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4/12 14:02:39
Name swordfish-72만세
Subject [일반] 로마사에서 등장하는 강력한 스포츠 서포터들

고대 로마 양대 엔터테이먼트로 스포츠는 검투 경기와 바로 전차 경기였습니다.
그런데 콘스탄티누스 1세 때 기독교가 공인화 되면서 검투 경기는 여러 이유로 한물 가게 되고(솔직히 너무 잔인하니까, 거기에 순교 문제까지)
이 당시 원탑으로 자리 잡게 된게 전차 레이스였죠.

이 때문에 새로운 로마로 불려 졌던 콘스탄티노플에도 새로운 전차 경기장의 건립됩니다. 이게 위의 이미지의 그 저 경기장이죠.

당시 콘스탄티노플에는 양대 전차팀이 있었습니다. 하나는 청색, 그리고 다른 하나는 녹색.

이들의 인기는 도시에서 절대적이었는데 이 때문에 강력한 서포터 층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보통 이들은 계층과 직업, 사는 지역, 종교적 특성에 따라서 명확히 응원팀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예를 들면 청색당은 전통주의자나 지주들의 비호를 받으면 가톨릭(로만 가톨릭 말고 정통보편교회란 뜻) 신봉자였고
녹색당은 신흥세력이나 상공업자의 지지를 받으며
단성론(예수의 신성과 인성의 양립을 믿지 않고 신성만 존재한다고 주장) 신봉자들이었습니다.
이런 특성상 이들은 아주 정치적이었고 사실 스포츠팀은 이 정치성을 표출하는 아이콘이 되었던 거죠.

스포츠 훌리건 질 말고도 황제의 정책이 마음에 안들면 폭동에 협박, 그리고 주요 이슈가 도시를 지배하면 폭력 사태 및 폭동, 살인까지
다양한 정치적 행동의 배후로 자리 잡게 됩니다.

그래서 심지어 황제 마저도 양자간을 잘 다스리지 않으면 다른 한쪽이 일으킨 정치적 행동에 의해 폐위 당할 수 있었고 제위를 탐내는
자는 이들과 잘 연계해서 황제를 실각 시킬 수도 있었죠.

유스티아누스 1세 당시 이들의 위세는 절정에 다달아 심한 정치적 충돌 사태를 야기하며 양 서포터들 간의 살인 사건까지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결국 유스티아누스 1세는 청색당과 협력을 통해 국정을 운영하 나갈 수 밖에 없었죠. 물론 반대인 녹색당 반발을 샀습니다.



이걸 고대로 보았던 조카 유스티니아누스는 양당 모두를 압박하기 시작했고 결국 이에 분노한 양당은 532년 전차 경기가 있던 전차 경기장에서
황제가 보는 앞에서 반란을 일으킵니다. 그게 바로 니카의 반란이죠.

황제는 서둘러 자리를 피했고 이 두 서포터들은 승리를 뜻하는 니카를 외치며 콘스탄티노플 전역을 점령해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 두 서포터 지도자들은 황제를 폐위하고 새 황제를 옹립하게 됩니다. 이때 갓 건립된 하기아 소피아도 아주 잘 불탔죠.

이 기세에 눌린 유스티니아누스는 콘스탄티노플을 뜬 후 후일을 도모하고자 하지만 이에 황후인 테오도라의 일침에 탈출을 포기 합니다.

<천민에서 황후까지 미모와 능력으로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 테오도라, 정치적 능력도 출중하여 거의 유스티니아누스 당시 공동 통치자가
아니었을까 하는 의문을 만든 여인이죠.>

그 일침은 바로 [보라색 황제의 옷은 좋은 수의] 였습니다.

결국 황제는 두 사람의 측근을 동원하여 이 두 서포터를 박살냅니다.

한명은 선조- 이순신 관계랑 자주 비교되는 로마 최고의 명장 벨리사리우스.


다른 한명은 환관이라서 그런지 몰라도 벨리사리우스 못지 않은 명장인데도 묻히는 나르세스

벨리사리우스가 군대를 지휘하고 나르세스가 모략을 맡으면서 엄청난 숫자의 양쪽 서포터 폭도 집단은 진압 되어 버렸고
그 결과 수천명이 죽고 지도부는 사형이나 유배에 처해지게 됩니다.

훗날 유스티니아누스는 다시 하기아 소피아를 재 건립하는데 현재 이스탄불에서 유명한 건축물로 남아 있습니다.

한편 이 후 양 서포터의 기세는 약간 박살나게 됩니다. 하지만 완전히 끝난게 아니라서 후의 헤라클레오스 당시 사산조와 동로마간의
거의 혈전과 다름 없는 싸움에서 양 서포터의 입김을 받은 정치인이나 군인은 서로를 모함해 댔고
이슬람 발흥 당시 청색당은 이슬람군에게 졸전을 해대면서 콘스탄티노플을 함락의 위기에 몰고 갑니다.

