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2/07 10:12:56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서평] 숀 맥미킨 - 러시아 혁명사 外 (수정됨)

요즘 뜨고 있는 역사학자 중 숀 맥미킨(Sean McMeekin)이라는 사람이 있는데, 

그가 쓴 저서들이 대부분 아주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고 있고

또 매우 재미있기 때문에 이를 추천하고자 합니다.


아쉽게도 한글번역은 전혀 되어 있지 않지만, 교보에서 해외주문 신청하면 일주일 이내로 배송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서평은 제가 주로 참고하는 리뷰사이트, Goodreads.com에서 올라온 것 중 인상적인 것들을 번역한 것입니다. 


=====================================================

1. 러시아 혁명사. The Russian Revolution: A New History, 2017

The Russian Revolution: A New History


숀 맥미킨은 훌륭한 역사가이다. 그가 최근 1차 세계대전이나 오스만 제국에 대해 다룬 저서들도 매우 인상 깊었다. 그의 최신작 "러시아 혁명사"는 러시아 혁명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1990년 이후 새로 공개된 문서들을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는 역사와 이념을 결합하는 것을 피하고 소련 편향적이거나 또는 지나치게 소련 적대적인 자세를 취하는 우를 범하지 않는다. 그 대신 그는 1917~18년의 사건들이 얼마나 우발적이었는지를 새롭게 보여주고 있으며, 또 니콜라이 2세나 혹은 2월 혁명 이후 케렌스키가 자신들이 움직일 차례가 되었을 때 달리 행동했다면 세계사가 어떻게 변했을지에 대한 호기심을 자아낸다. 맥미킨의 가장 인상적인 장점은 볼셰비키를 기존의 시각이 아니라 최근의 발굴된 문서들을 폭넓게 활용하면서 보여준다는 것에 있다. 


러시아 혁명사 대해 조금이라도 읽어봤던 사람들이라면, 이 혁명에 대해 아주 강한 의견을 이미 가지고 있을 것이다(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특히 냉전을 기억하는 사람들에게는 더더욱. 맥미킨의 저서가 기존의 생각이나 선입견을 바꾸지 못할지도 모른다. 그런데 일부 사람들에게는 새로운 시각을 가져다줄 수 있다. 


예컨대 우리는 일반적으로 러일전쟁 이후 러시아는 후진적인 전제국가였다고 생각하는데, 그는 여러 경제지표를 통해 사실 1914년 당시 러시아는 이미 완전히 회복했고 또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그는 이 시대를 살아갔던 사람들이 실재하는 "인간"이라는 점을 보여주며, 그들이 자신들의 행동들에 대해 깊게 생각했던 사람들이었다는것을 보여준다. 또 그는 혁명과 내전의 혼란상을 묘사하면서, 독자로 하여금 엄청난 압력에 시달리던 각 주인공들의 결정을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도록 도와준다. 


또 저자는 볼셰비키가 소수였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혁명과 내전에서 승리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그는 볼셰비키가 북부군을 장악하는 데 성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혁명과 내전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는 볼셰비키의 대중친화력과 프로파간다로 가능했는데, 이에 독일의 지원이 큰 역할을 수행했다고 말한다. 독일은 레닌을 2월 혁명 이후 러시아로 귀국시키면서 이들이 필요했던 인쇄소나 기타 물자들을 위한 자금을 대주었다. 물론 레닌이 독일로부터 받은 지원은 그의 반대자들도 알고 있었기에 이들은 이를 빌미로 레닌을 가열차게 비난했다. 


러시아 혁명을 다룬 책들은 매우 많고, 저자의 해석에 동의할 수도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러시아 혁명사에 대한 또다른 중요한 기여임에는 분명하다. 


