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8/25 15:12:06
Name
Subject [일반] 8월 전기요금이 나왔습니다.


8월 전기요금은 43000원이구요. 환경은 이렇습니다.

1. 8~10평 쯤 되는 평범한 원룸입니다.
2. 평상시 전기요금은 2만원 초반대입니다. 컴퓨터 + 냉장고가 주 전력소비요소입니다.
3. 집에 있는 시간 = 에어컨 켜는 시간이구요. 하루 최소 10시간 이상 사용했습니다.
4. 에어컨 바로 밑에 컴퓨터가 있어서 컴퓨터 하는 동안 수시로 켰다 껐다 막 씀.
5. 잠잘때는 27도 절전모드로 해놓고, 겨울담요 덮고 잤습니다.(더블치즈쿼터파운더세트 시키면서 콜라는 제로콜라 시킨격..)
6. 에어컨은 LG벽걸이 에어컨이고 6평형 혹은 8평형이고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은 5등급입니다.


7월에도 펑펑 썼는데 생각보다 얼마 안 나와서 (3만원대 초반) 얼마나 찍는지 보자는 심정으로 진짜 펑펑 틀었습니다.
이렇게 후기로 올려보고 싶은 마음도 있었구요.  요금 감면이 적용된건지는 모르겠는데, 적용된거라면 5만원 넘게 나왔을 것 같습니다.
원룸 사는 분들은 치킨 한 마리 덜 먹는다고 생각하고 펑펑 틀면 조금더 쾌적한 여름을 보낼 수 있어요.
펑펑 쓰면 3만원대 초반, 고의적으로 펑펑 쓰면 4~5만원이라 보면 될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반짝반짝방민아
16/08/25 15:13
수정 아이콘
이건 검침일 기준으로 봐야 할거 같습니다.
16/08/25 15:21
수정 아이콘
사용기간은 2016.07.18 ~ 2016.08.17이니까 가장 더울때 사용한 전기요금입니다.
다시만난세계
16/08/25 15:14
수정 아이콘
부럽네요. 저희집은 에어컨 없이도 거의 7만원이라...
윤가람
16/08/25 15:15
수정 아이콘
7월 25만원 나왔네요... 흐 ㅡ.ㅡ 8월은 거의 50만원 가까이 예상중입니다
또니 소프라노
16/08/25 15:16
수정 아이콘
사실 전기요금은 원룸보다는 일반가정집이 문제죠
16/08/25 15:18
수정 아이콘
원룸사는 분들도 일반가정집 살다 나온 분들이라서 겁나서 에어컨 막 못 트는 분들이 의외로 많아서 어거지로 써대도 폭탄맞기 어렵다를 알려주고 싶었습니다.
16/08/25 15:17
수정 아이콘
원룸은 누진제 적용 안되지 않나요?
wish buRn
16/08/25 15:18
수정 아이콘
적용됩니다. 많이 쓰기 힘들어서 그렇죠.
솔로11년차
16/08/25 17:40
수정 아이콘
일단 냉방공간이 작죠. 겨울 보일러도 동일합니다. 그래서 유재석이 박명수 놀릴 때 겨울에 따뜻하시라고 평수 작은 걸로 분가시켰다고 놀렸었죠.
그리고 누진제라고 해봐야 가구당이라 혼자 사는 집은 그만큼 덜 씁니다.
16/08/25 15:19
수정 아이콘
3인 가족 32평 아파트7월치 10만찍었습니다. 8월이 쪼쿰 두렵네요..
문법나치
16/08/25 15:20
수정 아이콘
원룸은 일반 가정집하고 비교하기 곤란하죠. 다른 전기 들어갈 일이 적어서 누진제 단계적용이..
16/08/25 15:23
수정 아이콘
저도 고향집가면 선풍기 틀고 지내는 터라 비교대상이 아닌 건 잘 알고, 원룸 쓰는 분들에게 공유하고자 1달 실험해보고 올린 글입니다.
