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2/18 21:04:54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외신] 프랑스, 내달부터 구글, 페북, 아마존, 애플 과세 (수정됨)
https://www.theguardian.com/technology/2018/dec/17/france-alone-new-tax-big-tech-companies-gafa?CMP=Share_iOSApp_Other

프랑스 및 독일은 올해 유럽연합 차원에서 미국의 IT공룡들을 겨냥해서 최소 3%의 다지털세를 도입하고자 했으나 협상이 지지부진했습니다.

아일랜드와 룩셈부르크 같은 나라들이 낮은 과세율로 이득을 보기 때문인데요 (주로 이런 소국들이 조세도피처 등으로 활용되죠... 스위스 같은 부류..)

프랑스가 지친 나머지 내년 1월1일부로 자국에서 일방적으로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독일과 영국 스페인 이탈리아 등은 프랑스와 같은 의견이었기에 곧 같은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영국은 프랑스와 같은 의견이어도 브렉시트를 정말 하게 된다면 미국 바지가랑이를 붙잡고 애걸복걸해야 하는 입장이라 좀 더 신중하게 행동할 것입니다.

최연소 하버드 교수가 된 것으로 유명한 경제학자 제프리 삭스는  IT공룡들에 대한 추가 과세가 매우 중요하고 필요하다는 입장인데,

IT기업들이 타 산업군에 비해 극단적으로 적은 고용으로 극단적으로 거대한 수익을 창출하기에 이 수익을 사회적으로 재분배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아무튼 이제 프랑스가 총대 매고 첫 스텝을 밟았는데, 이게 글로벌 차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주었으면 좋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타마 싯다르타
18/12/18 21:07
수정 아이콘
유럽은 저런 미국it기업에 대한 질투심이 엄청나겠죠?
눈물고기
18/12/18 21:07
수정 아이콘
저는 이거 찬성이요...
그동안 IT업계가 너무 꿀빨았다고 생각하는지라..
Liberalist
18/12/18 21:11
수정 아이콘
솔직히 IT 업계는 과세 좀 더 해야 한다고 봅니다. 사실상 제조업이 받는 수준과 동일한 규제를 받아본 적도 없죠.
제조업처럼 고용창출 효과가 막대하다면 모르겠는데, 그게 아닌 이상 부의 재분배를 위해서라도 세금 더 내야 합니다.
aurelius
18/12/18 21:30
수정 아이콘
저도 동의하는 바입니다. 이른바 4차산업 혁명이라 불리는 트렌드가 점점 현실화될수록 부의 사회적 재분배는 더욱 중요해질 거 같네요.
요플레마싯어
18/12/18 21:27
수정 아이콘
특히 구글코리아는 너무하죠. 매출이 5조원인데 고용 몇백명에 세금 몇십억.... 매출 5조원짜리 병원이면 고용이 만단위일껀데
홍승식
18/12/18 21:29
수정 아이콘
매출이 높은데 고용이 적으면 이익이 높아서 세금을 많이 내지 않나요?
거기에 또 세금을 추가로 걷어야할 이유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aurelius
18/12/18 21: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외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배경은 아래와 같습니다.

■ 비전통적인 기업인 디지털 기업들의 시가총액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EU 내에서도 디지털 기업의 수익 성장률이 기존 기업들을 크게 상회함.1)
- 시가총액 기준 2006년 전 세계 상위 20대 기업 중 디지털기업의 비중은 7%에 불과했으나, 2017년 54%로 급증함(그림 1 참고).
◦ 주요 디지털 기업들의 연평균 매출액 증가율은 14%로 다른 다국적기업의 매출액 증가율(0.2~3%)을 크게 상회함.2)
- EU 집행위에 따르면, 2008년 대비 2016년 전 세계 상위 5대 전자상거래 유통기업의 수익성장률은 연간 32%로, 같은 기간 연간 1% 성장에 그친 EU의 전체 유통부문과 크게 대비됨.

