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7/06 14:34:01
Name 걸스데이민아
Subject [일반] 구급차 사이렌소리가 잘 들리시나요?
이번에 안타까운 사건도 그렇고
이전부터 집에서 와이프와 생각해 왔는데,
한국사람들도 요즘엔 점점 의식이 좋아지면서 구급차 보이면 어떻게든 비켜주려고 합니다.
그런데 구급차 소리, 불빛이 의외로 크지 않아서 미리 대처를 할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와이프의 경험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구급차가 사이렌을 울리면 거의 주변 1키로미터까지는 소리가 다 들리고 가까이 올수록 어마어마하게 시끄러워지기 때문에 (반농담으로) 비켜주기 싫어도 시끄러워서 빨리 보내주고 싶을 정도라고 했습니다.
얼마전에 운전을 하면서 가다가 뭔가 느낌이 이상해서 사이드미러를 봤더니 구급차가 가까이 와있어서 깜짝놀라 차선을 변경해서 비켜드린 적도 있구요.
더욱이 요즘처럼 창문 꽉닫고 에어컨 풀로 틀고 거기에 라디오나 음악까지 틀어놓는다면 미리미리 피해주고 싶어도 늦을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희 가족만의 생각인건지, 대다수 다른 분들도 동의하시는지 의견을 수렴해보고,
청와대 청원이라도 올려볼까 합니다.
많은 답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ooKyumStork
18/07/06 14:36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는 좀 더 커질 필요가 있다고도 생각하지만
영국에서 사이렌 소리 들을 때마다 너무 힘들기 때문에(정말...정말 시끄럽습니다. 귀를 막아야 해요.)

적정선이 있었으면 좋겠는데 그 적정선이란 게 참 어렵겠죠
18/07/06 14:36
수정 아이콘
분명 소리 커지면 시끄럽다고 난리치는 사람도 많아질겁니다...
피지알에 물어봐도 어차피 대부분 젊은 사람들(40대 이하) 의견들이라 글쓴분 의견에 동의할 것 같습니다만(저도 그렇고요) 장년층 의견은 또 다를 것 같네요
Mephisto
18/07/06 14:41
수정 아이콘
그 반대일걸요?
어르신들은 이런 이슈에 있어서 개인이 약간의 불편함을 겪더라도 공익을 우선시해야한다고 생각하시는 분이 대다수이구요.
오히려 젊은 층들이 "공익은 공익일뿐 나에게 피해가 오면 안된다."의 포지션이 경우가 많습니다.
18/07/06 14:55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전 주변에서 정 반대로만 겪어서...
18/07/06 15:08
수정 아이콘
제 주변 어르신분들도 공익을 위해서라면 불편함을 참아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이 대다수입니다. 오히려 개인주의는 젊은 분들에게서 많이 나오죠.
타카이
18/07/06 15:28
수정 아이콘
연령 구분은 무의미할 듯 하구요
집값떨어진다고 난리나겠죠
예를들어서 현재 소방서 부근 500m 집값이 영향 받는다고 난리였다면
사이렌 소리 커지면 근처도로 1km 이상의 집들도 대열에 합류하겠죠
18/07/06 17:13
수정 아이콘
크 이게 맞습니다. 예전에 있던곳에 근처 아파트에서 출동할때 사이렌을 켜지말라고 해달라하더군요.
이유인즉
"같은 브랜드 타 아파트에 비해 우리 아파트 값이 낮다 그 이유는 소방서때문에 시끄러워서 그렇다. 그러니 왔다갔다 할때 조용히 해달라"
이게 이유였습니다.
