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12/26 05:42:10
Name 신불해
Subject [일반] 저승에서 온 공포의 몽골 대왕...이 아니라 허당(?) 바투 (수정됨)
wBmqNj3.jpg


그야말로 포스 넘치는 바투의 동상. 그런데....





 지상 최강의 전사들로 명성을 날린 몽골군의 군사 활동은 몽골 고원의 동남서 전방향으로 이루어졌지만, 현대에 이르러서 여러 유목 제국들에 비해 특별히 몽골이 더 유명해지고 명성을 날린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서방 원정' 때문일 것 같습니다. 몽골의 주력이 온 힘을 다해 치열하게 싸운 것으로 치면 금나라와의 전쟁에서 송나라 멸망까지 무려 60여년간 전투를 치룬 대중국 방면의 전선 등에서의 싸움이 시간도 규모도 모두 압도적이라고 할만하지만, 사실 가만히 보면 '위엄찬 몽골' 의 이야기를 할때는 이쪽의 이야기가 언급되는 비중은 별로 없는 것 같기도 하구요. 




 이것은 순전히 제 개인적인 감상일 뿐이지만, 서구에서는 서구대로 오리엔탈리즘도 좀 섞어서 '서구까지 들이닥친 동방 초원의 전사들' 이라는 이미지로 보고, 이쪽에선 이쪽대로 '서양 코쟁이들에게 한방 먹인 동방의 자존심'(?) 같은 묘한 심리가 섞여서 그렇지 않나 싶은데.... 



mzoOAF5.jpg

lzHTz9f.jpg
File




 여하간에 그런 몽골의 강렬한 서방 원정 이미지의 큰 축을 차지하는 원정이 바투의 '장자원정군' 입니다. 흡사 지옥에서부터 올라온 15만에 달하는 군세가 마치 신벌처럼 서구세계의 동쪽을 강타하여 킵차크부터 러시아, 헝가리까지 나아가 연전 연승을 거두고, 서구세계의 중심부 지척 근처까지 나아가기 직전, 돌연 멈춰서 여러 사람의 간담을 서늘케 했다는 것입니다.




 앞서 말한 이유로 동서양 모두에게 흥미진진한 이야깃거리라, 여기에 대해서는 많은 이야기나 반박 및 if 놀이가 성행하곤 합니다. 아무튼 지식도 일천한 제가 여기에 대해 뭐라고 할 것은 아니고...



 여하간 그런 엄청난 원정의 얼굴마담, 대표격이 바로 '바투' 였고, 때문에 바투 역시 막연하게 엄청나게 무시무시하면서 신들린 능력을 가진, 공포의 대왕 같은 느낌이 있습니다. 





hF0EWn7.jpg




나무위키에서 '바투' 항목의 설명. '지근지근 밞았다' '개발살 내버렸다' 등등 설명만 들어도 덜덜덜 합니다.






wYjF3Ms.jpg

qX7iyfc.jpg




코에이가 신작 좀 내줬으면 하는 가망없는 바램이 있는 징기스칸 4에 나오는 바투의 능력치. 거의 '걸리면 갈아버린다' 는 수준의 살육 머신급의 흉악한 전투 능력치 입니다. 게임 타이틀 주인공 격인 테무진에 필적하는 급.






그렇게 무시무시한 이미지인 바투였는데, 


그런데 '원사' 등을 비롯해서 다른 기록을 조금 보니까 뭔가 생각했던 이미지와 괴리가...좀? 






1. 킵차크 원정 때


'몽골의 서진' 첫번째 단계라고 할 수 있는게 킵차크 원정입니다. 대략 5만 정도로 출발했던 몽골군은 여기서 킵차크의 바치만八赤蠻을 격파한 후 킵차크의 남은 세력을 흡수하여 10여만에 가까운 병력을 단숨에 불려, 최대 15만에 달하는 서방 원정군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때 바치만을 정벌하라는 지시를 받은 사람은 바투였습니다. 그런데 바투를 사령관으로 보내는 우구데이 칸이 말하기를,



