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8/22 16:32:56
Name 콩콩지
File #1 스크린샷_2015_08_22_오후_4.31.40.png (197.8 KB), Download : 55
Subject [일반] 야망의 시대 - 새로운 중국의 부, 진실, 믿음


야망의 시대 - 새로운 중국의 부,진실,믿음 - 에번 오스노스, 열림책들, 564페이지, 2015년 7월 10일 출판

<야망의 시대>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뉴요커지의 중국특파원으로 있던 에번오스노스가 쓴 중국에 대한 책이다. 2014년 전미도서상을 수상한 책이다. 오바마가 동네서점에서 직접 골랐다고 해서 한번 더 유명해진 모양이다.  제목이 암시하듯이 <야망의 시대>는 개혁개방이후 중국인들이 어떠한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지, 개개인들의 욕망과 야망이 어떤식으로 분출되고 억압되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이 가지고 있는 차별점이라면, 중국은 이러이러한다더라라고 전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기자가 발로 뛴 결과물을 책으로 만들어 냈다라는 점이다. 해외여행을 가는 중국 중산층들의 심리를 파악하고자 기자는 직접 패키지 유럽여행을 가기도 했다. 기자는 책에 나오는 거의 모든 인물들을 직접 만나서 얘기를 듣고 있다. 기자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서 인터뷰이들과 수년에 걸친 친분관계를 맺고 있다. 심지어 상대방의 할머니, 할아버지도 소개받고, 저녁식사에도 초대받을 만큼. 그래서 더 생생한 이야기와 배경상황을 들을 수 있다. 책에 전체에 걸쳐 흐르는 유머감각으로 미루어봤을 때 아마 기자의 친화력이 뛰어나고, 스스로가 중국어에 능통했기에 가능했을 것 같다.

책에는 유명한 인물부터 이름없는 인물까지 수많은 사람들이 나오지만, 그들을 통해 현재 중국을 느끼고 바라보는 개개의 중국인들의 태도가 고스란히 나타난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대만의 군인이었지만 조국을 버리고 헤엄쳐서 중국으로 건너와 종국에는 세계은행의 수석경제학자가 되었지만 아직도 고향 대만땅을 밟을 수 없는 린이푸, 최초로 감옥에서 노벨상을 수상한 류샤오보, 반체제적인 예술가 아이웨이웨이, 맹인이지만 시골에서 억울한 일을 당해 가족들이 읽어주는 법률책으로 법률을 익혀 이웃들을 도와주다 정부에 가택연금까지 당해, 미국 대사관을 통해 결국 미국으로 망명까지 하게 된 천광청, 판사들에게 뇌물을 효과적으로 먹이는 방법을 알려주는 사업가, 보잘것없는 위치에서 철도부의 최고 수장이되어 고속철도 건설을 주도했지만 결국 부정부패와 40여명이 사망한 철도사고로 몰락하게 된 류즈쥔, 영어를 배우는 것만이 출세길이라고 절실히 믿는 마이클장, 중국최초의 온라인데이팅 사이트를 만든 공하이옌 등등이 그 구체적인 사람들이다.

서로 관련성이 없어보이는 천차만별의 이야기를 묶어주는 것은, 이를 포괄하는 시각이다. 기자는 중국의 시대착오적인 정부통제가 어디까지 가능할지, 언제까지 가능할지에 주목한다. 그전에도 중국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통제하는 것이 우스꽝스럽다고는 생각했지만, 자세히 알게된 중국의 모습은 황당할 정도다. 한자녀정책을 어긴 집에서, 상응하는 벌금을 낼 수 없는 경우가 생기면, 임산부의 며느리나 시아버지를 외딴 건물에 가둬놓고 며느리를 압박한다. 물론 정부는 부인하지만 기자가 직접 만나서 확인한 것이다. 인터넷에서 올리지 말아야할 키워드나 언론보도지침이 매일매일 상부에서 내려오지만, 그 부서가 있는 건물의 위치는 공식적으로는 부인되어서 어떠한 항의방문이나 이의제기를 할 수 없다. 재미있게도 중국의 인터넷사용자들은 정부방침을 어겨서 삭제되거나 차단된 웹사이트나 포스팅을 보고, 후진타오주석이 강조한 조화로운 사회를 빗대,  웹사이트가 '조화되었다'라고 표현한다고 한다. 요즘에는 시진핑주석의 '중국꿈' 표현을 비꼬아서 '꿈속으로 사라졌다'라는 말이 유행한다고 한다.

