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7/31 00:41:16
Name Eternity
Subject [일반] 등하교 레이스
등하교 레이스


집에서 학교까지의 거리는 멀었다. 어린 시절, 언제나 아슬아슬한 시간에 집을 나서던 나는 항상 잰걸음으로 등교를 하곤 했다. 운동화 끈을 단단히 조여 매고, 양손으로 양어깨의 맨 책가방 어깨끈을 야무지게 끌어당겨 질끈 부여잡고 공기의 저항을 최대한 극복하겠다는 듯 몸을 살짝 둥그스름하게 앞으로 숙이는 복잡다단한 과정을 거친 이후에야 학교를 향한 나의 출정식(?)은 마무리되었다. 조금이라도 빨리 학교에 도착하고 싶었던 나는 등굣길에 항상 나름의 목표를 가지고 걸었다. 등굣길을 나서면 내 주변을 걷고 있는 또래의 많은 학생들을 마주할 수 있었다. 그들은 나의 등교 트랙 위에 놓인 경주마이자 경쟁자인 동시에 나의 제물이었다. 목표는 간단했다. 내 앞에 놓은 수많은 경쟁자들을 하나하나 제치며 교문에 골인하는 일.

나는 매일 이 등하교 레이스(?)에 자못 진지하게 임했다. 상대방 학생들은 신경도 안 쓰는데 나는 마치 자동차 경주를 하는 레이싱카 마냥 그렇게 한 명 한 명 따라잡는데 재미를 느끼며 빠르게 잰걸음을 놀리곤 했다. 그리고 그 안에서 나름대로 나만의 룰이 있었으니, 절대 뜀박질은 하지 않았다. 뛰는 건 반칙이었다. 오직 걸음으로, 오로지 경보선수와 같은 속보와 파워워킹만으로 내 경쟁자들을 제치는 것이 나만의 룰이자 철칙이었던 것. 그런데 묘하게도, 그렇게 파워워킹을 하다보면 꼭 좀처럼 따라잡기 힘든 녀석이 한둘쯤 나타나곤 했다. 그리고 자세히 보면 그 친구도 속보로 학교를 향해 남몰래 질주하고 있는 중인 경우가 많았다. 그러면 나도 오기가 생겨 더 발걸음을 재게 놀리기 시작했는데 그럼 어느새 그 녀석과 나 사이에 서로 평행선을 그으며 엎치락뒤치락하는 치열한 레이스가 시작되곤 했다.

서로 누구인지도 모르는 생판 초면인 아이 둘이서 서로 일절 쳐다보지도 않고 경주마처럼 나란히 정면만을 바라보며 낑낑대듯 진땀을 빼며 잰걸음으로 경쟁하듯 걷는 모습은, 지금 생각해보면 일종의 우스운 코미디에 가까웠다. 누군가가 보기엔 의미 없고 우스운 그 등교 레이스가 그 순간 우리 둘에게만큼은 절대로 질 수 없는, 일종의 숙명과도 같은 비장한 승부이자 거룩한 사투였던 것. 그렇게 치열한 접전 끝에 때론 이기기도 하고 가끔은 지기도 하던 등하교레이스였지만 한 가지 희한했던 건, 목숨을 걸듯 마침내 상대 녀석을 제치고 그렇게 땀을 뻘뻘 흘리며 교문에 골인한 이후에도 기분이 막 상쾌하고 신나기보다는 무언가 허탈하고 머쓱해지는 경우가 더 많았다는 사실이었다. 아침마다 별거 아닌 사소한 일에 목숨을 걸듯 아등바등 덤벼드는 내 모습에 대한 자각으로 인한 뒤늦은 현자타임(?)이랄까. 교문을 들어서며 괜한 민망함에 '앞으론 이러지 말아야지..' 하는 다짐을 하곤 했지만 하굣길이 되면 언제 그랬냐는 듯 전의를 불태우며 레이싱에 참전하곤 했다.

그렇게 한 살 한 살 나이를 먹다보니 '등하교 레이스' 뿐만이 아니라 살면서 사소한 일에 목숨 거는 경우가 참 많다는 걸 느꼈다. 그 자존심 싸움에서 한 치라도 밀리면 큰일이라도 나는 것처럼 굴기 일쑤였다. 김수영 시인의 시구처럼 돌이켜보면 항상 나는 조그만 일에만 분개했다. 모임에서 남들보다 돈을 더 많이 내는 것이 속이 쓰렸고, 여친의 답장이 느린 것에 짜증이 났다. 겉으로 표현한 적은 없지만 나는 주변 지인들과 맘속으로 여러 번 절교했다가 화해하길 혼자서 반복했다. 맘에 드는 이성을 두고 친구와 경쟁이 붙으면 어떻게든 친구를 제압하고 삼각관계의 주인공이 되기 위해 티 안 나는 꼼수에 꼼수를 부렸다. 가끔 친구들과의 술자리에서 언쟁이 붙으면 말이 되는 논리든, 말이 안 되는 논리든 전부 끌어와서 어떻게든 이기려고 고집을 부리기도 했다. 그러한 오기와 집착 끝에 내가 원하는 대로 결과가 만들어지고 끝끝내 상대방의 승복을 끌어내도 시간이 지나고 나면 오히려 마음이 개운치 않고 허망해지기 일쑤였다. '잘 이기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잘 지는 것'인데 그때는 지지 않을 생각만 했지, 어떻게 져야하는지에 대한 생각은 해본 일이 없었다.

