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1/06 00:47:53
Name 탐이푸르다
Subject [일반] 2015년 20대들의 트렌드 읽기.


 책을 읽으면서 얻을 수 있는 즐거움은 무엇이 있을까요? 저는 독서를 할때면 새로운 분야에 관심이 생기고 생각하는 시야가 넓어질때 즐거움을 느낍니다. 그래서 책에서 나온 내용에 궁금증이 생겨 관련 도서를 찾아읽는, 마치 가지가 뻗어나가는 독서를 합니다. 즐거움 뿐만 아니라 책에서 얻는 지식들 사이에도 연결성이 생겨 더욱 생생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어 효과적인 독서법이 될 수 있기도 하고요.

최근 `2015 20대 트렌드 리포트`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미래 트렌드 서적이라 함은 추상적인 담론을 소개하면서 일반 대중은 쉽게 이해하고 적용하지 못한다고 느껴 잘 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 책은 일상에서 자주 경험하고 한번쯤은 들어본 사례를 들면서 20대들의 트렌드를 설명하여 내용에 몰입하게 하는 힘이 있더군요. 매우 흥미로웠던 정보가 많았기에 위에서 말한 독서법을 얼른 적용해봤습니다. 제가 느꼈던 바를 통해 2015년 20대 트렌드 5대 키워드를 소개하고 그에 맞춰 읽을 만한 책을 덧붙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놀족, 일상의 놀이화. 놀이의 일상화.

[20대의 마음을 움직이려는 사람이라면 그들에게 놀거리를 제시해야 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놀거리로만 만들어준다면 기부든, 정치참여든 나설 수 있는 에너지를 20대는 가지고 있으니 말이다.]

 무엇이든지 놀거리와 놀이터로 만드는 20대. 김보성의 으리, 아이스 버킷 챌린지, 고승덕 미안하다 짤방을 알고 있다면 이해하기 쉬우실 겁니다. 한팔을 들어올리며 의리라고 외치는 김보성. 거기서 해학적인 웃음을 발견한 네티즌들은 김보성의 얼굴과 '으리'라는 단어를 절묘하게 합성하고 퍼뜨리면서 놀았습니다. 이것은 유행이 되어 방송 활동이 뜸한 김보성이 핫한 예능인이 되고 그가 광고 모델로 있던 비락식혜가 매출이 50% 급등하는 등 큰 파장을 보여주었습니다. 혹자는 정의와 실종된 세상에 때문에 의리를 갈망하는 현상이라 보았습니다. 문가들은 잉여로운 원인때문에 큰 사회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쉽게 납득하지 못했나 봅니다. 그냥 네티즌들은 재미있어서, 놀고싶어서 이런 호응을 보여주었던 것 이었습니다. SNS라는 큰 놀이터가 있는 이상 20대들은 친구들과 놀이를 넘어서 20대 전체의 놀이를 즐깁니다. 또한, 어떤 것이는 가리지 않습니다. 정치적 셈법이 제법 꼬여있는 고승덕의 미안하다 괴성도 재미있게 패러디하고 어렵고 엄숙하다는 기부도 아이스 버킷 챌린지로 재미있게 참여합니다. 이제 20대에게는 엄숙함이 사라지고 가벼움이 쿨하게 여겨지는 문화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자발적으로 가치와 컨텐츠를 만들어내는 20대를 더욱 이해하기 위해 클레이 셔키의 `많아지면 달라진다`라는 책이 괜찮을 듯 싶습니다.


많아지면 달라진다 | 클레이 서키 (지은이) | 이충호 (옮긴이) | 갤리온 | 2011년 9월
[덕후들은 더 이상 덕밍아웃을 망설이지 않고, 한발 더 나아가 덕후만의 만들 수 있는 콘텐츠를 사람들 앞에 내놓는다. 떳떳한 덕후, 떳덕후의 시대다.]