당시 황제 레온티우스는 청색당였는데 이슬람군에게 패하자 녹색당은 게르만 장군 아프시마우스를 밀어 그를 티베리우스 3세로 만들어
레온티우스를 실각 시키죠.

하지만 이 위상은 점차 쇠락하여 나중에 가면 찾아 보기 힘들 정도로 몰락합니다. 하지만 무려 12세기까지 이들은 생존하면서
심심하면 제국 법정에서 싸워 댔으니 역사 면에서 현재 서포터들을 능가하는 샘이죠.

한편 전차 경기 자체는 콘스탄티노플에서는 도시가 외세에 의해 첫번째 함락되었던 제4차 십자군 원정 당시까지 생존했습니다.
그후 라틴 제국이 들어 서면서 사라지게 되었죠.
전차 경기장의 경우 지금은 이스탄불에 흔적만 남아 있죠.

아무튼 이 서포터들의 위세나 역사를 생각하면 앞으로 어떠한 훌리건이든 서포터들도 이 청색과 녹색을 이길 수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4/12 14:54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도 평소 앙숙이던 서포터 그룹이 뭉쳐 반정부 시위에 나섰던 곳이 터키 이스탄불인데.. 유구한 전통이 존재했군요.
15/04/12 18:01
수정 아이콘
잼나는 글 정말 잘 읽었습니다! 근데 중간에 보라색 황제는 무엇을 뜻하는건가요? 권력에서 밀려난 죽은 시체 같은 보라색 황제를 뜻하는건가요??

근데 반란도 일으키고 황제도 갈아치우다니 크크 검투사가 저시절까지 인기 있었다면 서포터 리더가 황제됐을지도 덜덜..
swordfish-72만세
15/04/12 18:22
수정 아이콘
옷이요. 로마 황제의 옷은 보라색이거든요.
15/04/12 18:26
수정 아이콘
아하 반어법이였군요 흐흐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415 [일반] 가족? [22] 구들장군4951 15/06/27 4951 15
59414 [일반] 인터넷 유머게시판들이 어느 순간부터 바이럴의 천국이 됐네요 [26] 만트리안11292 15/06/27 11292 4
59413 [일반] 미국에서 가장 많은 돈을 번 자수성가 여성 Top10 [9] 김치찌개3917 15/06/27 3917 0
59411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Top10 [9] 김치찌개3537 15/06/27 3537 0
59410 [일반] 메르스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천연두 이야기 [17] 삭제됨4421 15/06/27 4421 12
59409 [일반] [해축] 어제의 bbc 이적가십 [17] pioren4732 15/06/27 4732 1
59408 [일반] 천재 가수 김광진의 노래들 [23] ohmylove6990 15/06/27 6990 4
59407 [일반] 스포유) 주인공 몽키 D.루피의 능력을 예측해보자. [41] 공허의지팡이11298 15/06/27 11298 4
59406 [일반] 2004년. 몽환에 빠진 중3병 환자를 달래준 노래. [6] 뀨뀨4496 15/06/27 4496 2
59405 [일반] 80년대 20대의 필력과 필체 [31] 낭만토스8172 15/06/27 8172 5
59403 [일반] 미국에서 가장 많은 흥행수입을 올린 한국 영화 Top10 [9] 김치찌개6110 15/06/27 6110 1
59402 [일반] 축하합니다, 이제 당신들은 서로에게 미안해하지 않아도 되겠군요. [29] 저글링앞다리11338 15/06/27 11338 93
59401 [일반] 교환 학생들을 보면서 느낀 점 [20] 웃다.5762 15/06/27 5762 5
59399 [일반] 바둑판으로 보는 아이돌 이야기- 비스무리한 단상 [12] 좋아요4805 15/06/27 4805 5
59398 [일반] [야구]SK는 결단을 내려야 하지 않을까요? [54] 이홍기8630 15/06/27 8630 3
59397 [일반] 미국 대법원이 전국적으로 동성 결혼 합법화했네요 [286] ShaRp11892 15/06/26 11892 22
59396 [일반] 팬 의혹 들은 김에 제대로 써보는 신인걸그룹 설명서, 오마이걸 [12] 좋아요10096 15/06/26 10096 3
59395 [일반] [짤평] <소수의견> - 뉴스보다 현실적인 픽션 [28] 마스터충달4632 15/06/26 4632 2
59393 [일반] 게임 속의 수학 [56] 우주모함13570 15/06/26 13570 13
59392 [일반] (수정) 민상토론 징계에 대한 기사가 나왔습니다. [32] 모여라 맛동산8895 15/06/26 8895 5
59390 [일반] 이번에 예비군 동미참을 다녀오면서 조별평가의 위력을 느꼈습니다. [39] 자전거도둑12431 15/06/26 12431 0
59389 [일반] 민주주의를 기다리며 [8] 아수라발발타3861 15/06/26 3861 21
59388 [일반] BBC 온스타인_체흐는 오늘 메디컬 예정 [36] 앙리와베르기4005 15/06/26 4005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