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2/20 18:58:20
Name 유유히
Subject [일반] [시 이야기] 혼자서 철도 없이 난 너만 그리노라
산아. 우뚝 솟은 푸른 산아. 철철철 흐르듯 짙푸른 산아. 숱한 나무들, 무성히 무성히 우거진 산마루에, 금빛 기름진 햇살은 내려오고, 둥둥 산을 넘어, 흰 구름 건넌 자리 씻기는 하늘. 사슴도 안 오고 바람도 안 불고, 너멋 골 골짜기서 울어오는 뻐꾸기…….

중학교 시절, 도스가 깔린 학교 컴퓨터실에서 박두진의 "청산도"라는 시를 한메타자교사로 처음 접하였다. 그때는 여자아이들에게 먹히던, 류시화의 시편들을 탐닉하던, 말 그대로 중2병이 아니라 중2 시절이다. 그런 내게 저런 아저씨스러운 시가 매력적일 리 없었다. 하지만 이 글은 그 나름의 장점이 있었다.  긴글 중에서 비교적 짧은 축이라 친구들 사이의 타자수 올리기 경쟁에 수월했다. 긴글 500타라는 넘사벽을 향하여, 나는 청산도를 치고 또 쳤다.

산아. 푸른 산아. 네 가슴 향기로운 풀밭에 엎드리면, 나는 가슴이 울어라. 흐르는 골짜기 스며드는 물소리에, 내사 줄줄줄 가슴이 울어라. 아득히 가 버린 것 잊어버린 하늘과, 아른아른 오지 않는 보고 싶은 하늘에, 어찌면 만나도질 볼이 고운 사람이 난 혼자 그리워라. 가슴으로 그리워라.

이상한 일이었다. 계속 치고 치면 칠수록 그 낡은 싯구들은 자꾸만 내 눈과 귀에 맴돌았다. 한번씩 읊어 보기도 했다. 내사 줄줄줄 가슴이 울어라. 어쩌면 만나도질 볼이 고운 사람이 난 혼자 그리워라. 가슴으로 그리워라. 반세기 전에 쓰인 옛날 싯구들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이 있었다. 
아름다웠다. 그래, 어쩌면 그런 사람이 만나도 지겠지. 운명같이.

티끌 부는 세상에도 벌레 같은 세상에도 눈 맑은 가슴 맑은 보고지운 나의 사람. 달밤이나 새벽녘 홀로 서서 눈물 어릴 볼이 고운 나의 사람. 달 가고, 밤 가고, 눈물도 가고, 틔어 올 밝은 하늘 빛난 아침 이르면, 향기로운 이슬밭 푸른 언덕을, 총총총 달려도 와 줄 볼이 고운 나의 사람.

나에게도 볼이 고운 사람이 있었다. 보고 지운 사람이 있었다. 눈이 맑고 가슴이 맑았다. 나의 사람...일 것이다. 아마도. 소유격은 꼭 소유해야만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니까. 그녀가 달밤이나 새벽녘에 홀로 서서 눈물이 어릴 일은 없었을 것이다. 아니, 최소한 날 위해 눈물 어리진 않았을 것이다. 나만을 위해 총총총 달려도 와 주진 않았을 것이다. 그런 볼이 고운 사람은 1949년에나 있었다구, 박두진 씨. 요즘 볼이 고운 사람들은 다 밤에 학원 마치고 유투브 뷰티 컨텐츠 보고 화장한다니까.

하지만 나는 청산도를 칠 때면, 그런 볼이 고운 사람이 나를 위해 눈물 어리는 것을 상상하곤 했다. 나를 위해 이슬밭 푸른 언덕을 달리는 나의 사람을 상상하곤 했다. 내 상상 속의 그 사람은 화사하고, 청초하고, 아름다웠다. 아, 고이 접어 나빌레라.

푸른 산 한나절 구름은 가고, 골 너머, 골 너머, 뻐꾸기는 우는데, 눈에 어려 흘러가는 물결 같은 사람 속, 아우성쳐 흘러가는 물결 같은 사람 속에, 난 그리노라. 너만 그리노라. 혼자서 철도 없이 난 너만 그리노라. 

물결 같은 사람들이다. 그 중학생 시절에서 벌써 20년 가까이 흘렀다. 물결 같은 사람들은 물결 처럼 흘러갔고 아우성쳐 흘러가는 물결 사이를 난 헤엄쳤다. 사람들은 물결 같고 세월은 폭포가 된다. 시간이 많이 흘렀다. 그리고 난 그린다. 너만 그린다. 어떻게 그리냐면, 혼자서 철도 없이 그린다. 이 층층이 더해가는 점층 묘사는 내 짧은 생 속에서 댓구를 찾기 어려울 만큼 애틋하다. 
===============================================================================

아우성쳐 흘러가는 물결 같은 세월입니다. 총총총 달려도 와 줄 볼이 고운 나의 사람은 어디 있을까요. 오랜만에 청산도를 읽으며 생각해 봅니다. 눈 맑은 가슴 맑은, 보고 지운 나의 사람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2/20 19:19
수정 아이콘
별 헤는 밤과 더불어 한컴타자연습계 투탑이었죠..
나머지 작품들은 죄다 큰따옴표 붙어있어서 엄청 짜증났었던 기억이 나네요.