 덕후라 하면 안경을 쓰고 여드름이 많으며 체중이 많은 `안경돼`를 연상하는 부정적인 집단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사회 부적응자라 생각하였기에 사회 문제로까지 불거졌었죠. 하지만 개인의 취향을 존중하는 문화가 생기고, 만화, 애니메이션 등 서브컬쳐 문화가 영화, 뮤지컬 같은 메인컬쳐의 차이가 모호해짐에 따라 덕후는 새로운 문화 키워드로 대두됩니다. 배우 심형탁과 이시영 등 정상적인 사회 생활을 하고 있는 이들이 덕후라는게 밝혀지면서 `안경돼`라는 이미지가 희석된 점도 도움이 됬을 겁니다. 덕후들은 주위에 코드가 많은 사람이 없을지라도 쉽게 결집할 수 있습니다. 바로 SNS과 인터넷의 발달로 외롭게 덕질을 하던 시대는 지났습니다. 음악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EXID의 `위 아래`라는 노래를 다들 아실겁니다. 발매된지 6개월이 지나도록 차트에 오르지 않다가 갑자기 상승하여 1위를 한 곡이지요. EXID 멤버 하니의 행사 장면을 집중 포커스하여 촬영한 직캠이 화제가 되어 음악차트 1위를 만든 것 입니다. 이제는 덕후들이 생산한 `직캠`이라는 콘텐츠가 큰 힘을 발휘합니다. 덕후는 강력한 콘텐츠 생산자이자 콘텐츠 소비자 입니다. 비즈니스 용어에 `버티컬 플랫폼(Vertical Platform)`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특정한 관심사를 가진 고객층을 공략하는 서비스 플랫폼이란 뜻 입니다. 용어로 정의할 만큼 비즈니즈 분야에서도 덕후 고객층을 사로잡기 위해 고심을 하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덕후`란 말보다 딱히 관심사가 없는 일반인을 뜻하는 `머글`이 특이하게 비춰질지도 모르겠네요.


덕후거나 또라이거나 | 대학내일20대연구소 (엮은이) | 홍익출판사 | 2014년 12월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8518923

 소개하고 있는 책과 같은 출판사에서 나온 책입니다. 자신만의 분야에 빠진 덕후들이 목표를 향해 도전하여 성공을 일궈낸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어떤 일에 빠진 사람을 보면 부러울때가 있습니다. 그들은 불가능 해보이는 일도 끈기와 노력으로 해낼때가 많기 때문이죠. 이 책을 읽는다면 열정을 불태우며 덕업일치를 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썸맥, 넓고, 얕고, 짧게 만나는 썸 타는 인간관계.

[직접 만나 눈과 눈을 마주하기보다는 디지털 세계에서 교류하는 양이 절대적으로 많고, 만남은 표피적으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인간관계에서 기대되었던 정과 의리는 없고 SNS과 썸으로 가볍게 인맥을 맺는 20대이다.]

 소셜미디어와 인터넷은 사람과 사람 사이를 쉽게 연결하게 만들어준 기술입니다. 그래서 오래전에 헤어진 친구들도 다시 만나게 해주는 고마운 존재이지요. 하지만 반대로 인간을 만나는 행위를 직접 대면하는 오프라인보다 타자 두드리면서 하는 온라인에서 주로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많은 인맥은 거느릴 수 있지만 하나하나와는 깊이가 떨어지는 관계를 가집니다. 아는 사람이 적을때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정을 줄 수 있지만, 많은 인맥을 관리해야 하는 이상 깊은 정을 포기해야 하는 노릇입니다. 여기서 저자는 그런 얕은 인간관계 때문에 `연애 상담`이 성행한다고 말합니다. 연애 못하는 사람을 이상자로 보며 연애를 하나의 스펙으로 보는 문화, 여기서 사람간의 관계가 서툰 20대들은 연애를 하기 위해 공부를 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요즘 `마녀사냥`, `로맨스가 더 필요해` 등 연애 관련 TV프로그램이 예전보다 많기는 하네요. 또한, 20대들의 썸은 팍팍한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해 경쟁에 치여 살아야 하는 상황때문에 가볍게 만나고 헤어질수 있게 하는 행동이란 주장도 있습니다. 컴퓨터와 사랑을 하는 영화 `Her`에서도 알 수 있듯이 얕은 사랑 속에서 우리는 깊은 사랑을 갈망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얕고, 즉흥적이고, 표피적인 관계를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외로워지는 사람들 | 셰리 터클 (지은이), 이은주 (옮긴이) | 청림출판 | 2012년 6월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940705

