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7/02 07:59:03
Name 성상우
Subject [일반] 중국과의 문화콘텐츠경쟁에서 앞지를수 있는 방안 (수정됨)
최근 중국드라마와 중국영화가 너무 발전하고 있습니다. .
중국과의 문화콘텐츠경쟁에서 앞지를수 있는 방안에 대해 생각해보았습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었습니다. 지금은 한글전용화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한자능력검정을 비롯하여 한자시험이 여러개가 존재하는등 한자가 아직까지 위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한편 중국은 한자를 번체에서 간체로 바꾸었지만 아직까지 한자를 고수하고 있고 한자를 통해 의사소통하고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한자단어와 한문투를 한류문화콘텐츠에 많이 쓴다면 중국이나 대만등에 팬들에게 많이 어필할수 있어 한류문화콘텐츠가 중국과 대만의 문화콘텐츠를 앞지를수 있을것같다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이것은 임요환의 드랍쉽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한류문화콘텐츠에 한자단어와 한문투를 많이 사용하면 키플레이어가 되어 경쟁력이 상승하고 큰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류문화콘텐츠에 한자단어와 한문투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히든카드가 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한류문화콘텐츠가 중국과의 문화콘텐츠경쟁에서 앞지른다면 한국이 장기적으로 아시아문화중심국가가 될수 있을 것을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02 08:05
수정 아이콘
아아 出勤하기 싫다
사신아리
18/07/02 08:09
수정 아이콘
모두 출근 길 비 조심하세요!! 헤헤헤 (전주퇴직, 현직백수)
18/07/02 08:30
수정 아이콘
전주에서 퇴직하셨으면 익산이나 군산으로 가시나요?
(이부망천 유머 아님)
18/07/02 08:21
수정 아이콘
너무 단순한 접근인데요.
18/07/02 08:22
수정 아이콘
그게 바로 수천년동안 중국이 이민족을 흡수한 방법입니다.
문화콘텐츠가 뒤쳐졌다고 생각하시나요? 한국이 문화로서 중국을 앞지르고 있습니다.
18/07/02 08:27
수정 아이콘
십덕후들이 이상한 말투를 쓰는건 바로 일본과의 문화콘텐츠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그랬던거군요.

저는 그런것도 모르고......(왈칵)
화염투척사
18/07/02 10:36
수정 아이콘
흐..흥 딱히 한류를 위해서 그랬던건 아니라능! (단호)
18/07/02 08:34
수정 아이콘
아 이건 아닌데요
이밤이저물기전에
18/07/02 08:35
수정 아이콘
그런걸 할수록 덜 좋아할거 같은데요
스타카토
18/07/02 08:35
수정 아이콘
일본과 피씨방에 이어 이번엔 대륙을 고민하셨군요~~~
끊임없는 고민에 찬사를 보냅니다~
Maiev Shadowsong
18/07/02 08:46
수정 아이콘
흐음............... 이분 시리즈 잘읽고 있습니다만.....
아마데
18/07/02 08:46
수정 아이콘
디씨인사이드 주소가 바뀌었나...
18/07/02 08:50
수정 아이콘
자료와 논증을 더 추가하셔서 차라리 논문을 내시는게 어떠세요?
이건 본인의 의견만 있으니 와닿지 않습니다.
及時雨
18/07/02 08:54
수정 아이콘
답은 "마법천자문"이다
18/07/02 08:54
수정 아이콘
이런 글 써도 한동안 안 떠내려간다는 게 피지알의 장점이자 단점이군요.
18/07/02 08:56
수정 아이콘
논리도 없고 피드백도 없고
처음과마지막
18/07/02 08:59
수정 아이콘
문화 대혁명 과 공산당의 콜라보로 중국의 문화적 컨텐츠는 씨가 말랐다고 봐야죠
남은건 삼국지와 쿵푸 뿐이죠 투표권도 없는 나라에 자유로운 문화컨텐츠가 생길수가 없죠
Camomile
18/07/02 09:10
수정 아이콘
물론 사회의 자유도가 문화콘텐츠의 저변을 좌우하는 변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임이나 드라마는 수작이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처음과마지막
18/07/02 15:26
수정 아이콘
중국 게임중에 수작 게임이 있나요?
저는 요즘 플4만 해서 잘몰라서요?
플스4는 대부분 미국이나 일본 게임이 강세고요
차이나 머니 파워인가요? 드라마도 삼국지나 쿵푸가 대부분이라서 한계성이 보이던데요?
배고픈유학생
18/07/02 16:29
수정 아이콘
모바일 게임은 중국이 생산공장이죠.. 소녀전선도 중국게임이구요.
배그 모바일은 아예 중국에서 개발했어요.
처음과마지막
18/07/02 16:53
수정 아이콘
모바일게임은 거의 않해서 몰랐어요
Camomile
18/07/02 21:05
수정 아이콘
아시안게임 시범종목 중 하나인 펜타스톰이 중국 게임이죠.
