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12/15 18:15:33
Name Dj KOZE
Subject [일반] 강준만 : "왜 우리는 차별에 찬성하는가?"

강준만 교수가 기고한 글입니다.
한국의 평등주의를 위를 향한 평등주의가 아닌 밑을 향해선 차별주의를 
외치는 "이중적 차별주의"에 라고 꼬집으셨네요.. 



본문에서 :

서열이 한두개 차이 나는 대학을 '비슷한 대학'으로 엮기라도 할라치면 그 순간 서열이 앞선다는 대학의 학생들은 
"무슨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냐"며 흥분한다. 이런 현실에 대해 오 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대학생들의 '대학서열 중독증'은 미국에서 벌어진 '능력주의'(meritocracy) 논쟁을 떠올리게 만든다. 
오늘날 미국의 극심한 빈부격차를 정당화하는 주요 이데올로기가 바로 "능력에 따른 차별은 정당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다"고 하는 능력주의다. 능력은 주로 학력과 학벌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고학력과 좋은 학벌은 주로 부모의 경제력에 의해 결정된다. 
학력과 학벌의 세습은 능력주의 사회가 사실상 이전의 귀족주의 사회와 다를 바 없다는 것을 웅변해준다.

이런 한국형 '세습 자본주의'를 바꾸는 것이 제1의 개혁의제가 되어야 하겠지만, 
우리 모두 어느 정도는 갖고 있는 '사소한 차이에 대한 집착'도 성찰의 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수능점수 몇점이나 정규직·비정규직의 능력 차이는 사소한 것임에도 
우리는 그런 차이에 엄청난 의미를 부여하면서 그에 따른 차별에 찬성하는 것을 정당한 능력주의라고 믿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수지설현보미초아
14/12/15 18:26
수정 아이콘
저번에 시사인에서 쓴 일베기사에서 본 것 같은데 "을들이 갑의 가면을 쓰고 서로서로에게 을의 낙인을 찍으려 하는 사회"지요.
내가 올라가진 않았는데 호남사람이라고 비하하면 한계단, 여자라고 비하하면 다시 한계단, 지방대라고 비하하면서 또 한계단 올라가는 거죠.
나는 아무것도 안하고 다른 사람에게 을의 낙인을 찍어버리면 자연스럽게 3계단 올라가서 갑이 된 것 같거든요.
문제는 내가 올라가는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지하 1층, 2층으로 보내버리는 거고 정작 꼭대기 펜트하우스에서 보는 사람들은 그거 보고 낄낄대는 거죠.
제일 좋은 대학교, 제일 점수 높은 과 가봤자 느끼는 건 금수저의 위엄이죠. 학벌 좋아봤자 어차피 고만 고만한 을 중에 좀 나은 을이에요. 갑은 절대 못돼요.저번어 피지알에 어떤 분이 말씀하셨던 것처럼 서울대가는게 중요한게 아니에요. 을끼리 학벌이 좋네 나쁘네 싸워봤자 뭐합니까
정작 중요한건 저어기 위에서 띵가띵가하는 금수저들의 혜택을 다른 사람들에게 나눠주는 거죠.
라라 안티포바
14/12/15 18:29
수정 아이콘
링크 글에 진짜 격하게 공감하게 되네요.
피들스틱
14/12/15 18:29
수정 아이콘
젊은이들의 가장 약한 부분중 하나가 학벌 콤플렉스죠. 더 높은곳에 가지못한 아쉬움을, 나보다 낮은곳에 있다는 이들을 은근히 무시함으로써 보상받는... 약한 부분을 제대로 짚었네요.
단 하루의 수학능력평가가 인생 전체의 능력을 좌우한다는 시스템의 부당함. 그런데 너도나도 그것이 당연하다 받아들이고 누군가 짜놓은 그 프레임에 아웅다웅하며 콧대높이고 비참해하고 있는게 새삼 안스럽습니다. 마땅히 벗어날수 없으면 순응해야 하는 것인가 싶고요.
켈로그김
14/12/15 18:34
수정 아이콘
차상위나 보호계층에 대한 잡다구리한 혜택을 누리려고 각종 편법을 쓰는 인간들의 모습이 더해지면,
이중잣대도 모자란 다중잣대라는 느낌을 받습니다.

