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7/25 16:05:06
Name 자전거도둑
Link #1 http://v.media.daum.net/v/20180725113404639
Subject [일반] 폭염이 바꾼 신풍속도 "나가면 생고생" 소확행 휴가族 는다
강원도 해수욕장 피서객 30%나 감소(50만명 => 37만명)
밀린 드라마 보고 쇼핑몰·영화관 행
방콕 휴가족도 12%



일단 역대급 폭염이라 그런것도 있겠지만
이제는 해외여행이 너무나 보편화되서
굳이 여름휴가를 국내 피서지로 가는 일이 더 줄어들 것 같습니다.


4인가족이 동해안 해수욕장 간다고 쳤을때 깨지는 비용이 엄청나서
그 돈이면 에어컨 빵빵하게 집에서 틀고, 어디 맛있는 뷔페나 갔다오고
워터파크 한번 가고 이런게 훨씬 싸게 먹히죠.


1인,2인은 뭐 집에서 에어컨 하루종일 쐬면서 넷플릭스 몰아보고
심야영화 한편보고 이런게 진정한 휴가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것 같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핵공격
18/07/25 16:07
수정 아이콘
나가면 타죽을것 같아요...
강배코
18/07/25 16:08
수정 아이콘
이번에도 휴가철 바가지는 여전한걸까요? 그 이유도 좀 있을듯...
18/07/25 16:08
수정 아이콘
요즘같은 날씨에 50~60써서 나가는거보다 집에서 20만원으로 에어컨 빵빵틀고 쉴렵니다 ㅠㅠ..
솔로몬의악몽
18/07/25 16:09
수정 아이콘
몇 년 전에 멀리 가기 싫다고 영흥도 갔다가, 시설 정말 안좋은 모텔 1박 10만원, 모텔에서 수산시장까지 (편도 1km) 택시비 1만원, 수산시장에서 광어 2인분 한 마리에 7만원(반찬비, 찌개값 별도) 이렇게 쓰고는 다시는 성수기에 국내 여행 안다니기로 결심했습니다. 성수기에 가격 올라가는거야 감안하더라도 너무한다 싶더라고요.
제이크
18/07/25 16:10
수정 아이콘
휴가를 꼭 여름에 안 써도 되는 직종이다보니 여름엔 에어컨 나오는 PC방이나 찜질방가서 뒹굴고 있고...
안 춥거나 안 더울때 해외 나가는게 한 3년 일하면서 개인적으로 정착화된거 같습니다.
꼭 여름휴가를 썼어야했던 예전 직장보다 뭔가 편한것 같으면서도 1년 1~2회 해외 나가니 거지가 되는 느낌같기도 하고....
소고기국밥
18/07/25 16:36
수정 아이콘
해외여행에 사용하는 돈은 해외를 안가도 어딘가 사라지고 없어질 겁니다
가도 거지, 안가도 거지니 가는 것이 이득입니다.
좋아요
18/07/25 16:12
수정 아이콘
나우마크 삼만다 보다난 아비라오켄 소확행
18/07/25 16:12
수정 아이콘
그냥 애들 있는 집은 시설 있는 콘도나 호텔 가는데 더 싸고 좋습니다.
아니면 진짜 해외로 가는 것이 나아요. 어설프게 계곡이나 주변 유원지, 해변 갔다가는 바가지 크리에 맘상하고 돈상하고 ㅠ.ㅠ
18/07/25 16:12
수정 아이콘
널럴하던 집근처 카페에 요즘 자리가 없어요 크크
집 너무 더워서 작업하려고 나왔더니 역시 사람 생각 다 비슷해요.
18/07/25 16:16
수정 아이콘
재래시장에 사람이 줄고 대형마트에 사람이 느는것과 비슷한 원리라 봅니다.
비둘기야 먹쟈
18/07/25 16:25
수정 아이콘
해운대=재래시장
집=대형마트
???
뽀롱뽀롱
18/07/25 16:58
수정 아이콘
자잘하게 국내여행 다니면서 알아야 즐기는것보다는