16/08/25 15:22
수정 아이콘
원룸이나 혼자 거주하는 소형평형대에서는 전기세때문에 크게 벌벌떨 필욘 없어 보이더라고요
바카스
16/08/25 15:22
수정 아이콘
43000원이라길래 놀랬다가 원룸이라는 글 보고 아..
ArcanumToss
16/08/25 15:57
수정 아이콘
34평형 아파트인데 4만원 안 나왔습니다.
물론 에어컨 없이 삽니다.
마이스타일
16/08/25 15:24
수정 아이콘
원룸은 뭐 사실상 에어컨 요금을 두려워 할 이유가 전혀 없는 청정지역이죠
크라우드
16/08/25 15:25
수정 아이콘
전기세 누진세는 일반 가정도 그렇지만 대가족인 가정집이 불리한 제도죠.
16/08/25 15:26
수정 아이콘
저도 차이가 있는 줄은 알았는데 이정도로 크게 불리한줄은 몰랐습니다. 10만원 정도 예상하고 쓴거였거든요.
-안군-
16/08/25 15:26
수정 아이콘
원룸의 경우에는 에어컨의 효율이 극대화가 되죠. 잠깐만 틀어도 희망온도에 금방 도달하고, 온도가 쉽게 오르지도 않으니까요.
16/08/25 15:26
수정 아이콘
누진제는 인원수 고려는 별로 안되서 집의 인원이 많을수록 불리한 시스템이죠.
16/08/25 15:26
수정 아이콘
더 작은 원룸사는데 8월 9일 기준 14500원 나왔습니다.
제일 더울때는 아니니 담달꺼보면 2만원가량 예상해봅니다.
그런거없어
16/08/25 15:29
수정 아이콘
전 20평에 17000원 나왔네요... 물론 에어컨은 없습니다.
16/08/25 15:30
수정 아이콘
7월 요금표가 어제 나왔는데 33평 4인기준 9만원 나왔습니다. 진짜 에어콘 진짜 어쩔수없을때만 틀었는데도 이정도니.. 8월에는 잘때 27도로 에어콘 틀고잤는데 걱정이네요.
율곡이이
16/08/25 15:30
수정 아이콘
자취 하는 입장에서 저 돈도 아깝게 느껴져요....돈 나가는 곳이 많아서그런지..
보드타고싶다
16/08/25 15:34
수정 아이콘
15평 집에서 하루12시간씩틀었는데.... 이번달 전기요금이 4만원 안나왔습니다
지난달은 2.2만원이었구요
1등급 삼성스탠드에어컨 27도 맞춰놓고 퇴근해서부터 아침까지 계속트니까 의외로 전기세가 적게먹더군요

비슷하게 12시간 에어컨틀은 회사동료는 20만원나왔다고하네요.
24평에서 5등급 벽걸이는 전기세 어마하게 먹더군요
16/08/25 15:36
수정 아이콘
그게 요즘 에어컨 사용 꿀팁이더군요. 에어컨 켤때가 전기를 많이 소모하는데 계속 틀어두면 온도가 유지되면서 실외기도 최소한 가동하기 때문에 별로 안 나온다고 합니다.
16/08/25 15:37
수정 아이콘
누진세의 위엄이네요. 부럽습니다.
고구마아
16/08/25 15:39
수정 아이콘
본문과 상관없는데 맨위에 그림은 한국전력공사 앱으로 확인할수 있는건가요??
16/08/25 15:44
수정 아이콘
카카오페이에서 청구서를 연결할수 있습니다.

http://blog.naver.com/jylovejjlove/220778775985
Meridian
16/08/25 15:40
수정 아이콘
원룸에서 펑펑틀었는데 37000원 나왔네요 크크
16/08/25 15:45
수정 아이콘
행복합니다. 잘 때 틀고자도 얼마 안 나오니 흐흐
싸이유니
16/08/25 15:42
수정 아이콘
이건 어디서 확인하나요??
16/08/25 15:45
수정 아이콘
카카오페이에서 청구서를 연결할수 있습니다.