머 어쩌겠습니다. 민원들어오니깐 위에분들 칼같이 끄고 댕기라하더군요... -_ -
내사랑로빈
18/07/06 14:43
수정 아이콘
저도 사이렌 소리가 가까이 오기전엔 잘 안 들리더라구요..좀 더 커졌으면 좋겠어요~
키무도도
18/07/06 14:43
수정 아이콘
운전중에는 그런생각이 들지만, 오피스텔형 아파트에서 살고있는 입장에서는, 하루에 반드시 최소 두세번꼴로 큰거리로 엠뷸런스가 울립니다. 아마 커지면 꽤나 골치아파지겠다는 생각은 드네요. 밤에 깨지않을까 생각도...
ll Apink ll
18/07/06 15:39
수정 아이콘
222 길에서야 어쩌다 한번 마주치는거지만, 집에 있으면 하루에 몇대씩 지나가기 때문에 단순히 운전자들 입장에서만 얘기 할 수는 없는 문제라고 생각하니다.
하우두유두
18/07/06 14:44
수정 아이콘
운전하다가 사이렌 소리 들리면 두리번두리번 하긴해요 근데 어디있는지는 정확히 모르겠더라구요
느린발걸음
18/07/06 14:48
수정 아이콘
무조건 지금보다 커졌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분명히 민원이 빗발치겠죠.
Zoya Yaschenko
18/07/06 14:56
수정 아이콘
문 닫고 라디오를 틀어놓는 경우가 많고, 옆 사람과 수다라도 떨면 진짜 안들립니다.
더 커져야 한다고 봅니다.
18/07/06 14:57
수정 아이콘
사설급차부터 먼저 조져야될텐데요
루트에리노
18/07/06 15:48
수정 아이콘
사설구급차 단속이 우선순위라고 생각하는게 좀 이상하네요...
사람 생명이 당연히 우선 아닌가요?
still_life
18/07/06 15:07
수정 아이콘
네, 저도 더 커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8/07/06 15:08
수정 아이콘
맞아요. 미국에서 사이렌 소리는 좀 심할정도죠. 엄청 시끄러워서 집에서 자다가도 깹니다.
Techniker
18/07/06 15:21
수정 아이콘
사설급차부터 먼저 조져야될텐데요(2)
아이지스
18/07/06 15:29
수정 아이콘
주택가에 닥터헬기 착륙해서 시끄럽다고 민원 넣는데 사이렌 소리 키우면 무슨 일이 벌어질지 무섭습니다
카디르나
18/07/06 15:39
수정 아이콘
더 커져야 하는 것이 맞지만, 지금도 병원 근처 사는 주민들에게서 크다고 민원 많이 들어온다고 합니다. 이런 이기적인 나라에서 더 키우는 것이 가능할까요...
키무도도
18/07/06 16:08
수정 아이콘
그건 이기적이라고 포장하면 안되는게, 소음은 이해의 범주를 넘어서서 스트레스나 발작, 노이로제등의 질병발생을 시킬수있는 수준이라.
저같은 경우는 방음창문으로 그냥 문여는걸 포기하거나 환풍때는 시끄러운걸 그냥 감안하고 산다지만,
병원근처는 정말 헬일겁니다. 소음에 관련해서는 의학적 논문이나 관련된 법제도 있으니까요.
18/07/06 21:32
수정 아이콘
대학병원 앞에 삽니다. 여기서 애 키우시면 아마 본인도 민원 넣게 되실겁니다.
강미나
18/07/07 06:46
수정 아이콘
그냥 길이면 모를까 병원 주변에 있는 집이면 사이렌으로 인한 소음의 고통을 이해못하는 게 이기적일 수도 있습니다.
Jedi Woon
18/07/06 15:42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한국에서는 싸이렌소리를 잘 못들었던것 같고 귀가 아프다 할정도로 크진 않았던것 같습니다.
구급차 출동 건수가 많지 않아서 못들은게 많을 수도 있었겠죠.
그런데 지금 살고 있는 독일은 싸이렌소리가 엄청 큽니다. 정확히는 귀를 때리는 좀 날카로운 소리?
처음엔 왜이리 크지 싶었는데, 소리를 듣으면 어디선가 구급차 지나가는구나 바로 인지가 되더라구요.
