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9/22 14:47:03
Name blackroc
Subject [일반] 볼트액션 소총이 데뷔한 전투

보오(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당시 쾨히니그레츠 전투에서
전장식 머스킷 라이플로 무장하고 진격하던 오스트리아 군은 나폴레옹 식으로 전열을 형성한 후 걸어 들어오다가
후장식 볼트 액션식 소총으로 무장한 프로이센 군의 연사에 그대로 무너져 대패한다.

양측 모두 20만씩을 동원한 가운데 프로이센 군은 만명을 잃고 오스트리아는 3만명을 잃었다.

전장식은 연사가 불가능하고 특수 병과를 제외하고 서서 장전과 사격을 해야하기 때문에 전열이 필수 였지만
후장식 볼트 액션은 연사가 가능하고 포복 상태나 앉은 상태에서도 장전 사격이 가능했다. 여기에서 프로이센군의 방어력과 연사
속도는 오스트리아 군을 능가했고 승패가 갈렸다.

참고로 이당시 소총은 바늘 같은 것으로 탄 뇌관을 쳤기 때문에 니들건이라고 불렀다.

하지만 무기가 언제나 승패를 결정하지 않는 것이었고 후의 보불전쟁(프로이센-프랑스) 당시 프랑스 군은 독일제 니들건보다
우수한 사스포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었으나 졸렬한 황제의 지휘로 대패. 프랑스 국위에 큰 손상을 입게 된다.
덧붙이면 사실 사스포의 성능 때문에 보병전은 보불 전쟁 당시 프랑스의 우세였지만 독일은 포병에서 유리했다.
뭐 이 문제는 1차 대전에서도 그러했지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기니피그
16/09/22 15:15
수정 아이콘
공이가 부실해보이는뎅 고장은 잘안났나요?
드라고나
16/09/22 15:50
수정 아이콘
잘 부러졌습니다. 해서 항상 예비 공이를 가지고 다녔죠
뜨와에므와
16/09/22 15:22
수정 아이콘
화약의 폭발을 견딜수 있는 소재가 중요했겠죠.
제철기술의 발달도 역시 무기의 발전과 함께...
유스티스
16/09/22 15:31
수정 아이콘
유게도 그렇고 자게에도 볼트액션 소총 얘기가 등장하는데 어디에 뭐가 떴나요..
숙청호
16/09/22 16:24
수정 아이콘
AOE3 가 떠오르네요. 제국 후장총
수원감자
16/09/22 18:56
수정 아이콘
유럽이 세계의 중심이 된 것은 전쟁을 너무 많이 하면서 기술혁신을 앞당겼기 때문이 아닐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687 [일반] 러일전쟁 - 영일동맹 [22] 눈시6802 16/09/24 6802 13
67685 [일반] 휴식을 취할 때 듣기 좋은 소리들 [8] 전기공학도8460 16/09/24 8460 17
67684 [일반] 새누리당의 변칙 필리버스터에 대하여(수정) [28] 이순신정네거리9806 16/09/24 9806 8
67683 [일반] [정치] 정기국회 국무위원 필리버스터 진행중 (종료, 김재수 해임건의안 가결) [57] 시네라스9823 16/09/23 9823 1
67682 [일반] 일본 국민가수의 패기넘치는 우익 도발 [28] 예루리14618 16/09/23 14618 6
67681 [일반] 얼떨결에 MBC 9시 뉴스에 출연(?)하게 됐습니다 [30] bongfka12006 16/09/23 12006 22
67680 [일반] 1 [14] 삭제됨9273 16/09/23 9273 1
67679 [일반] 그냥 좋아하는 우타다 히카루의 노래들~ [54] KOZE12057 16/09/23 12057 15
67677 [일반] 오늘 겪은 조금 당황스러운 일 [14] 이센스5003 16/09/23 5003 2
67676 [일반] 아이 앰 어 히어로 보고 왔습니다 - 초식남의 좀비 판타지? [16] 빙봉5722 16/09/23 5722 1
67675 [일반] 혼외 정사 (Extramarital Sex, EMS) 의 과학 [16] 모모스201314523 16/09/23 14523 16
67674 [일반] 뉴잉글랜드는 도대체 어디인가?... [38] Neanderthal12703 16/09/23 12703 16
67673 [일반] 근대 민주주의에 대한 사견 [2] blackroc3809 16/09/23 3809 3
67671 [일반] [영화공간] 배우 하정우와 이병헌을 말하다 [71] Eternity13610 16/09/23 13610 46
67670 [일반] 갑자기 화제가 된 '15학번 권정훈 선배' [60] The xian15556 16/09/23 15556 13
67669 [일반] 빠삭을 알아봅시다.(부제: 스마트폰 싸게 사기) [108] 부처138569 16/09/23 138569 16
67668 [일반] 메갈/워마드 관련글에 대한 당부/공지입니다. [38] OrBef7519 16/09/22 7519 28
67667 [일반] 게시판(스포츠/연예) 분리를 해보니 어떠신가요? [215] 유라11482 16/09/22 11482 4
67666 [일반] 왼손잡이는 왜 생기는 걸까?... [90] Neanderthal11349 16/09/22 11349 28
67665 [일반] 미친놈 못 피한 후기 [104] Secundo13925 16/09/22 13925 3
67664 [일반] [교통] 종로에서 집회 및 행진합니다. [7] 물범4537 16/09/22 4537 4
67663 [일반] 잊을 수 없는 얼굴 [12] 마스터충달5808 16/09/22 5808 7
67662 [일반] 첨성대 때문에 공부한 삼국시대 석조건축물의 역사. [15] 토니토니쵸파6739 16/09/22 6739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