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9/04 23:08:59
Name 이치죠 호타루
Subject [일반] 청색 작전 (9) - 카운터 블로
이전 글 보기
https://ppt21.com/?b=8&n=72594 청색 작전 (0) - 프리뷰
https://ppt21.com/?b=8&n=72654 청색 작전 (1) - 하복부 강타
https://ppt21.com/?b=8&n=72758 청색 작전 (2) - 패닉
https://ppt21.com/?b=8&n=72865 청색 작전 (3) - 캅카스 유린
https://ppt21.com/?b=8&n=72993 청색 작전 (4) - 체첸의 비극
https://ppt21.com/?b=8&n=73183 청색 작전 (5) - 지옥문 개방
https://ppt21.com/?b=8&n=73284 청색 작전 (6) - 요참형 집행
https://ppt21.com/?b=8&n=73363 청색 작전 (7) - 맞받아 치다
https://ppt21.com/?b=8&n=73471 청색 작전 (8) - 필사의 탈출



Previously on Fall Blau...

소련군은 독일군을 상대로 전면적인 남부 전선의 붕괴를 이끌어내고자 했습니다. 북쪽에서는 보로네시와 하리코프를 잇는 측선상의 약한 추축국군을 공격하여(오스트로고시스크-로소쉬 공세) 철저하게 북쪽을 찢어발겼고, 남쪽에서는 로스토프를 점령하여 제1기갑군의 퇴로를 차단하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독일군은 독일군이었던지라, 비록 히틀러의 말도 안 되는 망상으로 인해 진작에 빠져나오거나 최소한의 병력만 남겨두었어야 할 쿠반 반도에 제1기갑군의 일부가 남아 있다는 - 어처구니없게도 캅카스 방면의 공세를 위하여 남겨둔 것입니다 - 문제만 제외하면, 로스토프를 사수할 때까지 어쨌든 퇴각에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이건 발등의 불이 꺼진 정도였고 독일군에게 있어서 위기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아오, 죄송합니다. 토요일에 몸 좀 썼더니 일요일에 그대로 뻗어버렸네요. 그것은 그렇고 우선 지난 글에서 어쩌면 모두의 기억에서 잊혀졌을... 스탈린그라드의 운명입니다.

105-_Fall_Blau-_Stalingrad-430110.png

계속해서 항복을 종용했던 소련군이었습니다만 파울루스는 처음에는 이를 거부했고, 결국 기다리다 안되겠다 싶은 소련군이 먼저 조이기에 들어갔습니다. 어째서 지도에 그 중요한 시설이 표기되지 않았는지 영 의문이긴 한데, 저 포위망의 중심부, 그러니까 파란색 6 A라 쓰여진 곳 인근에 피톰니크 공항이 있었습니다. 독일군은 바로 이 피톰니크 공항과 그 바로 오른쪽의 굼락 비행장으로부터 실낱 같은 보급을 받고 있었습니다.

105-_Fall_Blau-_Stalingrad-430117.png

일 주일 만에 소련군은 포위망의 절반을 좁혀들어갔습니다. 뭐, 애초에 탄약도 싸울 힘도 거의 소진된 독일군이었으니 밀어붙이는 것 자체는 어려운 일이 아니었겠습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소련군이 이 포위망을 처리하는 일을 가볍게 여긴 건 아니었습니다. 일단 지도에서 보시다시피 (구석에서 버티던 제62군 포함) 총 7개 군이 버티고 있었는데, 이 정도면 전선군이 하나거든요. 그래서 독일군이 캅카스를 탈출할 시간을 제6군이 벌어주었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하는 겁니다. 그러거나 말거나 아무튼 소련군은 제6군을 소멸시키기 위해 포위망을 줄여나가고 있었죠. 이미 승패가 거의 결정난 상황이었습니다.