"내가 듣기로 바치만이 용감무쌍하다고 하던데, 수부타이 역시 그러하니 이길 수 있을 것이다!" (聞八赤蠻有膽勇,速不臺亦有膽勇,可以勝之)



명색이 바투가 총사령관인데, 바투가 어쩔 수 있을거다라는 말은 없고 "적 대장이 용감한 사람인데 수부타이라면 이길 순 있을 거다." 라며, 바투가 능력자니 이길거라는 말이 아니라 수부타이의 능력만 믿고 있습니다. 실제로 바치만과의 싸움은 수부타이가 선봉으로 나서 적을 격파해 승리했고, 이후 도주한 바치만을 수부타이가 추격해 카스피해까지 나아가서 잡아 끝을 냈습니다.



여기까진 그러려니 하는데....




zja0tnx.jpg



2. 코젤스크 전투



 5만 대군이 만들어진 몽골군은 이후 군사작전이 정해짐에 따라 러시아의 공국들을 공격했고, 전투가 펼쳐진 곳 대부분에서 승승장구 했습니다. 그런데 이때 바투는 '코젤스크' 라는 공격했는데, 7주가 되도록 함락을 시키지 못했습니다. 되려 이 전투에서 몽골군이 4천명이나 전사하여 '사악한 마을' 이라는 말까지 나왔다고 합니다. 물론 숫적으로 훨씬 열세였던 코젤스크 시민들은 결국은 패배해서 거의 다 참살되었지만, 몽골군의 전력에 비해서 영 시원찮은 전투였습니다.




PXIlLVo.jpg


3. 토르조크 전투



1241년, 바투는 토르조크를 포위했습니다. 이미 승기는 몽골군이 잡았고, 남은 것은 성에 들어가 끈덕지게 버티는 적을 함락해서 끝내기만 하면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공격을 해도 함락이 안되는 겁니다. 



Meanwhile Batu, with the other half of the Mongol army, had been held up two weeks at the town of Torzhok, which defended itself sturdily. The spring thaw came and it was too difficult for the Mongols, with their thousands of horses, to penetrate the woods and swamps on the way to Novgorod, so that city was spared. - Warriors Of The Steppe: Military History Of Central Asia, Erik Hildinger 



바투는 여기서 2주를 허비했고, 결국 어떻게든 함락을 시키기는 했지만 그 사이에 봄이 왔습니다. 악명 높은 러시아의 눈 녹은 진흙길 때문에 군사의 이동 및 보급 등이 거의 무용지물이 되어버려서, 이후에 있을 예정이었던 노브고로드 공략 계획은 백지가 되어버려 노브고로드는 몽골의 피해를 입지 않은 도시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원사' 를 보면 충격적인 내용이 있습니다. 바투는 2주가 걸려서 겨우 토르조크를 함락시켰는데, 심지어 이것도 본인의 힘으로 한 것이 아닙니다. 



拔都奏遣速不臺督戰,速不臺選哈必赤軍怯憐口等五十人赴之,一戰獲也烈班。進攻禿裏思哥城,三日克之,盡取兀魯思所部而還。



 원사에 따르면 독리사가(禿裏思哥城 토르조크)에서 쩔쩔매던 바투는 "수부타이를 보내주세요." 라고 요청했고, 이에 수부타이가 와서 단 3일만에 성을 함락시켰습니다. 아예 수부타이도 고생 했으면 요새가 너무 단단하구나 라고 생각할텐데, 3일만에 함락시킨 요새에서 쩔쩔 맺었다는 겁니다.






CJvQjfa.jpg


4. 모히 전투(사요강 전투)



러시아에서 성공적인 군사 작전을 펼친 몽골군은 헝가리에도 이르렀습니다. 이때 헝가리의 국왕 벨러 4세 이끄는 부대를 본 바투를 비롯한 제왕들은 "적이 너무 강해보인다. 위험할 것 같다." 며 몸을 사렸고, 이에 수부타이가 직접 전략을 내놓았습니다. 강가로 적을 유인한 뒤, 몽골군의 주특기인 기동력을 살려 일부가 강을 멀리 우회해 적의 뒤를 치자는 계책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바투를 비롯한 제왕들은 강의 얆은 상류에서, 수부타이는 하류에서 우회하는 별동대를 이끌게 되었습니다. 상류에서는 다리도 있었고, 애초에 강물도 얆아서 쉽게 강을 건널 수 있었지만 하류에서는 뗏목을 만들어 타서 이동해야만 했습니다.



