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9/17 10:01:23
Name godspeed
File #1 1474074083_20160618_102323.jpg (85.5 KB), Download : 57
File #2 1474074083_20160618_102339.jpg (90.5 KB), Download : 11
Subject [일반] 막귀보다 조금 예민한 유저의 PC 스피커 후기(스완m100mk2)




35000원 주고 샀던 기억이 있습니다.

에어리언머리처럼 생긴 브리츠 2.1스피커

영화를 보는데 총소리가 너무 리얼해서 놀랬던 기억이 나네요 우퍼는 쓸만한거 같습니다.


좀더 비싼걸 사보자 해서 50000원정도주고 산 브리츠 2.0 두번째 사진에 있는 스피커

뭐가 좋은지는 모르겠는데 35000원 짜리 스피커 보단 우렁찼던거 같습니다.  그냥 더 비싸게 주고 사서 기분탓인가??

아 우퍼 끝까지 올리면 집 전체가 울립니다. 아파트에서는 우퍼 끝까지 올리면 안되요

고음영역 트렘블링인가 그거 올리면 소리 지저분해집니다. 별로예요


그담에 산 스피커가 유명한 보노보스 h1 입니다.   십만원 가량 주고 산거 같습니다.

결론은 브리츠 오만원 주고 산 스피커랑 차이가 없습니다.

이거 가성비갑이라고해서 과연 2배 비싸게 주고산 스피커는 과연 얼마나 내귀를 즐겁게 해줄까 했는데

딱히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이거도 역시 트렘블 올리면 소리 지저분해집니다.

이때까지만해도 제가 우퍼에서나오는베이스소리만 좋아하고 고음영역대 소리를 안좋아하는지 알았습니다.

나중에 알게됐지만 스피커가 후진거였습니다.


마지막 현재 쓰고 있는 스피커는 스완m100mk2

카오디오를 바꾸고 싶어서 동네 여기저기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알게되었는데 무슨 200만원 500만원 이렇게 투자된 카오디오 들어봐도

막상 제 십만원 짜리 스피커보다 별로 좋은느낌이 안들었는데

어떤 카오디오 매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피커를 잠깐 듣게 되었는데

3초 듣고 아 이거 뭐지 엄청나다라는 느낌을 받았어요

듣는 순간 뭔가 소리가 귀에 꽂히는 느낌이라고 해야되나

그 이후에도 2번정도 가서 청음을 하다가 바로 질렀습니다.


산지 한 두달 정도 되어가는데

일단 블루투스가 되는장점이 있습니다.

굳이 피시 안켜도 자기전에 누워서 블르투스 연결 했다가 음악 듣다가 끄고 잘수가 있어요

제가 느끼기에 이스피커는 저음보단 중고음영역대에서 좋은거 같습니다.

저음베이스 조절은 해도 크게 차이가 없고 트렘블은 조절하면 티가 좀 나네요

록 같은거 들으면 안들리던 기타소리도 막 들리고

특히 클래식을 들으면 이스피커의 진면목을 알게되는거 같아요

피시앞에서쓰는거보다 누워서 조금 거리를 띄워서 들으면 더 좋은 느낌이 듭니다. 어떤 공간감이라고 해야되나

그리고 소리를 풀로 땡겨도 시끄럽다는 느낌은 안듭니다. 음이 전혀 안꺠집니다.

이스피커는 pc 스피커는 아닌듯 합니다 크크크

저는 뭐든지 한번에 좋은걸 사는거보다 단계단계 밟아가는 스타일인데

10만 에서 20~30 만 짜리 건너뛰고  48만원 짜리 사게되었는데

너무 만족스럽습니다. 여기에 적응되다보니 차에 있는 순정오디오도 계속 바꾸고 싶어지네요

사진은 링크로 남깁니다.

http://jimmy5148.blog.me/220558871764 

네이버검색하면 제일 위에 뜬 블로그입니다.