물론 기자는 중국의 권위주의적인 통제를 직접적으로 비판하지는 않고 다만 보여줄 뿐이다. 이쪽 끝에 있는 인물을 보여주면, 저쪽 끝에 있는 인물을 보여주는 것도 잊지 않는다. 중국 정치의 부패와 어리석음을 냉소하는 블로그로 중국에서 가장 많은 블로그 조회수를 보유한 한한과, 민주주의에 대한 적개심과 중국에 대한 무한한 애국심을 표출해 기록적인 조회수를 기록한 유투브 동영상을 만든 칭화대졸업생 탕제를 대조해서 보여주는 식이다.  

경제나 정치적인 면에서 거시적으로 중국을 분석하거나 중국 정치사의 거물들을 분석한 미시적인 책들도 많다. 하지만 그 외에 13억 인구를 구성하는천차만별의 사람들을 이렇게 생생하게 읽어내는 책은 적어도 우리나라에는 없었던 것 같다. 중국에 여행을 갔다온적은 있지만 내가 갔다온 식으로는 100번을 가도 느끼거나 알 수 없었을 것들이 많다. 여행기는 아니지만 직접 중국에 갔다온듯한 느낌이 들었다. 책이 무슨무슨 상 받았다는 걸 눈여겨 보지 않지만, 전미도서상 수상작들을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이들만큼 훌륭한 책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ohmylove
15/08/22 16:37
수정 아이콘
한한이란 분은 신변에 문제 없는지가 궁금하네요.
콩콩지
15/08/22 16:42
수정 아이콘
자세한 얘기는 못적었지만 아이웨이웨이나 류샤오보처럼 극단적으로는 안가고, 정부가 용인하지 못할 만큼의 선은 안넘어서 괜찮다고 합니다. 요즘은 더이상 그런글을 쓰지 않는다고 하네요.
ohmylove
15/08/22 16:5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그리고 탕제란 분은.. 민주주의를 싫어한다면.. 공산당독재를 좋다고 생각하는 건가요?
콩콩지
15/08/22 16:59
수정 아이콘
중국내에서 민주주의를 외치는것은 중국을 곤경에처하게 하려는 서양의 시도에 동조하는것이라고봅니다. 일당독재에 관해서는 기자가 비슷한질문을 던졌을때 일당독재가 민주주의와 대등한 정치체제일수있다는점을 서양이 인정해야한다고 하더라구요. 흥미로운점은 탕제라는사람이 서양철학석사가 있고 대학에서 플라톤을 강의한적도있다는것입니다
ohmylove
15/08/22 17:10
수정 아이콘
또다시 답변 감사합니다.