사실 별 헤는 밤이나 청산도나 좋은 시인데 망할 한컴타자연습이 애들 다 버려놨죠.
음미하면서 읽어야 하는 시를 단순히 타자속도 재는 용도로 써버렸으니 원.. ㅠㅠ
아니 오히려 그렇게라도 해서 조금이라도 익숙해져서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요...
eternity..
17/02/20 21:28
수정 아이콘
학창시절 컴퓨터 관련 수업 평가 중 ,일정 타수 이상 넘기기가 있었습니다. 평가 방법은 한메타자교사의 타자검정 기능으로 일정타수 (200여 타였던걸로 기억합니다) 넘기면 pass 하는 단순한 방식이었고, 당시 타자가 익숙치 않았던 저는 몇날 며칠동안 윤동주 시인의 '별 헤는 밤' 타이핑 연습에 몰두했습니다. 덕분에 그 후로, 꽤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 완벽히 외우고 있네요...
할러퀸
17/02/20 22:52
수정 아이콘
정말 오랜만에 보는 시인데 덕분에 정독할 수 있었습니다. 음미하면 음미할수록 좋은 시네요. 고전은 역시 정취가 있달까요.. 글 잘 읽었습니다.
오클랜드에이스
17/02/21 00:03
수정 아이콘
한메타자 청산도... 알면 아재인가요?

옆에서 삼촌이 그거 치면서 연습했다고 하는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710 [일반] [시 이야기] 혼자서 철도 없이 난 너만 그리노라 [4] 유유히4167 17/02/20 4167 9
70510 [일반] 마이너한 추리만화들 몇 작품 [28] 드라고나9764 17/02/10 9764 1
70129 [일반] 트럼프 취임 연설 전문 [27] 박보검10233 17/01/21 10233 5
69917 [일반] 2박3일 후쿠오카 여행기 [59] BessaR3a7443 17/01/10 7443 5
69644 [일반] 국내 철도역 이용객 순위 (2015) - 드디어, 철도연감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76] D.TASADAR12774 16/12/27 12774 4
69632 [일반] 러일전쟁 - 완. 포츠머스 조약 [17] 눈시H7268 16/12/26 7268 15
69455 [일반] 러일전쟁 - 펑톈 전투 [8] 눈시H5995 16/12/16 5995 6
69442 [일반] 심상정 정의당 대표 한국외대 시국대담 [70] UniYuki8490 16/12/16 8490 1
69396 [일반] 러일전쟁 - 203고지, 점령 [14] 눈시H8446 16/12/14 8446 5
69393 [일반] 철도 쪽도 결국 예상대로 흘러가는군요. [81] kartagra12403 16/12/13 12403 6
69070 [일반] 취준생이 직접 느끼는 낮아지는 취업의 질 이야기 [49] 달토끼16846 16/11/30 16846 2
68986 [일반] 러일전쟁 - 뤼순 때문에 나라가 망할 판 [12] 눈시H5696 16/11/28 5696 3
68707 [일반] 러일전쟁 - 그대여 죽지 말아라 [11] 눈시H5799 16/11/17 5799 4
68263 [일반] 한국야구사 - 한국시리즈의 전신, 실업야구 코리안시리즈 [18] 키스도사8280 16/10/29 8280 15
67983 [일반] 러일전쟁 - 뤼순항, 마카로프 [13] 눈시H5925 16/10/15 5925 6
67909 [일반] 러일전쟁 - 개전 [12] 눈시6110 16/10/10 6110 8
67856 [일반] 신안산선(여의도~안산/시흥) 민자사업 추진 암울.. 업체들 입찰 꺼려 [15] 군디츠마라6183 16/10/07 6183 0
67753 [일반] '불편해도 괜찬아' 점점 달라지고 있는 대한민국 [17] 키토18762 16/09/29 18762 14
67687 [일반] 러일전쟁 - 영일동맹 [22] 눈시6190 16/09/24 6190 13
67590 [일반] 러일전쟁 - 인아거일 vs 아시아주의 [14] 눈시7193 16/09/16 7193 12
67530 [일반] [데이터 주의, 완결, 스압] 바르바로사 작전 (12) - 중부 집단군 (4) [14] 이치죠 호타루6987 16/09/12 6987 14
67508 [일반] [데이터 약주의] 바르바로사 작전 (11) - 중부 집단군 (3) [5] 이치죠 호타루4200 16/09/10 4200 3
67408 [일반] [데이터 약주의] 바르바로사 작전 (10) - 중부 집단군 (2) [11] 이치죠 호타루5541 16/09/03 5541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