 이번 챕터를 읽고 바로 이 책이 생각났습니다. 읽은 책은 아닙니다. 30년전 심리학자가 컴퓨터가 어떻게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호기심이 생겨 연구한 결과물이라 합니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연결은 늘어나는데 왜 속마음을 털어놓을 친구는 줄어들까?" "문자와 이메일을 사용할수록 왜 대화가 서툴러질까?"와 같이 예전과는 다른 인간관계가 느껴진다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겠지요.



4. 쓸로몬, 소유보다 가치를 소비하는 20대.

[기성세대라면 쓸모없다고 치부되었을 물건, 장소, 취향과 경험들이 20대에 의해 새롭게 각광받으며 쓸모 있는 것들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20대는 남들에게 과시하기 위해 물건을 소유하지 않습니다. 경제력도 부족할 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개성과 경험에 관심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20대를 중심으로 소유보다는 공유하는 문화가 전파되고 있습니다. 그들은 집이나 차를 소유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카 셰어링 업체에서 1시간 이내에 차를 빌려다니고 집 또한 셰어하우스를 통해 서로 주거공간을 공유하여 사는 것을 선호합니다. 책, 양복, 노트북 등 소유하지 않아도 사용하는 물품들은 많습니다. 요즘 재활용품에 디자인 또는 활용도를 더해 그 가치를 높인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 `업사이클링(up-cycling)`이 20대들 사이에서 각광받고 있다고 합니다. 못쓰는 물건을 수선하여 다시 쓰는 재활용, 리사이클링(recycling)과는 다릅니다. 광고 현수막, 자전거바퀴 가죽, 트럭 방수포등 버려진 폐품들을 이용하여 가방, 지갑 등 쓸모있게 탈바꿈하는 것은 환경 보호에 이바지하는 가치있는 일입니다. 20대들은 품질은 안좋을지 몰라도 업사이클링 제품을 사면서 환경 보호라는 가치를 구입하여 자신의 개성을 보입니다. 자신만의 관점으로 소비를 하는 20대, 유명한 브랜드 유행하는 스타일을 소비하던 모습과는 확연히 다른 성향을 보입니다.


한계비용 제로 사회 | 제러미 리프킨 (지은이), 안진환 (옮긴이) | 민음사 | 2014년 9월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8161470

 쉽게 보이지 않을 뿐 언제나 미래는 가까이 와 있습니다. 20대들의 소비 행태에서도 보여지듯이 협력적 공유사회'라는 새로운 경제 시대는 점진적으로 피어나고 있습니다. 저자는 공유경제를 일으킬 동력으로 사물인터넷으로 꼽습니다. 사물인터넷이란 물건들이 서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사람에게 맞춤 서비스를 할 수 있는 기술을 뜻합니다. 오늘 `사물인터넷의 뜻`이라는 문장을 네이버 화제의 키워드 란에 보았습니다. 사물인터넷이 이렇게 회자되는 것을 보니 스마트폰을 넘어 사물인터넷 혁명의 시대가 멀지 않았아 오겠다고 느낍니다. 그다지 멀지 않는 미래사회를 위해 꼭 읽어 볼만한 책이라 생각합니다.



5. ZIP슈머, 압축소비 세대의 탄생.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할 일도 많고 즐길 것도 많은 20대들은 소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압축된 콘텐츠를 소비한다. 압축된 텍스트와 함축적인 의미가 담긴 사진, 그리고 직관적인 영상을 소비한다.]

 시간도 없고 돈도 없으니 모바일을 통해 쉽게 접 할수 있는 컨텐츠가 유행입니다. 몇분 넘기다 보면 완독이 가능한 웹툰, 10분 정도면 가볍게 한편을 볼 수 있는 웹드라마, `ppss.kr(프프스스)`, `슬로우뉴스` 같이 딱딱하지 않게 사회 이슈를 접할 수 있는 웹진형 블로그와 같은 맥락이라 보시면 됩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 스마트폰으로 빠르게 정보와 지식을 쌓고 즐거움을 향유하는 20대들의 현상입니다.



