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12/14 12:21:21
Name 군디츠마라
Link #1
Subject [일반] 블룸버그의 비관적인 2017년 미래예측.jpg
https://www.bloomberg.com/graphics/pessimists-guide-to-2017/

미국의 경제지인 블룸버그는 매년 '비관주의자의 20xx년 가이드(pessimists guide to 20xx)' 라는 이름으로 한해에 일어날 비관적인 일들을 예측해서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2017년에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비관적인 전망들을 발표했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trumpland3-normal.jpg
1. 트럼프 당선 이후의 미국
트럼프가 1월 20일 정식으로 미국 대통령이 된 뒤 공화당은 트럼프 정부의 순항을 위해 대규모 부양예산을 승인한다. 하지만 트럼프 정부가 점차 오바마 행정부의 업적들을 부정하기 시작하면서 미국 내의 갈등은 극심해진다. 결국 어떠한 계기로 인해 '흑인의 생명은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 나 '월가를 점령하라(Occupy Wall street)' 와 같은 인종, 사회갈등이 폭발하게 된다.

트럼프는 이를 계엄령과 공권력을 통해 진압하려 하지만 오히려 갈등은 확산되고 이 와중에 민주당의 텃밭인 캘리포니아는 다른 민주당 주(오리건, 워싱턴 등)와 손잡고 칼렉시트(Calexit)를 계획한다. 트럼프 정부의 환경규제 철폐로 인해 엘론 머스크와 셰리 샌드백과 같은 환경보호자들은 트럼프의 최대 적이 된다.

한편 공화당은 처음에는 트럼프와 협력하다가 트럼프 정부가 점차 공화당 주류의 말을 듣지 않고 갈등이 확산되면서 트럼프 반대와 지지로 분열될 조짐을 보인다. 이러한 미국의 혼란으로 인해 증시에 큰 타격을 받는다. 구글, 페이스북, 애플과 같이 캘리포니아에 거점을 둔 기업들은 마찬가지로 트럼프 정부와 캘리포니아 간의 갈등이 극심해지면서 타격을 입게 된다.

photos-03-normal.png
2. 재기에 성공한 푸틴과 고민하는 메르켈
트럼프의 당선과 친러정책은 메르켈로 하여금 선택의 길을 강요하게 만든다. EU의 국방력을 강화시켜 러시아와 대적하게 하던가 아님 트럼프처럼 러시아와 손잡고 동유럽을 볼모로 거래를 하는 것이다. 이 와중에 푸틴은 전투기 도발과 사이버 공격을 통해 미국와 유럽연합의 연계를 방해한다.

결국 메르켈은 현실을 받아들이고 트럼프처럼 러시아에 접근, 우크라이나와 시리아의 지배권을 인정하는 대신 동유럽 NATO국가들의 안전을 보장받는 대타협(Grand Bargin)을 성사시킨다. 이로서 푸틴은 러시아를 부활시켜 구소련의 영광을 회복한 구국의 영웅이 된다. 정점에 오른 푸틴은 2018년 대선에 마지막으로 출마한 뒤 은퇴할 것을 선언한다.

smoothawley-normal.png
3. 격화되는 미중간 경제전쟁
트럼프는 트위터를 통해 '사기꾼 중국(#CrookedChina)' 이라는 해시태그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함과 동시의 고율의 보복관세를 물릴 것을 선언한다. 이에 중국은 위안화의 평가절하와 보잉과 애플의 수주를 모조리 취소하는 식으로 보복한다.

한편 시일이 지나면서 11월에 있을 양회를 앞두고 중국 공산당은 침체된 경제회복에 고심하게 된다. 결국 중국은 기나긴 불황으로 접어든다. 미중간 경제전쟁이 악화되면서 아시아 국가들 또한 1997년대의 환율위기 재현의 공포가 되살아난다.

nuclear14-normal.jpg
4. 트럼프에게 한방 먹인 김정은
트럼프는 자신의 불개입주의를 실천하기 위해 NATO 탈퇴를 계획한다. 이로 인해 전세계는 미국의 부재로 인한 세력공백에 들어가게 된다. 한편 IS는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패퇴했지만 이러한 힘의 공백을 활용해 아프간과 중앙아시아에서 재기에 성공한다.

