인데
19/02/08 14:45
수정 아이콘
아 영어의 압박이...ㅠ
19/02/08 15:24
수정 아이콘
저 책에서 Asian은 아시아인을 뜻하나요? 아니면 아시아의 미래(Asian future)를 뜻하나요?
aurelius
19/02/08 15:28
수정 아이콘
아시아 대륙을 의미합니다.
19/02/08 16:44
수정 아이콘
근데 그러면 왜 Asia라고 적지 않고 Asian이라고 적었을까요 흠...
아니면 제 영어 실력이 짧아서 소유격으로 적는 것이 다른 의미가 있는 것일까요
이비군
19/02/08 15:33
수정 아이콘
지식인들 보면 아시아(중국)뽕반 미국뽕반인듯
修人事待天命
19/02/08 15:58
수정 아이콘
아시아가 현 시점에서 가장 잠재력이 높은 대륙이지 않나요. 그 다음은 아마 아프리카가 될 것 같고...
이비군
19/02/08 16:21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는 항상 잠재력은 높다곤 하는데 제가 죽을때까진 실현안될거 같아요 장애물이 너무 많은 느낌.
일반,경제적관점에선 인구도 많고 땅도넓고 교육열도 높은 아시아가 가장 앞설거 같지만 4차산업,인공지능 시대에 미국이 기술적 특이점에 도달하면 그런거 다 쌈싸먹을거 같기도 하구요
19/02/08 15:54
수정 아이콘
동아시아 서로 치고박고, 동남아 서로 치고박고, 인도차이나 서로 치고박고, 중동 서로 치고박고, 인디아 서로 치고박아서 힘들 듯 합니다. 특히 동아시아가 협력하면 미래는 아시아 주도권일텐데 현재 한중일, 여기에 북한, 대만 역학관계 고려하면 예측하기 어렵네요.
aurelius
19/02/08 15:59
수정 아이콘
그런 양상을 두고 저자는 Multi-polarity라고 묘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는 거대하고 다극체제이다. 중국 중심의 아시아라는 것은 허상이다...[Asia is more than just China] 한편 그렇기 때문에 더욱 역동적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아시아가 오늘날 투자와 생산의 중심지이며 아시아의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면 서방세계는 뒤쳐진다는 것... 본 저서의 주 타겟층이 유럽과 북미의 독자라는 것도 감안해야 합니다.
19/02/08 22:47
수정 아이콘
표지는 한 1990년대 나온것같은데...
간손미
19/02/09 08:29
수정 아이콘
항상 좋은책 추천 감사드립니다. 혹시 이런 신간 정보는 어디서 얻으시는 건가요?
aurelius
19/02/11 08:45
수정 아이콘
평소 눈 여겨보던 저자들 팔로우하고 있어서 신간 나오면 알림이 뜹니다 :)
가나다라마법사아
19/02/09 20:47
수정 아이콘
원서르르 그냥 바로 읽으시는건가요??
aurelius
19/02/11 08:46
수정 아이콘
넵넵... 사실 어릴 때 국제학교를 다녔어서 때로는 영어 읽는 게 한글보다 편합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041 [일반] [잡담] 민주당의 이념형 극단주의자 때문에 가끔 깊은 빡침을 받습니다. [56] aurelius9311 19/02/11 9311 34
80036 [일반] [다큐] 프랑스에서 만든 북핵의 역사 다큐 추천 [11] aurelius6371 19/02/11 6371 2
80018 [일반] [목록] 우리나라 당국자들이 꼭 읽었으면 좋을 거 같은 책들 [25] aurelius10355 19/02/08 10355 19
80016 [일반] [도서추천] The Future is Asian [18] aurelius8375 19/02/08 8375 5
80010 [일반] [단독] 北 김영철, 트럼프에 "주한미군 철수 거론 않겠다" 약속 [117] aurelius17786 19/02/07 17786 11
79958 [일반] (속보)비건 "트럼프, 종전 준비…北 침공의사 없고 정권전복 안한다" [178] aurelius16879 19/02/01 16879 15
79957 [일반] [넷플릭스] 전쟁과 사랑 - 러시아 혁명 드라마 [10] aurelius10351 19/02/01 10351 5
79926 [일반] [단상] 민주주의(Democracy)가 아니라 감성정치(Emocracy)의 시대 [37] aurelius7512 19/01/30 7512 9
79914 댓글잠금 [일반] [단상] 주한미군 방위비 인상에 대한 찬반논의에 더하여 [65] aurelius7739 19/01/29 7739 17
79908 [일반] [도서] 2019년을 시작하는 독서 목록 [6] aurelius8354 19/01/29 8354 10
79896 [일반] [단상] 민주주의 사회에서 "금권"을 어떻게 견제할 수 있나? [29] aurelius6739 19/01/28 6739 8
79830 [일반] [외신] 프랑스-독일 신우호조약 "아헨 조약" 체결 [61] aurelius10997 19/01/23 10997 6
79817 [일반] [역사] 1942년 이탈리아 외교관이 본 독일 [7] aurelius8521 19/01/21 8521 4
79814 [일반] [잡설] 전후 미국을 만든 독일인들 [27] aurelius10824 19/01/21 10824 15
79790 [일반] [역사] 비운의 소련 외교관 막심 리트비노프 [17] aurelius8440 19/01/18 8440 30
79777 [일반] [어록] 로마사 논고에서 찾아볼 수 있는 마키아벨리의 통찰 [7] aurelius6588 19/01/17 6588 6
79773 [일반] [역사] 일본 제국주의의 사상적 근원 [10] aurelius8247 19/01/17 8247 8
79769 [일반] [역사] 1715년 어느 일본인의 서양인식 [27] aurelius11545 19/01/17 11545 32
79743 [일반] [인물] 미국의 떠오르는 정치샛별, 89년생 여성초선의원 [69] aurelius13106 19/01/15 13106 8
79723 [일반] (충격) AI가 만든 가짜뉴스의 위력 [24] aurelius13022 19/01/12 13022 0
79712 [일반] [외신] 미국, 대북제재 일부 완화하기로.gisa [17] aurelius6993 19/01/11 6993 2
79707 [일반] [단상] 탈권위주의 그리고 SNS 시대의 민주주의 [107] aurelius12376 19/01/11 12376 32
79674 [일반] [번역] 국제정치학 석좌 스티븐 월트 미의회 신년사 [21] aurelius8336 19/01/08 8336 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