■ 디지털 기업이 전통적인 기업들보다 훨씬 낮은 법인세율을 적용받음에 따라 조세형평의 문제가 제기됨. 이에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에 맞는 세제 변화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이번 디지털세 부과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함.

- 전통적인 제조기업들이 국제적으로 23.2%의 평균실효세율을 적용받는 것과 대조적으로 테크 기업들은 9.5%의 세율을 적용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그림 2 참고).4)

- 일반적으로 기업들의 고정사업장(Permanent Establishment)을 중심으로 수익이 창출되는 곳에서 순수익에 대해 과세함이 원칙임.

- 그러나 디지털 기업은 고정사업장 대신 무형자산, 데이터, 지식 등에 의존하는 新비즈니스 모델에 입각하여 운영되어 현 조세체계 기준으로는 과세대상을 측정하기 어려움(글상자 1 참고).

◦ 디지털 기업은 고정사업장이 부재한 국가에서 무형자산(특허 및 알고리즘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함.

◦ UNCTAD(2017)에 따르면 테크 기업의 무형자산 비중은 91%로, 상위 100대 기업 평균인 30%를 상회하고 있는
바, 기존의 법인세 제도를 운영하는 데 제한이 있음(그림 3 참고).5)

- EU 집행위는 미국계 디지털 기업들이 불공정 과세혜택을 받은 것으로 판단하고, 과징금 부과를 통해 공정 과세와 조세회피 방지에 노력해왔음(글상자 2 참고).
홍승식
18/12/18 21:41
수정 아이콘
기업마다 법인세율 자체가 낮지는 않을테고 실효세율이 낮다는 거겠죠?
그건 정부가 디지털 기업에게 여러가지 세제 혜택을 주고 있다는 것일테니 세목을 추가하지 말고 그걸 조정하면 될 일이죠.
국가간 조세협약이나 조세회피처에 대한 내용은 따로 얘기를 해야 할 거 같구요.
요플레마싯어
18/12/18 21:40
수정 아이콘
본사나 법인세 낮은 지사로 엄청난 로열티를 쏘거든요
홍승식
18/12/18 21:44
수정 아이콘
전 그게 궁금한데요.
지사가 본사에 보내는 로열티를 보내면 결국은 연결기준으로 보면 이익율이 나오잖아요.
그러면 각 지사에서 나오는 매출에 대해서 연결기준 이익율을 기준으로 과세를 하면 안되나요?
방향성
18/12/18 21:42
수정 아이콘
그걸 조세협약이 맺어진 유럽내 조세회피처로 본사 수익을 다 넘겨서 매우 적은 세금만 내고 있는거죠. 유럽 내에서 기업들이 평균 20~25%의 세금을 내는데 구글같은 기업은 아일랜드에 10% 이하만 내니까요.
홍승식
18/12/18 21:44
수정 아이콘
만약 정말 그게 문제라면 해당 국가와 조세협약을 개정하던가 깨야죠.
방향성
18/12/18 21:46
수정 아이콘
그래서 아일랜드가 쓰이고 있는거죠. EU라는 틀로 지켜주고 있으면서도 조세권한을 이용해서 IT 기업들에게 매우 낮은 세금만 걷는 걸 허용해 주고 있으니까요.
홍승식
18/12/18 21:53
수정 아이콘
결국 프랑스는 정작 문제가 되는 조세회피처를 해결하자니 EU가 깨져서 손해가 날거 같으니 그냥 추가세금 걷어보자는 거군요.
밴가드
18/12/18 22:07
수정 아이콘
2013년에 미국 상원이 애플의 납세 관행에 대해 청문회를 했는데 그 이후 아일랜드가 자국에서 법인등록한 기업이 무국적지위를 유지할 수 없도록 세법을 고치기로 하여 애플이 최근에 영국해엽에 있는 저지 섬으로 이전 등록을 했습니다. 그동안 애플이 무국적지위를 유지할수 있었던게 애플의 본부가 있는 캘리포니아에서는 세무 거주자 지위가 있는 걸로 취급 받으려면 그곳에서 법인등록이 되어야 하고 애플로부터 지적재산권을 이전받은 자회사들이 있는 아일랜드에서는 회사 운영 본부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세무 거주자 지위가 결정되었기 때문에 국가들간의 세법 틈 사이를 잘 파고 들어간거죠.
매일푸쉬업
18/12/18 21:36
수정 아이콘
구글 과세는 유투브도 과세한다는 것인가요?
유투브야 말로 꿀중에 꿀빠는 곳 아닌가요. 유투브 수익 세금징수 했으면 좋겠네요.
복슬이남친동동이
18/12/18 21:55
수정 아이콘
실제로 애플의 아일랜드에 순이익 쌓아두고 계속 유보시키는 문제는 어떻게 해결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분명히 미국 정부와 과세 수준을 놓고 해당 이익을 미국 내로 전입할지 협상하고 있다는 소식을 한 몇년전에 들었던 거 같은데 크크크크크
호모 루덴스
18/12/18 22:34
수정 아이콘
트럼프가 법인세인하 이후, 미국내로 들여와서 착실하게 내고 있습니다.
복슬이남친동동이
18/12/18 23:35
수정 아이콘
호옹이 그랬군요. 소식 감사합니다
하우두유두
18/12/18 21:55
수정 아이콘
It기업은 과세가 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통 제조업처럼 고용효과가 그렇게 크지 않잔아요.
명란이
18/12/18 22:57
수정 아이콘
222 동의 합니다~
자루스
18/12/18 22:46
수정 아이콘
기업이 고용창출을 적게 한다면(상대적으로) it가 아닌 다른 기업이라도 세금을 많이 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린우드
18/12/18 23:51
수정 아이콘
지금까지가 진짜 이상했죠. 돈은 벌면서 세금은 다른 국가에 내고 있었으니.
고용 창출을 통해서 이익이 환원되는 시스템도 아니고 IT기업은 고용도 별로 안하니까요.
18/12/19 01:33
수정 아이콘
술 한 잔 했더니 프랑스가 프링글스로 보이네요
BetterThanYesterday
18/12/19 02:38
수정 아이콘
구글도 안드로이드 유료화해서

