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9/29 16:37:07
Name The Special One
Subject [일반] 최근 현기차에 관련된 이슈들

최근 며칠사이 현대기아차에 관련된 많은 이슈들이 쏟아졌습니다. 동시다발적으로 터져서 저도 정리가 잘 안되더군요.
물론 갑작스럽게 터진것은 아니고 꽤 오랫동안 이용자들 사이에서 제기되었던 문제였지만 내부 고발을 통해 적나라하게 미디어에
노출되었습니다.

일단 시사매거진 2580에 보도된 내용입니다.
http://www.newspim.com/news/view/20160925000063

큰 매체에서는 방송 며칠이 지났지만 보도되지 않고 있습니다.
내용을 요약하면 25년동안 근속했던 품질관리 부장이 여러차례 리콜을 건의했지만 묵살되자 내부 문건을 공개한 사건입니다.
2009년 이후 출시된 세타2 엔진이 들어간 소나타, 그랜저, k5 차량등의 엔진에 결함이 있다고 밝혀졌습니다. 실린더가 움직이며
벽을 긁고, 노킹소음이 발생하며 심할경우 벽이 뚫려서 핸들이 잠기고 시동이 꺼지는 중대결함입니다.

51대의 차량들을 무작위로 검사해 본 결과 모든 차량에서 실린더에 긁힘이 있었다는 말은 충격적이었습니다. 단지 몇몇 차량들의
문제가 아니었다는 얘기죠. 현대측에서는 한국에서 공식적으로 결함을 인정하지 않았고, 몇몇 라인에서 발생한 사소한 문제이고
아무 문제 없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해당 차종을 리콜을 했죠 -_-;;

그러나 이번에 드러난 내부문건에서 이미 2010년경부터 현대는 이 문제를 잘 인지하고 있었고, 원인도 파악하고 있었습니다.
해결방안도 여러모로 고심했던 흔적이 있는데, 공식적으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는것이 소비자들을 분노케 합니다.

정말 죽을수도 있는 심각한 결함임에도 이에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는, 과연 이 회사가 소비자에게 줄 수 있는 신뢰라는것이 있기는
한가 라는 의문이 들게 합니다.


두번째 mdps 결함입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consumer/newsview?newsid=20160928161206606&RIGHT_COMM=R4

저번 mdps결함문제가 터졌을때 몇백원짜리 커플링을 갈아주는것으로 사태를 무마 했었는데, 정작 원인은 설계상의 결함이었습니다.
핸들 조작시 기판에 손상이 가고, 기판이 휘면서 핸들이 무거워지고 작동 불능이 되는 것이었죠.

현대는 이러한 문제를 파악하고 있었음에도, 리콜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고, 눈가리고 아웅식의 커플링만 교환해 주었습니다.



세번째는 디젤엔진 결함입니다.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cm_car&wr_id=2198366&sca=&sfl=wr_subject&stx=%EB%94%94%EC%A0%A4

현기의 디젤엔진이 장착된 차량들에서 엔진오일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일부가 아닌 전체라고 봐도 무방하다 합니다.
이는 배출 저감 과정에서 엔진오일이 연료, 또는 다른 불순물들과 섞이는 현상때문인데요, 이로인한 시동꺼짐등의 문제가 생길수 있어서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에대한 대응으로 현기측은 세가지 대응법을 제시했는데

1. 시속 60킬로 이상 유지
2. 1만5천 rpm 이상 유지(아마도 1천5백의 오타겠죠?)
3. 에어콘 사용 금지

이건 답이 없어보입니다. 겨울철 고속도로라도 달리지 않는다면 도저히 클리어 할 수 없는 사항들을 대응법이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저도 소나타를 타고있는 상황이기에, 위와 같은 문제들이 공포스럽습니다. 한번 엔진이 멈춘 경험이 있기에 더더욱 무섭습니다.
하지만 더 화가나는것은 결함을 인정하고 개선하려는 책임감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이에요. 막말로 차는 잘 못 만들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사후에 문제를 알고도 대응이 이렇다면 앞으로 이 회사차를 누가 믿고 탈 수 있을까요?

같이 티비보던 마눌림이 한마디 하더군요.

"자기야. 이제 차 바꿀때 된것 같은데.. 일본차 사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9/29 16:39
수정 아이콘
지금 말씀하신 3가지 문제다 전부 자동차 핵심인 엔진과 조향장치에 대한 문제라
계속 현기에서 품질관리 이따위로 하면 점유율 더 까먹을지도 모르겠네요..
The Special One
16/09/29 16:48
수정 아이콘
조향은 구려도 파워트레인은 인정할만 하다라는 인식이 있었는데, 대놓고 노답이네요.
John Snow
16/09/29 16:39
수정 아이콘
9월 초에 아반떼 샀는데....
16/09/29 16:40
수정 아이콘
i30 광고 성적코드 논란 + 드리프트 논란도 빼놓을수 없죠..
싼타페 유로6 타는데 걱정이네요.
Marco Reus
16/09/29 16:40
수정 아이콘
1. 품질부서에서 문제 제기를 한다.
2. 하지만 원가가 올라가니 안돼~ or 리콜할거야? 안돼~
저수지의고양이들
16/09/29 16:41
수정 아이콘
셋다 말그대로 개노답 수준인데요?????-_-;;;
16/09/29 16:41
수정 아이콘
작년 11월 말에 카니발 샀는데....
온리진
16/09/29 16:42
수정 아이콘
큰 맘먹고 3월에 올뉴k7 디젤 뽑았는대 좌절중 입니다.