==================================================


숀 맥미킨의 다른 저서들


오스만제국의 가망없음(응??), The Ottoman Endgame: War, Revolutio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Middle East 1908~1923, 2015년 출판

The Ottoman Endgame: War, Revolutio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Middle East, 1908 - 1923


1914년 7월, 전쟁의 서막. July 14: Countdown to War, 2013년 출판 

July 1914: Countdown to War


제1차세계대전은 러시아 책임인가? The Russian Origins of the First World War, 2011년 출판 

The Russian Origins of the First World Wa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웅진프리
18/12/07 11:19
수정 아이콘
되게 흥미롭긴한데, 저 책 다 번역 안된거죠? 어캐하지..
NoWayOut
18/12/07 11:38
수정 아이콘
저도 국내 번역본 출간까지 더 기다려보겠습니다.
18/12/07 12:45
수정 아이콘
2000년대 들어서 러시아-소련에 관해 기존 관점과 다른 시각의 책이 많이 나와서 좋더군요.
제1차 세계대전은 러시아 책임인가?는 꽤 괜찮았던 기억이 납니다.
aurelius
18/12/07 13:20
수정 아이콘
오 마지막에 소개한 책 읽으셨군요! 전 사실 아직 구매하지 않았는데, 구매할 가치는 충분한지요? 흐흐
18/12/07 13:57
수정 아이콘
저는 꽤 괜찮게 봤습니다.
다만 그래도 나온 지 몇 년 된 책이라서, 최신 동향을 계속 파악하고 있는 분들은 감흥이 좀 덜할 수도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267 [일반] '태블릿PC 조작설' 변희재 징역 2년…"명예 심각히 훼손" [66] 강가딘10032 18/12/10 10032 4
79266 [일반] 인생에서 가장 평화로웠던 한 때 [18] 녹차김밥8238 18/12/10 8238 11
79264 [일반] 군필자 왈, 나만 X될 수 없지 [449] 사악군23554 18/12/10 23554 139
79225 [일반] 메르스 의심환자로 격리됐던 이야기 [41] 킹리적갓심7124 18/12/10 7124 10
79224 [일반] 지각을 할 것 같다. [41] 전직백수7462 18/12/10 7462 40
79223 [일반] [단상] 2030대 남성의 분노를 깨닫지 못하는 민주당 [233] aurelius16864 18/12/10 16864 39
79222 [일반] 그래서 군대 없앨거야? [414] 수지느15707 18/12/10 15707 48
79221 [일반] 준공이 5년 늦춰진 월드컵 대교와 프로젝트 일정계획 [7] 삭제됨5976 18/12/10 5976 12
79220 [일반] 문재인 대통령과 민주당에 대한 오해 및 변명 [255] 음냐리16220 18/12/10 16220 32
79219 [일반] 마트에서 겪은 일 [17] 블랙번 록7924 18/12/09 7924 0
79218 [일반] 연동형비례제 찬성 국민 66% “지역구 투표가 좋아” [59] 베라히9336 18/12/09 9336 0
79217 [일반] 윤창호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운전자들은 더욱 편안해졌습니다. [39] 복슬이남친동동이11083 18/12/09 11083 10
79216 [일반] 저는 아이를 못낳을것 같아요 [45] 로즈마리14226 18/12/09 14226 29
79215 [일반] 알았으니까, 링으로 올라오세요. - 리마스터 [10] 와!6571 18/12/09 6571 6
79214 [일반] 나도 고위공직자가 되기 적합할까? [14] 잊혀진영혼6524 18/12/09 6524 4
79213 [일반] 크크 이래도 민주당 찍을 거야? -> 응 그래도 민주당 찍어~ [388] 삭제됨41366 18/12/09 41366 43
79212 [일반] 화난 사람들을 달래주지 못하는 정부. [434] 미하라23827 18/12/09 23827 91
79211 [일반] 1749일 연애 끝 [18] 시드마이어9711 18/12/09 9711 25
79210 [일반] [뉴스 모음] No.219. '언론인', 아니 '천룡인'들의 '아님 말고' 외 [37] The xian12709 18/12/09 12709 26
79209 [일반] 유전자 조작 아기 논란. 유전자가 정말로 조작된 아이가 태어났는가? [27] 해바라기11168 18/12/09 11168 12
79208 [일반] 아이패드 프로 3세대 12.9인치 사용후기 [35] 아타락시아114077 18/12/09 14077 5
79207 [일반] [좋은 음악 셋]너네 집에서 통배권을 맞고 으악! 소리지르며 귀르가즘을 느끼네 [13] Roger6032 18/12/09 6032 1
79206 [일반] 유승민, 세월호 유가족 사찰로 수사받고 자살한 이재수의 빈소를 찾다. [242] 18350 18/12/08 18350 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