6. 미래 트렌드, 삐딱하게 볼 수는 없을까?

 미래 트렌트를 분석은 미래가 옳은지, 옳지 않은지를 알려주지 않습니다. 가치 중립적입니다. 미래는 이렇게 변하고 있으니 어서 받아들이고 따라하라는 메세지를 내포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그런 미래 트렌드 서적의 길에서 벗어나 삐딱한 시선을 길러 줄만한 서적을 추천합니다. 디지털 사상가, 디지털 철학자로 유명한 니콜라스 카의 책입니다.


유리 감옥 | 니콜라스 카 (지은이), 이진원 (옮긴이) | 한국경제신문 | 2014년 9월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996319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니콜라스 카 (지은이), 최지향 (옮긴이) | 청림출판 | 2011년 2월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459607

 다윗은 처음 자신의 `진화론`이 `진화(Evolution)`론으로 불리는 것을 싫어했습니다. 생물이 진보하고 발전하기 위해 진화한다고 대중들이 오해할까봐 였습니다. `진화론`에서 생물의 진화하는 방향은 복잡해지는 것일 뿐 진화하는 것이 더 낫고 좋은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생존의 목적을 두었다면 오지에서도 생존가능하고 수명도 매우 긴 세균에서 진화하지 않았을 겁니다. 이렇듯 시대의 변화와 새로움에는 좋고 나쁨이 없습니다. 인간은 다만 복잡해지고 계속 변화할 뿐이지요. 트렌드 서적을 읽으면서 가려낼 것은 가려내고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여 합리적인 개인이 되셨으면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15/01/06 00:58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생각할 거리가 많은 글이라고 생각하게 되네요.
(6. 삐딱하게 보기에 눈이 먼저 가는것은 아마도 직업병인듯 합니다 ㅠㅠ)

다만 마지막 문단부분에 '진화'는 복잡해진다기 보다 '다양성 증가'+'단순함의 좌측절단'의 영향으로 복잡한 애들도 생기는 것에 가깝다고 알고 있습니다.
탐이푸르다
15/01/06 01:01
수정 아이콘
저도 원전을 읽은게 아니라 과학 해설서를 읽은터라 모르는 부분이 많아 지엽적으로 알고 있었나 봅니다.
진화론도 깊이 읽기를 해봐야 겠네요.
생각쟁이
15/01/06 01:36
수정 아이콘
그건 제이 굴드의 관점이죠.
소독용 에탄올
15/01/06 01:51
수정 아이콘
다른 관점들이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저 역시 '전공자'는 아닌지라 취미활동+교양과학(그리고 분과학문에 한다리 걸치는 사회생물학-진화심리학 관련자료 ㅡㅡ;) 수준이라서요.
카롱카롱
15/01/06 01:57
수정 아이콘
원 글에서 진화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 -진보와 는 다르다 진보와는!-를 지적하고 이어서 방향성과 목적성이라는 또다른 오해의 대표주자로 여겨지는 떡밥을 내놓으셔서
저도 이부분이 좀 걸렸는데...