미국의 핵우산이 더 이상 지켜지지 않는다는 불안감으로 인해 사우디와 일본은 자체적 핵무장을 계획하게 된다. 이 와중에 김정은은 핵무기 소형화와 미 본토타격이 가능한 미사일 발사에 성공함으로서 미국에 큰 타격을 입힌다. 결국 트럼프의 아시아 전략은 엉망진창이 되어 다시 중국에게 북한을 통제해달라고 애걸하게 된다.

euflags-normal.jpg
5. 위기의 유럽연합
트럼프의 승리로 유럽연합 국가들에서 극우파가 대약진하게 된다. 결국 네덜란드에서는 유럽연합 탈퇴와 유로 폐기, 보호무역을 주장하는 자유당이 총선에서 승리하여 그 첫발을 끊는다. 프랑스에서는 마린 르펜이 당선되어 공약대로 EU탈퇴를 위한 국민투표를 준비한다. 이탈리아에서는 베페 그릴로의 오성운동이 대약진, 마찬가지로 이탈리아의 유로존 탈퇴를 위한 국민투표를 요구한다.

독일의 메르켈은 선거에서 참패해 총리직에서 물러난다. 영국의 테레사 메이도 브렉시트 협상 부진으로 인한 책임으로 물러난다. 한편 동유럽에서는 체코가 친러정책을 추진하면서 동시에 NATO 탈퇴를 선언한다. 프랑스의 프렉시트(Frexit) 투표가 통과된 이후, 유럽연합의 자유왕래 협정인 솅겐조약은 효력을 상실하게 된다. 한편 유럽연합의 붕괴로 그리스는 혼돈의 도가니에 빠지며, 동시에 유로는 2012년 위기의 재발로 화폐로서의 가치를 상실한다.

internet-normal.jpg
6. 인터넷의 취약성이 드러나다
아마존, 애플, 구글이 스마트폰과 음성인식 장치에 정부 주도로 인한 도청장치가 탑재되어 있음이 밝혀져 충격을 안긴다. 한편 트럼프를 지지했던 위키리크스는 태도를 바꿔 트럼프 정부를 난처하게 만들 사실을 폭로한다.

한편 특정 국가의 후원을 받는 해커들에 의해 미국 내 발전소와 같은 국가의 주요 시설이나 인터넷으로 작동되는 자율주행차, 산소호흡기가 멈추었다는 사실을 드러나면서 미국을 패닉에 빠뜨린다. 어느 국가도 자기 소행이 아니라고 하면서 범인은 러시아나 중국의 해커로만 추정된다. 한편 이로 인해 국가간 사이버 전쟁이 격화될 조짐을 보인다.

castro-kruschev-normal.jpg
7. 러시아에 접근하는 쿠바
트럼프는 전임 오바마 행정부 시절 성사된 미국-쿠바간 국교정상화를 무효화하고 재재를 부활시키면서 경제회복을 이루던 쿠바에 크나큰 타격을 안긴다. 결국 쿠바는 브라질과 베네수엘라에 도움을 요청하지만 자기 몸 건사하기도 어려운 이들 국가들이 쿠바를 도와줄 여력이 없다. 결국 쿠바는 여전히 이 지역에 관심이 있는 중국과 러시아에 도움을 요청한다.