삶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이라는 말처럼, 작은 승리와 이득에 눈이 멀어 아등바등하다보면 더 큰 걸 놓치기에 일쑤였다. 그 순간에는 눈앞의 그것만큼 중요한 게 없지만 한걸음만 멀찍이 떨어져서 내 모습을 바라보면 그렇게 민망하고 부끄러울 수가 없었다. 직장 생활에서도 털끝하나 손해 보지 않기 위해 계산적으로 굴다보면 결국 나중에 가선 더 크게 잃는 경우가 많았다. 친구관계에서도 쓸데없이 욕심 부린 만큼의 후회가 딱 그만큼 돌고 돌아 뒤늦게 되돌아왔다. 이렇듯 사소하지만 부끄러운 경험이 많아질수록 나는 잘 이기는 것만큼 '잘 지는 것'의 중요성을 체감하곤 한다. 이유여하를 막론하고 오로지 어떻게든 이겨야만 될 것 같았던 지난 길을 되돌아보며 나는 잘 지는 방법에 대해 생각했다. 그렇게 세월이 흐르면서 양보하고 배려하는 재미(?)를 뒤늦게 서서히 알아갔다. 이른바, 잘 지는 재미 말이다. 물론 매사에 모든 걸 져주고 양보만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때로는 욕심을 내야 하는 상황들, 양보할 수 없는 순간들도 있게 마련이다. 하지만 어느 누가 이기는 것이 큰 의미가 없고 때때로 상처뿐인 영광만이 남는 상황이라면, 나는 현명하게 지는 사람이 되고 싶다. 나는 이제라도 잘 지고 싶다. 그렇게 잘 져서, 내 삶의 소중한 것들을 지켜내고 싶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7/31 09:19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살고싶은데 아직은 양보하면 바보되는 상황이 더 많은거 같아서...특히 회사생활은 데 그런거 같아요.
17/07/31 12:08
수정 아이콘
서로서로 져줄 줄 아는 사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말다했죠
17/08/01 00:37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잡을 해주는 것의 중요함은 프로레슬링을 보면서 항상 느끼지만 실천하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016 [일반] 머리가 나쁘면 몸이 고생한다. [11] 조선왕조실록8233 17/09/30 8233 7
74003 [일반] [이해] 강릉기행 [34] 새님9400 17/09/29 9400 53
73728 [일반] 방금 목격한 좀 섬뜩했던 일 [26] 설이9228 17/09/12 9228 1
73694 댓글잠금 [일반] 애초에 북한과 대화가 통할거라고 생각했던 것이 순진한 생각 아니었는지. [121] nanpukth8018 17/09/11 8018 9
73581 [일반] 이제 햇볕정책은 하고싶어도 못합니다. [29] 닭장군8004 17/09/04 8004 11
73564 [일반] 모닝 감성에 쓰는 룸웨이터 썰.txt [36] 위버멘쉬29571 17/09/03 29571 123
73360 [일반] CF모델 지원(?)했다가 떨어진 이야기... [34] Neanderthal9030 17/08/19 9030 10
73344 [일반] 인생사는 역시 B와 D 사이의 C인가 봅니다. [22] 강희최고10231 17/08/17 10231 21
73342 [일반]  짜장면을 먹다가 [6] 사조영웅전5633 17/08/17 5633 6
73257 [일반] 아버지의 뇌동맥류 진단, 의사와 상담 [41] 신불해10082 17/08/10 10082 5
73252 [일반] 피부과 전문의가 풀어보는 탈모 이야기 [91] Pathetique24637 17/08/10 24637 78
73189 [일반] 좌충우돌 장르소설 도전기(2) [4] AspenShaker3970 17/08/06 3970 2
73099 [일반] 등하교 레이스 [3] Eternity5569 17/07/31 5569 16
72906 [일반] 한달간 제주여행하기 2탄 [5] 모모스20135987 17/07/17 5987 3
72905 [일반] 왓챠 300개인 영린이가 쓰는 5점영화 추천글 [30] 이슬먹고살죠7589 17/07/17 7589 0
72855 [일반] LNG와 신재생에너지로 원전을 대체할 경우 [276] 일각여삼추10993 17/07/15 10993 28
72843 [일반] 아빠가 됩니다. (부제 : 어느 난임 부부 이야기) [53] 토끼호랑이7442 17/07/14 7442 62
72721 [일반] 환경운동연합 "한울 5호기 정지는 2등급 원전 사고" [83] 리얼리티즘8657 17/07/07 8657 1
72464 [일반] 리눅스를 써보기 위한 문과생의 투쟁기.. [21] 고양이맛다시다7093 17/06/19 7093 4
72334 [일반] 지금 가상화폐 이더리움이 미쳐 날뛰고 있습니다. [49] Camellia.S11404 17/06/11 11404 1
72303 [일반]  단편(제발)소설(응?) - 그 남자의 모자람 1화 [2] Alchemist13616 17/06/09 3616 1
72275 [일반] [모난조각-고쳐쓰기] 그땐 그랬고. 지금은 이렇다. [10] Secundo4687 17/06/07 4687 7
71767 [일반] 바지사장 태조 이성계? [17] 신불해11123 17/05/13 11123 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