http://blog.naver.com/jylovejjlove/220778775985
싸이유니
16/08/25 15:5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싸이유니
16/08/25 16:12
수정 아이콘
해볼려고 했는대 원룸건물 통으로 해서 관리비에 더해져 나오다보니 볼수가 없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16/08/25 15:47
수정 아이콘
이렇게 더울때는 혼자 원룸가서 살고 싶네요
16/08/25 15:49
수정 아이콘
여름에만 원룸 잡고 살까..
ArcanumToss
16/08/25 15:50
수정 아이콘
월별_____kWh
15-07_____262
15-08_____273
15-09_____261
15-10_____221
15-11_____226
15-12_____286
16-01_____283
16-02_____445
16-03_____426
16-04_____387
16-05_____329
16-06_____279
16-07_____243

저는 좀 특이한 케이스인데 34평 아파트인데 이렇게 나옵니다.
오히려 겨울에 더 쓰죠.
에어컨을 싫어해서 아예 쓰질 않고 '여름엔 원래 더운 거지. 안 더우면 이상한 거 아닌가?'라고 생각해서 땀 뻘뻘 흘리면서 컴터를 하고 좀 덥다 싶으면 운동으로 땀을 빼줍니다.
그런 다음 샤워를 하면 무릉도원이더군요.
덥다 덥다 하면 더 덥다는 걸 깨달은 이후로는 더운 걸 당연하게 받아들이니 오히려 올여름이 가장 시원한 여름으로 느껴졌습니다.
물도 일부러 따뜻한 물 위주로 먹었고요.
가끔 화채를 해서 먹었고 잘 때는 수박 만한 선풍기 하나 회전으로 틀어놓고 자는데 새벽엔 춥습니다.

오히려 겨울엔 보일러로 거실을 따뜻하게 하고 안방은 바닥의 찬기운만 없앤 다음 라디에이터를 켜고 잡니다.
바닥이 따뜻하면 잠을 못 자는 체질이라...
Artificial
16/08/25 15:51
수정 아이콘
저희집은 5인가족 25만원 나왓습니다.
아 7월달 말입니다.
8월이 기대됩니다....
16/08/25 15:52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혼자 원룸살때는 일년내내 전기세로3만원을 넘었던 기억이없군요.. 흠..
16/08/25 15:56
수정 아이콘
32평 2인 가족 하루 최소 6시간 틀었는데 6월이 12만 5천인데 7월엔 오히려 4천 원 덜 나왔네요????다음 달에 폭탄 맞는 걸까요-_-? 솔직히 한 50만 원 나올 줄 알았는데...
감전주의
16/08/25 15:57
수정 아이콘
평소엔 3만원 정도 나오는데 이번달 391kw 사용해서 요금이 78,000원 나왔네요..
400kw 넘겼으면 지금보다 4~5만원 더 나왔을 거 같네요..
에미츤귀여웡
16/08/25 18:54
수정 아이콘
425 9만7천원 나왔습니다 해당구간을 넘으면 넘긴 것만큼만 누진 됩니다
김피곤씨
16/08/25 16:06
수정 아이콘
원룸인데 에어컨 펑펑 쓰고 2만원 나왔습니다..
글쓴분이랑 다른 점은 에어컨이 에너지 효율 2등급이고, 미니 냉장고가 한대 더 있습니다..
야근을 많이 해서 그런가 아니면 에너지 효율이 높아서 그런가..
시노부
16/08/25 16:11
수정 아이콘
원룸/오피스텔은 가정용 전기세 적용을 받지 않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누진세 미적용 가격이라고 보시면되요.
물론 방이 작기 때문에 에어컨 효율이 좋다거나 냉장고 용량이 작다거나 부가적인 이득도 존재합니다만,
제 체감에선 이게 젤 큰거같아요. 누진세 없다는점!
16/08/25 16:13
수정 아이콘
작아서 많이 쓰기 힘들뿐이지 누진세 적용 됩니다.
시노부
16/08/25 16:37
수정 아이콘
헐..몰랐네요 ㅠㅠ; 확인해봐야겠어요 부들부들... 죽자사자 틀어도 3만원대라 문제없을줄..