105-_Fall_Blau-_Stalingrad-430202.png

마침내 굼락 비행장이 1월 21일에 날아가고 9만 명의 병력이 저 좁은 포위망에 갇혔습니다. 굼락 비행장이 떨어진 것은 독일군에게는 부상자를 후방으로 보낼 수 있는 능력이 사라졌음을 의미했다고 위키백과에서 이야기하기는 합니다만 탄약이고 자시고 거의 다 떨어진 독일군이 후방으로 부상자를 보낼 수 있는 능력이 애시당초 있기나 했는지가 의문이죠. 아무튼, 황당하게도 항복을 청원한 이후 - 거 참 어차피 옥쇄하라는 명령 어기면서 항복할 주제에 무슨 생각으로 히틀러에게 항복을 청원했는지가 의문입니다만 - 결국 2월 3일에 파울루스는 항복합니다.

402px-Bundesarchiv_Bild_183-F0316-0204-005%2C_Russland%2C_Paulus_in_Kriegsgefangenschaft.jpg

사진 가장 왼쪽이 파울루스. 저는 솔직히 파울루스 안티에 가까운 인물이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좀 공정하게 다룰 필요는 있겠죠. 파울루스 개인적으로는 꽤나 신사적인 양반이기는 했던 모양입니다. 발터 폰 라이헤나우가 심장마비로 급사하면서 제6군 사령관에 취임했는데, 취임하자마자 가장 먼저 한 일은 악명높은 코미사르 명령 - 유대 인과 볼셰비키는 닥치는 대로 다 죽이라는 절멸 명령 말입니다 - 을 폐기한 일이었거든요. 출처는 독일어 위키백과의 파울루스 문서입니다. 여하간... 신사적인 인물이었고 귀족적인 면모가 강하게 있었음에도, 결국 많은 사람들의 증오를 받게 되는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한 일이라고 할 수밖에 없군요. 애초에 제6군 사령관이라는 자리는 그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였을지도 모릅니다. 차라리 그가 제6군 사령관직을 사양하고 참모부에 남거나 했으면 더욱 능력을 발휘할 수도 있었겠죠. 파울루스에게 있어서 비극이라면 비극이죠. 그것도 수십만 장병의 목숨을 담보로 하는 비극... 더욱 아이러니한 것은 그 비극을 야기한 것이 방금 말한 폰 라이헤나우의 갑작스러운 죽음인데, 이 양반은 문자 그대로 악명높은 극렬 나치 인간말종이었다는 것입니다. 인간말종의 죽음이 시대를 잘못 타고난 신사에게 엄청난 나비효과를 불러일으킨 셈이죠. 그 절멸 명령 폐기가 필요에 의한 것이었는지 개인의 선의에 의한 것이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게 역사일지도요.



하여간, 후방에서 섬멸당한 제6군의 파멸은 여기까지 다루고... 이제 하리코프로 돌아갑시다.

105-_Fall_Blau-_Kharkov-430202.png

우선 2월 2일의 전황도로 다시 돌아갑시다. 여기서는 철길이 큰 의미가 없는 것이, 워낙 우크라이나 일대, 특히 하리코프 일대가 그 당시부터 철로가 잘 짜여져 있었기 때문이죠. 가장 큰 이유는 역시 경제적인 이유였을 겁니다. 하리코프는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이은 소련 제3의 공업 도시였으니까요. 오죽하면 공산주의 유머에서도 성냥을 사러 하리코프까지 갈 수 있다 운운하는 이야기가 있었겠습니까? 하리코프는 철도망으로 벨고로드, 쿠르스크,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 자포로제, 스탈리노(도네츠크), 보로실로프그라드(루한스크), 보로네시 등등으로 이어지는 사통팔달의 교통의 요지였습니다. 그만큼 양군이 탐을 낼 만한 이유는 충분했죠. 그게 붉은 군대의 공격이 이 도시로 집중된 이유이기도 합니다.

