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12/31 16:14:07
Name Leeka
Subject [일반] 1/1일부터 LGU+ / SKT 신규 개통시 위약금이 올라갑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329803

내년 1월 1일부터 새롭게 LGU+ / SKT에 신규 가입하는 고객에 대한 위약금 제도가 변경됩니다.

기존에는 그냥 공시지원금을 남은 약정기간만큼만 토해내면 됫으나.  1/1일부터 신규 가입자의 경우
'6개월 이내 해지시에는 공시지원금 전액을 토해내야 하며'
그 이후에도 기존엔 약정기간으로 나눴으나, 이젠 '6개월을 뺀' 약정 기간으로 나누도록 변경되는데요



예시로 설명드리자면


기존 (공시지원금 24만원 기준)
- 5개월 사용하고 해지시
24만 * (5/24) = 19만원을 토해내야 했음

변경
: 6개월 이내 해지시 '무조건 공시지원금 전액을 토해내야함' (24만원을 토하면 됨)



또한 기존의 경우 공시지원금을 24로 나눴으나, 이젠 아래와 같이 나눕니다.

기존(공시지원금 24만원 기준)
- 7개월 사용하고 해지시
24만 * (7/24) = 17만원을 토해내면 됨.

변경
- 7개월 사용하고 해지시
24만 * (1/18) = 22만 5천원을 토해내면 됨.






6개월 이내 해지시 토해내는것도 토해내는거지만
그 이후에도 왜 앞에 6개월을 빼고 계산하는가에 대한 미스테리는 남아있을듯 하네요.


결과적으로 2년 전이면 언제 해지하던, 내년부터 가입하는 고객은 위약금이 무조건 오르게 됩니다.
2년을 다 지켜서 위약금이 0원이 된다면 기존과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커피소년
14/12/31 16:16
수정 아이콘
정말 말도 안되는짓이죠
그리고 kt도 빠른 시일안에 따라하겠죠
lg는 그새 따라했네요
영원이란
14/12/31 16:19
수정 아이콘
이것도 단통법 효과겠죠?
어리버리
14/12/31 16:22
수정 아이콘
아 욕 나옵니다. 다른 게시판이라면 바로 입에서 육두문자 튀어나온걸 키보드로 옮겼을겁니다...;;
14/12/31 16:25
수정 아이콘
이해가 안돼요. 이 나라에서 이동통신 제공회사가 갖는 의미는 도대체 뭐죠?
Aneurysm
14/12/31 16:26
수정 아이콘
이런쪽으로 '알못'이라 잘 모르겠는데,
단통법은 시행한지 좀 되었을것 같은데,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핸드폰 잘 모르시는분들은 100만원 넘게 비싸게 사거나 비싼 약정 3년씩 하고,
이거에 대해 빠삭하신 젊은층은 매우 저렴하게 산다던가 하는건 그래도 좀 문제있지 않나 생각은 해서.
취지는 이해하지만 단통법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엔 의문인것 같았거든요.

실제 현실이 손대기가 매우 복잡하거나 괴리가 커서 법이나 제도로는 해결하기가 힘든건지,
아니면 정부나 정치인들이 무관심하고 무능력한건지 모르겠네요.
좀 잘좀 했으면 좋겠습니다.
14/12/31 16:30
수정 아이콘
무관심 하고 무능력할 리가 없습니다...

관심이 있고, 능력이 있으니 기업에 좋은 방향으로 바꿔가고 있는거죠...

비싸게 사는건 제재를 안하면서, 싸게 사는 것만 막고 있는데...

목적은 뻔하죠..
Aneurysm
14/12/31 16:54
수정 아이콘
정경유착이야 없진않을꺼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단통법은 통신사입장에서도
그다지 달가워하는 그림이 아닌것처럼
느껴져서 몇자 써봤네요
손오공
14/12/31 16:32
수정 아이콘
지금도 일부계층은 더 저렴하게 살수 있는건 사실입니다.
단통법이 생겼다고
음성적으로 하고 있는 거래를 막을수 없거든요.
Aneurysm
14/12/31 16:59
수정 아이콘
통신비는 이제 의식주라봐도 될만큼
중요해졌는데, 요금은 예전의
모바일 처음생길때 들어갔던,
들어갈수밖에 없었던?
거품이 그대로 있는것같아요
좀더 요금현실화 되어야하지않나싶네요
특히 4G는 가장낮은요금제도
4만 가까이 하니 정말 부담이거든요
손오공
14/12/31 18:06
수정 아이콘
일단 거의 독과점 상태라 기업 자체적으로 가격경쟁을 하는건
일어날수 없어 보이고

정부는 세수적으로 요금이 비싸야 이득입니다.
부가세가 10%이니 비쌀수록 좋고
거기다가 기업의 이윤이 늘어나니
법인세도 더 많이 떼고
주파수도 비싸게 팔아먹을 수 있으니
엄청난 이득이죠.
14/12/31 17:22
수정 아이콘
실제 현실의 문제점을 법과 제도로 해결하기가 어렵진 않을겁니다.
정부와 통신사-제조사의 카르텔이 그들의 이익을 지키는 방식을 선호하다 보니 기형적인 법제도의 구조를 유지할수밖에 없게 된것이라서요.