학부생 수준에서는 특정 학자의 입장을 배우진 않아서 (애초에 진화 자체에 중점을 두진 않으니까요)
저게 굴드의 관점이라는 부분이 궁금하네요.
15/01/06 01:58
수정 아이콘
추가로 "힙스터"도 2015년 20대 트랜드에 들어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힙스터 현상에 대해 관심있으시다면 이 책을 읽어보면 나쁘지 않을 듯요...
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KOR9788992053457
원더월
15/01/06 15:07
수정 아이콘
이러다간 비주류를 갈망하던 이들이 되려 주류가 되버리겠네요
조금 연관짓자면 킨포크족 붐이 일어나지않을까 생각됩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15/01/06 02:53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5번 같은 경우는 그렇지 않은 반대급부도 많이 애용되고 있지 않나 싶네요. 물론 저도 슬로우뉴스 애독자이지만, 압축과는 반대의 모습을 보여주는 위키트리, 인사이트나 허핑턴포스트같은 매체도 많이 SNS에 차용되더라구요. 그 때문에 저작권문제라던가 기사의 독창성문제와 같은 이슈가 나오고 있으니까 그런점도 생각해봐야할 듯 합니다.
python3.x
15/01/06 03:17
수정 아이콘
글쎄요... 곰주님이 반대급부로 든 예시들은 오히려 5번의 경우를 더 잘 나타내주는 경우가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심도있는 분석기사를 내놓는 것도 아니고 허구헌날 가십성 기사들을 쏟아내는 위 매체들이야 말로 제대로 압축성 컨텐츠의 대표격이 아닌지...
15/01/06 04:55
수정 아이콘
원글의 5번에서 예로 드신 슬로우뉴스나 factoll은 대표적인 "후속보도" 혹은 "종합보도"의 성격을 띄는 매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사건에 대한 여러기사들을 나름 분석해서 하나의 기사 혹은 논평으로 보도하지요. 따라서 이런 곳들에 보도된 기사 하나로 사건의 전후반부 맥락을 압축적으로 전부 다루는 성격을 띄고 있습니다. 즉 "기사 하나 = 서사의 대부분을 커버한다"라는 것을 저는 압축성이 높은 컨텐츠이다라고 보고 있습니다.

반대로 위키트리, 인사이트등은 python님이 말씀하셨듯이 "심도있는 분석기사를 내놓는 것도 아니고 허구헌날 가십성 기사들을 쏟아내는 위 매체들이야 말로 제대로 압축성 컨텐츠의 대표격"인 경우가 많죠. 여기서의 압축성이라고 하면 분량이 압축적인 것이지 컨텐츠가 사건의 전체 서사를 압축적으로 보여주지는 못하죠. 저는 이런 매체를 "파편성 컨탠츠"라고 개인적으로 부릅니다만, 정확하게 슬로우뉴스와는 대척점에 서있다고 봐야합니다. 이런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인사이트의 각종 블로그글의 카피+페이스트 기사들, 위키트리의 슬로우뉴스기사 복사사건 같은 것들이죠.
python3.x
15/01/06 03:22
수정 아이콘
4번은 잘모르겠지만 나머지는 꽤 공감합니다.
이것들이 20대를 대표하는 키워드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대체적으로 맞는 말 같긴 하네요.
프리템포
15/01/06 06:13
수정 아이콘
올해로 서른이 되어 이 글을 보는 심정이란 ㅠ 3번에 특히 공감이 많이 됩니다. 만남의 형태와 관계에 대한 생각 자체가 변한 것 같습니다.
무더니
15/01/06 07:59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소비문화가 20대를 대변한다고들하는데 그에 관한 정리가 역시있네요
과거와 달리 더이상 저축에 목매지않음이 과연 미래에 어떤식으로 적용될지가 궁금합니다
ps.연예는 연애로 고쳐 주시면 좋을듯합니다
캐터필러
15/01/06 08:03
수정 아이콘
선거때전부투표햇다면 세상을,혹은최소한자신들의처지를 조금은바꿀수잇엇을텐데 투표를안하니 지배층과 자본에 착취당하고 그와중에 나타나는 저 트렌드라는것이 너무불쌍해보여서 1짠하기도하고 2 투표안한 지들탓이란생각도드네요

이유야어떻든 권리위에잠자는자는 보호받지못하는것이니
저들이 자신이 몇년마다 손에 쥐는 혁명의 기회를 계속 스스로날려버린다면 누구도 저들을 구제할순 없겟죠
당근매니아
15/01/06 12:28
수정 아이콘
지난 대선에서 20대 투표율은 상당히 높은 편이었고, 설령 20대가 몰표를 준다고 해도 5,60 이상 장년 노년층의 인구가 훨씬 많기 때문에 역전이 불가능한 인구 구조입니다. 더불어서 젊은 나이일수록 투표 기회를 보장받지 못하는 직장에 근무하고 있는 비율도 높구요.
열혈오타쿠
15/01/06 08:40
수정 아이콘
이제 스물하나되는 친척동생이랑 얘기해보는데
말이 길어지고 진지해지는걸 싫어하는걸 넘어서 배척하는거같더라구요.
그때 아 내가 꼰대가 된건가 싶어서 좌절했었는데..

