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6/10 13:55:48
Name 모모스2013
Subject [일반] 기생충에 대한 또다른 인간의 방어법 IgE (수정됨)
전에 피지알에 비슷한 내용을 썼다가 지웠는데 홍차넷에 더 보충해서 작성했던 글을 더욱 보충해보았습니다.

기생충에 대한 또 다른 인간의 방어법 IgE

먼저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을 간단히 기술해보면

1. 일종의 정찰병인 Complement ( 보체 ) 라는 것이 우리 몸에 들어온 침입자들 특히 세균 등에 적이라는 표지를 하거나 적 세포에 구멍을 뚫습니다. ( 처음에 적숫자가 적으면 별문제 없으나 적의 인해전술로 이 방법은 오래 못갑니다.)  

2. 일종의 선발대인 Macrophage ( 대식세포 ) 가 나타나 1의 방법에서 표지가 된 적과 그 밖에 적을 먹어버립니다. 하지만 적이 너무 많습니다. 우군들 (다른 면역세포들) 을 불러드리는 신호를 보냅니다. 일부 대식세포가 먹어치운 적을 조각내고 항원으로 쓸만한 것을 추려서 본부로 보냅니다. 일부 대식세포는 적과 싸우다가 산화합니다.

3. 1차 주력부대인 T-lymphocyte ( T세포 )  출동합니다. 우선 대식세포가 보낸 적의 파편 (항원) 에 딱맞는 T세포를 찾아내 속성으로 대량 생성하고 육성시켜서 적을 공격하고 적에 오염된 일부 우리 몸의 세포는 자살시킵니다. 일부 폭주하는 대식세포도 파괴시킵니다. 그리고 2차주력부대인 B세포를 활성화시킵니다.

4. 2차 주력부대인 B-lymphocyte ( B세포 ) 출동합니다. T세포에 활성화된 B세포는 적에게 딱 맞는 수많은 칼들 (항체, Immunoglobulin) 을 생산해서 전장으로 보냅니다. 이 항체들이 적을 구멍내고 적을 포위해서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적의 무기 ( 독성물질 ) 를 무력화시키고 적에게 꼬리표을 달아 적의 은폐, 엄폐를 무력화시켜 대식세포가 인식해서 잡아먹게 합니다.  

상당히 정교한 시스템이죠. 하지만 항상 우리 면역시스템이 우리 몸에 침입한 적을 물리치는 것은 아닙니다. 말라리아의 열원충처럼 회피기술이 많은 적들에게 위 방법을 무한반복하다가 소모전으로 모든 자원을 잃고 숙주가 사망하기도 합니다. 기생충처럼 이런 간교한 적은 항원-항체반응으로만은 물리치지 못하니 뒤에 설명할 IgE를 통해 일종의 자폭공격을 감행합니다.



오늘의 주제인 B세포가 생산하는 이 항체 (Immunoglobulin) 는 보통 5가지로 분류되며 그 5가지는 IgA, IgD, IgM, IgG, IgE 입니다.

IgG 가 가장 중요하며 가장 효율성있게 그리고 specific하게 항원 (주로 바이러스나 세균의 표면단백질들 ) 과 결합하여 바이러스나 세균 등 외부침입자를 제거하는데 결정적인 역활을 합니다. 그 밖에 외부침입원을 분석해서 IgG 가 생산되기전 여러 종류의 IgG가 달려있는 것처럼 별모양 또는 수레바퀴모양의 좀 덜 specific하지만 광범위하게 여러 항원을 공격하는 Ig M 이 먼저 출동해서 외부침입자와 전투를 벌여 시간을 법니다. IgA는 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면역과 관련이 깊고 IgD는 초기에 면역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게 하는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마지막 Immunoglobulin E ( IgE ) 는 기생충들에 대한 방어면역으로도 사용됩니다. ( Ig E는 단백질에 반응하는데 단백질로 이루어진 벌침 독에도 똑같이 반응합니다. 기타 여러 단백질성 항원에 반응합니다.) 평소에 IgE는 다른 Immunoglobulin에 비해 아주 검출하기도 힘들만큼 적은 양만 우리 몸에 존재합니다. 하지만 IgE가 매개가 되는 항원에 여러 번 (적어도 두번)  노출 되었을 경우 폭발적으로 증가합니다. 다른 Immunoglobulin과 달리 IgE 직접 적을 공격하지 않습니다. 우리 몸의 Mast cell에 붙어 적과 아군을 구분없이 공격하는 일종의 코드명 "Broken Arrow"를 때리는 거죠. 원래 "Broken Arrow"라는 말은 전쟁영화에서 많이 나오는 말로 아군 진지에 무차별 폭격을 요청할 때 미군애들이 쓰더라구요. 적군을 막을 수 없을 때 피아를 가리지 않고 아군 진지내 포격을 요청할 때 쓰이는 말입니다.  