문제는 수부타이가 강을 건너기도 전에 바투를 비롯한 제왕들이 먼저 강을 버렸다는 겁니다. 하류에서는 죽어라 뗏목을 만들어서 타고 이동하고 있는데 상류에서는 강을 벌써 건너갔으니, 우회해서 적을 치는게 아니라 그냥 분산된 상태로 각개격파 되는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이 와중에 바투의 군은 다리 부근에서 적에게 포위되며 바투 휘하의 장군 팔합독八哈禿 등이 전사하는 등 난장판이 되어갔습니다.



겨우겨우 수부타이가 늦지 않게 죽어라 달려 전장에 도착했지만, 바투를 비롯한 제왕들은 이미 헝가리군에게 된통 당해 얼이 빠져서 "안되겠다. 돌아가서 훗날을 도모하자." 고 권했지만, 수부타이는 화가 나서 "대왕들께서는 돌아가려면 돌아가십시오. 신은 독납하(禿納河 도나우 강)와 마다성(馬茶城 마자르성)에 이르기 전에는 결코 돌아가지 않을 것입니다!" 라고 하며 적을 향해 돌격하자 내키지 않지만 어쩔 수 없이 따라서 돌격했고, 결국 대승을 거두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승리를 거두고 다들 모이고 난 후, 바투는 되려 수부타이에게 화를 냈습니다.


"곽녕하(漷寧河)의 싸움에서 수부타이가 늦장을 부리는 바람에 내 부하 팔합독이 전사했다. 어찌하겠느냐?"



 그러자 울컥한 수부타이도 화가 나서 대꾸했습니다.


 "대왕께서는 상류의 물이 얆고 다리가 있는 것만 아시고 바로 건너가서 싸우셨는데, 저는 하류에서 뗏목을 엮느라 시일이 걸린 것입니다. 어찌 저의 늦음만 말하시고 늦은 이유는 알아주지 않으신 겁니까?"



 그때가 되서야 바투도 납득했다고 합니다. 



 이후에도 그때를 바투가 회상하면서 "그때는 순전히 수부타이 덕분에 이겼다." (當時所獲,皆速不臺功也) 고 하며 숫제 가슴을 쓸어내리는 둥...





뭔가 무시무시한 말 위의 공포의 대왕이라기보다는, 


군웅할거 형세일때 자기는 싸움엔 별 재능 없는데 전쟁은 순전히 뛰어난 장군 덕에 승리하는, 밑에 손견 둔 원술 같은 뭔가 푸근한(?) 인상으로 다가오더군요. 물론 전쟁에서 허당끼 부렸을때와는 별개로 권세가 절정이던 무렵의 바투를 만난 카르피니 등의 서양인 여행자들에게 바투는 동방의 왕 그 자체로 보였을 테지만요.