여기서 질문좀 하고싶은데

현재 제 스피커에 컴터 사운드 블라스터 사면 소리가 많이 좋아지나요? 그리고 dac 데크?인가 이런거도 달면 좀 소리가 좋아지나요

이다음에는 어떤 피시 스피커로 가야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낳을까요

저는 우퍼 빵빵 거리는 거보다 고음역대를 좋아하는거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갓설현
16/09/17 10:13
수정 아이콘
요즘은 층간 소음땜시 그냥 이어폰 꼽아서 쓰고 있는 저로써는 10년전 단독주택 살때 그냥 틀어제꼈던 기억이 떠올라서 슬프네요 ㅠㅠ

두번째 사진 스피커는 제 사무실 책상 밑에 고이 모셔놓고 행사때만 틀어놓는 귀하신 몸이십니다 크크
16/09/17 10:13
수정 아이콘
최종 종착역은 앰프(리시버) 달고 홈시어터용 스피커 붙이는것입니다. 제가 지금 이 피씨에 그렇게 해놓았습니다. HDMI로 경유 시키고요. 로지테크5.1 쓰다가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앰프가 피씨하고 PS4를 모니터에 스위치 해주고요. 빵빵 들을때 좋습니다. JBL 홈시어터 시스템으로 붙였습니다

사운드 블라스터(ZxR)를 제가 사용하고 있는데요. 요즘엔 보통 헤드폰앰프로 쓰고 있습니다. 250옴 드라이브할려니까... 베어다이나믹 T1인데 보통 음악감상용으로 씁니다.

옵티컬 아웃풋은 은 5.1 무선 헤드셋 (MGR-RF6500) 으로 라우팅했습니다. 게임및 영화시청용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스테레오 피씨 스피커의 궁극점은 오디오엔진 제품이라고들 합니다
16/09/17 10:15
수정 아이콘
으악 스피커.. 스피커라고는 모니터 스피커 밖에 모르는데 가끔 좋은차를 타거나 하면 들리는 사운드는 정말 좋던데 스피커가 워낙 천차만별이라
어디서 부터 어떻게 알아봐야 할지 모르겠더군요,, 그래서 묻어가는 질문인데 m100mk2 요제품 7평짜리 방에서 틀어놓고 음악듣기에 어떤가요?
godspeed
16/09/17 10:22
수정 아이콘
차고 넘칩니다.
사실 이 스피커는 pc 용이 아니라 홈오디오용이라 가까이서 듣는거보다 좀 공간이 있는 데서 듣는게
더 좋은거 같아요
청음해보시고 사세요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고 좋아하는게 다르니깐
다른분들 리뷰보니깐 작은 까페에서 쓰기 딱좋다고 그러더군요
16/09/17 10:23
수정 아이콘
아무 스피커나 달아도 모니터 스피커보다는 좋습니다
부평의K
16/09/17 10:47
수정 아이콘
솔직히 Swan 스피커가 나쁘지 않은건 알고 있습니다만, 예전에 스완 D1010부터 1080, M200 mk2까지 다 써보고 느낀게
이 브랜드 그 당시(2007년-2008년)에는 그럭저럭 가성비 괜찮더니 점점 가격을 올려서 이제는 살만한 브랜드는 아니다라는
겁니다.

게다가 Swan 자체 성향이 요 근래에도 들어봤지만 여전히 부드럽게 튜닝되어 있어서 장르 엄청나게 타는 편이기도 하고...
스피커는 정말로 들어보고 자신의 취향에 맞는거 사야 하는 제품이긴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인티머스나 오디오엔진A2 같은것도 괜찮았고, 블루투스 스피커는 그냥 블루투스 리시버를 좋은 스피커에
달아서 쓰는게 제일 편하다는걸 좀 느꼈습니다.
16/09/17 10:59
수정 아이콘
PC 스피커는 영화 볼 때 좋다고 해서 보스 컴패니언5 쓰는데 그냥 둥둥거리니까 좋구나 하고 있습니다.
카 오디오는 그냥 출고 때 딸려 나온 순정 보스 듣고 있는데 솔직히 그닥 좋은 줄 모르겠습니다.
막귀라서 업그레이드 뽐뿌가 안 와서 다행입니다.
-안군-
16/09/17 11:27
수정 아이콘
Dsp 종류는... 어차피 mp3들은 16비트 샘플링이니까 hdmi면 충분합니다 24/96 사봐야 음원작업 하실거 아니면 의미없어요. 5.1채널 필요하시면 옵티컬 쓰시고요
16/09/17 11:48
수정 아이콘
HDMI도 24/96 전송가능합니다.
-안군-
16/09/17 11:53
수정 아이콘
아... 요즘은 되나보군요;;; 제가 너무 뒤떨어졌니봐요 ㅠㅠ
16/09/17 12:14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HDMI가 5.1 옵티컬보다 더 잘보냅니다, Dolby TrueHD나 DTS HD, ATMOS, DTS:X, uncompressed multi channel등은 HDMI만이 가능합니다
즐겁게삽시다
16/09/17 12:04
수정 아이콘
댓글들이 무슨 소린지 모르는 저는 행복합니다ㅠㅠ
달토끼
16/09/17 12:05
수정 아이콘
막귀로 사는게 행복한겁니다. 하아..
16/09/17 12:11
수정 아이콘
질문 쪽지를 몇개 받아서 여기에 답을 붙입니다.