105-_Fall_Blau-_Kharkov-430217.png

2월 17일의 전황. 붉은 군대는 일종의 전과확대를 노리고 있었습니다. 하리코프를 접수하고, 그 근처를 장악하여 적의 손길로부터 하리코프를 떼어놓는 그런 것이었죠. 독일군의 후퇴도 제법 기민했습니다. 사실 히틀러는 여기서도 공격과 현지 사수를 외쳐댔습니다만 그것이야말로 아마추어적인 생각이었고, 놀랍게도 이 명령에 불복종한 것은 다름아닌 히틀러의 사병인 SS 기갑군단이었습니다. 지휘관 파울 하우서가 히틀러의 현지사수 후퇴불가 명령을 과감히 씹어버리고 2월 14일에 아예 하리코프를 지나치며 후퇴한 거죠. 물론 히틀러는 길길이 날뛰었지만, 차마 자기 손으로 파울 하우서를 쫓아낼 수는 없었고, 애꿎은 상급자인 후베르트 란츠 산악대장을 면직시킵니다. 아, 지도상에 나와 있는 것은 B집단군이 2월 13일자로 남부 집단군으로 개칭되었다는 것.

히틀러의 생각은, 아마추어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분명히 일리가 있긴 있었습니다... 이 전쟁이 제1차 세계대전이었다면 말이죠. 하리코프는 몇 번이고 강조합니다만 매우 중요한 공업 도시였고, 따라서 분명히 점령할 만한 가치가 있는 도시였습니다. 게다가 시가전, 이게 보통 까다로운 일이어야 말이죠. 스탈린그라드에서 그렇게 털려 놓고, 한 번 도시를 잃으면 저걸 어떻게 점령하지?라는 생각이 들 법도 합니다. 여기에 더해서 유동적인 방어선이 아닌 고정 방어 및 선-방어 계획을 놓고 보았을 때 하리코프야말로 적의 방어를 저지할 수 있는 최상의 요새 중 하나다, 히틀러로서는 그렇게 생각했겠죠. 다시 말합니다만 이는 충분히 일리가 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이었다면" 말이지만요. 하지만 전쟁의 양상은 변하고 있었고, 그래서 폰 만슈타인을 위시한 기동전의 선구자들이 더 돋보이는 것입니다.

아, 그리고 여담으로 저 날짜에, 그러니까 2월 17일에, 히틀러는 폰 만슈타인을 질책할 목적으로 자포로제로 날아가고 있었는데, 바로 그 시기에 소련군의 기갑 웨이브가 자포로제로 들이닥치려고 하고 있었습니다. 좀 아깝네요. 잘하면 콧수염 인간말종의 머리에 2년 정도 빨리 구멍을 내 줄 수 있었는데 말이죠.

하여튼 결국 폰 만슈타인은 부대 운용의 재량권을 히틀러로부터 따내는 데 성공했고, 여기에 더하여 폰 리히트호펜도 항공부대를 정비하여 세 배 이상의 출격을 달성하며 제공권을 장악, 확실한 지원을 해 줄 수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련군은 자기가 최종적인 승자가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죠.

105-_Fall_Blau-_Kharkov-430222.png

2월 22일. 딱 봐도 소련군의 공세가 좀 덜해 보이죠. 2월 3일에 스탈린그라드가 최종적으로 정리되면서 그 곳의 병력은 기다렸다는 듯이 최전선에 투입될 수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엄청나게 무리한 시간표가 나와 버렸습니다. 특히나 스탈린그라드와 로스토프를 잇는 철도망은 지난 글에서도 보셨다시피 매우 부실한 축이었는데, 독일군의 증원이 까다로운 것만큼이나 소련군의 이동이 까다롭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여기에 더해 사정없이 엉키는 진흙탕길 - 그 유명한 라스푸티차 - 로 인해 더더욱 진격이 느렸고, 결국 소련군의 진격이 보잘것없어지게 된 겁니다. 그리고 딱 이 시기가 바로 소련군의 공세종말점이었죠.

105-_Fall_Blau-_Kursk-430205-2.png105-_Fall_Blau-_Kursk-430218.png

중부 전선에서 소련군이 독일군 제2군을 엄청나게 밀어붙이고,

105-_Fall_Blau-_Kursk-430224.png

쿠르스크를 손에 넣었습니다만 그건 혼자 앞으로 나가고 있는 격이었고, 마침내 남부에서 재앙이 시작되었습니다.