한국에서 이런 소리라면? 당장 민원이 빗발치겠죠.....
클로이
18/07/06 15:44
수정 아이콘
잘 안들려요 그리고 응급 차량이 근처를 지나가면 알려주는 신호등을 하나더 다는게...
18/07/06 15:52
수정 아이콘
이게 좋은 것 같아요. 일정 간격으로 알림등 하나 만들고, 그 길에 응급차 놓이면 알려주는 방식
천호동35세백영호
18/07/06 17:34
수정 아이콘
추가로 응급 차량이 지나는 길의 모든 신호가 자동으로 정지신호로 바뀌도록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18/07/06 15:47
수정 아이콘
병원대 병원 전원이 119로는 법적으로 전원해 줄 수 없어서 사설구급차가 필요하긴 합니다. 지방 의료원에서 대학병원 전원시 바이탈 흔들리는 환자 택시 태워 보낼 수도 없고 사설구급차 외에는 현실적으로 답이 없죠..
다만 많은 사설구급차들 시설이 부적격하며 비양심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은 동의 합니다.
타카이
18/07/06 15:48
수정 아이콘
질게글에도 댓글을 적었지만 여기에도 적겠습니다. 인터넷 자료에 의하면 국내 응급차 사이렌 데시벨은 115, 미국은 120입니다.
약 3배 가량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입니다.(영국도 같은가 봅니다)
공부맨
18/07/06 16:01
수정 아이콘
119 는 대부분 문제될것이 없습니다.
사설구급차는 환자가 안 타있는데도 사이렌울리고 가는등 악용하는 사례가 꽤 있습니다.
키무도도
18/07/06 16: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걸 잡는건 사실상 불가능하죠. 환자안타고있어도 환자를 데리러가는것도 긴급구조의 일환이니... 이것때문에 구분이 쉽지가 않다는게.. 그리고 싸이렌울리는데 어느 경찰이 정차시키고 단속할수 있을까요 ㅠ
공부맨
18/07/06 16:10
수정 아이콘
사설구급차는 환자를 데리러 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면되고 병원ㅡ병원간 이송이 주목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목적달성하고 귀가 하는상황인데도 그러고
응급상황이 아닌경우에도 그러는 경우를 많이봐서요...
키무도도
18/07/06 16: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긴급출동이라는게 코에붙이면 코걸이고 귀에붙이면 귀걸이라 정말 힘들죠. 병원에서 긴급환자 발생했는데 차가 부족해 빠르게 복귀하기위한 방법이라고 밀어붙이면 할말없구요. TV프로그램에서 이것에 대해 다룬적 있었는데, 잡는방법보단 근본적으로 바꿔야겠더라구요.
Koscielny
18/07/06 16:27
수정 아이콘
민원 많이 들어온다고 하더라고요 진짜 응급상황 아니면 사이렌 크게 틀지 마라고 오더도 내려오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Phlying Dolphin
18/07/06 16:43
수정 아이콘
이런건 구급출동센터 근처에 거주하시는 분이어야 이야기할 자격 있다고 봅니다. 구급출동 소음피해는 준공항급이에요.
솔로13년차
18/07/06 17:52
수정 아이콘
저는 소리를 키우기보다, 신호체계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으면 어떨까 합니다. 사이렌은 20세기의 기술이란 생각이고, 공익과 생명을 위해 구급차가 사이렌을 킬 경우 근처의 신호가 모두 빨간불로 조정되는 거죠. 또 가능하다면 수신가능한 블랙박스를 의무화 한 뒤 다가오는 구급차를 블랙박스로 알리는 것도 좋겠고요.
문제는 레카차나 사설구급차들 같은 경우인데, 시스템화 하는 만큼 사이렌 사용여부를 기록할 수 있으니, 사후에 정당성을 따져보는 데도 이용할 수 있지않을까 싶습니다.