그냥 중고가 좋을때 팔아야하나 고민중 이네요
다크슈나이더
16/09/29 16:51
수정 아이콘
저랑 딱 똑같은 시기에 똑같은 차를 구입하셨네요..ㅠㅠ

저도 짜증나는 상황입니다..ㅠㅠ
16/09/29 16:50
수정 아이콘
징벌적 손해배상책임만 정착이 되도, 저렇게 소비자를 개무시하는 케이스는 다소 줄어들지 않을까 싶네요.
눈팅회원37
16/09/29 16:50
수정 아이콘
대안은 없고 결국 법을 조지는 수밖에요.
아마안될거야
16/09/29 16:53
수정 아이콘
선택지가 없어 어쩔수없이 현대차 탑니다만 현기차 행태보면 답답합니다....

정말 궁금한게 있는데 저런거 공식발표하고 사과하고 개선시키고 보상하면서 장사하면 수익을 못내나요? 오히려 소비자 굳건한 신뢰로 더 큰 수익이 나지 않을까 싶은데요 살면서 못해도 차를 다섯번이상 바꿀텐데...
사토미
16/09/29 19:38
수정 아이콘
지금 당장 성과가 안나오면 임원진들의 목이 날아가니까요
it's the kick
16/09/29 16:53
수정 아이콘
이거 진짜 어떻게 해야되요. 현기도 현기지만 이런 짓이 먹히는걸 다른 회사가 지켜볼걸 생각해보면 정말 끔찍한 일이 될겁니다
마제카이
16/09/29 16:53
수정 아이콘
뭐 저런 문제가 나와도.. 중고가격방어잘된다고 사줄 사람들이 넘쳐나는게 제일 문제죠.. 더불어 기업후렌들리라는 정권 아래에서는 뭐...
16/09/29 16:56
수정 아이콘
몇일전 본글에 다른차들에 비해 가성비,중고판매,AS 등 때문에 현기차 선택할 수 밖에 없다고 하는데..
타다가 죽으면 다 부질없는것 같은데..
16/09/29 17:02
수정 아이콘
르쌍쉐보다 나으니까 어쩔 수 없다는거죠. 능력되면 당연히 외제차가 더 나은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니까요.
16/09/29 18:08
수정 아이콘
+1... 옵션이나 가성비나 A/S 같은 걸 고려하면 르쌍쉐보다 나으니 어쩔 수가 없는거죠...
제이슨므라즈
16/09/29 21:27
수정 아이콘
차알못입니다
르쌍쉐보다 어느점이 그리 우월하여 이런이슈임에도 압도적인 현기차인가요?
16/09/29 17:05
수정 아이콘
뽐뿌 자동차 게시판은 어제 그것으로 활활 타오르고 있더라구요.
제랄드
16/09/29 16:58
수정 아이콘
저도 2011년식 기아차를 몰고 있지만 이런 뉴스를 보면

1. 음? 뭔가 차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2. 에이, 아무리 그래도 설마 (내 현기차가) 달리다가 큰 문제를 일으킬 것 같진 않다.
3. 게다가 전문적인 내용이라 무슨 말인지 조금 알쏭달쏭하다.
4. 설마 죽진 않겠지. 차 바꿀 돈도 없으니 그냥 타자.

뭐 이렇게 되는 것 같아요-_-
율리우스 카이사르
16/09/29 18:16
수정 아이콘
혹시 저랑 같은 사람이세요?
16/09/30 00:15
수정 아이콘
2009년식 포르테쿱 타는데 2~3년차부터 시동을 걸면 털털거리며 잘 안걸리는 현상이 발생했고, 특히 겨울철에 심했으며...
5~6년차 쯤 도로에서 엔진이 꺼졌습니다.
저보다 1년 먼저 아반떼 HD를 타던 회사 동생은 비슷한 시기에 8차선 대로에서 핸들이 멈춰버렸습니다.
10년 탈려고 계획했었는데... 무리해서 차 팔고 르삼으로 넘어갔는데 아직은 만족스럽습니다.
사실 서비스받기는 현기가 월등한데, 위의 경험때문에 현기는 우선 거릅니다.
제랄드
16/09/30 00:22
수정 아이콘
사실 오랜 피지알 눈팅 덕분에 현기차에 대한 생각을 달리하게 되었습니다. 아니 정확히는 진실을 알게 되었다... 가 되겠네요.
댓글은 저렇게 썼지만 저도 다음 차를 구입할 때(어느 세월에...)가 되면 정말 진지하게 수입차 구매를 고민해 볼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제 짐작에 아마도 그 때까지도 현기차는 지금과 같은 이슈로부터 자유롭지 못할 것 같은 예감이 들기 때문이죠.
지니팅커벨여행
16/09/30 09:46
수정 아이콘
제가 쓴 댓들인줄 알았네요;;

이 글 보기 전까지만 해도 내 차엔 일단 해당사항 없네 하고 생각했는데 디젤엔진 거의 다가 저 모양이라니...
차 바꿀 때 다른 회사로 갈아타야겠네요 ㅠㅠ
악동막타자제요
16/09/30 15:48
수정 아이콘
제가 읽으면서 드는 생각이랑 동일하네요.
2011년식 아반떼입니다. 보면서 설마 내차가??
라고 생각이 드네요.
출퇴근용도라 연식에 비해 키로수가 짧아서 그런가 싶기도 하구요.(4만m)
당해보면(??) 생각이 바뀌겠죠?
아리마스
16/09/29 17:03
수정 아이콘
허허.. 현대차가 살아얏 대기업도 살고 나라가 산다구욧!
16/09/29 17:03
수정 아이콘
설마 내가 그 사고의 당사자이겠어?
라는 사고 방식이 지금의 현대를 만들었죠.
16/09/29 17:03
수정 아이콘
일본차 딜러사에 근무하고 있는데 영업사원 소개시켜 드릴까요? 크크 (농담입니다)

작년부터 이어지는 폭스바겐의 삽질에 이어 현기의 꾸준한 뻘짓들로 일본차는 호재네요.