한번어 몰아서 외국가거나 집에서 쉰다는 말 같네요
포프의대모험
18/07/25 17:46
수정 아이콘
집이아니고 호텔이나 리조트 말하는거죠
원인은 한철장사라고 관광지물가를 개떡같이 만든 원주민들이고
카드 안받고 개떡같은 물건 끼워파는 재래시장과 같은 결말을 맞을겁니다
비둘기야 먹쟈
18/07/25 18:02
수정 아이콘
부산스럽게 속초해수욕장 안가고 간편하고 가까운 바냔트리 가는 내용이 본문이었다면 님 댓글이 공감이 갈듯.
포프의대모험
18/07/25 18:28
수정 아이콘
아 댓글내용을 보고 썼네요 제가
어랏노군
18/07/25 16:22
수정 아이콘
왠지 층간소음 민원이 증가될 거 같은 생각이... 크크..
18/07/25 16:22
수정 아이콘
다음주 월화수목 휴가인데 집밖을 나갈 생각이 없습니다. 흐흐
18/07/25 16:23
수정 아이콘
주말에 속초 1박2일로 갔다올까 하고 호텔 검색해봤다가 가격보고 포기했습니다. 별로 좋아보이지도 않는 숙소가 서울 좋은 호텔 뺨치더라구요.
18/07/25 16:24
수정 아이콘
근데 동해 숙소 인간적으로 가격이 너무 비쌉니다. 한철장사인건 알겠는데
18/07/25 16:25
수정 아이콘
하긴 누진세 감안해도 휴가비용 쓸 바에 그걸로 에어컨 돌리면 되죠.
나른한날
18/07/25 16:26
수정 아이콘
국내 여행은 연애때 해보고 아예 쳐다도 안봅니다. 결혼하고 나서는 날잡아서 해외 나가는게 훨씬 싸고 좋습디다.
비둘기야 먹쟈
18/07/25 16:26
수정 아이콘
남자는 알바 이쁜 피씨방 아입니까 히오스 5인큐 가즈아
18/07/25 16:27
수정 아이콘
해수욕장은 그냥 남녀의 만남을 위해서 가는 곳 아닌가요.
어렸을때 부모님이랑 간간히 갔고, 그 다음에는 만남을 위해서 간 시기가 있었고, 그 이후에는 거의 가본적이 없네요.
Janzisuka
18/07/25 16:27
수정 아이콘
저녁에도 카페로 피난 오시더라구요...
끄아아
18/07/25 16:28
수정 아이콘
피서의 사전적 의미를 생각하면... 에어컨 시원하게 틀어놓고 방안에서 쉬는게 피서죠.

지금 야외활동은 정말 아닌거 같아요.
아이오아이
18/07/25 16:28
수정 아이콘
올해 휴가비 전기세 몰빵하기로했습니다... 24시간 에어컨 넘나좋은것
18/07/25 16:52
수정 아이콘
막상 전기세 낼땐 쓰리더라구요 크크
지나가다...
18/07/25 16:59
수정 아이콘
저는 겨울 난방비 만큼은 낼 각오를 굳혔습니다. 사람이 살아야겠더라고요.
WhenyouinRome...
18/07/25 20:32
수정 아이콘
작년 겨울 기름 다섯드럼 썼는데... 그보단 덜 나오면 좋겟네요
프리템포
18/07/25 16:34
수정 아이콘
이번 휴가는 풋볼매니저와 함께 합니다 ~~
오히모히
18/07/26 05:52
수정 아이콘
생각만 해도 넘나 행복한것.. 아아
초코궁디
18/07/25 16:34
수정 아이콘
에지간히 더워야 수영하러 가지 이건 그냥 숨쉬는게 힘들어서...
라울리스타
18/07/25 16:39
수정 아이콘
1. 예전엔 집에 에어컨도 없고 딱히 할게 없었는데, 지금은 집에서도 에어컨 켜놓고 취미생활, 먹을것 등 즐길게 풍부함.

2. 도로망 발달, 주5일제 등으로 국내 여행은 굳이 피서철이 아니어도 주말을 이용해 즐길 수 있음.

3. 걍 비쌈. 생활도 팍팍한데 휴가철만 되면 적게는 몇십에서 몇백단위까지 깨지는 휴가가 과연 가성비가 좋은건지 의심스러움.