결국 쿠바의 지도자 라울 카스트로는 러시아의 경제지원을 받는 조건으로 아바나에 대규모 러시아군 첩보기지를 만든다. 이로 인해 친러정책을 취하던 트럼프에게 크나큰 충격을 주게 되고 결국 미러관계는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의 재림처럼 악화된다.

mexicowall-normal.jpg
8. 멕시코의 멜트다운
트럼프는 자신의 공약대로 NAFTA를 재협상하고 멕시코에 대규모 관세를 물리면서 불법이민자 장벽건설에 멕시코 정부가 비용을 댈 것을 요구한다. 이로 인해 멕시코 경제는 큰 타격을 입게 되고 NAFTA로 인해 받았던 국제투자를 모조리 잃어버리게 되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트럼프의 군대는 미국 내 거주하던 히스패닉 불체자와 마약밀매범들을 모조리 멕시코로 몰아내, 멕시코는 대규모의 인구 유입으로 휘청거리게 된다. 결국 멕시코에서도 국수주의가 부활하기 시작해 2018년 멕시코 대선에서 극좌파인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Andres Manuel López Obrador)가 당선된다. 그는 미국계 기업에 불하된 유전들을 모조리 국유화하여 미국과 멕시코의 갈등은 최악으로 치닫는다.

saudiprince-normal.jpg
9. 사우디의 정정불안
사우디의 살만 왕자 주도로 미국의 셰일가스를 죽이기 위해 대대적으로 저유가 공세를 펼친 지 2년이 지났다. 한편 사우디가 의욕적으로 개입한 예멘은 중동판 베트남이 되어 결국 사우디 정부는 전비마련을 위해 대대적인 증세를 감행하고 국민 생활은 악화되기 시작한다. 한편 사우디의 숙적인 이란은 이라크와 시리아의 군사개입을 통해 이들 지역에 확고한 시아파 벨트를 구축하는 데 성공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우디 왕족 중 한명의 주도 궁정 쿠데타가 발생하여 선거개혁 등을 추진하게 된다. 트럼프의 중동 불개입주의와 맞물려 사우디와 이란의 갈등은 전쟁 일보직전까지 이르게 된다. 사우디와 이란의 갈등이 격화되면서 호르무즈 해협을 경유한 석유 및 가스수출은 타격을 받게 된다. 결국 사우디의 숙원인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ARAMCO)의 민영화는 실패로 끝나고, 사우디는 화폐가치를 절하하여 경제회복을 모색한다.


일단 가장 비관적인 전망분석으로 만들어진 기사인 만큼 실제 실현될 지는 내년 12월이 되면 알 수 있겠지요. 작년에도 블룸버그는 이러한 예측을 했는데(https://www.bloomberg.com/graphics/pessimists-guide-to-2016/)

1. 유가 100불 인상
2.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3.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금융권 타격
4. 이민자로 인한 유럽연합의 약화
5. 중국의 경기침체와 군사력 증강
6.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격
7. 푸틴의 국제 영향력 증대
8. 기후변화 가속화
9. 중남미 국가들의 쇠락
10. 미국 대통령 트럼프 당선

중에서 2, 4, 7, 10은 실현되었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포켓토이
16/12/14 12:29
수정 아이콘
웬지 요약하면 나는 트럼프가 싫어요 또는 트럼프 엿먹으면 좋겠네 같다는 느낌이..
솔로12년차
16/12/14 12:30
수정 아이콘
부정적인 미래예측에 본인의 당선이 들어있으면 기분이 어떨까요?
16/12/14 12:30
수정 아이콘
트럼프가 모든일의 원인이군요...
버스를잡자
16/12/14 12:34
수정 아이콘
트럼프를 거의 히틀러급 문제아로 서술해놨네요

아무리 비관주의적 예측이라고 해도 이 무슨..

그냥 차라리 내년에 핵전쟁 일어나서 지구멸망한다고 그러지
16/12/14 12:46
수정 아이콘
실제로 트럼프의 주장이나 공약에 베이스를 깔고 있어서 그런 느낌은 아니던데요. 다만 그 일을 하는데 있어서 일을 좀 못함 + 운이 매우 안좋음이 겹치고 나면 가능성은 있을 법 하죠.
페마나도
16/12/14 14:02
수정 아이콘
저게 거의 히틀러급이라니요.
아우슈비츠에서 당한 유태인들이 벌떡 일어날 소리를 하시네요.
아무데나 히틀러와 연관 안 시켰으면 좋겠습니다.