자기들이 안내려고 할듯....

대신 내도록...
18/12/19 02:58
수정 아이콘
예전에 만화같은걸 본적있는데 망중립성 훼손이다 뭐다해서 한국 통신기업만 악마화하고 유튜브를 선의의 천사로 묘사한게 다시 생각나네요.
18/12/19 10:57
수정 아이콘
고용을 적게 한다고 세금을 많이 내야 한다는 주장의 기본 논리가 무었인가요? 세금감면 같은 특혜 대상 제외 정도면 모를까...
고용을 적게하니 세금을 고용 많이 하는 회사보다 많이내! 이런 논리가 정당한가요?
18/12/19 13:48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차라리 전체 세율을 높히고 고용효과가 큰 기업들에게 세제혜택을 주는게 아니면 고용창출이 없다고 세금을 더 부과하는거는 정당성이 부족할거 같습니다. 마음으로는 동의하지만
애패는 엄마
18/12/19 14:20
수정 아이콘
애초에 세금이라는 거 자체의 의의를 무엇으로 보느냐죠.
자유지상주의가 아닌 자유주의나 공리주의 공동체주의 뭘로 봐도 뭐 충분히 가능한 논리긴 하죠.
supernova
18/12/19 15:51
수정 아이콘
저도 정당하지 않다고 봐요. 테크회사들이 기술력으로 저비용 고효율의 시스템을 구축했는데 그것을 오히려 벌주려고 하면 기술발전을 막는 일이죠.
supernova
18/12/19 15:45
수정 아이콘
프랑스 같은 나라들은 세상은 디지털화 되고 있는데 자기네 힘으로 기술력을 따라갈 가망은 없어보이고 배는 아프니 그냥 삥뜯기로 가나보네요.
Tengo hambre
18/12/19 18:32
수정 아이콘
고용창출이 없는게 아니라 사람이 많이 필요없는 고효율산업인건데 그걸 징벌적 과세(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한다면 앞으로 기술발전에 대한 동기가 사라지겠죠.
임전즉퇴
18/12/19 19:54
수정 아이콘
낼 돈이 있는 놈이 내면 그걸로 좋습니다.
18/12/19 23:24
수정 아이콘
미래로 갈수록 고용은 줄고, 일등독식의 편향은 심해질것입니다. 또한 인프라를 초기에 큰규제없이 값싸게, 지원까지 받으면서 구축하고 자금을 확보한 거대 기업에, 신규 벤처나 기업이 끼어들기란 불가능해지는 시대라고 봅니다.