보통 피씨 스피커는 액티브 스피커입니다. 스피커는 소리를 내는 부분과 그 소리를 내는 부분에 전류를 전달할수 있는 구동부가 필요한데요. 그 구동부가 바로 파워앰프입니다. 액티브 스피커의 경우 스피커에 파워앰프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피씨 스피커 단자에 연결하여서, 그걸 앰프가 증폭시켜서 스피커로 보내지요. 패시브 스피커의 경우 앰프가 내장 되어있지 않습니다. 보통 하이엔드 오디오 스피커나 홈시어터 스피커를 피씨 스피커 단자에 바로 연결경우 앰프가 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모기만한 소리가 날수도 있고, 과부하가 걸립니다. 과부하가 걸릴경우 보호서킷이 있으면, 앰프다운, 아니면 앰프터지는 거지요. 크크

파워앰프는 그러니까, 스피커에 아날로그 소리신호를 증폭해서 보내주는 것이지요

그리고 프리앰프라는 놈이 있습니다. 요즘 프리앰프는 무지 광범위 한데요. 소리신호를 가공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퀄라이저, 베이스및 고음 트렘블 조정, DSP를 이용한 각종 서라운드 효과및, 스포츠모드, 콘서트 모드 등등. 이 프리앰프가 바로 스피커 아웃풋에 붙는다면, DAC가 필요없는 것이고, 옵티컬이나 콕셜 - 디지탈 케이블, 혹은 HDMI에 붙는다면, 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C내장입니다. 24/96이니 뭐니 하는것은 이 DAC가 디지탈 신호를 소리파형으로 변환할때, 파형에 대하여 얼마나 많은 정보를 디지털 신호가 가지고 있느냐 입니다. 이거하나만으로도 새글을 파야합니다.

따라서 DAC, 그리고 프리앰프, 파워앰프 순으로 해서 스피커까지 시그날이 가는데요.

보통 피씨스피커라 함은 DAC와 프리앰프는 컴퓨터가 그리고 파워앰프는 스피커에 내장, 이렇게 되는것이지요.

요즘 하이엔드 마더보드들은 오디오쪽을 완전 분리시켜서 좋은 사운드를 내놓는다 하는데, 사실 컴퓨터 DAC는 하이퀄러티라 하긴 뭐 합니다.(보통 리얼텍칩 사용합니다) 사운드카드가 이걸 컴퓨터안에 있는 오디오부분을 대체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DAC와 프리앰프를 밖으로 꺼내게 되는데요. 각각 분리하면 가격이 너무 높아지고, 요즘 좋은 기기들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먼저 멀티채널이냐 스테레오냐. 영화냐 음악이냐 이런것 부터 고민하고요.

요즘 말하는 스테레오 리시버나 홈시어터 리시버라 함은 보통 DAC + 프리앰프 + 파워앰프 다 포함한 일체형 입니다.

스테레오 리시버를 예로 들어 보자면,

이 스테레오 리시버에 옵티컬과 같은 디지털 단자 연결시, 리시버 안의 DAC를 사용하는 것이고요. 스피커 아웃 연결시에는 피씨안에 있는 DAC 사용입니다.