단통법의 목적은 통신기기 유통구조의 정상화를 통한 공익의 달성이라고 법에 나오던걸로 기억하는데요. 그 공익을 국민 개개인의 평균 통신비용의 정상화라고 본다면 현재의 단통법은 법이 내세우는 목적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단통법 시행후에 핸드폰을 사려면 이전보다 더 비싼 요금제를 써야만 법이 정한 최대치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거든요.
14/12/31 16:30
수정 아이콘
맘편히 CJH을 씁시다.
츄지Heart
14/12/31 17:59
수정 아이콘
저도 요즘엔 2년 사용한 CJ헬로모바일을 찬양하고 있네요...
공허진
14/12/31 16:35
수정 아이콘
어차피 스냅800 이후 기종들의 성능은 고만고만하니 중고를 사던 직구를 해야겠네요
약정 다 채우던지 순액요금제를 써야하나...
노트3 싸게 판다는 기사도 보이던데 재고 떨이 주제에 생색내는거 하며 참나...
Love&Hate
14/12/31 16:37
수정 아이콘
기사 본문에도 나와있는데
위약3가 사라짐에 따라 생긴 위약4의 강화조치네요.
위약3가 11월에 사라지고 그후 가입하셨던 잠시 꿀빠셨던분들을 제외하면
다시 위약금이 소폭 상승하신겁니다.
그래도 위약3 위약4 있을때 만큼은 아니고요
커피소년
14/12/31 17:35
수정 아이콘
sk는 그대로 있습니다.
단지 위약 3,4가 중복으로 나오지 않는거 뿐이네요.
lg는 12월 가입자부터인가 없앤거 같고 kt는 순액요금제로하면 없죠,
AttackDDang
14/12/31 16:58
수정 아이콘
여러분 값싼 블랙베리로 바꾸세요!!!

전면유리나 액정나간것쯤은 간단히 자가수리 되고 부품도 싼폰입니다
문재인
14/12/31 16:59
수정 아이콘
길들이기에요.
14/12/31 17:16
수정 아이콘
묻어가자면... 약정 끝난 핸드폰은 요금할인이 있나요? 지하철 광고보면 12% 요금할인 되는 것처럼 말하던데...
14/12/31 17:17
수정 아이콘
그게 다시 약정을 해서 12% 할인을 하는......
14/12/31 17:24
수정 아이콘
아이고 의미없다.......
Love&Hate
14/12/31 18:03
수정 아이콘
의미없는게 아니고 위약3가 없어져서 의미있습니다.
KT는 순액 요금제로 가능하고요
14/12/31 18:04
수정 아이콘
아 SK라서요... 또르르
Love&Hate
14/12/31 18:10
수정 아이콘
sk도 114에 물어보세요. 아마 없을겁니다.
11월에 kt순액요금제 출시될때 sk도 위약3폐지 발표했고 기사화됐었어요.
네이버에서 skt 위약3로 검색해보셔도되고요
14/12/31 20:37
수정 아이콘
SK면 의미없는거 맞네요 ㅠㅠ
SK 위약3는 아직 살아있습니다. 위약4랑 동시에 있으면 면제될뿐이죠.
14/12/31 17:32
수정 아이콘
됩니다. 약정 끝난폰이나 언락폰 12%깎아줘요. 1년약정 부터인데 약정할인이랑 같이 됩니다.
츄지Heart
14/12/31 17:59
수정 아이콘
CJ헬로모바일 같은 경우는...약정 기간 끝나면 따로 신청 안해도 자동으로 무약정 반값 요금제를 적용해주더라고요. 기계 바꿀일만 없다면 참 좋은 거 같아요.
임시닉네임
14/12/31 17:34
수정 아이콘
단통법이고 뭐고 다 떠나서
위약금이 왜 위약금1,2,3,4... 이렇게 몇가지나 되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그냥 하나로 통합하면 안되는건지
14/12/31 17:37
수정 아이콘
기존 가입자는 계약 내용이 안바뀌기 때문에(맘대로 바뀌면 그건 말도 안되는거죠)