그래봐야 미친 가격정책으로 많이 팔리지는 않겠지만....

피터슈라이어의 디자인을 제외하면 현기차의 최근 행보는 정말 망하기 직전 기업의 그것과 똑 닮아있군요.

이러다 진짜 큰 건 하나 터질라나 모르겠습니다.
리듬파워근성
16/09/29 17:04
수정 아이콘
셋 다 매우 치명적인 결함이네요.
이런 걸 잘도 팔았겠다?
16/09/29 17:05
수정 아이콘
현기차는 땅 살 돈으로 독일 자동차 회사 하나, 일본 자동차 회사 하나씩 사지
하... 정말...
모리건 앤슬랜드
16/09/29 22:42
수정 아이콘
볼보 사려다 안사지 않았나요?
16/09/30 00:30
수정 아이콘
자동차 업계는 어떤지 모르겠는데 소프트웨어 업계는 한국 기업이 인수하면 회사 분위기가 바뀌어서 직원이 이직을 합니다...
김지숙
16/09/29 17:07
수정 아이콘
9월초에 아반떼MD 블루핸즈로 정기점검 갔더니 핸들 커플링 공짜로 바꿔준다는게 저거였다니...........
안그래도 요즘 핸들이 무거워서 운전할때 팔 아파요 라고 징징댔었었는데....
악동막타자제요
16/09/30 15:51
수정 아이콘
헐?? 저 6년차 점검인데 저 핸들 커플링 바꾼다고 5만5천원 들었습니다!! 5년 이상몰면 의무적으로 바꿔야 된다고 하면서 당연한듯 돈을 받아가던데!!
16/09/29 17:10
수정 아이콘
디젤 엔진까지..
최강한화
16/09/29 17:11
수정 아이콘
그냥 1000~1500정도 더 주고 동급의 외제차를 사는게 나은거 같습니다.
차 사면 10년은 탈 텐데 한달에 20만원 정도 목숨값이라고 생각하고 더 투자하는게 나을거 같습니다.
타마노코시
16/09/29 17:24
수정 아이콘
그 생각에 알아보는데 부담은 부담이죠..ㅠㅠ
요즘 SUV를 알아보는데 판매량이나 이야기를 보면 결국 대부분의 지분은 현기차다보니까 안좋다는 것은 알아도 다른 기종은 정보 찾기가 조금 어렵더군요..
16/09/29 17:14
수정 아이콘
분명 현기차나 다른 회사 차나 그게 그거라고 한 댓글을 본 적이 있는데...
바닷내음
16/09/29 18:52
수정 아이콘
사실 다른 회사 차에도 저런 결함이 없다고 장담할수는 없죠.
하지만 대응방식이 저러진 않을겁니다.
소독용 에탄올
16/09/29 20:28
수정 아이콘
폭스바겐이 한국에서 하는 꼴과 현대가 미국에서 하는 꼴을 보면 장담할 수 없다는게 무섭죠....
즐겁게삽시다
16/09/29 17:15
수정 아이콘
흠많무ㅠㅠ
16/09/29 17:20
수정 아이콘
정작 사려고 하면 현기차가 제일 가성비가 좋고 최근 들어 차체 강성이나 파워 트레인은 많이 좋아지긴 했죠.
mpds 문제만 있는 줄 알았는데 꽤나 문제가 많네요. 미국에서만 리콜하면서 내수차별 아니라고 눈가리고 아웅하더니 터질 게 터졌네요.
옵션이나 내부는 현기가 넓게 잘 뽑지만 하도 가격을 올려서 요즘은 비슷한 가격대의 외제차들도 많으니 외제차를 뽑는 게 좋아보입니다.
일본차들도 있고 폭스바겐도 재인증 받고 할테니까요.
아슬란
16/09/29 17:24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것때문에 맨붕입니다.
차 바꾸려고 현재 이것저것 시승중인데
맥시마 랑 k7 2대 정도 결정해놨고.. IG나오면 시승후 최종 계약하려고 했는데 영 애매해지네요.
맥시마가 기본기는 k7과 비교도 되지 않게 좋았으나 편의사항에서는 k7이 좋고 A/S 중고차 가방 등등 생각해서 그래도 국산차로 가야 되지 않겠나?
라고 생각했는데 이런 이슈가 터져다니 ㅠㅠ
바람숲
16/09/29 17:46
수정 아이콘
겉모습 안에 인테리어 생긴 거는 K7이 압승인데(제 기준으로요), 그랜저는 더 멋있게 나오겠죠.
근데 제가 알 수 없는 속은 똑같은 파워트레인 똑같은 MDPS ... 준대형인데도 고속에서 불안하고 ...
그게 과연 2016년에 만들 수 있는 현대기아차의 최선일지 ...
분명 미국에서는 이런 문제가 없지 않을까 하는 의심이 생깁니다.
아슬란
16/09/29 17:26
수정 아이콘
그런데 람다 엔진은 큰 문제가 없는건가요?
현재 구매 예정 중 하나가 k7 3.3 인데 이건 세타가 아니라 람다 엔진이라..
The Special One
16/09/29 17:28
수정 아이콘
