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9/29 19:54:10
Name 키토
Subject [일반] '불편해도 괜찬아' 점점 달라지고 있는 대한민국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60929171610265

저는 서울 시민이 아니라 지하철을 이용할 일이 년에 10회-20회 정도 밖에 되지는 않습니다만은
엊그제부터 시작된 철도노조의 파업을 두고 사람들의 인식이 점차적으로 달라지는것 같습니다.
유럽 모 국가처럼 그렇게 모여서 공격적인 파업을 할필요는 없겠습니다만
시민들이 이렇게 한명두명 긍정적인 메세지를 보내주는것 그리고 그 동력들이 모여서
사람이 살만한 우리나라를 만들어가는것같아 간만에 뉴스를 보면서 뿌듯함을 느낍니다.

쉽지 않은 세대 모두들 희망을 이야기하기 어려운 세태 입니다만은 다시한번 화이팅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이린_배주현
16/09/29 20:08
수정 아이콘
변화는 천천히 그러나 빠르게 오는군요
[fOr]-FuRy
16/09/29 20:11
수정 아이콘
저도 이 말에 동의합니다.
하루는이렇게끝이난다
16/09/29 20:30
수정 아이콘
지하철로 출퇴근하는 입장에서 파업의 여파를 거의 느끼지 못했습니다. 파업 강도가 조금더 셌어도 좋았겠지만 국민 정서를 감안하면 오히려 좋은 방법이다 싶기도 하더군요.
그것은알기싫다
16/09/29 20:43
수정 아이콘
이런 거시적인 불편함은 대중들이 감수하고 이해하기 시작했지만
미시적이고 국소적인 개인적 불편함을 말하는 이가 참 많아졌습니다. 별로 공감받기 힘든 불편함들 말이죠
16/09/29 20:44
수정 아이콘
뭐 저같은 경우야 직접적인 영향이 없어서 그저 좋아 보이는것일수도 있습니다..
아점화한틱
16/09/29 22:10
수정 아이콘
현대차노조파업 말고 공기업 성과연봉제 반대파업은 지지합니다.
16/09/29 22:12
수정 아이콘
좋은 현상입니다
당장의 불편함을 감내하는게 (사실 출퇴근길에 별로 불편함도 없었지만..) 거시적으로 우리 모두에게 이득이라는 인식을 갖기 시작했다는게 중요하다고 봐요..
세대에 따라 반응이 많이 다름도 느낍니다. 식당에서 뉴스를 보면서 나이든 할배들이 노조을 욕하는 것을 봤는데 속으로 정말 안타까웠습니다
제랄드
16/09/29 22:18
수정 아이콘
링크 기사 잘 봤습니다. 이후 예상되는 아주아주 극소수 언론과 커뮤니티의 예상 반응에 대해 소설을 써 보자면

1. 각 대자보 필적 조사 결과 유사점이 있을 수도 있다고 보여질 수 있어(뭔말이여) 불온단체 혹은 조직화된 좌경세력 등의 지령을 받아 작성되었을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다는 판단하에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할 가능성도 없지 않아 있어

2. 모 커뮤니티에 대자보 찢고 손가락 인증샷 유행

3. 철도, 지하철 적자 그래프, 해당기관 정년 퇴직자들의 어마어마한(?) 퇴직금 그래프 투척

4. 익숙한 네 글자 단어 범람. 시민볼모, 시민의발, 시민불편, 도심마비, 발만동동, 추정손실, 귀족노조, 발전저해, 현실외면, 심히유감, 복귀불응, 직위해제, 불온세력, 북괴지령, 나라망해
16/09/29 23:46
수정 아이콘
오늘 중앙일보칼럼이 딱 4번이더라구요
우주인
16/09/30 16:54
수정 아이콘
회사식당에서 점심 때 YTN을 대형 스크린으로 보여주는데,
뉴스의 논지는 시민이 불편, 물류대란, 시멘트 및 기간 산업에 지대한 영향 등이더라구요.
그들이 왜 파업을 했는지는 단 한 꼭지도 방영하지 않았습니다...
모리건 앤슬랜드
16/09/29 22:38
수정 아이콘
이건 공감대를 형성할만한 사안이었으니 가능했다고 봅니다. 소위 윗대가리들 입맛에 맞는 정성평가적인 요소들에 물먹었던 경험 한두번 없는사람은 없을테니까요.
16/09/29 23:43
수정 아이콘
불편해도 괜찬다라고...의식이 변했다는 생각보다는
그런 의식은 원래도 있었는데 표현하지 않았던거였고
최근엔 자신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는거라 생각해요