4. 예전엔 도심에서 할 수 있는 것도 거기서 거기였지만, 우리나라도 관광산업이 발달하면 도심에도 싸고 재밌으면서 못가본 핫플레이스들이 많아짐.

정도로 생각하면 될까요? 크크크
18/07/25 16:43
수정 아이콘
국내여행은 돈 많이 벌어서 가는 거죠.

돈 없는 사람은 방에 있거나 해외여행 가는 거고
18/07/25 16:45
수정 아이콘
애초에 우리나라가 한여름에 휴가철이 만들어진게 코미디죠
우리나라 5월하고 비슷한 더위의 여름을 가진 유럽을 무작정 따라하기
wlfkfakfk
18/07/25 16:50
수정 아이콘
가장 더울때 쉬는게 왜 코메디인가요?
세상에는 한여름에 에어컨 밑에서 일하는 사람들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NoGainNoPain
18/07/25 16:54
수정 아이콘
같은 유럽이라고 해도 위도에 따라서 기온의 차이가 확확 나는데 말입니다.
18/07/25 23:45
수정 아이콘
전혀요. 유럽은 동북아시아처럼 북태평양고기압이 치고올라오지 않기 때문에 남유럽이라도 우리나라 5월수준.
NoGainNoPain
18/07/26 08:13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하고 독일 출장 연속으로 다녀왔는데 기온 차가 확 나던데 말입니다.
북유럽하고 남유럽 기온차는 여기서 확연히 더 차이나겠죠.
지금만나러갑니다
18/07/26 09:33
수정 아이콘
전혀요. 스페인 마드리드 지금 진짜 더워 죽습니다. 오버 좀 보태서 데오드란트 없으면 겨땀이 허리까지 옵니다. 유럽 가보신적 없으신듯...
강미나
18/07/26 09:36
수정 아이콘
어디 남유럽을 다녀오셨는지 모르겠는데 이 시기에 로마 가면 공기 중에 물방울이 떠다니는 느낌입니다....
18/07/25 16:51
수정 아이콘
사실 우리나라의 휴가는 놀라고 주는 휴가가 아니죠.
지금 출근하면 너무 더워서 힘들고 일의 능률도 안좋으니 차라리 이때 쉬라고 주는거지..
VrynsProgidy
18/07/25 16:54
수정 아이콘
국내여행은 너무 비싸서 갈수가 없습니다...
50만원 짜리 50만원 주고 먹는건 안아까운데
5만원짜리 15만원 주고 먹는건 진짜 갑부 아니면 못할짓 같아요
하우두유두
18/07/25 16:59
수정 아이콘
이번에 호캉스했는데 만족도 참 높았어요. 살짝 사람들 없을때 가니까 호텔수영장 전세내고 사용하니 더 좋더라구요.
지나가다...
18/07/25 17:00
수정 아이콘
이럴 때는 어디 여행을 가느니 차라리 그 돈으로 호텔 방 잡고 쉬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든 지 한참 되었습니다.
여행은 선선한 비수기에 가고요.
공고리
18/07/25 17:29
수정 아이콘
그래서 호캉스(호텔 바캉스) 족이 늘어났고,