확인된건 세타와 디젤인진인데.. 다른 엔진을 싣은 차량들의 차주들도 등일 증상을 호소하는 것을 꽤 보았습니다.
16/09/29 19:02
수정 아이콘
2580에서 언급됐던 제네시스, k7(요건 2.4라면 세타 엔진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프로그램 초반에 비중있게 다루던 그랜저 hg 3.0 lpi가 람다 엔진입니다. 프로그램에서 세타2 엔진이 언급되긴 했지만, 위의 차종들에도 동일 내지는 비슷한 증상이 발생하는 걸 봐선 중형차 이상급 차종들의 총체적인 문제점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함급인 eq900(구 에쿠스 포함)과 k9은 타우 엔진이 들어가니 해당되지 않을 수도 있긴 하겠네요.
16/09/29 17:26
수정 아이콘
하 이래놓고 협력사는 잘도 터는구나
16/09/29 17:36
수정 아이콘
제가 k5 5년 1달 타고나서 노킹이 너무 심해서 엔진교체 했습니다. 240만원 정도 날렸네요.
1달 넘었다고 보증기간 끝나서 안된다고 해서 제 사비 다들어갔고
차 찾으러간 날 공업사에 동일 k5 똑같이 엔진 교체하고 있더군요. 실린더가 벽을 너무 심하게 긁어서 노킹이 너무 심했어요.
tannenbaum
16/09/29 17:37
수정 아이콘
어렸을 때 첫차만 현대였고 이후에는 국산차는 안탑니다. 여건이 안되면 걍 뚜벅이로 살자는 주의라....
수입차라고 문제가 없는 건 아닙니다만 생명과 직결되는 조향, 엔진, 제동 부분에서 그래도 현기보다는 낫기에 죽을 확률을 낮출수는 있지요.
가격방어 안되는건 폐차할때까지 타자는 심정이라 크게 신경 쓰이진 않는데 A/S가 늘 걸리더군요.
비싼건 둘째치고 직영센터가 없으니 믿을수가 있어야죠....
인생은혼자다
16/09/29 17:40
수정 아이콘
김영란 법 다음은 징벌적 손해배상법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여자친구
16/09/29 23:29
수정 아이콘
해도 현상황에서는 좀 답답할겁니다. 왜냐면 위의 문제들을 심각한결함으로 인정안해주는건 현기뿐만아니라 국토부도 마찬가지라서 징벌이 안먹혀요...또르르 ㅜ
바람숲
16/09/29 17:41
수정 아이콘
핸들말고 엔진까지 이러면 진짜 목숨 내놓고 다니는 거네요.
고속도로에서 뭔가 흔들흔들하는 느낌이 있는 현대차보면 초대형트럭 만날때처럼 무섭습니다.
운전자가 졸음 상태인건지, 차가 이상한 건지... 뭐 그런 생각이 들면서요. 둘 다 저에게 위험할 수 있는 상태죠.
도도갓
16/09/29 17:42
수정 아이콘
지난달에 투싼 디젤로 차 바꿨는데..
달토끼
16/09/29 17:42
수정 아이콘
우와 정말 장난 아니네요.
Locked_In
16/09/29 17:44
수정 아이콘
대단하다 진짜... 미국이었으면 상상도 못할짓들을 하고있네. 하긴 여기선 그래도 되니까...
16/09/29 17:45
수정 아이콘
노조는 노조대로
품질은 품질대로
잘돌아가네요 우왕크
쉐슬림 흥하려나
Locked_In
16/09/29 17:47
수정 아이콘
거기는 거기대로 노답인데 현기가 상상초월급이라 양반으로 보이네요...
파랑파랑
16/09/29 17:50
수정 아이콘
그나마 지엠이란 생각이었는데 말리부 시동이슈랑 연식변경에 따른 가격인상 보면 여기도 답은 아니에요.
파랑파랑
16/09/29 17:48
수정 아이콘
주변에 현기차 많이 탑니다. 싸고 옵션 좋고 실내넓고 as 편하고 장점이 많으니까요. 근데 저는 못타겠네요.
가장 중요한 안전을 믿을 수가 없는데 어떻게 타고 다닐 수가 있겠습니까. 에어백부터 시작해서 핸들 잠김, 엔진결함까지 해도해도 너무 합니다.
그냥 차값, 보험료 더 내고 안전한 일본차 탈래요.
어이!경운기
16/09/29 17:49
수정 아이콘
예전에도 썼지만..
일본차 독일차 현대차 동시에 타 본 제 경험에서 쓰자면..

독일차: 제가 타는 차종의 고질적인 문제 발생 합니다. 수리해도 또 발생합니다. 수리비 어마어마합니다.
해당 메카닉들이 웃으면서 '우리 차는 원래 이정도 비용은 낼 수 있는 사람들이 타는 겁니다.' 라는 표정으로 청구서 줍니다.
수리비가 무서워서 AS 연장하고 싶지만, 연장비용도 비싸고 엄청 까다롭습니다.

