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1/27 13:40:46
Name emonade
Subject [일반] The shining(1978)
어렸을 때부터 2명의 작가를 특히 좋아했습니다. 신필이라 불리는 김용과 공포 소설의 대가로 유명한 스티븐 킹입니다.
쉽게 읽히고 캐릭터는 얄팍하지만, 미스테리부터 에스컬레이터식 성장까지 다수의 캐릭터와 사건을 적재적소에 배치해서
한 번 시작하면 눈을 떼기가 어려운 김용의 소설들과 달리, 어린 시절의 제게 스티븐 킹의 소설은 진입장벽이 있는 편이었습니다.

처음 읽은 책이 'it'을 번역한 해적판인 '신들린 도시';;였는데, 대략적인 플롯만 간신히 이해하고 따라가면서도 글에서 느껴지는
특유의 광기어린 분위기가 저를 킹의 팬으로 만들었습니다. 이후에 번역되서 나온 그의 작품들은 다 읽기 시작했고,
국내에 발매된지는 조금 되었던 '닥터 슬립'을 읽기 위해 그 전작인 '샤이닝'을 다시 시작했습니다.
최근 눈이 많이 내려서 분위기도 잘 맞았던 것 같습니다.
(스탠리 큐브릭 감독, 잭 니콜슨 주연의 영화로 유명하지만, 저는 그 영화를 본 적이 없어서..)

샤이닝의 이야기 구조는 간단합니다. 과거 몇 건의 살육극이 일어난 호텔이 있고, 절박한 사정을 가진 가족이
겨울의 폐쇄된 호텔을 관리하기 위해 들어옵니다. 하지만 그 호텔은 저주받았습니다!

아마 이런 줄거리를 가진 영화라면 시놉시스만 보고 관심도 갖지 않았을 겁니다. 하지만 킹의 이야기 솜씨가 놀라운 것은
이런 단순한 플롯에서도 조금씩 분위기를 고조시키며, 어느 순간부터는 읽는 이조차 그 광기에 몰입하게 한다는 점입니다.
초반 몇가지 묘사를 통해 캐릭터의 성격을 보여주고 희미한 불안감을 조성하더니, 어느 순간 그 불안감들이 하나 둘씩 현실화되고
결말로 갈수록 파국이 시작되는 이 모든 사건을, 한 문장 안에서도 인물의 생각과 행동과 시제를 뒤틀고 깔아뒀던 복선을 명료하게 보여주는
특유의 글솜씨로 빠져나갈 수 없게 합니다.

등장인물은 간단하게 3명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다소 신경질적이고, 알콜 중독이었지만 큰 사건을 겪고 또 가족을 위해 술을 끊은 아버지 잭 토렌스,
잭과 아들을 사랑하지만 다시 술을 마시는게 아닐까 의심을 풀지 않는 어머니 웬디 토렌스,
그리고 '샤이닝'이라는 일종의 초능력을 가진 어린 아들 대니 토렌스.

물론 요리사 딕 할로란도 비중있는 인물이고, 배경이 되는 오버룩 호텔도 별도의 캐릭터로 보는 것이 맞겠지만,
가족이라는 특별한 구성에 있는 3명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가 작품의 주된 요소입니다.

3명의 가족이, 눈으로 둘러쌓인 저주받은 호텔에서 위기를 겪는 액션 모험 활극 '샤이닝'
이번 설 연휴에 강력 추천합니다.

-----------------------------------------------------------------------------------

1. 여담으로, 어제 샤이닝을 다 읽고 닥터 슬립을 시작했는데
초반부 전개가 마치 드래곤볼에서 트랭크스가 첫 등장할때를 떠올리게 해서..
이 사람 소설을 읽을 때 이렇게 깔깔대고 통쾌하게 읽은 적이 있었나 싶을정도로 웃었습니다.

