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1/03 17:21:22
Name InoPB
Subject [일반] 2016년을 맞아 금융 자산을 관리하는 고민과 아이디어를 나눠 봅니다_두번째 이야기
관심있게 봐주신 분들 덕분에, 두 번째 글을 올리게 됐습니다.
여기부턴 개인적인 의견이 많이 들어가니 투자하는데 참고하는 정도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소득공제 활용_연금(개인연금+IRP)

요즘 창구에 앉아 있으면서 가장 많은 질문을 들은 부분입니다.
개인연금 400만원(13.2%), IRP에 추가 300혹은 단독 700만원(16.5%_연소득에 따라 13.2% 적용) 납입이 가능합니다.

두 가지 포인트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하나는 연금으로 받지않으면 페널티가 16.5%만큼 적용됩니다. 노후자금이지, 중간에 출금은 상당히 어렵습니다.
다른 하나는 연금계좌 안에서 투자하는 형태에 대한 것입니다.

1) 고정금리로 안전하게 자산을 늘리고싶다(연간 2%내외)->은행
2) 연금 수령시 종신형으로 받고 싶다->보험(은행, 증권에 모아두셨다가 수령 하실때 연금이전하셔도 되십니다)
3) 다양한 형태의 투자를 통해 연금자산을 늘려보고 싶다->증권
  -1) 안정적인 형태로 자산을 늘리고 싶다(연간5~6% 목표)
     : 가장 많이 물어보시는 형태입니다. 정확한 답은 없습니다만, 현실적인 대안 3가지 정도를 말씀드리면
       한국밸류10년, 신영밸류고배당, 에셋플러스쪽이 근 10년간 연평균 5% 이상의 수익률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다만, 1~2년 성과는 부진할 및 지루할 수 있습니다. 그게 3~4년도 지속될 수 있고요.
       혹은, 미국시장에 대한 투자입니다. 장기 투자성과는 미국주식에 한해 다양한 자산들을 이겨내고 있는 기록이 있습니다.
  -2) 공격적인 투자로 자산을 늘리고 싶다(연간 10% 이상 목표)
     : 연초에 시장효과를 누리는 것과, 각종 이벤트 드리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들어 연초에 코스닥 상승률은 상당히 좋습니다, 중소형주 펀드(설정액이 무겁지 않은)를 들어가서 10~15% 수익률 확보 후 휴식,
       심천 시장 개방을 노리며 본토와 심천에 투자하는 중국 펀드(설정액이 무겁지 않은)를 들어가서 10~15% 수익률 확보 후 휴식
       등등 여러가지 아이디어를 통해 빠르게 목표 달성을 하고 현금 보유하는 전략입니다.
       다만, 실패 시에는 1~2년간 시간 혹은 잘못된 판단(예를 들어 2000년대 중반 브릭스...)라면 손실을 감수해야 합니다.
       설정액이 무겁지 않은 이라는 단서 조항을 둔 것은 펀드가 거대해져 있으면(물린 사람이 많으면) 성과가 나오면 펀드 환매가 나오고,
       시장과 운용하는 전략이 맞는다고 하더라도 펀드 환매때문에 수익을 온전히 쌓아가기가 어렵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 중 스스로 감내할 수 있는 위험 및 성향에 따라 투자 패턴을 정하시면 될 듯합니다.


2) 매달 모아가는 자금의 투자 형태

-1) 위험 감수 : 성장이 나올 것이라고 믿는 국가에 장기 투자하시면 됩니다. 시간 분산 효과로 인해 최고는 아니지만 차선의 결과가 나오며,
                      해당 국가(EX:중국, 미국)에 대한 믿음이 있는 상태라면 심리적인 어려움도 덜하게 됩니다.
-2) 위헙 중립 : 1년 단위로 적립을 하면서 일정부분 쌓이면 안전자산으로 돌리는 형태의 투자로 가시면 됩니다.
                      적립형 모아진 투자 자산이 커져있을 때 큰 위험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3) 위험 회피 : 예금이죠..예금..


3) 모아진 돈의 투자 형태

-1) 위험 감수 : 시간, 지역 분산을 통한 자산을 나눠 가져갑니다. 그렇지만 연간 단위로는 점검하면서 현금화를 하셔야합니다.
                      1분기에, 코스닥_상해심천_미국_독일 10%씩 투자, 2분기에 상해심천_미국_독일 10% 투자, 3분기 미국_독일_일본 10% 투자뒤
                      연말에 자금 회수 이런식으로 전략을 세우면서 가져가시면 좋을 듯 합니다.
-2) 위험 중립 : 시간 분산을 통한 ELS 투자, 앞서 쓴 장기 성과가 좋은 펀드 및 시장에 대한 투자정도입니다.
                       그리고 고정금리 상품 중, 코코본드를 활용해 볼 수 있겠습니다.
  -3) 위험 회피 : 전자단기사채와 각종 특판RP, 조건과 시기에 따른 원금보장상품 투자입니다.
                       2014년 원달러환율연계DLB의 경우 5~7%가 나오는 사례가 종종 있었습니다.


이상의 투자 형태 결정에 있어, 일반적인 펀드 대신 ETF, ETN을 활용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분
새로운 형태의 고정금리 및 신용연계 상품이 때때로 등장할 수 있으니, 그건 관심을 갖고 지켜 보셔야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홈플러스 신용연계DLS의 경우도 연 4.2% 정도 수익인 상품도 있었습니다.