일본차: 고장이 안납니다. 정기점검 외에는 서비스센터 갈 일이 없습니다. 무상 AS 끝나고 아는 카센터 가도 주요 부품이 신차상태라서
손 볼 곳이 없습니다.

현대차: 4년된 노후차는 고장이 나는거 아닌가요?
이 선은 왜 빼놓으셨죠? 이러니 차가 안나가죠.( 차 하부에 있는 선을 제가 왜.. 어떻게 빼죠?)
브레이크 디스크가 썩었네요.
나라에서 하는 차 정기점검 갈 때 마다 한 번씩 들은 얘기 입니다.

아 세 대의 차 모두 주행거리 및 연식은 비슷했습니다. 차를 많이 타는 것도 아니고 년에 많이 타면 7,8 천 킬로 입니다.
아마안될거야
16/09/29 18:01
수정 아이콘
렉서스 도요타는 정말 기가 막히더군요...
고장나면 바꿔야지 했다가 몇년이고 더 타게 된다는....
최강한화
16/09/29 18:04
수정 아이콘
캠리는 어떤가요?
차 사면 캠리쪽으로 사보고 싶습니다.
1500정도 더 투자해서 10년 타볼라구요(...)
16/09/29 23:41
수정 아이콘
한국은 아니지만 7만 마일 9년째 타고 있는데 잔고장 단 한 번 없네요.
부품 리콜은 4번 정도 있었구요.
16/09/29 18:11
수정 아이콘
저도 주변에서 독일차가 의외로 잔고장이 많다는 얘기를 듣고 놀란 적이 있습니다.

근데 현대차와 일본차의 품질차이도 심한편인가요?

저는 현재차가 도요타 품질수준을 따라왔겠거니 짐작하고 있었거든요.
The Special One
16/09/29 18:13
수정 아이콘
현기와 일본차는 정말정말 큰 차이가 있습니다. 미국시장만 봐도 소나타급은 캠리가 압살(어코드, 알티마에게도 많이 밀립니다), 아반떼급은 코롤라가 압살중이에요. 그랜저(아제라)는 정식 출시조차 망설일 정도입니다. 아반떼는 잘 팔리는데.. 신뢰도 면에서는 넘사벽이라고 말해도 좋을정도입니다.
연환전신각
16/09/30 11:19
수정 아이콘
압도적으로 차이납니다
실제로 모든 차종이 공평하게 경쟁하는 나라 가보면 도로에서 굴러다니는 체감 숫자부터가 넘사벽입니다
중저가형 차는 혼다쪽이 인기고 그 위가 도요타 그리고 약간 더 고급쪽으로 가면 렉서스죠
현대차는 인식 자체가 고급은 전무하고 그나마 가격대 성능비인데 그것조차도 혼다나 도요타에 밀립니다
많이요....
숙청호
16/09/29 17:56
수정 아이콘
끝도없는 이맛헬
클로로 루시루플
16/09/29 17:57
수정 아이콘
이래서 요즘 도요타,렉서스에 관심이 갑니다. 얘네도 북미서 난리난적은 있었지만 해결한지 꽤 됐고 그래도 안전,품질,완성도하면 도요타 아닌가 싶어서요.
Galvatron
16/09/29 17:59
수정 아이콘
폭스바겐은 나쁜놈들이라고는 하나 환경오염에다 사기 좀 친거지....이건 뭐......
16/09/29 18:09
수정 아이콘
일본차 4년째 타는데 잔고장 하나 없네요
(닛산 알티마)
넘 조용해서 시동이 꺼진줄 알고 집에 들어갔다가
밤 새 시동걸려있었던 문제가 있었네요ㅡㅡ
The Special One
16/09/29 18:11
수정 아이콘
배터리는 만땅 충전되었겠네요 흐흐
박용택
16/09/29 18:11
수정 아이콘
뚜벅이 의문의 1승
언제쯤 내차 한번 가져보나 ㅠㅠ
캐터필러
16/09/29 18:28
수정 아이콘
대안이 없어서 흉기를 타신다라...
차라리 1-2년된 중고로 일제차는 어떨까요...


차를 타야지 흉기를 타면 안되요.
캐터필러
16/09/29 18:31
수정 아이콘
http://m.ppomppu.co.kr/new/bbs_view.php?id=car&no=487726