마제카이
16/08/25 16:14
수정 아이콘
누진제 적용된지 좀 됐어요.. 안받으려면 사업자등록서가져가야 되더라구요.. ㅠㅠ
시노부
16/08/25 16:31
수정 아이콘
엥..진짜요? 어메...확인해보겠습니다 덜덜... 요금이 맨날 죽자고 틀어도 3만원대라서 누진세 없다고 생각했는데;;
마제카이
16/08/25 16:35
수정 아이콘
ㅠㅠ 제 오피스텔이 한4~5년전인가 부터 사업자 등록증을 요구하더라구요.. 그래서..올해도. 누진제로...16만원 ㅠㅠ
16/08/25 16:12
수정 아이콘
하지만 방세를 더하면 4-50 이 뙇 !!
pgr-292513
16/08/25 16:14
수정 아이콘
말로는 결혼해라 애낳아라 하면서 실제로는 누진세 크리!
혼자사는게 이럴땐 좋긴 좋아요
아이유
16/08/25 16:19
수정 아이콘
340 키로와트 써서 59,480원 나왔습니다.
지난달은 252 키로와트에 33,910원 이구요.
전기는 전달 대비 35% 더 썻는데 요금은 75%가 더 올랐군요...
뽀로뽀로미
16/08/25 16:29
수정 아이콘
원룸치고 8~10평은 그래도 방이 큰 편에 속합니다. 최근 신축원룸 대부분은 6~7평입니다. 낮에 학교나 직장 나갔다가 저녁에 들어와서 다음 날 아침 방을 나갈 때까지 27도 정도로 에어컨 유지하면 평상시 1만5천원인 경우 2만원 후반~3만원대 나옵니다. 땀 식으면 27도만 해도 시원한데 집에 막 들어오면 25~26도 해놔야 시원하다고 느낍니다. 근데 1도 낮추는데 전기요금이 훨씬 더 든다고하니 27도로 놓고 써야 안심할 수 있죠.
16/08/25 16:29
수정 아이콘
34만원 나왔습니다. 흑.....
16/08/25 16:32
수정 아이콘
전 7월 899kwh, 8월 999kwh 나왔습니다. 관리비가 55만원쯤 나왔던 것 같네요
16/08/25 16:39
수정 아이콘
원룸사시는분들은 걱정말고 에어컨 키고 사셔도 됩니다
전 한달내내 켜놔도 234kwh, 3만 2천원 나오네요
친구들이 휴가때 제방와서 컴퓨터랑 플스 잡고있는다는게 함정 크크
비밀번호1111
16/08/25 16:41
수정 아이콘
일본 요금이랑 비교해 보니까
550kw까지는 한국이 싸군요 350kw 정도까지는 일본이 두배가까이 비싸고 ...
일본 사는데 이번달 전기 요금 무섭습니다 ㅠㅠ 이 망할 물가 ...
16/08/25 17:04
수정 아이콘
혼자살때는 일본에서 살고, 결혼해서 한국들어와서 살면 전기요금이 진짜 무섭겠네요.
여자친구
16/08/25 16:41
수정 아이콘
원룸+벽걸이형 에어컨 조합은 펑펑 틀어도 문제없더라구요. 문제는 30평이상의 아파트+타워형에어컨(or 천장형)의 조합...ㅜㅠ
유스티스
16/08/25 16:50
수정 아이콘
16-7평대 원룸?인데 나름 방에 오래 있었는데 청구된거보니 3만원후반이더라구요. 한시름 덜기도 했는데, 본가에서 더워히시는 부모님과 녹아있는 개를 생각하면...
아리골드
16/08/25 17:00
수정 아이콘
누진세의 최대수혜자는 고소득 1인가구라던데 그말이 딱 맞는거같네요.
사악군
16/08/25 17:26
수정 아이콘
4인가족 7월 43,000원 (우리나라는 4,3000원이라고 적어야 하는거 아닌가..투덜투덜)
8월에 어찌 될지 조금 두렵네요. 7월엔 거의 안틀었고 8월에 에어컨을 더 많이 틀어서..