거기에 기존과 동일한 과세를 적용하는건 오히려 형편성이나 사회 발전에 독이 될것 같습니다.
기존 법제도를 바꿔서라도 이런 시도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664 [일반] [단상] 러시아를 반드시 한반도에 끌어들여야 하는 이유 [92] aurelius14601 19/01/08 14601 34
79616 [일반] [잡상] 러시아 2월 혁명과 제1차 세계대전 [6] aurelius6004 19/01/04 6004 1
79605 [일반] 자유한국당 “신재민, 광주민주화운동 이래 최대 양심고백” [87] aurelius11429 19/01/03 11429 11
79595 [일반] 여러분께서 가장 즐겨보는 주간지/매체는 무엇인가요? [34] aurelius6499 19/01/03 6499 9
79589 [일반] [잡상] 외교관에게 허용된 국내정치간섭은 어디까지인가? [12] aurelius7275 19/01/02 7275 9
79577 [일반] 신재민 건 관련 기재부 공식 반박 [113] aurelius16212 19/01/02 16212 33
79518 [일반] [잡담] 민주당 의원들에게 메일을 보내고 답장을 받았습니다. [35] aurelius11381 18/12/28 11381 27
79452 [일반] [단상] 미국 이후의 시대를 준비해야 할 때 [55] aurelius10557 18/12/23 10557 17
79449 [일반] [넷플릭스] '트로츠키' 감상한 소감을 저도 올려봅니다. [9] 작고슬픈나무6422 18/12/23 6422 8
79432 [일반] [넷플릭스] 트로츠키 정주행 완료한 소감 [6] aurelius7890 18/12/22 7890 5
79397 [일반] [넷플릭스] 러시아 드라마 - 트로츠키 [6] aurelius9620 18/12/19 9620 4
79384 [일반] [외신] 프랑스, 내달부터 구글, 페북, 아마존, 애플 과세 [34] aurelius9579 18/12/18 9579 4
79373 [일반] 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이란 사람의 발언 [211] aurelius18093 18/12/18 18093 25
79365 [일반] 1929년 나치의 부상을 예견했던 베를린의 한 그림 [6] aurelius9057 18/12/17 9057 2
79358 [일반] [독일 드라마] 1929 바빌론 베를린 [2] aurelius9939 18/12/16 9939 4
79351 [일반] [도서추천] 근래 구매한 책들 목록입니다. [8] aurelius6555 18/12/16 6555 7
79327 [일반] [해외뉴스] 앙겔라 메르켈의 후계자가 결정되었습니다. [11] aurelius9484 18/12/14 9484 2
79308 [일반] [역사] 히틀러 이후의 유럽 [9] aurelius8794 18/12/13 8794 17
79293 [일반] [단상] 역사에 만약이란? 보다 진지한 IF 놀이를 위한 제언 [40] aurelius7336 18/12/12 7336 2
79288 [일반] [질문] 소련 해체를 기억하시는 분 계신가요? [40] aurelius7571 18/12/11 7571 1
79223 [일반] [단상] 2030대 남성의 분노를 깨닫지 못하는 민주당 [233] aurelius15538 18/12/10 15538 39
79188 [일반] [서평] 숀 맥미킨 - 러시아 혁명사 外 [5] aurelius4738 18/12/07 4738 3
79160 [일반] 중국 자본의 유럽진출 현황 [99] aurelius13043 18/12/05 13043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