흉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16/09/29 18:32
수정 아이콘
아반떼 디젤 샀는데 껄껄껄
캐간지볼러
16/09/29 18:33
수정 아이콘
음...독일차보다도 일본차로 가야겠군요.
물론 다음차 말입니다...
다행히 지금 차가 현기차는 아니지만서도...
블루씨마
16/09/29 18:45
수정 아이콘
작년 첫차를 조금 무리해서 쏘렌토와 독일차엔트리 고민하다가 독일차로 갔는데 현재까진 1승이네요.. 다음차는 일본이나 스웨덴차로 생각중입니다.
바닷내음
16/09/29 18:57
수정 아이콘
이래서 차 살때 현기차를 제끼고 알아보기 시작했습니다..
백번 양보해서 사람이 만드는거 설계에 이상이 있을 수도 있고 결함이 있을 수 있다 하죠.
근데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일인데 대응이 저래서야 되겠습니까?
이센스
16/09/29 18:59
수정 아이콘
저는 그래서 테슬라로 갈생각입니다. 아니면 중국 전기차라도...
녹용젤리
16/09/29 19:01
수정 아이콘
1년만 더타면 그랜저 tg330 10년 채우는데 다음차는 참 고민되네요.
뒷좌석에 어르신들 태울일이 많아서 G80을 생각중이긴한데 몇년 더 타고 그동안 돈 조금 더 모아서 gt나 렉서스를 뽑아야할듯
16/09/29 19:16
수정 아이콘
진짜 돈차이 얼마 안나요. 왠만함 현기차 안타야합니다.
정신 절대 못차려요. 얼마전까지도 기업이미지 나쁜게 노조 때문이라던 사람들이죠.
도들도들
16/09/29 19:28
수정 아이콘
소나타, 그랜저급이야 그렇다 치고, 나름 명차라고 인정받는 제네시스 이상급도 저런 결함이 다 있을까요.
제네시스 이상급은 결함이 없다면, 이건 못하는 게 아니라 안하는 거 잖아요.
아마안될거야
16/09/29 20:42
수정 아이콘
제네시스에도 ocv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는데 쉬쉬했죠..
이번에 정말 짜증나 죽는줄 알았습니다...ㅡㅡ
16/09/29 19:37
수정 아이콘
쏘렌토 계약했는데 지금 취소 할까 생각중입니다.
하루하루 스트레스를 얼마나 받는지. 일도 안잡히고. 내일 결정해야 할거 같아요.
트루키
16/09/29 19:40
수정 아이콘
이걸 보니 현기가 르쌍쉐보다 가성비가 좋다는 건... 어떤 성능을 말하는 지 모르겠군요.
사토미
16/09/29 19:50
수정 아이콘
차라리 브레이크 결함이 이슈가 되었던 맥시마가 더 안전해보이네요
나이키스트
16/09/29 19:59
수정 아이콘
사람들이 결국 가성비 따지면 현기차라고 하시는데 안전 이슈를 가격으로 환산하면 그것도 별로 메리트가 없어보이네요
치킨너겟은사랑
16/09/29 20:00
수정 아이콘
이래서 제가 캠리로 갔죠.
바람숲
16/09/29 20:45
수정 아이콘
과속이나 와인딩으로 스트레스 푼다. 독일차 (애초에 수리비 들거 감안해서 금액산정, 보통 그렇게 오래 길게 타지도 않기는 하지만 듀얼클러치 미션 등은 10만킬로면 교환하는게 맞다고 대놓고 말할 정도이니까요)
정속 주행, 정숙성, 내구성 우선. 일본차 (렉서스는 요즘 es 300h 말고는 잘 안팔리는 거 같지만, 정말 명불허전입니다)
둘 다 원하는데 돈이 부족하다. 미국차 (분명 우리의 현대기아보다는 몇단계 위의 내구성이 미국의 까다로운 평가에서 입증되어 있습니다. 물론 링컨, 캐딜락에 한해서, 쉐보레는 쉐보레코리아니까 열외로)
고속도로 주행을 전혀, 절대 안한다면 현대기아로 (시내에선 사고나도 높은 확률로 안죽으니까요)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수면왕 김수면
16/09/29 20:47
수정 아이콘
결국은 렉서스인가....
16/09/29 20:47
수정 아이콘
현기차는 어쩔수 없이 사려다가도 이런글 보면 진짜 혐오감이 들어요..새 차 사려는데 걍 3년 탈꺼 현기차 중고 어중간한거 사서 타다 테슬라 나오면 지켜보려는데 중고차 사기도 겁나네요 이건...
16/09/29 21:35
수정 아이콘
여유가 되신다면 렉서스가 답입니다.