텐센트가 자금력을 바탕으로 게임을 마구 뽑고있습니다
진리는태연
18/07/02 09:21
수정 아이콘
이쯤되면 즐기시는 것 같네 ...
18/07/02 09: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 4점),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Normalize
18/07/02 09:33
수정 아이콘
즐기시게 냅둬.
유자농원
18/07/02 11:06
수정 아이콘
크크크
빠사와이
18/07/02 09:35
수정 아이콘
이미 앞지르고 있는데..
중국은 그 특유의 중뽕이 있어서 그걸 해결하지않는한 안될 것같습니다.
세종머앟괴꺼솟
18/07/02 09:41
수정 아이콘
초장에 버릇이 잘못 들어놔서 ㅠ
토끼공듀
18/07/02 09:43
수정 아이콘
아니 앞지르기를 그렇게 하고 싶으면 카레이싱을 하라고...
18/07/02 09:51
수정 아이콘
아하 그렇구나 고걸 몰랐네요!
18/07/02 09:56
수정 아이콘
문화승리!
사악군
18/07/02 10:01
수정 아이콘
적중률 1/1 일때 하나의 예언을 추가하면 관심을 받지만
4개의 예언을 추가하면 적중률 1/5상태가 됩니다.....
송하나
18/07/02 10:08
수정 아이콘
전 이 분 좀 무서워요.
소름끼침...
18/07/02 10:13
수정 아이콘
제목과 첫문단만 읽고 작성자를 맞춘다는게 이런 느낌이었군요.
Helix Fossil
18/07/02 10:15
수정 아이콘
맞추다x 맞춤당하다o
18/07/02 10:24
수정 아이콘
앗... 아아..
화염투척사
18/07/02 10:36
수정 아이콘
전 제목만 보고 맞춤당했습니다.
foreign worker
18/07/02 10:16
수정 아이콘
이런 글 쓰시는데 재미붙이셨네....
18/07/02 10:22
수정 아이콘
꼰대가 글을 쓰면 이런 느낌이지 싶습니다.
Been & hive
18/07/02 10:23
수정 아이콘
이번에는 뒷북이시군요 둥둥둥
18/07/02 11:26
수정 아이콘
그래도 실명 (이라고 생각합니다만)을 내놓고 쓰시는군요. 용기를 존중합니다.
StayAway
18/07/02 11:34
수정 아이콘
여러분 창작의 고통이 이렇게 힘든겁니다.
정기적으로 쓰려고 하지 마시고 드립력 좀 충전해서 쓰세요.
1편은 참신하기라도 했지. 이번 편은 데이터 낭비입니다.
펩시콜라
18/07/02 11:55
수정 아이콘
이 글에 동의하는건 아니지만, 이분의 1편은 어마무시했죠. 크크 그때 까던분이 반성댓글 단것도 본거같네요.
StayAway
18/07/02 12:12
수정 아이콘
추천 수의 차이가 모든걸 말해주네요. 로튼 토마토로 말하자면 이번 글은 거의 상한 토마토죠.
달과바다
18/07/02 23:23
수정 아이콘
근데 가만보면 1편도 근거는 틀려먹었네요. 스타2, 디아3가 게이머들 주머니사정때문에 몰락한다고 했는데 팔리긴 겁나 팔렸거든요.
-안군-
18/07/02 12:01
수정 아이콘
동방신기, 천상지희, 남녀공학, 우주소녀...
러블리즈서지수
18/07/02 12:07
수정 아이콘
7년의 세월은 대체...?
세츠나
18/07/02 12:16
수정 아이콘
아 이건 좀...너무 대충 쓰신 듯 갈수록 글의 완성도가 떨어짐...
미트파게티
18/07/02 12:52
수정 아이콘
안타깝지만 중국어 공부하는 입장에서 보면
중국인들 중 젊은층 대부분은 번체 이제 모릅니다.
배고픈유학생
18/07/02 16:27
수정 아이콘
알아보는 건 가능, 쓰는 법은 모릅니다.
미트파게티
18/07/02 16:42
수정 아이콘
알아보는거도 자주쓰는 특정 단어외엔 모름
오토나시 쿄코
18/07/02 16:48
수정 아이콘
저희 학교에 중국인 박사과정 학생이 있는데 번체는 거의 읽지도 못합니다. ㅡ.ㅡ
아우구스투스
18/07/02 12:58
수정 아이콘
좀 이해가 안가는군요.
18/07/02 13:03
수정 아이콘
유머게시판으로 가야할것 같은데...
덴드로븀
18/07/02 13:26
수정 아이콘
댓글이 벌써 이만큼이니 또 찾아오시겠죠. 크크
인스네어리버
18/07/02 13:34
수정 아이콘
반야심경 리믹스 갑시다
페르세포네
18/07/02 13:52
수정 아이콘
벌점은 소중한데...

정작 중국애들 한문 모르는 애들이 늘어나는건??