틀림과 다름
18/07/06 19:38
수정 아이콘
잘 들립니다
제 사는 집에서 500 여미터 앞에 종합병원인데
밤마다 엠블란스 소리가 납니다
충분히 소리 큽니다
몇년은 잠도 못잘정도였고 이제 겨우 적응되서 잘 자는 중입니다
18/07/06 21:19
수정 아이콘
큰 도로와 붙어 있는 집에 살면 소리가 엄청 크다는 걸 느끼게 되죠.
외갓집이 큰 도로 한 건물 옆이었는데 구급차 소리 때문에 깜짝깜짝 놀랐었습니다.
18/07/07 07:30
수정 아이콘
미국은 사이렌소리가 큰 것도 있지만 뒤에서 불빛이 백미러를 통해서 운전자 눈뽕으로 바로 들어오죠. 소리가 안 들려도 백미러를 통해 번쩍번쩍~
18/07/08 08:50
수정 아이콘
긴급자동차의 인지가 쉽도록 볼륨확대, 멀티톤 병행송출, 매우 거슬리는 볼륨/톤의 수동조작형 톤 추가, 전면플래시의 대폭 보강 등의 개선작업을 하더라도, 서울에서는 큰 의미가 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서울 시내도로에서는 긴급자동차의 존재를 조금 더 빨리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하더라도, 모든 차로에 차가 꽉 들어차 있는 관계로 비켜줄만한 곳이 거의 없는 상황이 꽤 자주 나오거든요.

미국의 경우 운전자부터가 유럽의 운전자에 비하면 후방상황 인식속도나 대처속도 등이 현저히 느리고, 긴급자동차에 대한 길 열어주기 패턴도 대부분의 주에서는 풀스탑 비켜주기를 원칙으로 하니까 그리 좋지 못한데(이렇게 완전히 멈추는 경우 일반적으로 계속 움직이면서 간을 보며 잘 비켜주는 것보다 길막현상이 심해짐), 그럼에도 불구하고 길막을 그렇게 많이 안 당하는건, 우선 도로 환경이 다르고(일단 차선 폭이 넓어서 비켜줄만한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오는데다, 비보호 좌회전이나 center lane 등이 서울에 비하면 월등히 많아서 모든 차선이 막힌 경우에도 피해서 갈만한 여유공간이 많음), 또 시내도로에 차가 서울만큼 많은 도시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미국은 차량보유비가 원체 높다보니 광역인구가 400만 정도만 되더라도 이미 서울과 등록차량대수가 비슷해지고(300만대), 광역인구가 800만쯤 되면 등록차량대수가 거의 서울+인근 위성도시와 비슷한 수준이 됩니다만, 미국에는 애초에 이 정도 규모의 도시가 그렇게 많지 않은데다(도시 내 인구가 400만 이상인 도시는 미국 통틀어서 NYC 하나 뿐이고, 광역인구 400만 이상 도시는 대략 10여개에 불과하며, 광역인구 800만 이상급은 2-3개 뿐), 광역권 등록차량수가 얼추 서울(혹은 서울+위성도시)과 비슷한 몇몇 도시들도 단위면적당 차량수 혹은 단위도로연장당 차량수라는 측면에서 보면 서울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설사 단위도로연장당 차량수까지도 서울과 얼추 비교할 수 있을만한 도시라고 하더라도, 미국 도시들은 순환형/관통형 고속도로가 매우 많아서 도시 내 지점간 이동에도 주로 고속도로를 이용하고 시내도로 이용 비중이 낮은 관계로, 시내도로에 서울만큼 차가 많은 경우는 드물고요.