차 자체나 파츠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있으시다면 독일차도 괜찮지만 차에 무지+정비소 들락날락 질색이시면 고민말고 렉서스로 가셔야합니다. 4년동안 오일+패드+디스크+타이어만 갈고 탔습니다. 렉서스 커뮤니티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는 오너가 적기도 하지만 차 트러블관련 공유할정보가 없어서기도 하지요.
도라귀염
16/09/29 22:47
수정 아이콘
렉서스커뮤니티 회원인데 차 자체는 만족하는데 커뮤니티에서 요즘 통풍시트 성능이 약한것 때문에 말이 좀 있기도 하고 렉서스가 한국시장에 옵션을 매우 박하게 주는 점이 좀 아쉽긴 하더라고요
블루레인코트
16/09/29 22:07
수정 아이콘
쉐슬람입니다 토스카를 타고 있는데 정말 잘만든 차라고 생각합니다 엔진 갈아서라도 계속 타려고합니다 저도 현기싫어서 이거샀지만 쉐보레는 현기보단 낫다는 생각이 드네요
필요없어
16/09/29 22:20
수정 아이콘
토스카 LPG타는데 잘 만든 차라고는 보기 힘드네요... 가스차 고질병은 다 튀어나오고 엔진 헤드 변형에 캘리퍼 고착 등등 경험해보니 스트레스가 장난 아닙니다. 물론 주행질감이나 고속 안정성은 동급 현기차보다 낫단 생각이 듭니다.
아마도그리움
16/09/29 22:25
수정 아이콘
i30 타고 있는데... 제발 돈모을때까지만 버텨줬으면ㅠㅠ
16/09/29 22:27
수정 아이콘
그린시티 (9미터급 버스) 도 벨트 장력 계산 잘못해서 파워트레인 끊어먹고 있는데,
리콜 안하고 쉬쉬하면서 부품만 뿌리고 있다는 얘기도 있더군요... 총체적 난국입니다...
16/09/29 22:50
수정 아이콘
그래도 국산은 현기차죠. 왜냐하면 르쌍쉐가 가진 건 마이너리티 보정 뿐이니까요. 그럼 결론은 국산 못사겠다인데, 일본차가 답이긴 합니다. 이런 선택 하는 사람 정말 드물지만요.(심지어 최근 일본 수입사들은 가격도 나름 혜자로 팔고 있죠.)
The Special One
16/09/29 22:54
수정 아이콘
닛산이 정말 혜자죠. 미국보다도 쌉니다.
파랑파랑
16/09/29 23:10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르쌍쉐도 알고보면 소비자 기만하는 일이 한두가지가 아니라서 국산차에선 대안이 딱히 없다고 봐야죠.
Thursday
16/09/30 00:20
수정 아이콘
차는 볼보를 타야하는 게 정답인 거 같습니다..
Outstanding
16/09/30 00:31
수정 아이콘
이러나 저러나 우리나라에서 현기차가 잘 팔리고, 소비자 입장에서 봐도 현기차가 경제적으로 보면 이득이기는 하죠. 그래도 사 주지를 말아야 해요. 이번에 차 바꾸면서 좀 더 돈이 들거라는거 각오하고 현기에서 벗어났습니다. 앞으로도 평생 안 탈 계획.. 나중에 형편 안되면 그냥 뚜벅이 하려구요.
롤링스타
16/09/30 02:05
수정 아이콘
아놔 스포티지 계약해놓고 기다리고 있는데 지금이라도 취소하는게 좋을까요? ㅠㅠ
10만원 계약금 보내놨는데 취소하면 이건 어떻게 되는건가요?
라니안
16/09/30 11:52
수정 아이콘
당연히 돌려받습니다
롤링스타
16/09/30 12:35
수정 아이콘
넵 오늘 오전에 취소하고 돌려받았네요.
가성비는 모르겠는데 안전 상 위협이 있다면 피하는게 맞는 것 같아서요.
이제 또 차를 어떻게 알아봐야 할 지 막막하네요ㅠㅠ
스타로드
16/09/30 02:15
수정 아이콘
그랜저 캠리 고민하다 그랜저 샀었는데
... 캠리 살껄... ㅠㅠ
16/09/30 05:26
수정 아이콘
여기서 영업좀 해보자면.. 일본차 정말 좋아요! 한국에선 가격 뻥튀기가 돼서 조금 비싼 편이긴 한데.. 그래도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소모품만 잘 갈아준다면 10년까진 큰 문제없이 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일본차는 도요타, 혼다 한정입니다. 닛싼은 두 브랜드에 비해 문제가 좀 있는 편입니다. 그래도 현기보단 훨씬 낫다고 생각합니다.
싸구려신사
16/09/30 07:53
수정 아이콘
쉐슬람이되길 잘했네요. 준중형탈거면 아방이 슴삼이 제끼고 크루즈로와요
16/09/30 08:19
수정 아이콘
르쌍쉐는 대안이 아니라고 봅니다만...
그렇다고 대안이 없으니 현기 타라는 결론으로 가는 것도 곤란하지요...