한 번 접촉한 항원 ( 무해한 항원이든 기생충의 일부이든 ) 에 대해서 그에 맞는 B-lymphocyte가 IgE를 만들어내고 IgE가 Mast cell에 붙어있게 되고  다시 그 항원이 들어오기만 기다리다 다시 그 항원이 들어오면 또 생산된 IgE가 Mast cell 붙어 ( 처음 것에 추가하여 두개이상 ) Mast cell에서 수많은 화학물질을 쏟게하여 염증을 유발하고 근육을 수축하고 체액을 모이게하여 재채기, 천식, 두드러기 등을 유발시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Broken Arrow"인데 처음부터 때리면 안되죠. 다른 항체들이 먼저 해결할 수 있는지 적어도 한 번은 기다리고 두번째 이후에 나서는 것 같습니다.

기생충은 단세포로 된 세균과 달리 복잡한 외형단백질을 가지고 있어서 우리의 면역시스템은 IgE처럼 좀 비특이적인 면역반응에 따른 물리적인 반응 통해 기생충을 몰아내는 겁니다. 근육세포에 기생하는 선모충의 경우 인간이 선모충에 오염된 고기를 먹고 창자 속으로 선모충이 들어온 경우 창자벽에 일부 존재하는 면역세포에서 이 선모충에 단백질을 인식하고 림프절로부터 면역세포들이 쏟아져나와 창작벽으로 이동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킵니다. 특히 IgE가 분비되어 Mast cell 작동하면 창자에 갑작스러운 경련을 일으키고 체액이 장내로 쏟아져나와 선모충은 장속에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밖으로 씻겨져 나갑니다. 즉 IgE가 매개하여 수많은 화학물질 ( 히스타민포함 ) 에 분비로 인해 우리 몸의 장기가 반응하여 물리적인 방법까지 동원해서 기생충을 제거하는 것이죠. 그 과정에 일명 사이토카인폭풍 (Cytokine release syndrome ) 을 유발해서 우리 몸도 초토화 됩니다. 기생충으로 죽는 것보다 우리 몸을 일부 희생해서 기생충을 몰아낸다면 전체적으로는 이익이겠죠.  "Broken Arrow"

그런데 이런 역할을 하던 IgE가 현대에서는 수많은 알레르기와 천식의 원인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기생충 접촉이 적은 선진국에서는 무해한 항원에 대한 IgE 반응으로 Allergy와 Hypersensitivity은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유없는 "Broken Arrow" 남발이네요. 거의 50%이상이 집먼지진드기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집먼지진드기처럼 상대적으로 무해한 항원을 우리 몸이 우리 조상때 우리를 괴롭히던 기생충으로 착각하고 IgE를 분비하기 때문입니다. IgE가 회충, 촌충, 십이지장충, 편충을 몰아내는데 전력을 기울렸지 집먼지진드기나 고양이 비듬을 구분해 낼만큼 여력이 없었던 겁니다. 오히려 현대에 기생충이 줄어 할일이 없어진 IgE가 이런 무해한 항원에 과민반응하여 우리를 괴롭히는 거죠.

어릴 때 적당히 더럽게 살아야 천식이나 알레르기에 고생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그래서 형이나 오빠를 가진 둘째아이일수록 천식과 알레르기가 덜 심하다는 연구결과로 형이나 오빠가 밖에서 놀다가 더럽고 지저분한 것을 몸에 많이 묻히고 돌아오니 둘째는 상대적으로 어렸을 때부터 많은 항원에 노출되어서 어느 정도 무감각해진다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유전적인 요인도 크고 여러가지 설명법이 있습니다.