그에 맞춰서 호텔에서도 성수기에 사람없어서(해외 여행 등으로) 할인 마케팅을 하면서 마케팅을 많이 한다고 하더라구요.
하심군
18/07/25 17:01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전철 타고 해수욕장 가면 됩니다?
18/07/25 17:12
수정 아이콘
폭염이 한창일 때에는 그냥 집에서 에어컨 빵빵하게 틀고 가만히 있는 게 가장 좋습니다
18/07/25 17:17
수정 아이콘
일단 여름에 휴가를 내기 힘든 직군이다 보니 봄가을로 적당히 분산해서 쓰는데 예약도 편하고 부대끼지 않아 훨씬 좋습니다.
18/07/25 17:31
수정 아이콘
오늘 점심에 쇼핑몰 방문하니 평소보다 사람 엄청 많더군요. 평소가던 식당에 오후1시30에도 대기줄이 있었어요.
18/07/25 17:55
수정 아이콘
속초에 바람 쐬러 다녀올 예정인데
겁부터 납니다
18/07/25 18:05
수정 아이콘
어제 한국의 휴가철에 대해 좀 생각해 보았습니다.
예전에는 에어컨 시설이 잘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장마가 끝나고 나서 본격적으로 더운 7월말~8월초에는 학교도 회사도 쉬어야 했죠. 그리고 집에서 이 더위를 나는 것도 힘든 터라 산이나 바다로 놀러가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설에 에어컨이 완비된 지금은 달라져야 하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지금도 회사에 있지만..(앗, 월급루팡인 것을 실토하고 말았네요.) 회사가 너무 시원해요. 아이들도 학교가 덥지 않고 좋다고들 하더군요.
그럼에도 여전히 7말8초가 극성수기인 이유는 예전의 상황에서 시작된 직장의 여릅휴가 기간과 학교 방학이 그대로이기 때문입니다. 회사의 단체 여름휴가도 점점 없어져가는 추세이지만, 아이들 방학은 예전과 크게 차이가 없지요.
이제 좀 바꿔도 된다고 생각해요. 아이들도 여름과 겨울에 학교에서 공부하고, 날씨 좋은 봄가을에 방학하고, 직장인들도 마찬가지고요. 냉난방 효율도 차라리 그게 낫지 않을까요? 다들 휴가, 방학이라고 집에서 각자 에어컨 트느니 여러 명이 생활하는 건물 냉방하고 거기 있는게 낫다고 봅니다.
18/07/25 18:11
수정 아이콘
현대기아차 쉬는거에 맞춰서 2차 3차 협력업체들이 같이쉬면서 이런 문화가 생겼다고 알고있습니다. 현장서 보니 지금도 어쩔수없어 보이더군요. 한 4차업체쯤 되면 딱그때 아예 날 정해서 토일포함해서 3~5일 쉬고 그럽니다.
18/07/25 18:36
수정 아이콘
엇그제 속초갔다왔는데 숙박비 일단 창렬이고 관광지나 먹거리들은 죄다 블로그빨에 대놓고 비싸서 이제 국내여행은 안가기로 다시한번 다짐했습니다.
산지라고 더 싸지도 싱싱하지도 않고 기분내려 온 관광객들 우려먹는게 너무하네요.