글재밋게 봤습니다
15/01/06 09:10
수정 아이콘
근데 이건 나이를 떠나 성격을 타는게 대부분일껍니다.
나이가 들어도 진지해지길 싫어하고, 뭔가 심각하게 논할라치면 극명하게 거부감 보이는 타입들이 종종 있습니다.
15/01/06 08:44
수정 아이콘
이제 난 30대여 ㅠㅠ
신과함께
15/01/06 11:46
수정 아이콘
이제 난 30대여 ㅠㅠ (2)
도로시-Mk2
15/01/06 10:36
수정 아이콘
여러분, 나이는 만으로 계산하는게 옳습니다.
Galvatron
15/01/06 12:11
수정 아이콘
생일까지 넣어서 계산해야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7175 [일반] 레진코믹스 유해 사이트 지정 및 차단 (수정) -현재 차단 해제 [55] 곰주6796 15/03/26 6796 0
56618 [일반] 금호타이어 곡성현장 노동자 분신자살 [45] 바위처럼7480 15/02/17 7480 28
56538 [일반] 웹툰 추천- 데미지 오버 타임 [17] 블랙탄_진도6123 15/02/13 6123 1
56403 [일반] 웹툰 소개 - 삼풍 [23] 이걸어쩌면좋아6582 15/02/06 6582 2
56309 [일반] [웹툰 리뷰] 파인(巴人) - 윤태호에게서 봉준호를 읽다 (스포있음) [7] Eternity8831 15/02/02 8831 2
56291 [일반] 웹툰 소개: 파인 [23] gamekid7075 15/01/31 7075 2
56250 [일반] [웹툰 추천] 무류, 판타지 로맨스 <십이야> [7] HBKiD7063 15/01/29 7063 1
56176 [일반] 술도녀 소개 맛집 정리 (1~50화) [24] 人在江湖13731 15/01/25 13731 12
56036 [일반] pgr21 은 단점이 너무도 많습니다. [102] 호리11498 15/01/19 11498 13
55953 [일반] 대화를 좀 나눴으면 좋겠다. [13] 성동구5645 15/01/14 5645 2
55883 [일반] 게임회사 여직원들 [42] 정용현18961 15/01/09 18961 1
55814 [일반] 2015년 20대들의 트렌드 읽기. [21] 탐이푸르다9931 15/01/06 9931 9
55804 [일반] 시를 감상해 봅시다. (1) [13] Ataraxia13004 15/01/05 3004 0
55770 [일반] 내 인생의 Best 웹툰들...!!! [78] [fOr]-FuRy17097 15/01/02 17097 2
55736 [일반] 2014년의 만화 - 최고의 만화 [7] 책닭7471 15/01/01 7471 0
55630 [일반] 상의원 (스포함유) [16] 성동구7085 14/12/26 7085 2
55557 [일반] [영화공간] 2015년 개봉 예정 한국영화 기대작 Top10 [60] Eternity15823 14/12/21 15823 3
55457 [일반] 나를 찾아줘 : 매너리즘을 탈피하지 못한 범속함 [32] 구밀복검12259 14/12/16 12259 7
55414 [일반] 근래에 본 웹툰 중 가장 최고.. [46] 트리거17721 14/12/13 17721 4
54955 [일반] 임진왜란 해전사 - 9. 한산이 무너지다 [19] 눈시BBand6543 14/11/18 6543 10
54647 [일반] 미생 드라마를 보며 느낀 불편함 [63] 王天君14412 14/11/01 14412 8
54641 [일반] [음악] 신해철, '일상으로의 초대': 내가 그에게 배운 사랑 [6] 두괴즐4474 14/11/01 4474 4
54443 [일반] 이것이 개발자 유머다! 플리커 편 [27] 랜덤여신5885 14/10/22 5885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