노조의 파업으로 인해 시민들의 불만에 가득찬 목소리는...언론이 만들어 낸 부분이 컸던거라 생각하거든요
써니지
16/09/30 02:53
수정 아이콘
불편해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단지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겠죠.
각종 인터넷 게시판에 가득차는 불만들이 그저 언론만이 만들어 낸거라고 생각하긴 어려운 거 같고요.
써니지
16/09/30 02:52
수정 아이콘
불편함의 정도의 차이겠죠. 어느 선을 넘으면 분명 감당하기 힘든 부분이 있고요. 그 정도 선까지만 지켜주면 괜찮다고 생각하겠죠.
어떤 사람도 타인의 이익을 위해 내 눈앞의 손해를 참기란 쉽지 않기에 선은 분명 있다고 생각합니다.
쪼아저씨
16/09/30 09:20
수정 아이콘
훈훈하네요.
지니팅커벨여행
16/09/30 10:06
수정 아이콘
저도 좀 더 세게 했으면 해요.
출퇴근시 불편을 못 느낄 정도이니 과연 잘 통할까 하는 생각도 들고...
아무튼 계속 불편해도 참을 수 있으니 성과연봉제 꼭 퇴출시켜 주길.
인생은혼자다
16/09/30 11:00
수정 아이콘
배후세력 드립이 나올 때가 됐는데...

이런 파업지지 표현도 변화의 한 바람이라고 생각해요.

헬조선에도 김영란법과 함께 극동의 봄이 오는 징조일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710 [일반] [시 이야기] 혼자서 철도 없이 난 너만 그리노라 [4] 유유히4166 17/02/20 4166 9
70510 [일반] 마이너한 추리만화들 몇 작품 [28] 드라고나9763 17/02/10 9763 1
70129 [일반] 트럼프 취임 연설 전문 [27] 박보검10232 17/01/21 10232 5
69917 [일반] 2박3일 후쿠오카 여행기 [59] BessaR3a7442 17/01/10 7442 5
69644 [일반] 국내 철도역 이용객 순위 (2015) - 드디어, 철도연감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76] D.TASADAR12773 16/12/27 12773 4
69632 [일반] 러일전쟁 - 완. 포츠머스 조약 [17] 눈시H7268 16/12/26 7268 15
69455 [일반] 러일전쟁 - 펑톈 전투 [8] 눈시H5995 16/12/16 5995 6
69442 [일반] 심상정 정의당 대표 한국외대 시국대담 [70] UniYuki8490 16/12/16 8490 1
69396 [일반] 러일전쟁 - 203고지, 점령 [14] 눈시H8445 16/12/14 8445 5
69393 [일반] 철도 쪽도 결국 예상대로 흘러가는군요. [81] kartagra12403 16/12/13 12403 6
69070 [일반] 취준생이 직접 느끼는 낮아지는 취업의 질 이야기 [49] 달토끼16846 16/11/30 16846 2
68986 [일반] 러일전쟁 - 뤼순 때문에 나라가 망할 판 [12] 눈시H5696 16/11/28 5696 3
68707 [일반] 러일전쟁 - 그대여 죽지 말아라 [11] 눈시H5799 16/11/17 5799 4
68263 [일반] 한국야구사 - 한국시리즈의 전신, 실업야구 코리안시리즈 [18] 키스도사8280 16/10/29 8280 15
67983 [일반] 러일전쟁 - 뤼순항, 마카로프 [13] 눈시H5925 16/10/15 5925 6
67909 [일반] 러일전쟁 - 개전 [12] 눈시6110 16/10/10 6110 8
67856 [일반] 신안산선(여의도~안산/시흥) 민자사업 추진 암울.. 업체들 입찰 꺼려 [15] 군디츠마라6183 16/10/07 6183 0
67753 [일반] '불편해도 괜찬아' 점점 달라지고 있는 대한민국 [17] 키토18762 16/09/29 18762 14
67687 [일반] 러일전쟁 - 영일동맹 [22] 눈시6189 16/09/24 6189 13
67590 [일반] 러일전쟁 - 인아거일 vs 아시아주의 [14] 눈시7193 16/09/16 7193 12
67530 [일반] [데이터 주의, 완결, 스압] 바르바로사 작전 (12) - 중부 집단군 (4) [14] 이치죠 호타루6987 16/09/12 6987 14
67508 [일반] [데이터 약주의] 바르바로사 작전 (11) - 중부 집단군 (3) [5] 이치죠 호타루4200 16/09/10 4200 3
67408 [일반] [데이터 약주의] 바르바로사 작전 (10) - 중부 집단군 (2) [11] 이치죠 호타루5541 16/09/03 5541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