음란파괴왕
16/08/25 17:28
수정 아이콘
10평쯤 되는 집에서 24시간 켰더니 23만원 나오네요. 거기다가 티비에 컴퓨터에... 너무 많이 틀긴 했어서 그냥 피서비라고 생각하기로 했습니다. 크크.
꽃송이
16/08/25 17:49
수정 아이콘
에어컨 킬만큼 켰는데 22,000 나왔습니다..
와이프랑 뭐가 잘못된것 아니냐고 했네요...
애들도 있어서 안킬수도 없는데....
스타로드
16/08/25 19:58
수정 아이콘
저는 엊그제 관리비 고지서 받고 생각보다 적게 나와서 이상했는데 상세내역 보니까 6.15~7.14까지 요금이더라구요. 8월 관리비 고지서여서 7~8월분인줄 알았는데 ㅠ
지르콘
16/08/25 17:50
수정 아이콘
혼자살면 누진제 걱정 안하고 가정을 이루면 누진제 걱정을 해야죠.
그러보니 1인당 소비 전기를 기준으로 한국은 전기료 가싸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긴 했습니다.
미뉴잇
16/08/25 18:25
수정 아이콘
분명 누진제는 불합리하죠. 할거면 식구수에 맞추어서 기준을 따로 해야지..
찍먹파
16/08/25 18:26
수정 아이콘
어제 7월꺼나왔는데 33평 오피스텔 33천원이네요
1평당 1천원인가....
ArcanumToss
16/08/25 18:39
수정 아이콘
흠... 혹시 오피스텔은 가정용 전기가 아닌가요?
산업용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찍먹파
16/08/25 20:58
수정 아이콘
그런가봐요 난방비는 엄청비싸다는게 함정 ㅠㅠ
살려야한다
16/08/25 18:53
수정 아이콘
오늘 7월분 전기료 나왔는데 6040원이네요. 나는 나름대로 에어컨 펑펑 썼는데.. 6평정도 되는 오피스텔입니다.
무무무무무무
16/08/25 19:13
수정 아이콘
투룸 아파트 사는데 7월분 전기요금 만팔천원 나왔네요. 근데 7월 1일부터 31일까지라.... 올해 7월은 하나도 안덥긴 했죠.
돌고래씨
16/08/25 19:14
수정 아이콘
누진제 적용되기도 힘들죠 원룸은
4인가족이 문제...
혼자살기 좋은나라 펄-럭
Outstanding
16/08/25 19:54
수정 아이콘
8평 오피스텔이고 집에가면 거의 20도로 맞춰놓고 잘땐 추워서 겨울이불 덮고 출근할때 끄고 가는데 가끔 남은 치킨이 있으면 상하지 말라고(냉장고에 두면 너무 차가워지까..) 25정도로 켜고 출근하고 그랬는데 평소보다 고작 10만원 더 나왔습니다. 저보다 펑펑 쓰신 분은 아마 없을테니 안심하셔도 될듯..
16/08/25 19:58
수정 아이콘
저희집은 2층 3층 사용하는데 이번달에 나온요금이 4만얼마밖에 안나와서 깜짝놀라서 검침일자확인했더니 본격적으로 더워지기 직전까지더라구요.
아 .. 다음달 전기요금 대체 얼마가 나올지 ㅠ.ㅠ
샤워후목욕
16/08/25 20:32
수정 아이콘
34평 삽니다. 이번달 17000원 나왔내요 지난달 보다 1500원 더 나와서 마누라가 은근 눈치줍니다 ㅠ.ㅠ
하우두유두
16/08/25 22:19
수정 아이콘
41평 살고 7명 삽니다.
아부지 어무니 매형 누나 조카1 조카2 저
이번달 701kw 나와서 30만원 나왔어요
지난달 591kw 니와서 19만원 냈구요
인간적으로 대가족 할인 이라거 해봤자 만원 깍아주는거 어이없다고 생각해요.
누진제 등급 한단계 낮춰줘야하는거 아니에요?