치료에는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제제를 많이 쓰며 중증 아토피나 천식 환자들에게 cyclosporine 같은 면역억제제가 투여되기도 합니다. 천식 등에는 에보할러형태의 약도 많이 쓰입니다.  아토피 피부질환에는 그나마 국소적으로 작용해서 비교적 안전한 연고류도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스테로이드제제들이 잘 효과가 없는 심각한 아토피피부에 면역억제제로 그 유명한 프로토픽과 엘리델 등이 널리 쓰입니다. ( Tacrolimus - 프로토픽, pimecrolimus- 엘리델 )

1497년 바스코다가마의 인도항로  https://ppt21.com/?b=8&n=67385
기면증과 Modafinil (왜 감기약을 먹으면 졸릴까?) https://ppt21.com/?b=8&n=67195
선동과 날조로 승부하는 프로파간다 - 나폴레옹  https://ppt21.com/?b=8&n=67118
후장식 드라이제 소총과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 https://ppt21.com/?b=8&n=67088
과민성방광증후군 (OAB, Overactive Bladder Syndrome) https://ppt21.com/?b=8&n=67062
"국왕" 대신 "국가와 조국" 위해 싸운 나폴레옹의 프랑스군 https://ppt21.com/?b=8&n=67042
페라리와 프란체스코 바라카 https://ppt21.com/?b=8&n=66992
2차대전 이탈리아 전투차량은 전부 병맛? https://ppt21.com/?b=8&n=66979
괴물폭탄 (블록버스터, 톨보이, 그랜드슬램, MOP) https://ppt21.com/?b=8&n=66954
세상에서 가장 큰 대포 https://ppt21.com/?b=8&n=66917
유전자조작식물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https://ppt21.com/?b=8&n=66880
똥, 설사 이야기 https://ppt21.com/?b=8&n=66727
도핑테스트와 질량분석기 https://ppt21.com/?b=8&n=66674
일본인은 어디에서 왔는가? - 재레드 다이아몬드 https://ppt21.com/?b=8&n=66511
보스턴홍차사건 (Boston Tea Party) https://ppt21.com/?b=8&n=66148
천연두 바이러스 https://ppt21.com/?b=8&n=65754
불멸의 세포 - 우리는 영생할 수 있을까? https://ppt21.com/?b=8&n=65724
음주에 대한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https://ppt21.com/?b=8&n=65690
쓰레기 유전자 (Noncoding DNA) 와 유전자 감식 https://ppt21.com/?b=8&n=65679
기생충에 대한 또다른 인간의 방어법 IgE https://ppt21.com/?b=8&n=65672
X염색체 - 인간의 기본형은 여성? https://ppt21.com/?b=8&n=65668
포유동물의 각인 - 애들은 엄마, 아빠 누구 머리를 닮나? https://ppt21.com/?b=8&n=65648
밑에 유전자 드라이브(Gene drive) with TED talk 설명글 https://ppt21.com/?b=8&n=65646
흑인 최초 근대 독립국 아이티 https://ppt21.com/?b=8&n=65470
절해의 고도 - 이스터섬 https://ppt21.com/?b=8&n=65421
보톡스 (Botox) https://ppt21.com/?b=8&n=65392
지구에 복잡한 생명체가 살 수 있게 해주는 다양한 요소들 https://ppt21.com/?b=8&n=65336
외계로부터의 생명 전달 https://ppt21.com/?b=8&n=65333
조현병,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에 사용되는 약물 https://ppt21.com/?b=8&n=65307
생명체의 과밀화로 인한 폭력성 https://ppt21.com/?b=8&n=65295
항생제와 항생제 내성 https://ppt21.com/?b=8&n=65264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독 - 황금독화살개구리 https://ppt21.com/?b=8&n=65242
지구의 온난화와 빙하기 https://ppt21.com/?b=8&n=65221
암살자 리신 https://ppt21.com/?b=8&n=65201
세상에서 가장 놀라운 생물들, 동물들의 신비한 능력 https://ppt21.com/?b=8&n=65189
섹스의 진화 - 인간의 배란신호와 일부일처제 https://ppt21.com/?b=8&n=65128
보쌈, 면사포, 결혼반지 https://ppt21.com/?b=8&n=65080
배틀크루저와 자연선택 https://ppt21.com/?b=8&n=65055
가축화된 포유류는 어떤게 있나? https://ppt21.com/?b=8&n=65034
쌀, 보리, 밀 이야기 (자화수분-자웅동주식물) https://ppt21.com/?b=8&n=65012
코카인과 코카콜라 https://ppt21.com/?b=8&n=64989
미토콘드리아 (Mitochondria) 와 인류의 여정  https://ppt21.com/?b=8&n=64967
콜레라와 Cholera toxin 이야기 (설사하면 왜 죽을 먹어야하나?) https://ppt21.com/?b=8&n=64943
커피 이야기 - Caffeine https://ppt21.com/?b=8&n=64908
소주 이야기 https://ppt21.com/?b=8&n=64887
진료비통계지표 - 국민건강보험 (보험진료 통계) https://ppt21.com/?b=8&n=64863
비아그라와 시알리스 이야기 https://ppt21.com/?b=8&n=64842
육두구 이야기 https://ppt21.com/?b=8&n=64818
기생충 이야기 https://ppt21.com/?b=8&n=64765
지헬슈니트 (낫질) 작전 - 1940년 독일-프랑스 전투 https://ppt21.com/?b=8&n=64736
타이레놀과 울트라셋 이야기 https://ppt21.com/?b=8&n=64724
토마토는 과일인가? 채소인가? https://ppt21.com/?b=8&n=64700
정자왕 침팬지 https://ppt21.com/?b=8&n=64675
각국의 의료보험 https://ppt21.com/?b=8&n=64650
판피린 3형제 이야기 https://ppt21.com/?b=8&n=64605
게보린 3형제 이야기 https://ppt21.com/?b=8&n=64581
이부프로펜, Cyclooxygenase, 아스피린 이야기 https://ppt21.com/?b=8&n=64555
적록색맹과 비타민씨 이야기 https://ppt21.com/?b=8&n=64511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동네형
16/06/10 14:00
수정 아이콘
엘지전자 얘기인줄..
모모스2013
16/06/10 16:27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어제 저녁에 LGE 제품 비싸게 하나 주고 샀는데...원래 쓰려던 글은 다른 글인데 밑에 글이라 연관된 것 같아 미리 올라왔습니다. 원래 계획이라면 다음 주 쯤 쓸 계획이었는데...
문정동김씨
16/06/10 14:04
수정 아이콘
제가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는데 병원에서는 면역치료를 권하더라구요. 면역치료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안전한가요?
마법사5년차
16/06/10 14:19
수정 아이콘
집먼지진드기의 경우에는 항원을 계속 주사하는걸로 아는데 고양이 알레르기도 그런건지는 모르겠네요. 효과가 나타날지는 맞아봐야 알듯하고요.
제가 아는 아이들 중 면역치료 받은 아이들이 몇몇 있는데 전혀 효과 없던 아이도 있고, 효과가 있는 아이도 있고 해서 -_-;
문정동김씨
16/06/10 14:39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모모스2013
16/06/10 16:29
수정 아이콘
피부감작테스트로 여러가지 항원을 검사해보고 알러지 반응 일으키는 알러지원을 찾아낸다음 소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16/06/10 14:21
수정 아이콘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아토피나 알러지에 대한 것도 한번 자세히 가능할까요~~
렌 브라이트
16/06/10 14:50
수정 아이콘
만성축농증-만성비염으로 지금까지 그래왔고 앞으로도 계속 평생 고생하게 될 입장으로서 유익한 글이네요 크크.