그리고 지금 해운대와서 백사장에서 치킨시켰는데 가관이네요.. 치킨은 언제만들어논건지 다 양념이 불고 떡지고 치킨무도 안갖다주고.. 주문할때 삼성페이 되냐고 물어보고 시켰는데 된다고 그러더니만 저딴치킨갖다주고 카드기 안가져왔다고 당당하게 계좌입금해달라고.. 총체적 난국입니다
R.Oswalt
18/07/25 18:45
수정 아이콘
숙박비 더럽게 비쌈, 밥값 비쌈, 사람 바글바글해서 쉬지도 못함, 차 막혀서 스트레스, 날씨는 끔찍하게 뜨거움, 바닷물이라도 시원하면 모를까 예년에 비해 최소 5도 이상 올라감
아무런 메리트가... 올 여름은 무조건 에어컨 빵빵한 곳으로 계획 중입니다. 글램핑, 카라반이나 호텔 찾아보고 있어요.
네버스탑
18/07/25 19:17
수정 아이콘
휴가철 피서지에서 즐거웠던 기억이 별로...
한철 장사라지만, 휴가지 자영업자들이 자신들은 정당하다 하는데 그들이 망할 만하게 장사하고 있죠
백종원의 골목식당 보면서 백종원 씨가 '반짝 특수 이후 서서히 손님이 줄어드는 것은 장사하는 사람들의 어떠한 행동이 천천히 영향을 미치는 거'라고 했던 말이 생각나네요
18/07/25 19:33
수정 아이콘
저도 일단 계획 취소하고, 돈모아서 나중에 멀리 갔다오려고요. 휴가철인데 에어컨 밑에 그냥 앉아서 모은 게임하고 있습니다.
강미나
18/07/25 20:22
수정 아이콘
국내에선 서울 호캉스하는 게 가장 낫다고 봅니다. 지방 휴가지를 성수기에 가는 건 내가 요즘 몸이 찌뿌둥한데 좀 벗겨먹어주쇼 하는거죠.
18/07/26 02:05
수정 아이콘
netflix and chill 이 최고!
ArcanumToss
18/07/26 02:23
수정 아이콘
그냥 모텔이든 호텔이든 잡고 에어컨 빵빵하게 틀고 얼음 둥둥 화채 먹고 음악 들으면서 책도 보고 영화도 보고 다큐도 보고 하는 게 나을 듯.
카바라스
18/07/26 02:45
수정 아이콘
피서지 행태에 그닥 호감은 없는데 올해는 폭염 때문이 맞을거에요. 인간적으로 놀러갈 날씨가 아님..
18/07/27 12:1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휴가철에 왜 바다, 계곡을 가는지 도무지 이해를 못해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767 [일반] 나의 지겹도록 반복되는 생활패턴에선 별 거 아닌일도 키보드로 끄적일 수 있는 소재가 되어버린 다는 사실이 기쁘다 [29] 현직백수7447 18/07/31 7447 25
77763 [일반] (소소한 일상글) 동대 상근병에게 받은 문자 이야기 [30] VrynsProgidy8902 18/07/31 8902 20
77752 [일반] 중도.jpg - 적절함.jpg은 어디쯤에... [4] 장바구니5951 18/07/30 5951 3
77745 [일반] 정자검사 하는날 [37] 북고양이22992 18/07/28 22992 78
77737 [일반] (더러움 주의)본사 부장님 앞에서 신호가 와버렸다... [47] 바람이라7790 18/07/27 7790 48
77721 [일반] <인랑>, 로맨스 안넣으면 제재라도 당하나? (스포X) [73] 화이트데이9915 18/07/25 9915 4
77715 [일반] <인랑> 보고 왔습니다. (스포일러 약간) [22] 주홍불빛6186 18/07/25 6186 0
77714 [일반] 여름철, 사상 초유의 무더위, 전력수요 증가로 대(大) 정전 사태가 일어날까? [106] superiordd12889 18/07/25 12889 63
77712 [일반] 폭염이 바꾼 신풍속도 "나가면 생고생" 소확행 휴가族 는다 [62] 자전거도둑10773 18/07/25 10773 3
77679 [일반] 부산 해수욕장 이야기 [33] 하심군9343 18/07/22 9343 3
77672 [일반] 창문형 에어컨 구입 + 설치 후기 [13] 자전거도둑23375 18/07/21 23375 1
77645 [일반] 다스뵈이다 24회 (글쓴이 소제목 : 문재인 재기해의미) [54] 히야시10619 18/07/18 10619 7
77632 [일반] 요즘 미세먼지 때문에 정말 괴롭군요 [26] 뚱이6749 18/07/17 6749 0
77608 [일반] 7월 1, 2주차) <앤트맨과 와스프>, <스카이스크래퍼>, <몬몬몬 몬스터> 감상평 [44] 마스터충달9634 18/07/15 9634 4
77583 [일반] 노출천장을 싫어하시는 분 있나요 [58] Techsod17059 18/07/13 17059 8
77518 [일반] 구급차 사이렌소리가 잘 들리시나요? [40] 걸스데이민아7357 18/07/06 7357 3
77095 [일반] 40대 아저씨가 꾸미는 집안 IOT 만들기 [26] 영혼의공원12075 18/05/25 12075 14
76913 [일반] 로드바이크에 입문해 봅시다. [104] 물맛이좋아요17503 18/05/09 17503 13
76861 [일반] 김정은, 북한 내 모든 미국 억류자 석방 [65] 여자친구13865 18/05/03 13865 12
76814 [일반] 오늘의 책읽기는 실패 [15] Harry Hole7433 18/04/29 7433 6
76595 [일반] 오랜만에..창업일기 2탄입니다 [44] 똘빼9425 18/04/12 9425 6
76315 [일반] 샌드위치 가게 창업(?) 일기 1탄입니다. [88] 똘빼17942 18/03/26 17942 5
76221 [일반] 82년생 김지영의 남자 버전이 나온다면 [163] 남성인권위43454 18/03/20 43454 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