105-_Fall_Blau-_Kharkov-430303.png

남쪽에서 북동쪽 방면으로 시작된 공세는 곧 하리코프를 휩쓸어버렸고, 불룩 튀어나온 소련군의 전선을 다시 안으로 확 밀어버리는 계기가 되었죠. 이게 가능했던 건 역시 폰 만슈타인의 천재적인 발상 덕분이었습니다. 도시에 연연하지 않고 방어선을 최대한 뒤로 물려서 전선을 축소시키고 아군 전력을 보존한 후, 몰려오는 적을 상대로 카운터를 날리는, 그야말로 기동방어의 모범이라 할 만했죠. 보급이 부족하고 예상치 못한 강타를 얻어맞은 소련군은 그대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다만 독일군의 전력 역시 상당히 빈약했던 터라 초기 포로는 채 1만 명도 되지 않았죠. 아무튼, 기회가 오자마자 폰 만슈타인은 그대로 하리코프로 폭풍처럼 몰아붙였고, 곧 하리코프를 거의 손에 넣었습니다. 아까 히틀러의 명령을 무시한 파울 하우서가 이번에 이 공격을 맡았는데, 이 양반, 명령 불복종이 주특기였기라도 했는지 이번에는 상식과 명령을 무시하고 아예 SS기갑사단을 하리코프에 밀어넣어 버립니다. 아무튼 도시는 탈환했죠.

폰 만슈타인의 "백핸드 블로"가 제대로 작렬한 것입니다.

105-_Fall_Blau-_Kharkov-430323.png

결국 소련군은 상당 거리를 뒤로 밀려나야 했고, 한계에 달한 공세능력 때문에 결국 소련군의 공세는 여기까지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때맞춰 길이 엉망진창이 되어 버렸고, 전선이 이렇게 굳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지도에서 보시다시피... 북쪽으로 상당히 큰 돌출부가 생겼죠. 독일군은 공세는커녕 수세를 메꾸는 데에 바빴고, 소련군도 공세한계에 도달했던 터라 자연스럽게 전투는 소강 상태로 접어듭니다. 실제로 전투 연혁을 보면 이 하리코프 바로 다음이 쿠르스크입니다. 일련의 연쇄적인 상황이 여기에서 일단락된 것이죠.

비록 하리코프에서 독일군이 대승을 거두기는 했습니다만 분명히 말씀드리건대 그것이 전쟁의 향방을 뒤바꿔놓을 승리였냐? 결단코 아니었습니다. 폰 만슈타인의 지휘는 대단했고 전술은 천재적이었지만 물량 앞에 장사 없고 독일군의 능력 또한 점차적으로 고갈되어 가고 있었던 상황이라, 이미 스탈린그라드에서 제6군이 박살난 순간 독일군의 패배는 7~80% 확정된 상황이었습니다. 하리코프에서의 독일군의 승리는 8 : 2의 불리한 상황을 7 : 3 내지는 6 : 4 (정말 잘 쳐줬을 때 이야기겠지만요) 정도로 막은 것에 불과합니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바르바로사 작전이 실패한 순간 이미 7 : 3, 청색 작전 실패에서 8 : 2, 스탈린그라드에서의 패전이 9 : 1인데 그걸 8 : 2 정도로 맞춘 정도라고 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아무튼 여전히 전세는 독일군에게 뭐로 보나 불리했죠. 경제력으로 보나 전쟁 지속 가능성으로 보나 인력으로 보나. 그나마 남아 있던 마지막 도박수가 바로 그 유명한 쿠르스크 전투였고, 그것이야말로 독일군의 패배를 기정사실로 만들어버리는 마지막 헤드샷이었을 뿐입니다. 제3차 하리코프 전투가 전술과 작전술적인 면에서는 매우 중요할지언정 전략적으로 중요할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아무튼 전황은 이렇게 되었고, 청색 작전도 이렇게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거의 끝났네요. 다음 글에서는 그 기간 동안 있었던 다른 곳에서의 전투 - 르제프 전투와 화성 작전을 위시한 - 를 둘러보며, 연재를 마무리짓고자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펠릭스
17/09/04 23:15
수정 아이콘
잘봤습니다!
이치죠 호타루
17/09/04 23:2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
뻐꾸기둘
17/09/04 23:22
수정 아이콘
매번 재미있게 보고 갑니다.