이렇게 프리앰프와 파워앰프를 독립된 기기로 쓸경우, 스피커 선택지는 무궁무진해집니다. 조그만 북셀프나 플로어 스탠딩 스피커를 붙여도, 액티브 스피커가 감당이 안됩니다.
윤하홀릭
16/09/17 12:13
수정 아이콘
몇년전에 스완스 m10 10만원 주고 샀는데 가성비가 정말 좋았던 기억나네요. 이글보니 다시 지르고 싶네...
녹용젤리
16/09/17 12:13
수정 아이콘
pc 스피커는 6년전에 루비캐럿+A2조합으로 끝냈습니다. 이이상 가는것도 피시에선 별 감흥이 없더라구요.
혼자 밤에 겜할땐 dcd에 헤드폰끼우니 방해도 덜 되구요.


솔직히 50만원 넘어가는 스피커부터는 청음해보길 권장합니다. 스피커마다 브랜드 고유의 특성이 있어서 인터넷에 쓰여진 리뷰나 평가는 믿을게 못됩니다.
내귀에 맞는걸 찾는건 청음 뿐이구요.
동중산
16/09/17 12:22
수정 아이콘
진짜 막귀 중 막귀 입니다만,
조금 사치를 부려서 인티머스 MINI Air+ 를 피시에 연결해서 듣고 있습니다.
블루투스 연결이 되서 매우 편하기도 하구요.
게임은 잘 하지 않지만 영화를 볼 때나 음악들을 때는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나중에는 별도의 AV룸을 만들어 마음껏 소리를 높여보고 싶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16/09/17 12:45
수정 아이콘
이렇게 점점 하이파이의 길에 접어들고....
마스터충달
16/09/18 02:38
수정 아이콘
222 굉장히 위험한 글입니다../
16/09/17 12:51
수정 아이콘
따라서 50만원 피씨스피커 보다는 일체형 리씨버및 하이파이 스피커 추천입니다. 가격은 비슷하게 맟출수 있습니다
ArcanumToss
16/09/17 13:06
수정 아이콘
저는 글쓴님이 두번째로 쓰셨다는 브리츠 2.1 스피커에 차량용 블루투스를 달아서 쓰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니 막귀지만 소리가 좋게 들리기도 하고 블루투스도 지원하게 되니 pc와 맛폰에서 바로 연결할 수 있어서 좋더군요.
저처럼 라이트한 사람들은 저 조합이면 신세계라고 느낍니다.
-안군-
16/09/17 13:24
수정 아이콘
아뭏든 하이파이의 세계에 오신것을 환영하오 나썬이여 크크크...
16/09/17 19:37
수정 아이콘
대딩이라 가성비 좋다고 하던 공방 제품이랑 중국산 저렴이 앰프 쓰고있는데 이거도 만족스럽네요. 두개 합쳐서 20만원밖에 안되는데 나중에 총알이 된다면 드림스피커는 ls50입니다. 디자인이 하악..
샤르미에티미
16/09/17 20:32
수정 아이콘
여기에 낄 사람은 아니지만 오디오는 저가에서 중저가로만 가도 차이가 확 느껴지고 그 위까지는 체감이 확 되어서 투자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거기서 더 위로 가려면 돈 먹는 취미가 되어서 잘 선택해야겠고요.
뒷산신령
16/09/17 20:40
수정 아이콘
집에서 Vivid b1 스피커 쓰는데 좋습니다. 먼길 돌아서 여기까지 왔네요.
질롯의힘
16/09/18 00:11
수정 아이콘
현재, PC 데스크용으로 오디오엔진2 스피커와 하이소너스 UFO DSD DAC을 쓰고 있습니다. 하이파이용으로는 탄노이 북쉘프와 프로악 톨보이, 오디오아날로그, 5.1채널 영화감상용으로는 야마하와 JBL을 쓰고 있습니다. 최근 일렉트로마트가서 기존에 갖고 있던 것들을 싹 치워버리고 사고 싶은 물건을 봤습니다. 드비알레 팬텀이라고 기존 오디오의 개념을 뒤엎는 미래형 오디오입니다. 380만원의 가격대이지만 사용 편리성 디자인,...무엇보다도 소리가 끝장이었습니다. 어차피 끝이 없는 오디오 지름의 길 괜히 앰프바꾸 스피커 바꿔, 소스기기 바꿔 케이블 바꿔 돈은 돈대로 들이고 만족 못할 바에 쓰기 편리한 거 한방에 마련하고 많이 듣는게 상책이라 생각해서 심각히 고민중입니다.
뒷산신령
16/09/18 21:42