위약금2가 있는데 새로운 위약금제도가 생기면 위약금3이 되는거고.. 하는식으로 신설되다보니 계속 넘버링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김소현
14/12/31 19:56
수정 아이콘
헬지는 저러니 만년 3등하는 겁니다
안 좋은건 빠르게 실행하고 좋은건 가장 늦게 실행하죠
순전히 통신비 싸움이라면 단합된 요금제속에서
가장 많은 돈을 뽑아내야지...
혜택이나 지원금도 가장 적으면서...
14/12/31 20:12
수정 아이콘
통신사나 제조사나 헬지...
기러기
14/12/31 22:35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통신 3사 이용 안하면 됩니다. 요금도 메이저 3사에 비해서 훨씬 저렴한데다가 통신망을 빌려서 서비스 하는거라 품질의 차이가 없습니다.
14/12/31 22:52
수정 아이콘
진짜 단통법 통과는 여야 합심해서 같이 욕먹는다지만
왜 개정안 빨리 내놓아서 민심을 얻는걸 안할까요? 어느당이라도 먼저 하면
진짜 이미지 좋아질텐데;;;; 심지어 모 사이트는 단통법 어떻게 해주면
무슨 당이던 무조건 다음 선거때 표준다고까지 표현하던데;;

하긴 통과된거 자체가 이미 통신사와 유착이 다 있었으니 그리 사실상 전원통과 시켰겠지만...
그 통신사와 협의된 기간이 언제인지 이제 궁금하네요..... 표면상으론 이번 정권 까지인데
그 전이 최소한의 협의기간이 될 거 같은데;;; 빨리좀 바뀌었음 좋겠습니다.
나름쟁이
14/12/31 23:43
수정 아이콘
진짜 욕나오네요 허허..
8월의고양이
15/01/01 13:00
수정 아이콘
넥서스5에 헬로모바일로 갈아탄게 신의 한수였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781 [일반] 이정현, 마냥 추억할 수 없는 가수 [26] 王天君17073 15/01/03 17073 22
55780 [일반] 이게 다 북한 때문이다. 아니, 북한 때문이어야 한다. [63] 유리한8555 15/01/03 8555 2
55779 [일반] 아이돌 사진찍는 재미. [36] 삭제됨8219 15/01/03 8219 2
55778 [일반] 제목없음 [43] 삭제됨9470 15/01/03 9470 55
55777 [일반] 왜 인간은 자웅동체가 아니어서 잡념이생기나 [6] 바위처럼5301 15/01/03 5301 0
55776 [일반] 한드 블루레이 시장이 천천히 생기고 있습니다. [27] Leeka10590 15/01/03 10590 0
55775 [일반] 요즘 정치여론조사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16] swordfish-72만세4041 15/01/03 4041 0
55774 [일반] 8090의 락밴드 가요사 [8] 카랑카8601 15/01/03 8601 9
55773 [일반] '선비 드립'에 대한 개인적 생각 [67] 랜덤여신9628 15/01/03 9628 6
55772 [일반] 새벽 감성이 터져 올리는 노래 3곡. [5] 내가왜좋아?3438 15/01/03 3438 0
55771 [일반] KBO 통산 팀간 상대전적 및 구단 담당기자들의 리뷰 [15] style7732 15/01/02 7732 0
55770 [일반] 내 인생의 Best 웹툰들...!!! [78] [fOr]-FuRy17864 15/01/02 17864 2
55768 [일반] 2014년의 망한 소비 모음 [18] 스테비아8631 15/01/02 8631 0
55767 [일반] 2017년 대선 여론조사 [69] Dj KOZE10224 15/01/02 10224 0
55766 [일반] 제라드가 안필드를 떠나겠네요. [27] 베컴5799 15/01/02 5799 0
55765 [일반] 세계은행 자료를 보며, 무시무시한 중국경제 [48] 어강됴리9685 15/01/02 9685 1
55763 [일반] [잡담] 얘야, 이 찹살떡 하나 먹어보지 않으련? [2] 언뜻 유재석3912 15/01/02 3912 3
55762 [일반] 영화 '국제시장' 감상 [10] 주먹쥐고휘둘러4477 15/01/02 4477 3
55761 [일반] 도로명 주소 1년, 도로명 주소 익숙하신가요? [130] 발롱도르9416 15/01/02 9416 0
55760 [일반] . [34] 삭제됨4764 15/01/02 4764 5
55758 [일반] 어처구니 없는 SNS 언론들의 보도 태도(부제: 언론을 언론이라 부르지 못하고...) [19] 피터티엘4749 15/01/02 4749 5
55757 [일반] 다음 토탈워 카페에서 본 마키아벨리의 글귀 [10] swordfish-72만세6010 15/01/02 6010 1
55756 [일반] 박지원 "민주당으로 변경" vs 문재인 "새정치민주당으로" vs 안철수 "반대" [127] 발롱도르10186 15/01/02 1018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