저정도면 비관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충분히 상정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최악의 시나리오를 쓰고 있는 것인데
현재 트럼프의 내각 내정상황만 봐도 최악의 경우 저정도는 무난하게 흘러가죠.
절름발이이리
16/12/14 14:41
수정 아이콘
히틀러급은 아니어도 어떻게 당선된건지 놀라울 정도로 문제아가 맞지요.
히오스
16/12/14 12:34
수정 아이콘
유가 안돼!
16/12/14 12:36
수정 아이콘
8도 현실입니다.
시작버튼
16/12/14 12:42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몰라도 트럼프 정권에서 미국과 중국의 갈등은 심각할거 같아 보여서...
거기에 북한이라는 치명적 변수까지..
그 사이에서 우리나라가 어떻게 될지는 솔직히 좀 무섭네요.
설명충등판
16/12/14 12:46
수정 아이콘
박근혜 당선때도 사람들이 수도없이 한국망테크라고 말해봤자 "네 다음 소설" "네 다음 선거 개발리고 정신승리" 소리 나왔던거 생각해보면..
16/12/14 12:49
수정 아이콘
직접 번역하셨나요? 매끄럽게 잘 쓰시네요. 비관적 예측이란거 자체가 '운 나쁘면 이럴 수도 있다는 시나리오 한번 써볼게~' 같은 거라서 미래 예측을 위한거라기 보다는 재미 삼아 읽는 거긴 한데 진짜 흥미진진해요. 글 감사합니다 ^^
군디츠마라
16/12/14 17:29
수정 아이콘
네, 원문 홈페이지에서 직접 번역했는데 의역이 좀 많아서 원문과 다른 부분이 약간 있습니다.
밴가드
16/12/14 12:52
수정 아이콘
딴 건 몰라도 7,8은 벌써부터 가능성이 낮아 보이네요. 대선 기간동에 트럼프가 쿠바 문제에 대해서는 사업가적(본인이 이미 90년대에 미국의 쿠바 제재법을 위반 함) 입장을 보여주기도 했었고 멕시코 장벽에 대해서는 벌써 말이 바뀌고 있죠.
영원한초보
16/12/14 12:52
수정 아이콘
만물트럼프 설이네요 크크
6번이 제일 어이 없어 보이는데 거기다가도 트럼프를 끼워 넣었군요
이워비
16/12/15 16:28
수정 아이콘
근데 미통 이라는게 진짜로 그만큼영향력이 큰자리긴 하니까요
그만큼 트럼프의 대신 인식이 나쁜걸 반증하는게 아닌가싶네요
여름보단가을
16/12/14 13:08
수정 아이콘
비관 예측중에 4개나 실현된게 정말 비관적이네요..
16/12/14 13:31
수정 아이콘
지금 트럼프가 하는 인사 임명들이 전부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수준이라 불가능한 이야기들이 아니라고 봅니다. 만물 트럼프설 이야기가 나오지만 현 세계 문제의 반 이상은 부시가 싸놓은 똥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기도 하고요.
호모 루덴스
16/12/14 13:37
수정 아이콘
2.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는 실현되었을 당시만 해도, 큰 충격이었지만, 지금와 보면 그다지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았지요.
10. 미국대통령에 트럼프 당선도 처음에만 충격이 컸고, 그 다음은 기대심리로 주가가 상승하는 기현상이 나오고 있고,