제 항원은 집먼지진드기-바퀴벌레 라고 하더군요-_-;;;;;

그래도 바퀴벌레는 노출이 안되니 다행인데 집먼지 진드기가 제일 문제.....집안 청소를 열심히 하는 것 밖에는 답이 없는가....
코에 뿌리는 스테로이드제제(나X넥스, 옴X리스 같은.)를 열심히 처방받아서 꾸준히 뿌리는 것으로 요즈음엔 문제 없이 살고 있긴 하지만요.

저런 스테로이드제제를 계속 뿌려대면 결국 나중에 부작용이 생길까봐 살짝 걱정이긴 합니다. 의사들은 장기투약해도 문제 없다는 대답을 해주시지만.
켈로그김
16/06/10 15:08
수정 아이콘
장기투약시 문제가 '전혀' 없을 수야 없겠지만,
낮은 함량을 국소적으로 분사하는 방식이, 종래의 경구투여 방식에 비해 부작용 관리 면에서 탁월(;;)한건 사실입니다.
그리고 그냥 약국에서 구입하는 오트X빈, 화이X벤 같은 비충혈제거제에 비교했을 때도 훨씬 안전하고요.

그러니까... 식염수로 노즈비데를 쌩쌩 돌리는 방법을 제외하고
약물투여를 기준으로 봤을 때, 현재로서는 효과대비 매우 안전한 방법이니 적당~히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용량(횟수)을 오버해서 쓰시면 부작용 확률이 올라갈 수는 있습니다;;
여자친구
16/06/10 16:28
수정 아이콘
오.. 스테로이드제제는 병원가서 처방전 받고 하는건가요? 요즘 매일 오트리빈이나 코프잘인가 뭔가 잘때 뿌리긴하는데 ㅜ 부작용이 덜한 쪽으로 하고싶네요
마법사5년차
16/06/10 16:58
수정 아이콘
오트리빈은 오래 사용하지 말라고 설명서에도 쓰여있을텐데요;; 잘못하면 약물성 비염 나타납니다;
여자친구
16/06/10 16:59
수정 아이콘
헐..그렇군요...
렌 브라이트
16/06/10 18:52
수정 아이콘
스테로이드제제는 전문의약품입니다. 야구선수들이 쓰는거하고는 다른거구요 크.