스탈린 그라드의 치열한 격전지로 추정되는 지역 몇 곳을 구글뷰로 본 적이 있는데, 대략 소련군이 핀치로 몰린 지역의 규모 보니 정말 절체절명의 상황까지 몰렸다는게 느껴지더군요.
이치죠 호타루
17/09/04 23:2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 (2) 좀더 재미있게 쓸 수는 없었을까 하는 아쉬움이 늘 남네요.

소련군이 몰린 핀치는 그야말로... 네. 정말 한 발짝만 뒤로 물러서면 바로 볼가 강에 빠져 죽는다는 말이 괜히 나온 수준이 아니더군요.
미키맨틀
17/09/04 23:24
수정 아이콘
먼저 선추천이요^^
근데 파울 하우서가 일부러 SS 기갑 부대를 하리코프에 먼저 진격한 것은 아닙니다.
호트 상급대장의 제 4기갑군도 같이 도시에 진격하려고 했습니다.
근데 제 4 기갑군이 꾸물대는 사이 만슈타인이 SS 기갑부대를 먼저 진입시켜버린 것입니다.
그래서 SS기갑부대의 손해가 막대해됐죠.
이 일로 파울 하우서와 만슈타인, 호트 사이에 앙금이 생겨버렸죠.
거기다 파울 하우서가 만슈타인, 호트보다 군대 선임에다 장군 진급도 빠랐죠.
이치죠 호타루
17/09/04 23:26
수정 아이콘
음, 혹시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제가 출처로 삼은 게 데이비드 글랜츠의 독소전쟁사이긴 한데 이게 또 좀 오래 된 책 아니겠습니까... 말씀하신 글랜츠옹의 3부작 이전에 바르바로사부터 구입해서 읽고 있습니다만, 아직 갈 길이 머네요.

영문 위키백과에서도 Manstein issued an order to continue outflanking the city, although leaving room for a potential attack on Kharkov if there was little Soviet resistance, but Hausser decided to disregard the order and continue with his own assault. 그러니까 하우서가 명령을 무시하고 공격하라고 명령을 내렸다는 뉘앙스를 담고 있는데... 이 출처도 2001년이니 좀 오래 되었군요.
미키맨틀
17/09/04 23:41
수정 아이콘
panzerkatz'라고 엄청난 고수분이 이글루스에 계셨습니다.지금 블로그 포스팅 쉬고 있지만요.
그 분 포스팅에서 '애송이 장군놈들이'란 포스팅에서 나온 이야기입니다.
이치죠 호타루
17/09/04 23:45
수정 아이콘
둘러보니 재미있는 글들이 여럿 있군요. 시간 날 때 천천히 읽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멍청이
17/09/04 23:45
수정 아이콘
'시간을 달리는 총통'이라는 우스개 글이 있었잖아요. 뭘 해도 지는 거요. 바르바로사 시작 시점에 7:3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나마 초반 전과가 좋아서 6.5:3.5까지 갔다가, 결국 목표가 워낙 컸기에 달성이 불가능했음이 드러났고. 청색 작전은 더 나아가 망상 수준이었고.