2. 김용과 스티븐킹의 닮은 점이 있다면 자신의 작품 내에서의 연계성입니다.
김용은 잘 알려진 사조 3부작부터 천룡팔부, 소오강호등의 작품들도 나름의 연계를 가지고 있고,(하지만 처음 읽는 사람도 불편하지 않은)
스티븐킹은 대놓고 엮는 편이라서.. 읽다보면 반가울때도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eanderthal
17/01/27 13:55
수정 아이콘
킹옹 오래 사셔야 할텐데...
17/01/27 13:58
수정 아이콘
닥터 슬립이 공식 후속작이라는데 아직 못 읽어봤네요 흑흑...
최신작 리바이벌은 엊그제 전자책으로 샀는데, 평이 꽤 좋길래 기대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쿠조도 전자책으로 나와줘서 아주 기분이 좋네요 호호호.
개미핥기
17/01/27 14:22
수정 아이콘
저는 스티븐 킹 소설은 '애완동물 공동묘지'만 보긴 했는데, 확실히 재밌더라구요. 분량이 엄청 많아서 이걸 언제 다 보지 하는데, 생각보다 금방 봤어요.
17/01/27 15:0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스티븐 킹 소설 중 가장 좋아합니다... 작품성으로 논하면 중간 정도에 끼이겠지만요 흐흐.
제리드
17/01/27 17:52
수정 아이콘
타고난 이야기꾼이죠. 킹옹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273 [일반] 뭔가 금수저틱한 동북아시아 정치 최고지도자들 [1] 블랙번 록5711 17/01/30 5711 1
70272 [일반] 中 국수주의 활개…"마오 비판자 직장 못다니게 압박" [26] 테이스터7240 17/01/30 7240 1
70271 [일반] 고인팔이하는 박사모 [96] ZeroOne10534 17/01/30 10534 0
70270 [일반] 중국과 미국이 돌아가는걸로 보아 이제 개성공단 재개는 물건너간듯하네요. [38] bigname9953 17/01/30 9953 2
70269 [일반] 초반부터 선로를 탈선하고 있는 트럼프 행정부 [98] 밴가드11921 17/01/30 11921 5
70268 [일반] 월드콘의 비밀 [48] 로즈마리11660 17/01/30 11660 75
70266 [일반] 할머니의 손 [9] RedSkai5645 17/01/30 5645 30
70265 [일반] 학력조작하고 노벨상 받은 과학자 [30] 삭제됨13337 17/01/30 13337 13
70264 [일반] 학창시절 절 괴롭히던 학우 소식을 들었습니다. [66] 솔빈19361 17/01/30 19361 15
70262 [일반] 그동안 하고 싶었던 두서 없는 말들 [18] 누구겠소7211 17/01/29 7211 10
70261 [일반] 잊혀진 우리의 역사: 한민족의 조상은 고대 이스라엘 민족!!! [53] KOZE15987 17/01/29 15987 6
70259 [일반] 트럼프의 행정명령. 미국 입국 못하는 7개국 국민들 [80] 어리버리13870 17/01/29 13870 2
70257 [일반] 파와 양파 이야기 [20] VKRKO15089 17/01/29 15089 28
70256 [일반] 메이데이..메이데이..대한민국호 어디로 가고 있습니까? 명절의 여론은? [102] Sith Lorder10506 17/01/29 10506 17
70255 [일반] [스포주의] WWE PPV 로얄럼블 2017 최종확정 대진표 [20] SHIELD7013 17/01/29 7013 2
70254 [일반] 바이럴, 매체알바, 정치세력이 인터넷글의 몇%를 점유할까요? [45] i_terran9548 17/01/29 9548 11
70253 [일반] 2017년 이재명 대통령 당선 예측 글 [89] Red_alert12235 17/01/29 12235 3
70251 [일반] 뷰엉이 예찬 - 내 아내를 자랑합니다 (자랑주의) [89] 삭제됨11401 17/01/29 11401 51
70250 [일반] [단편] Diary [2] 에일리5152 17/01/29 5152 3
70249 [일반] 설연휴 가족끼리 운빨X망게임한 이야기(스압) [24] 치열하게9687 17/01/28 9687 13
70248 [일반] KBS 다큐, 멕시코 한류, "고구려 천년의 흔적을 아메리카에서 찾아서" [106] 신불해21454 17/01/28 21454 20
70247 [일반] [K팝스타6] 팀권유와 김가민가의 앞날 [16] 빵pro점쟁이7670 17/01/28 7670 0
70246 [일반] 허경영 "올해 대선출마 하겠다" [42] 어강됴리14916 17/01/28 14916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