르쌍쉐 역시 왜 대안이 아닌가.. 결국 대한민국의 법과 제도의 문제라는 것이고..
이건 정치권력을 조져서 잡아야 됩니다...

불매운동같은 소비자운동도 분명 의미가 있는 행위입니다만...
본문의 쓰레기 행태는 단순 그 정도로 대응할 수준을 넘어섯다고 봅니다...

정치권력을 조져서 법과 제도를 정비하게 하고 자본권력을 제어하게 하여
기업의 저런 후안무치한 행동이 드러났을때 확실한 제제를 가하게 하면 되는 것이죠...

정치권력이 국민을 위해 자본권력을 제어하기는 커녕
지들 배 불리기위해 몰래 삥이나 뜯고 삥뜯긴 기업들은
다시 국민들을 대상으로 삥을 뜯고..
그런 악순환이 만천하에 드러나도 별 죄의식도 책임질 일도 없는..
이런 현재의 상황을 고쳐내지 못하면 대안은 평생 나타지 않을겁니다..
프리템포
16/09/30 09:06
수정 아이콘
직장초년생인 제가 예산 500 달랑 갖고 구할 수 있는 건 현기차 중고뿐이더라구요. 선택권의 폭이 좁긴 해요. 1년간 별 일은 없었지만 이런글 볼때마다 찝찝합니다
[暴風]올킬
16/09/30 13:29
수정 아이콘
지금 차도 현기차인데 몇년뒤에 차를 바꿀예정인데 중형차정도에서는 안전한 차가 뭐가 있을까요? 중고로 살껀데.. 알아보면 볼보가 가장 안전한것같고 일본차중에서는 혼다차가 안전하다고 하는데 이제는 현대차 안살까합니다 아님 우리나라에서 안만든 쉐보레 임팔라 정도가 떠오르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바람숲
16/09/30 14:54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서 계속 안 만든다면 임팔라 괜찮을 거 같습니다.
볼보가 차 자체는 분명 세계제일 안전한 거 같은데, 볼보코리아의 서비스는 엉망이라는 말이 많아서요. 게다가 완전히 터보차저 가솔린 엔진이라, 일반유 주입을 권장할 수는 없을 것이 분명하고요. 새로 출시한 s90이 몇년 뒤면 잔고장에서 자유로운 차인지 아닌지 리뷰가 나올 거 같네요.
고속 주행을 자주하시는 게 아니면, 게다가 잔고장도 적어서 마음 편하게 다가올, 요즘 가격대 나름 저렴하게 낮춰진 혼다 어코드나 도요타 캠리 생각해보셔도 될 거 같습니다.
그런데 몇년 뒤엔 현대기아가 세계제일의 안전하고 고장 없는 차를 만들지도 모를 일... 그럴리 없겠죠?
[暴風]올킬
16/09/30 14:59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역시 볼보도 한국 업체가 문제군요
바람숲
16/09/30 15:56
수정 아이콘
서비스, 어차피 수리죠, 기술자들의 실력이 중요한 건데 (서비스 응대마저 엉망이라는 폭스바겐 따위의 몹쓸 회사도 있지만... 근데 제 차가...),
그 부분에서 서울이냐 지방이냐 서울에 어디에 있는 서비스 센터냐, 어떤 센터의 누가 잘한다더라 라는 말까지 나오는 거 봐서는
애초에 큰 고장이, 가능하다면 잔고장마저도 안나는 차가 좋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뽑기 운처럼 열대 중 한두대에서 보이는 문제더라도 독일차 브랜드 대부분은 그런 걸 가지고 있습니다(한 브랜드 안에서 차종에 따른 차이가 또 있겠지만요). 괜찮은 아홉대에 해당되는 차가 내차라면 좋지만, 그게 아닐 수도 있고 이미 사버린차를 어찌할 수 없어서 센터 들락날락하는 사람이 될 수도 있고요.
그런 면에서 애초에 고장이 적을 것이 높은 확률로 분명한 일본차 그 중에서 렉서스, 도요타, 혼다가 가진 장점이 있다고 보고요.
벤츠와 렉서스 서비스에 대해서는 평균적으로 말이 적은 거 봐선 그나마 괜찮은 코리아 붙은 회사가 아닌가 합니다만 두 회사가 차량 구입시 가장 할인율이 적더라고요. 공짜는 없다는 건가...

차 구입하실 때 되면 오토뷰에 가입하셔서 김기태pd 한테 물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구입하실 때 상황, 차를 보는 관점들을 자세히 적고 관심차종 중에 더 나은 선택에 대한 질문하시면 성실히 답달아 줄 거예요. 활용해 보세요.
제 어머
16/09/30 13:41
수정 아이콘
저런 고질적이고 압도적인 결함이 있는데
뭐가 대안이고 뭐가 낫다는거죠?

중고가, 옵션 같은거 생각해도 기초가 하자품인데
하자있어도 감수하고 사주다보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969 [일반] 타임 紙 선정 "20세기의 인물" 100인 (1) (사진 다수) [20] 유유히21828 17/03/07 21828 0
70343 [일반] 사하라사막 입구 다녀온 이야기 [33] 지구와달6730 17/02/03 6730 21
69848 [일반] 과부제조기 V-22 오스프리 [12] 모모스201312859 17/01/06 12859 6
69681 [일반] 올 해 구매한 수많은 제품들의 간단한 리뷰 [24] 10829 16/12/29 10829 6
69617 [일반] 내가 불혹이라니!? (39세 아저씨 먹거리 일기) [23] 영혼의공원10547 16/12/25 10547 12
69492 [일반] 올해 하반기에 시승해 본 차량들 소감 [95] 리듬파워근성51143 16/12/18 51143 80
68887 [일반] <설리> - America is Already Great [54] 마스터충달9536 16/11/24 9536 17
68819 [일반] 전기요금 누진제가 결국 개편이 되는듯 합니다. [85] Ahri9892 16/11/21 9892 0
68780 [일반] 피식인(피지알 지식인) 후기 [3] 이홍기4789 16/11/20 4789 1
68558 [일반] NBA 농구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가장 불가사의했던 파이널 명경기 [34] 신불해13901 16/11/10 13901 15
68090 [일반] V20 사용 후기 일주일간 사용 후 느낀 장점과 단점 [43] 화잇밀크러버14481 16/10/22 14481 10
67939 [일반] 용산 CGV, 심야, 완벽한 영화 관람에 대하여 [23] Jace T MndSclptr8264 16/10/13 8264 14
67921 [일반] 84년산 서울촌놈의 첫 제주 홀로 여행기 (1) [5] 시즈플레어3853 16/10/11 3853 3
67750 [일반] 최근 현기차에 관련된 이슈들 [117] The Special One13916 16/09/29 13916 6
67729 [일반] 설리: 허드슨강의 기적 [14] Rorschach7161 16/09/28 7161 1
67635 [일반] [단편] 녹색아파트 이야기 [5] 보들보들해요4069 16/09/20 4069 3
67630 [일반] 기내식 이야기 - 배고프니까 (스압/데이터폭탄) [18] spike668739 16/09/20 8739 21
67595 [일반] 막귀보다 조금 예민한 유저의 PC 스피커 후기(스완m100mk2) [29] godspeed8774 16/09/17 8774 2
67494 [일반] 헬조선은 하늘도 헬인가. -서울어프로치 [13] 호풍자8010 16/09/09 8010 13
67474 [일반] 아이폰7이 공개되었습니다. [148] Leeka17869 16/09/08 17869 2
67299 [일반] 역대 누적 천만부 이상 팔린 일본 만화 판매 랭킹 [32] 드라고나15446 16/08/29 15446 0
67229 [일반] [8월] 란닝구 [11] 제랄드4594 16/08/26 4594 9
67217 [일반] 8월 전기요금이 나왔습니다. [81] 12889 16/08/25 1288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