어느 정도 보수적인 형태를 감안하면서 글을 썼습니다.
이유는 올해 시장이 불안정한 리스크가 많기 때문입니다..
브라질과 남유럽 국가들의 긴축 반대,
유가 하락으로 인한 산유국들의 경제 악화 및 지정학적 리스크 발생,
중국의 시장 개방이 실패 할 경우, 시장 하락 및 우리나라는 직간접적인 큰 피해,
가계 부채의 증가 속에서 부동산 침체와 ELS의 H시장 쏠림 현상 등..

아무쪼록 위기 속에서 또 답이 있으니 현명하게 대처하셔서 자산을 잘 지키시고,
항상 위기를 기회로 삼아 큰 자산 증식을 이루시길 응원하겠습니다.

틀린 부분이나 궁금하신 점, 보완할 수 있는 아이디어있으시면 적극적으로 지적하고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개떵이다
16/01/03 19:06
수정 아이콘
농협파워자유연금 보험도 일시불 수령할 때
16.5프로 수수료 떼가나요?
벌써 23회 510000원씩 납입인데 ㅠ
16/01/03 21:53
수정 아이콘
저 예시는 연금저축이고요
파워자유는 연금보험이라 때지않습니다
대신 세액공제가 없지요
개떵이다
16/01/04 01:39
수정 아이콘
비과세에 배당에 복리라던데
안 좋은것 같네요 ㅠ
16/01/04 02:53
수정 아이콘
23회하셨으면 집구입같은 돈 쓸일생길때까진 걍 가시는게 좋을듯합니다
16/01/03 22:43
수정 아이콘
헉 51만원씩 납입하시나요???
원금 17만원 + 추가납입 34만원 형태인거죠???
아니면 좀 큰데요......
개떵이다
16/01/04 01:38
수정 아이콘
그냥 원금 51입니다 ㅠ
원금이 세면 사업비도 많이 뗀다고 들었는데ᆢ
16/01/05 01:24
수정 아이콘
아이고 ㅜ ㅜ 사업비랑 최저보증이율 알 수 있을까요???
16/01/03 22:40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결혼하고 나니 아무래도 이런 글에 관심이 가게 되네요. ㅠㅠ
잉크부스
16/01/03 23:58
수정 아이콘
이런 종류의 상담을 받으려면 어디에가야 하나요?
최근 연봉이 꽤나 상승하여 절세 니즈가 높은데 말이죠.. 은행에가서 그냥 상담하러왔다고 하면 미친놈 소리 들을거 같구요.. 비용이 들더라도 전문 자산운용 상담을 받고 싶습니다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015 [일반] 우리나라에서 일일 최대 적설량이 가장 많았던 지역 Top10 [13] 김치찌개7695 16/01/10 7695 1
63014 [일반] [의학] 심폐소생술, 분당 100회를 어떻게 하나? [40] 토니토니쵸파8951 16/01/10 8951 7
63013 [일반] [응팔] 어쩌면 김정환은 우주비행사가 되지 않았을까??? [41] 파랑니8497 16/01/10 8497 2
63012 [일반] 태양 vs. 프록시마 센터우리...최종 승자는 과연?... [19] Neanderthal7733 16/01/10 7733 5
63011 [일반] 응팔 얘기나온김에 3회 때쯤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3] will5404 16/01/10 5404 0
63010 [일반] 노쇠해져 가는 달라이 라마와 불안한 티벳, 무장투쟁인가 비폭력인가 [6] 군디츠마라4814 16/01/10 4814 1
63009 [일반] [스포] 내부자들과 내부자들:오리지널을 둘 다 본 입장에서. [27] 화이트데이12225 16/01/10 12225 2
63008 [일반] 새누리당 인재영입 1차 발표가 있었습니다. [29] 마빠이8343 16/01/10 8343 2
63007 [일반] 어떤 직장인 이야기 [4] 흰둥5139 16/01/10 5139 0
63006 [일반] 나에게 일어난 막장 드라마 스토리 입니다. [72] mix.up11688 16/01/10 11688 3
63005 [일반] [응팔] 저는 정환이 고백신 굉장히 잘만들었다고 봅니다. [76] 하만9233 16/01/10 9233 7
63004 [일반] 1 [20] 삭제됨9467 16/01/10 9467 0
63003 [일반] [스포] 응답하라 1988. [102] 새로미12904 16/01/09 12904 2
63002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흥행 수입을 올린 스포츠 영화 Top10 [25] 김치찌개6985 16/01/09 6985 1
63001 [일반] 1월 10일 시사매거진 2580에서 스베누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29] 공유는흥한다12583 16/01/09 12583 3
63000 [일반] 코리안 루트를 찾아서: 환빠와 환까 사이에 [24] 삭제됨5658 16/01/09 5658 2
62999 [일반] 군인을 사람답게 대접하자 [45] 이순신정네거리8356 16/01/09 8356 15
62998 [일반] 성남시의 무상복지정책 [111] 에버그린15180 16/01/09 15180 26
62997 [일반] 최근 3~4년간 아스날에선 누가 많이 뛰었나? [6] 광기패닉붕괴4368 16/01/09 4368 1
62995 [일반] 15/16시즌 리버풀 관련 통계 몇가지. [6] 광기패닉붕괴3406 16/01/09 3406 0
62994 [일반] 우리나라가 닭고기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 Top10 [16] 김치찌개6169 16/01/09 6169 1
62993 [일반] 우리나라가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국가 Top10 [4] 김치찌개4106 16/01/09 4106 1
62992 [일반] PGR 비속어 리스트를 갱신하는 작업에 참여해주세요 [35] OrBef8060 16/01/08 806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