수정 아이콘
펜텀이 Av용으로는 가성비가 좋습니다.
하이파이로는 2개 세팅하고 하려면...그리고 저음이 좀 강한편이라..
질롯의힘
16/09/18 23:04
수정 아이콘
자..자..잠깐만요...하이파이 2개로 세팅한다면 1조가 380만원이고, 2개면 760만원이라는 얘기인가요?...이거 나가리네요.
16/09/19 15:09
수정 아이콘
아니 이글을 왜 이제야 읽었지...
라이트한 스피커 관련글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추천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969 [일반] 타임 紙 선정 "20세기의 인물" 100인 (1) (사진 다수) [20] 유유히21828 17/03/07 21828 0
70343 [일반] 사하라사막 입구 다녀온 이야기 [33] 지구와달6730 17/02/03 6730 21
69848 [일반] 과부제조기 V-22 오스프리 [12] 모모스201312859 17/01/06 12859 6
69681 [일반] 올 해 구매한 수많은 제품들의 간단한 리뷰 [24] 10829 16/12/29 10829 6
69617 [일반] 내가 불혹이라니!? (39세 아저씨 먹거리 일기) [23] 영혼의공원10547 16/12/25 10547 12
69492 [일반] 올해 하반기에 시승해 본 차량들 소감 [95] 리듬파워근성51143 16/12/18 51143 80
68887 [일반] <설리> - America is Already Great [54] 마스터충달9536 16/11/24 9536 17
68819 [일반] 전기요금 누진제가 결국 개편이 되는듯 합니다. [85] Ahri9892 16/11/21 9892 0
68780 [일반] 피식인(피지알 지식인) 후기 [3] 이홍기4789 16/11/20 4789 1
68558 [일반] NBA 농구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가장 불가사의했던 파이널 명경기 [34] 신불해13901 16/11/10 13901 15
68090 [일반] V20 사용 후기 일주일간 사용 후 느낀 장점과 단점 [43] 화잇밀크러버14481 16/10/22 14481 10
67939 [일반] 용산 CGV, 심야, 완벽한 영화 관람에 대하여 [23] Jace T MndSclptr8264 16/10/13 8264 14
67921 [일반] 84년산 서울촌놈의 첫 제주 홀로 여행기 (1) [5] 시즈플레어3853 16/10/11 3853 3
67750 [일반] 최근 현기차에 관련된 이슈들 [117] The Special One13915 16/09/29 13915 6
67729 [일반] 설리: 허드슨강의 기적 [14] Rorschach7161 16/09/28 7161 1
67635 [일반] [단편] 녹색아파트 이야기 [5] 보들보들해요4069 16/09/20 4069 3
67630 [일반] 기내식 이야기 - 배고프니까 (스압/데이터폭탄) [18] spike668739 16/09/20 8739 21
67595 [일반] 막귀보다 조금 예민한 유저의 PC 스피커 후기(스완m100mk2) [29] godspeed8774 16/09/17 8774 2
67494 [일반] 헬조선은 하늘도 헬인가. -서울어프로치 [13] 호풍자8010 16/09/09 8010 13
67474 [일반] 아이폰7이 공개되었습니다. [148] Leeka17869 16/09/08 17869 2
67299 [일반] 역대 누적 천만부 이상 팔린 일본 만화 판매 랭킹 [32] 드라고나15446 16/08/29 15446 0
67229 [일반] [8월] 란닝구 [11] 제랄드4593 16/08/26 4593 9
67217 [일반] 8월 전기요금이 나왔습니다. [81] 12889 16/08/25 1288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