상관 있는듯 없는듯한 후일담이지만, 이 서방 원정이 거의 끝날 무렵 바투는 우구데이 칸의 아들이자 훗날 몽골 제국의 대 칸이 되는 구육 칸 등과 크게 언쟁을 펼치고 싸웠습니다. 싸운 이유가 (바투가 우구데이 칸에게 보고하길) "내가 연장자인데 연장자로서 술 좀 먼저 먹었다고 저 놈들이 날 욕하면서 자리를 나가던데 이게 말입니까 당나귀입니까?" 라는,  지옥에서 올라온 공포의 대왕들치고는 엄청 찌질한 싸움을 했는데, 구육 등이 화를 낸 이유가 바투가 전투에서 보여준 졸렬한 지휘 탓에 짜증이 나서 그랬을 거다..라는 시각도 있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26 05:48
수정 아이콘
수부타이가 사기캐 같아보이네요!
펠릭스-30세 무직
17/12/26 05:50
수정 아이콘
역시 수저가 체고시다...
동굴곰
17/12/26 05:52
수정 아이콘
수부타이가 사기인걸로 넘어가죠...
으와하르
17/12/26 06:12
수정 아이콘
에이 한신 옆에 있던 유방도 비교너프 오지게 당했던 거 생각해야죠. 하물며 수부타인데요.
신불해
17/12/26 07:49
수정 아이콘
수부타이에 비교되서 바투가 부진했다고 하기엔 바투와 다른 방면으로 진군한 몽골군들은 거의 대부분 승승장구만 했기 때문에...
마우스질럿
17/12/26 06:31
수정 아이콘
원수의 아들 이라서인가
피가 달라서인듯 싶군요
낭만없는 마법사
17/12/26 07:12
수정 아이콘
수부타이 저 사기캐릭은 정체가 뭔지 덜덜덜
하야로비
17/12/26 07:18
수정 아이콘
바투마저 초원의_흔한_장수_1.jpg로 만드는 체고조넘 수부타이 동무의 위엄
블랙번 록
17/12/26 08:15
수정 아이콘
그 후 타타르와 동유럽 싸움보면 걍 수부타이가 괴수인 거라고 봅니다
신불해
17/12/26 08:21
수정 아이콘
모히 강 전투는 수부타이의 결단력이 돋보였지만, 그 외의 경우는 수부타이만 유독 엄청났다고 하기엔 구육, 몽케, 카단 등 다른 방면으로 나간 몽골군 모두 3일만에 목표를 함락시키는 등 여러모로 승승장구 했엇기 때문에...

주치계가 메인이 되는 원정이었는데 정작 주치계가 가장 활약이 부진한건 확실했습니다.
도로시-Mk2
17/12/26 08:42
수정 아이콘
바투의 지휘력이 부족해서 무시 당한게 아니라, 그가 주치의 아들이니까 무시 당한게 아닐까... 마, 그렇게 생각합니다.
신불해
17/12/26 08:53
수정 아이콘
김호동 교수 등의 의견으로는 장자 원정군 자체가 주치 계가 자기들 주요 경략 지역인 킵차크 지역에서 워낙 지지부진한데다 덕분에 이쪽에서 몽골의 영향력이 약해져 반발이 일어나자, 그 점도 해결할겸 겸사겸사 주치계를 좀 밀어주려고 결성한것으로 보더군요. 그러니 바투가 장자 원정군의 대표가 되었고.