참 이거 핵가족화를 촉진하는 누진제네요
예비군좀그만불러
16/08/25 22:48
수정 아이콘
누진제 때문에 겁도 먹었는데 우리집은 거실 스탠드 안방 벽걸이 에어컨 둘 다 저녁에만 8시 이후로 7시간 이상 틀고 새벽에 껐는데 22만 7천원 밖에 안나왔습니다. 생각보단 괜찮은거 같습니다.
밀로세비치
16/08/25 23:25
수정 아이콘
2인가족 13만원가깝게 나왔네요 스탠드형은 아예쓰지도 않고 벽걸이만 안방에서 썼는데 엄청나게 나오네요

저번달 529정도 썼던데 현재 440정도 썼더군요 진짜 전기세 어마어마하네요
오늘 뭐 먹지?
16/08/26 00:21
수정 아이콘
아기 있는 세가족 250kw 정도 나왔습니다. 비데, 전기밥솥 항상 켜져 있고, 에어컨은 27도로 18시간 이상 돌아가는데.. 생각보다 적게 나와서 ? 했네요.
아. 에어컨 평형이 실제 집 평형 보다 큽니다. 아파트에 걸려있는 실외기를 쭉 쳐다보면, 저희집 실외기가 다른집 실외기 보다 좀 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969 [일반] 타임 紙 선정 "20세기의 인물" 100인 (1) (사진 다수) [20] 유유히21828 17/03/07 21828 0
70343 [일반] 사하라사막 입구 다녀온 이야기 [33] 지구와달6730 17/02/03 6730 21
69848 [일반] 과부제조기 V-22 오스프리 [12] 모모스201312859 17/01/06 12859 6
69681 [일반] 올 해 구매한 수많은 제품들의 간단한 리뷰 [24] 10829 16/12/29 10829 6
69617 [일반] 내가 불혹이라니!? (39세 아저씨 먹거리 일기) [23] 영혼의공원10547 16/12/25 10547 12
69492 [일반] 올해 하반기에 시승해 본 차량들 소감 [95] 리듬파워근성51143 16/12/18 51143 80
68887 [일반] <설리> - America is Already Great [54] 마스터충달9536 16/11/24 9536 17
68819 [일반] 전기요금 누진제가 결국 개편이 되는듯 합니다. [85] Ahri9892 16/11/21 9892 0
68780 [일반] 피식인(피지알 지식인) 후기 [3] 이홍기4789 16/11/20 4789 1
68558 [일반] NBA 농구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가장 불가사의했던 파이널 명경기 [34] 신불해13901 16/11/10 13901 15
68090 [일반] V20 사용 후기 일주일간 사용 후 느낀 장점과 단점 [43] 화잇밀크러버14481 16/10/22 14481 10
67939 [일반] 용산 CGV, 심야, 완벽한 영화 관람에 대하여 [23] Jace T MndSclptr8264 16/10/13 8264 14
67921 [일반] 84년산 서울촌놈의 첫 제주 홀로 여행기 (1) [5] 시즈플레어3853 16/10/11 3853 3
67750 [일반] 최근 현기차에 관련된 이슈들 [117] The Special One13915 16/09/29 13915 6
67729 [일반] 설리: 허드슨강의 기적 [14] Rorschach7161 16/09/28 7161 1
67635 [일반] [단편] 녹색아파트 이야기 [5] 보들보들해요4069 16/09/20 4069 3
67630 [일반] 기내식 이야기 - 배고프니까 (스압/데이터폭탄) [18] spike668739 16/09/20 8739 21
67595 [일반] 막귀보다 조금 예민한 유저의 PC 스피커 후기(스완m100mk2) [29] godspeed8773 16/09/17 8773 2
67494 [일반] 헬조선은 하늘도 헬인가. -서울어프로치 [13] 호풍자8010 16/09/09 8010 13
67474 [일반] 아이폰7이 공개되었습니다. [148] Leeka17869 16/09/08 17869 2
67299 [일반] 역대 누적 천만부 이상 팔린 일본 만화 판매 랭킹 [32] 드라고나15446 16/08/29 15446 0
67229 [일반] [8월] 란닝구 [11] 제랄드4593 16/08/26 4593 9
67217 [일반] 8월 전기요금이 나왔습니다. [81] 12889 16/08/25 1288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