결국 서울 대비 길도 넓고(차로폭은 표준형이 약 3.7미터 가량으로 한국 고속도로 차로폭보다도 넓고, 차로폭이 4.0-4.5미터인 다차선 도로도 상당히 흔하며, 트래픽이 별로 없어서 일부러 다차로화를 하지 않은 단일차로 도로 중에서는 차로폭이 7-9m에 육박하는 것도 있습니다), 시내도로를 채우고 있는 차도 적은데다, 평소에 비어있을 확률이 높은 차선(center lane 등)도 많으니, 둔한 운전자들이 마구 정차해버림에도 불구하고 돌아다닐만 한 것이죠. 이런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NYC의 경우(특히 Manhattan 내부), 사이렌을 울리고 있는 긴급자동차가 트래픽 사이에 완전히 갇혀버서 움직이지 못하는 모습을 수시로 볼 수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767 [일반] 나의 지겹도록 반복되는 생활패턴에선 별 거 아닌일도 키보드로 끄적일 수 있는 소재가 되어버린 다는 사실이 기쁘다 [29] 현직백수7448 18/07/31 7448 25
77763 [일반] (소소한 일상글) 동대 상근병에게 받은 문자 이야기 [30] VrynsProgidy8902 18/07/31 8902 20
77752 [일반] 중도.jpg - 적절함.jpg은 어디쯤에... [4] 장바구니5951 18/07/30 5951 3
77745 [일반] 정자검사 하는날 [37] 북고양이22992 18/07/28 22992 78
77737 [일반] (더러움 주의)본사 부장님 앞에서 신호가 와버렸다... [47] 바람이라7790 18/07/27 7790 48
77721 [일반] <인랑>, 로맨스 안넣으면 제재라도 당하나? (스포X) [73] 화이트데이9916 18/07/25 9916 4
77715 [일반] <인랑> 보고 왔습니다. (스포일러 약간) [22] 주홍불빛6186 18/07/25 6186 0
77714 [일반] 여름철, 사상 초유의 무더위, 전력수요 증가로 대(大) 정전 사태가 일어날까? [106] superiordd12889 18/07/25 12889 63
77712 [일반] 폭염이 바꾼 신풍속도 "나가면 생고생" 소확행 휴가族 는다 [62] 자전거도둑10773 18/07/25 10773 3
77679 [일반] 부산 해수욕장 이야기 [33] 하심군9343 18/07/22 9343 3
77672 [일반] 창문형 에어컨 구입 + 설치 후기 [13] 자전거도둑23375 18/07/21 23375 1
77645 [일반] 다스뵈이다 24회 (글쓴이 소제목 : 문재인 재기해의미) [54] 히야시10619 18/07/18 10619 7
77632 [일반] 요즘 미세먼지 때문에 정말 괴롭군요 [26] 뚱이6749 18/07/17 6749 0
77608 [일반] 7월 1, 2주차) <앤트맨과 와스프>, <스카이스크래퍼>, <몬몬몬 몬스터> 감상평 [44] 마스터충달9634 18/07/15 9634 4
77583 [일반] 노출천장을 싫어하시는 분 있나요 [58] Techsod17059 18/07/13 17059 8
77518 [일반] 구급차 사이렌소리가 잘 들리시나요? [40] 걸스데이민아7358 18/07/06 7358 3
77095 [일반] 40대 아저씨가 꾸미는 집안 IOT 만들기 [26] 영혼의공원12075 18/05/25 12075 14
76913 [일반] 로드바이크에 입문해 봅시다. [104] 물맛이좋아요17503 18/05/09 17503 13
76861 [일반] 김정은, 북한 내 모든 미국 억류자 석방 [65] 여자친구13865 18/05/03 13865 12
76814 [일반] 오늘의 책읽기는 실패 [15] Harry Hole7433 18/04/29 7433 6
76595 [일반] 오랜만에..창업일기 2탄입니다 [44] 똘빼9425 18/04/12 9425 6
76315 [일반] 샌드위치 가게 창업(?) 일기 1탄입니다. [88] 똘빼17942 18/03/26 17942 5
76221 [일반] 82년생 김지영의 남자 버전이 나온다면 [163] 남성인권위43454 18/03/20 43454 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