즉 애초에 부진한 애를 밀어주려고 한거라, 처음부터 그냥 주치 아들이라는 식으로 무시하거나 그러지는 않았을것 같습니다. 그러려면 애초에 얼굴마담이라도 대장도 안시켜줬을테니...
키스도사
17/12/26 09:08
수정 아이콘
이런 글 좋아요 크크크 추천!
와일드볼트
17/12/26 09:08
수정 아이콘
추게에 올라와야될 글이 자게에 잘못올라왔어요.
슈가붐
17/12/26 09:20
수정 아이콘
수부타이 징기스칸 이 둘은 진짜..그시절 진짜 모습이 너무 궁금해요
능그리
17/12/26 11:51
수정 아이콘
심지어 저때 수부타이는 60이 넘은 고령이었죠...
됍늅이
17/12/26 12:56
수정 아이콘
수부타이가 진퉁인데 바투만 해도 대중적으로 어느
정돈 알려져 있지만 수부타이는 나름 몽골사에 관심있지 않으면 많이들 몰라서 안타깝슴다
징4에서도 전투는 높지만 막상 연사가 없어서 쓰레기 ㅠㅠ
메가트롤
17/12/26 13:21
수정 아이콘
버스타자! 버스!
호우기
17/12/26 13:24
수정 아이콘
싸움은 잘 하진 못해도 정치는 어느정도 했으니까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하늘의 배려일거예요...
17/12/26 14:17
수정 아이콘
아주 재밌게 읽었습니다.
아라가키
17/12/26 14:40
수정 아이콘
크크크 인간미 있군요
처음과마지막
17/12/26 15: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수보 타이가 짱이죠 전투 전쟁만 따지면 칭기즈칸의 오른팔 아닐가요
세종머앟괴꺼솟
17/12/26 16:15
수정 아이콘
며용
현실적인
17/12/26 16:39
수정 아이콘
수부타이가 건강하게 더 오래 살았다면 남송 정벌도 더 빨랐을까요
꼬마산적
17/12/26 18:10
수정 아이콘
그전에 고려의 그토록 오랜 항쟁이 불가능햇을지도요
Frezzato
17/12/26 16:45
수정 아이콘
재평가로 발견된 뜻밖의 인간미 크크크크
보통e스포츠빠
17/12/26 19:29
수정 아이콘
저거는 그냥 몽골의 악명때문에 조직적이고 치열하게 저항해서 바투가 무능해보였던것 아닐까요?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6866 [일반] 2018 백상예술대상 수상 결과 [55] 손금불산입14495 18/05/04 14495 1
76335 [일반] 태조 왕건 알바 체험기 [22] Secundo11347 18/03/27 11347 56
75955 [일반] 홍익대 소녀상 건립 논란 [46] metaljet12165 18/02/28 12165 7
75845 [일반] 인면조를 통해본 동서양의 차이. [24] Love&Hate16964 18/02/17 16964 46
75427 [일반] [뉴스 모음] 다스 관련 검찰 내부의 집안싸움 외 [14] The xian11584 18/01/14 11584 29
75390 [일반] 서한, 동한을 합친 한 제국 400여년 역사상 최악의 참패 [18] 신불해13571 18/01/12 13571 27
75209 [일반] "가장 강하고, 가장 통합되어 있고, 가장 잔인할때, 그리고 그들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26] 신불해27457 17/12/29 27457 69
75144 [일반] 저승에서 온 공포의 몽골 대왕...이 아니라 허당(?) 바투 [27] 신불해15393 17/12/26 15393 40
75068 [일반] 광화문 이순신장군 동상은 교체가 가능할까요? [29] F-145689168 17/12/20 9168 0
75048 [일반] ActiveX 퇴출? 우려는 현실로 [33] 바닷내음12142 17/12/19 12142 0
74862 [일반] [데이터 주의]나홀로 도쿄 여행 4박 5일 - 5일차 [8] 及時雨5904 17/12/06 5904 5
74574 [일반] 네팔의 동충하초 [11] 솔빈7687 17/11/13 7687 1
74500 [일반] 미국 버지니아주 주지사 선거 출구조사 데이터 [34] 테이스터8560 17/11/08 8560 0
74487 [일반] [데이터주의]역사적 순간, 또는 일상적인 순간을 담은 과거의 사진들.jpg [25] 光海14415 17/11/05 14415 23
73804 [일반] [뉴스 모음] 빈 손으로 돌아온 자유한국당 특사단 외 [20] The xian10797 17/09/16 10797 40
73300 [일반]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대규모 백인 우월주의 폭동이 벌어졌네요 [152] 군디츠마라17902 17/08/14 17902 6
73036 [일반] [뉴스 모음] 휴대폰 보다 걸린 피고인 박근혜 외 [23] The xian12769 17/07/26 12769 21
72682 [일반] 친구가 첫 음원을 발매했습니다. [17] 유시아7596 17/07/05 7596 20
72485 [일반] [기타] [중세 심즈-크루세이더 킹즈2 연대기] 쉬어가는 코너: 유일신 야훼 [43] 도로시-Mk210253 17/06/20 10253 38
72011 [일반] 조선왕조의 왕이 한 말 중 가장 멋졌던 말 [10] 바스테트9482 17/05/23 9482 1
71974 [일반] [스포주의] WWE PPV 백래쉬 2017 최종확정 대진표 [16] SHIELD5720 17/05/21 5720 0
71613 [일반] 미국 국방부가 판단하는 한국에 대한 시각중 하나 [82] 고통은없나13749 17/04/29 13749 8
71581 [일반] 프로메테우스 후속작: 에일리언 커버넌트 이야기(스포?) [24] 경성아재12644 17/04/27 1264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