프랑스 항복 이후 알자스-로렌 정도만 먹고 나머지는 토해내는 형식으로 영미와 반공 카드를 내밀며 협상하는 건 아주 불가능했을까 궁금해요.
이치죠 호타루
17/09/04 23:52
수정 아이콘
어려운 문제네요. 히틀러가 정상적인 판단이 가능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가정인데... 영국에 일단 초강경파인 처칠이 있는 이상 협상 가능성이 많이 낮아 보이네요. 반공을 기시로 영국이나 미국과 손 잡는 것도 좀 애매한 문제인 게, 독일이 소련과 협상해 놓고 갈라먹으면서 갖은 물자를 다 받는 상황에서 그리 쉽게 반공을 떠벌릴 수도 없었을 테고(그러니 공격이 기습일 수밖에 없었죠), 뭣보다 전쟁을 독일 혼자 한 게 아니니 말입니다.
드라고나
17/09/04 23:56
수정 아이콘
하지만 천하의 만슈타인도 결국 이 정도 규모의 기동방어는 여기서 끝나버리고 발죠. 히틀러가 재량권을 맘껏 줬다면 좀 달라졌으련 싶기도 하지만 당시 히틀러가 그렇게 재량권 줄리 없으니, 이리 가도 저리 가도 지옥 뿐입니다
이치죠 호타루
17/09/05 00:12
수정 아이콘
애초에 독소전 열어제낄 때부터 총체적 난국이었죠 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894 [일반] 어느 역무원의 하루 - 비처럼 음악처럼 [5] 부끄러운줄알아야지4248 17/12/08 4248 6
74778 [일반] [데이터 주의]나홀로 도쿄 여행 4박 5일 - 1일차 [35] 及時雨9414 17/11/29 9414 9
74434 [일반] [역사] 중국 원조 슈퍼리치, 오병감을 아시나요? [11] aurelius12408 17/11/03 12408 2
74281 [일반]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높일까..김동연 "상향조정 검토" [49] 군디츠마라10181 17/10/21 10181 5
74031 [일반] [소감]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지방소멸과 지역부흥을 소재로 한 애니 '사쿠라 퀘스트' [16] 군디츠마라13204 17/09/30 13204 5
73674 [일반] 청색 작전 (10) - 에필로그 [30] 이치죠 호타루6272 17/09/10 6272 13
73597 [일반] 청색 작전 (9) - 카운터 블로 [12] 이치죠 호타루5500 17/09/04 5500 11
73471 [일반] 청색 작전 (8) - 필사의 탈출 [18] 이치죠 호타루5800 17/08/27 5800 15
73284 [일반] 청색 작전 (6) - 요참형 집행 [10] 이치죠 호타루5524 17/08/12 5524 20
73183 [일반] 청색 작전 (5) - 지옥문 개방 [8] 이치죠 호타루4772 17/08/06 4772 15
73025 [일반] 유괴당할 뻔했던 이야기 [10] 녹차김밥5244 17/07/25 5244 24
72993 [일반] 청색 작전 (4) - 체첸의 비극 [10] 이치죠 호타루5228 17/07/22 5228 11
72834 [일반] 지하철 노인 무임 논란에 신분당선이 사실상 총대를 맸네요 [103] 군디츠마라13796 17/07/14 13796 9
72758 [일반] 청색 작전 (2) - 패닉 [11] 이치죠 호타루4886 17/07/09 4886 12
72555 [일반] 6.25를 생각하면서 숨은 철도 영웅들에 대하여 [12] PENTAX4468 17/06/26 4468 12
72319 [일반] SR(수서고속철) 사장, "적자 나는 경춘선, 우리가 운영하면 흑자" [76] 군디츠마라11428 17/06/10 11428 4
71957 [일반] 추억의 노면전차(트램), 노원구에서 다시 달린다 [50] 군디츠마라9222 17/05/20 9222 0
71664 [일반] 단편소설 '신발끈'(모난조각) 치열하게3182 17/05/04 3182 1
71350 [일반] 사드배치 성주에 고속도로·경전철 들어서고 ‘성주참외’는 군부대 납품 [149] 군디츠마라15655 17/04/05 15655 1
71244 [일반] 만약, 우리가 다른 나라 국민이라면 그 국민은 어떤 자부심으로 사는 걸까요. 또 비웃어질까요. [42] the3j8854 17/03/27 8854 4
71200 [일반] [동영상] 미국을 만든 사람들 [16] OrBef9843 17/03/22 9843 2
71086 [일반] 나무위키 올바르게 활용하기 [41] 이슬먹고살죠12067 17/03/14 12067 24
70900 [일반] 아소 다로 "JR홋카이도는 이미 틀렸다, JR동일본과 합병도 검토해야" [50] 군디츠마라9649 17/03/02 9649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