약 7000원 언저리고 한달 남짓 꾸준히 용량 지키면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SwordDancer
16/06/10 15:12
수정 아이콘
Iga 사구체신염을 앓고 있는지라 익숙한 단어들이 몇몇 보입니다.
담당 주치의가 감기 안 걸리게 조심하라던데 Iga가 인플루엔자와 관련이 있는거였군요. 감기를 좀 자주 앓는 편이었는데 그것 때문이었나(...)
아랑어랑
16/06/10 17:00
수정 아이콘
제가 바르는 연고가 나오니 반갑네요.
저 두 연고 큰 효과 보고 있어서... 저 두연고 덕에 인생이 바뀌었습니다. 혹 아토피 있으신 분은 꼭 시도해보시길...
캐터필러
16/06/10 20:21
수정 아이콘
친척아이가 우유알러지가 심한데
치료법이 별로없나요?
우유성분이 아주조금들어간 가공식품도못먹는수준이라걱정이많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808 [일반] 동물매개치료를 소개합니다. <1편> [12] Timeless5636 16/06/18 5636 3
65698 [일반] [나눔] 또 책입니다. [19] Mighty Friend4279 16/06/11 4279 1
65672 [일반] 기생충에 대한 또다른 인간의 방어법 IgE [16] 모모스201310889 16/06/10 10889 6
65535 [일반] [미드] 페니 드레드풀, 바네사 아이브스의 이야기 (약간의 스포 주의) [14] 마음속의빛7584 16/06/03 7584 1
65338 [일반] [단편] 쓰레빠 [16] 마스터충달3740 16/05/22 3740 11
65337 [일반] [동물] 얼룩이 이야기 [13] St.Archon.3401 16/05/22 3401 10
65333 [일반] 외계로부터의 생명 전달 [31] 모모스201312379 16/05/22 12379 20
65295 [일반] 생명체의 과밀화로 인한 폭력성 [2] 모모스20137944 16/05/20 7944 4
65206 [일반] 묘생역전을 기원합니다 - 이름조차 깨몽이인 예쁜 고양이의 부모를 찾습니다. [27] 날아가고 싶어.4882 16/05/16 4882 7
65202 [일반] [스포] 티파니에서 아침을 보고 왔습니다. [2] 王天君3051 16/05/16 3051 0
65198 [일반] [정보 수정] 곡성 모든 떡밥 이야기글. [스포 대량 함유주의] [55] 애패는 엄마12505 16/05/16 12505 3
65185 [일반] 퇴근하고 생긴일 [9] Redpapermoon5358 16/05/15 5358 7
65180 [일반] 그녀는 어디에(이 글은 4월은 너의 거짓말의 스포일러를 포함합니다) [3] 말랑4135 16/05/14 4135 10
65170 [일반] [줄거리 해석] 곡성은 예루살렘인가, 지옥인가 (스포있음) [86] Eternity35485 16/05/14 35485 58
65128 [일반] 섹스의 진화 - 인간의 배란신호와 일부일처제 [25] 모모스201314647 16/05/12 14647 16
65034 [일반] 가축화된 포유류는 어떤게 있나? [50] 모모스201315390 16/05/07 15390 46
65026 [일반] [5월 이벤트 홍보] 자유게시판을 오글게시판으로 만들어봅시다 [27] Camomile3941 16/05/06 3941 0
64908 [일반] 커피 이야기 - Caffeine [26] 모모스201312017 16/04/29 12017 17
64887 [일반] 소주 이야기 [21] 모모스201310130 16/04/28 10130 11
64765 [일반] 기생충 이야기 [5] 모모스20138026 16/04/22 8026 9
64700 [일반] 토마토는 과일인가? 채소인가? [46] 모모스201315222 16/04/19 15222 9
64651 [일반] <사진영상재업>남초팬덤 걸그룹 AOA 와 러블리즈 [15] wlsak13482 16/04/16 13482 2
64605 [일반] 판피린 3형제 이야기 [29] 모모스201316254 16/04/14 16254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