배고픈유학생
18/07/02 16:35
수정 아이콘
한문이 아니라 중국사람한테는 한자죠.. 문맹율은 계속 낮아지고 있어요. 중국이 3%대고 대만이 1%대이니까..
지금 이야기되는건 인터넷/모바일 때문에 쓰는 법을 잊어버리는거죠. 모르지는 않아요. 자기나라 언어인데요.

굳이 우리나라말이랑 비교하자면, 인터넷에서 글을 쓸 때 자동으로 맞춤법 다 고쳐준다고 가정해서. 그래서 맞춤법을 오히려 모른다. 정도 되겠네요.
페르세포네
18/07/02 21:08
수정 아이콘
쓰는걸 잊어먹고 있는것 자체가 심각한 문제입니다.
요새 중국애들 보면 컴퓨터로 작성은 해도,
손으로 쓰는건 잘 못하더라구요
18/07/02 13:53
수정 아이콘
우리우니 쓰고싶은거 다써~~
Fanatic[Jin]
18/07/02 13:59
수정 아이콘
한류문화콘텐츠에 한자단어와 한문투를 많이 사용하면 키플레이어가 되어 경쟁력이 상승하고 큰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부분이 두번 써있는걸로 보아

홍진호-콩댄스-포청천-중국
이른취침
18/07/02 23:02
수정 아이콘
아이디 도용 당한 거 아닌가 싶을 정도네요.
아니면 폭주, 혹은 주화입마.. 아쉽습니다.
싸우지마세요
18/07/03 18:00
수정 아이콘
미래인이 천기누설을 한 죄로 7년간 통신과의 단절형을 받았으며, 지금은 자신의 천기누설을 덮기 위해 뒷수습으로 물흐리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성상우
19/04/01 07:16
수정 아이콘
한자단어와 한문투를 쓴다면 좀더 호소력있게 다가갈 것으로 생각합니다. 광고에 보면 특정한 카피가 인상에 남아서 광고가 성공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좋은 한자단어와 한문투를 광고카피처럼 잘 만들어 사용하면 중국인들에게 호소력이 있어 상당히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coconutpineapple
20/05/23 11:47
수정 아이콘
호소력이 있었습니다. 도움이 매우(VERY) 되었다고 자부합니다. 불철주야 감사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603 [일반] 가톨릭 선교전략에 대하여 [72] 성상우9486 19/03/30 9486 9
80581 [일반] 한국(KOREA)형 성공학모델 [59] 성상우8785 19/03/28 8785 11
80550 [일반] 한국(KOREA)에서의 생존법(3) [38] 성상우8807 19/03/26 8807 8
80548 [일반] 한국(KOREA)에서의 생존법(2) [27] 성상우7077 19/03/25 7077 5
80526 [일반] 한국(KOREA)형 경제전략모델 [38] 성상우9571 19/03/23 9571 5
80483 [일반] 역사의 흐름 [49] 성상우10200 19/03/19 10200 6
79713 [일반] 대구 동부교회 김서택목사님의 설교에 대한 문제점 [15] 성상우8286 19/01/11 8286 0
79711 [일반] 중국에 대한 파해법 [50] 성상우7300 19/01/11 7300 0
79704 [일반] 일본에 대한 파해법 [53] 성상우10937 19/01/10 10937 2
79697 [일반] 한국(KOREA)형 전략전술모델 [33] 성상우7505 19/01/10 7505 2
79623 [일반] 한국(KOREA)무술에 대한 생각 [40] 성상우8423 19/01/04 8423 7
79622 [일반] 한국(KOREA)음악의 대한 생각 [15] 성상우7256 19/01/04 7256 5
79621 [일반] 조용기목사님의 바라봄의 법칙의 문제점 [28] 성상우7768 19/01/04 7768 1
79555 [일반] 한국(KOREA)에서의 생존법 [16] 성상우8030 18/12/31 8030 4
79530 [일반] 스타워즈 에피소드7~8분석 [22] 성상우7114 18/12/29 7114 0
79490 [일반] 한국(KOREA)형 비즈니스모델 [36] 성상우11803 18/12/26 11803 4
79274 [일반] 사차 [9] 성상우4818 18/12/10 4818 1
79273 [일반] 시대전망 [17] 성상우6238 18/12/10 6238 1
77472 [일반] 중국과의 문화콘텐츠경쟁에서 앞지를수 있는 방안 [65] 성상우9835 18/07/02 9835 0
77401 [일반] 시대의 병법 [21] 성상우7380 18/06/25 7380 1
77392 [일반] PC방 재부흥방안 [66] 성상우13621 18/06/25 13621 7
77388 [일반] 일본과의 문화콘텐츠경쟁에서 앞지를수 있는 방안 [145] 성상우18454 18/06/24 18454 33
34341 [일반] 스타크래프트2와 디아블로3의 몰락과 리그오브레전드의 흥성 예측 [310] 성상우31311 11/12/31 31311 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