서양철학을 공부했다는 사람이 그런 생각을 가진다는 게 신기하네요.
yangjyess
15/08/22 17:22
수정 아이콘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는 민주주의 별로 안좋아했죠... 크
카롱카롱
15/08/22 19:35
수정 아이콘
중국 집단 지도 체제를 옹호하는 학자들이 요새 미는게 민의 와 민심 일거에요.
민심 (경험적 국민의사) 민의(추정적 잠재적 국민의사)로 어차피 민심은 반영하기 어렵고 그렇다면 대의제 간접 민주주의보다
엘리트들의 집단 지도체제가 민의를 잘 반영한다...뭐 이런거 같습니다
오세돌이
15/08/22 18:18
수정 아이콘
오래전부터 중국인의 뿌리깊은 돈에 대한 집착이 궁금했습니다만.. 그 부분에 대한 궁금증도 조금 해서할 수 있을까요..?
highfive
15/08/22 18:47
수정 아이콘
발제글은 아니지만 동양사 전공하신 기아트윈스 님의 댓글이 생각나네요.
https://ppt21.com/?b=8&n=57057&c=2150030
오세돌이
15/08/23 07:2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
나가사끼 짬뽕
15/08/22 19:51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이 책 소개글이 흥미로워서 일단 사놓기는 했는데 얼른 읽던 책 마저 읽고 봐야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048 [일반] 서울시, 도철 성남여주선 운영 불허에 개통 연기 불똥 [16] 군디츠마라6651 16/03/12 6651 4
63980 [일반] 독일에는 쾨니히스베르크가 없다? - 쾨니히스베르크 + 폴란드 이야기 [26] 이치죠 호타루7503 16/03/09 7503 18
63512 [일반] 북한의 핵 개발을 도와준 3명의 전직 대통령과 그 하수인들---이런 톡이 돌고 있습니다 [124] 김익호12452 16/02/12 12452 3
63450 [일반] 제3차 국가철도망 계획 확정 [66] 노름꾼12813 16/02/07 12813 0
63419 [일반] 러시아, 저유가에 재정난 심각 "국영기업 민영화로 자금 조달" [26] 군디츠마라9343 16/02/04 9343 0
63187 [일반] 아프리카의 산 속의 소국, 레소토 [15] 이치죠 호타루9457 16/01/19 9457 19
63154 [일반] 한상진 "이승만 국부 발언 너그럽게 이해해 달라" [125] 에버그린12042 16/01/17 12042 1
63028 [일반] 앞으로의 예능판은 어떻게 바뀔까요? [22] 굿리치[alt]6120 16/01/11 6120 0
62970 [일반] 철도는 있는데, 역이 없다고...? [26] 이치죠 호타루8730 16/01/07 8730 28
62936 [일반] 지리와 친해지는 한 가지 방법 [34] 이치죠 호타루6408 16/01/05 6408 7
62928 [일반] 『1차대전 프랑스군史』 제17계획은 알자스-로렌 공세를 포함하지 않았다. [20] 선비욜롱4375 16/01/05 4375 5
62907 [일반] 피지알배 사소한 지식 경연 대회 결과 발표입니다. [29] OrBef5684 16/01/04 5684 10
62830 [일반] [지식] 위성사진으로 본 백두산 인근 철도의 실상 [67] 이치죠 호타루13701 15/12/30 13701 70
62514 [일반] 지어지지 못한게 너무나 아쉬운 노선.jpg [13] 군디츠마라11106 15/12/12 11106 3
62232 [일반] 서울지하철 노선별 적자 수준.jpg [125] 군디츠마라16826 15/11/27 16826 7
62069 [일반] 아메리칸 프로그레스 또는 아메리칸 트래지디... [10] Neanderthal4941 15/11/17 4941 1
61771 [일반] 박근혜 집권 이후 지금까지의 국내정치 이슈들.txt [165] aurelius11797 15/10/31 11797 10
61661 [일반] 국내 철도역 이용객 순위 (2014) [47] D.TASADAR13292 15/10/24 13292 2
61093 [일반] 마르크스의 통찰력: '공산당선언' [10] seoulstar5078 15/09/22 5078 7
61034 [일반] '장군의 아들' 김두한에게도 친일 의혹이 있긴 하네요 [38] 군디츠마라9504 15/09/19 9504 1
60971 [일반] [1][우왕] 희대의 막장선거 - 1876년 미국 대통령 선거 [49] 이치죠 호타루10706 15/09/17 10706 66
60486 [일반] 야망의 시대 - 새로운 중국의 부, 진실, 믿음 [11] 콩콩지7044 15/08/22 7044 4
60272 [일반] 여름 갑자원, 제가 한 번 구경해봤습니다. [15] 烏鳳10704 15/08/09 10704 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