위의 시나리오가 2017년에 일어날 수 있다고 보기 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저렇지는 않는 것 같네요.
구체적인 세부적인 내용이 현실성이 거의 없을 정도로 너무 비관적이네요. 거의 음모론 수준이네요.
만약에 저 10개중에 하나라도 구체적인 시나리오가 저런식으로 진행되다면 2008년 서브프라임급 충격이 시장에 가해질 것이라고 봅니다.
저들중에 하나라도 실제로 일어난다면 믿는다면, 2017년에 할 일은, 풋옵션 최극단값에 돈을 걸어 놓는 것예요.
Bernardeschi
16/12/14 14:34
수정 아이콘
브라질때문에 9번도 반은 달성된거죠. 5번도 달성된거고.
홍승식
16/12/14 15:54
수정 아이콘
제목만 보면 있을 수도 있는 사태인데 세부 내용이 너무 과하게 적힌 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276 [일반] 터뷸런스 이야기 (잡설) [29] boslex8156 20/07/17 8156 10
87144 [일반] 잘못된 정비가 불러온 항공 대참사 JAL 123편 추락사고 [17] 우주전쟁11623 20/07/09 11623 14
87105 [일반] 에어버스 쪼렙 시절 손을 뻗어준 귀인이 있었으니 [19] 우주전쟁10469 20/07/06 10469 25
87075 [일반] 무엇이 보잉 737 MAX 8을 추락시켰나? [40] 우주전쟁11589 20/07/05 11589 52
87052 [일반] 에어버스의 실패작(?) A380 [42] 우주전쟁11826 20/07/03 11826 24
86950 [일반] 조종사를 대하는 철학의 차이 (보잉 vs 에어버스) [31] 우주전쟁11058 20/06/27 11058 27
83974 [일반] 이란서 우크라이나 항공 보잉 737 여객기 추락…‘176명 전원 사망’ [33] 及時雨12982 20/01/09 12982 0
80409 [일반] 보잉 737맥스, 전세계로 확산되는 운행 중단 러시 [39] probe10185 19/03/13 10185 3
80372 [일반] 에티오피아항공 추락사건이 5개월 전에 있던 라이언항공 추락사건과 비슷하네요 [29] 지부릴10844 19/03/11 10844 0
74210 [일반] 현재 일본을 뒤흔들고 있는 고베 제강 품질조작 사건. [55] 키스도사17701 17/10/14 17701 1
73991 [일반] [국제] 관심 가는 몇 가지 국제뉴스 모음 [19] aurelius7051 17/09/28 7051 2
69404 [일반] 블룸버그의 비관적인 2017년 미래예측.jpg [21] 군디츠마라10494 16/12/14 10494 2
68042 [일반] 홋카이도 3박4일 렌트카 여행기 + 간단한 여행 가이드 (모바일 데이터 주의!) [48] 예루리9837 16/10/19 9837 4
64780 [일반] 나우루 공화국 이야기: 어떤 공동체의 타락과 그 이면 [27] santacroce8755 16/04/22 8755 50
62420 [일반] 뜬금없이 1등석에 타 봤던 이야기 [36] Rorschach14292 15/12/07 14292 5
59880 [일반] CGV 천호점 방문기 [15] Rorschach8648 15/07/19 8648 2
59024 [일반] 외국인들이 보는 브라질과 브라질 사람들의 이상하고 낯선 습관들 [80] Brasileiro11426 15/06/13 11426 8
56899 [일반] 나는 취업준비생이다. [17] 렌즈7117 15/03/09 7117 5
53394 [일반] [스압, 정보] 날아 다니는 호텔, AIRBUS A380 (2) 完 [22] AraTa_Higgs6422 14/08/24 6422 5
53388 [일반] [스압, 정보] 날아 다니는 호텔, AIRBUS A380 (1) [28] AraTa_Higgs6216 14/08/23 6216 5
50325 [일반] 239명 탑승 말레이시아 항공 여객기 연락두절… [9] 자전거도둑4749 14/03/08 4749 0
46974 [일반] 차세대 전투기 ‘F-35A’ 최종 낙점…60대 들여온다 [87] 흰코뿔소9010 13/10/10 9010 1
46129 [일반] 독도까지도 못 날아가는 차세대 전투기??? [84] Neandertal8513 13/08/27 851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