근데, 사실은 단 한가지의 잣대. "내가 좋으면 옳은 것" 이라는 강력한 잣대가 대다수에게 있어서 제1원칙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차별, 불공정, 이기주의로 인한 공동체의식의 약화가 우려되는게 아니라,
애초에 공동체의식이라는게 없기 때문에 각종 문제가 드러나는게 아닌가 싶기도 해요.
할머니
14/12/15 18:45
수정 아이콘
사실상 이시점에서 학벌컴플렉스가 더 이상 의미가 있을까요? 과거에 비하여 학벌로 올라갈 수 있는 천장은 한참 낮아지고 있습니다. 각종 입시전형의 다변화로 고시 등 대표적인 대학교의 아웃풋간의 차이도 줄어들고 있구요. 학벌컴플렉스는 원인이 아니라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학벌에 대한 보상이 적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줄어들거라 봅니다.
14/12/15 18:51
수정 아이콘
전 반대로 생각하는게...보상이 많으면 여유가 있어요. 오히려 보상이 적어질수록 거기에 더 집착을 하게 되는 법입니다.
밥이 많으면 나눠먹을 수 있지만 밥이 적으면 눈에 불을 켜고 싸우게 마련이죠.
원달라
14/12/15 19:05
수정 아이콘
학벌 컴플렉스는 아웃풋 차이의 결과라기 보다는 구획화의 결과겠죠(사실 아웃풋도 아직 차이가 많이 큽니다. 고시나 로스쿨, 주요 전문직 자격증을 아웃풋으로 본다면...)

이를테면 로스쿨, 5급공채, 외교관 연수원에서 호랑이 모여! 독수리 모여! 하는 선배가 뜨는 순간 학벌 컴플렉스는 아웃풋이 동일한 상황에서도 그 사회를 지배해버리게 되겠지요..

뭐 이런 집단주의 문화가 점점더 조롱거리가 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할머니
14/12/15 19:14
수정 아이콘
아웃풋 차이가 줄어들수록 구획화가 옅어지지 않을까요? 과거에서부터 서울대 밑으로는 의미없다. 연고대밑으로는 의미없다. 같은 말들이 있었던 이유는 구획화의 실익이 없을 때는 구분에 무의미하기 때문 아닐까 싶습니다. 향후에는 학벌 따위 의미없다는 금수저론으로 정리되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말씀하신 독수리, 호랑이 모여의 문제는 사실 학벌 컴플렉스의 문제라기보단 다수의 문제라서요. 성대로스쿨에서는 성대모여가 설대모여보다 쌔겠죠.
원달라
14/12/15 19:33
수정 아이콘
제 생각은 차별과 학벌주의의 근저에는 집단주의가 있다는 겁니다. 집단을 이루는 것만으로도 실익이 있다는거지요. 마음이 편해지는 것부터 끌어주고 밀어주기를 해주는 것까지요. 위로 올라가지 못한것이 아니라 그 집단에 속하지 못한 것이 학벌 컴플렉스의 본질이 아닐까 이래 생각해봅니다.
뭐 결국 저는 남녀,지역주의,학벌 이런 걸 같은 궤에 올려놓고 보고싶습니다.
새벽이
14/12/19 12:51
수정 아이콘
슬프지만 현실인 것 같습니다. 원달라님의 말씀처럼 문제는 정말 이게 한국사회 곳곳에서 집단주의/패거리문화와 함께 자연스럽게 나타난다는 것이지요. 그게 참 무섭습니다. 답이 없는 것 같기도 하고.
14/12/15 18:46
수정 아이콘
그렇게 키워놨으니 그렇게 큰거죠. 그렇게 사회를 만들어놨고 실제로도 그러니 그렇게 행동하는 거고요.
스스로 의문을 제기해봤자 낙오자의 푸념이나 있는놈의 여유 정도로밖에 반응을 못받는걸요. 튀는 놈만 바보가 될 수밖에 없죠.
내가 먹는(먹을) 빵을 나누라는데 웃을 사람도 아무도 없고요. 일단 빵을 먹고 배가 불러야 고기에 눈이 돌아가는 법이에요
14/12/15 19:00
수정 아이콘
같은 대학 안에서도 과점수 조금 높다고 다른과 무시하는 사람도 있던데...도토리 키재기가 가장 치열한 법이죠
쎌라비
14/12/15 19:00
수정 아이콘
공감하고 갑니다.
원달라
14/12/15 19:10
수정 아이콘
원인이야 뭐..
"사는 재미랄게 그거 밖에 없어서"
캐터필러
14/12/15 19:37
수정 아이콘
올라갈희망이 없다는걸 본능적으로 알고있지요
내가살기위해선 타인을 낮출수밖에

새둥지의 아기새들이 어미가물어온벌레에 다른새끼를 밀치고라도 달려드는거랑 비슷

곳간에서 인심난다고
이제곳간이 더 비어갈수록
이제 저것보다 더 미세한부분에서도 서로 의식하고경쟁하게될듯

미생들은 아무리 많아도 결국 잡아먹힐 운명인데
이 미생이 저 미생보다 잘낫다고 싸우고잇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492 [일반] 구멍 뚫린 시트의 사례 - 살만 루슈디에 대하여 [13] 에디파6507 14/12/18 6507 6
55491 [일반]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초저가 이어폰 4종류 (부제: 나는 가난하다) [55] 곰주19780 14/12/18 19780 4
55490 [일반] [혐주의] 아동연쇄살인마 "알버트 피쉬" [38] 치토스15322 14/12/17 15322 0
55489 [일반] [K리그] 황희찬 포항 동의없이 유럽행 논란, [85] ChoA9780 14/12/17 9780 2
55488 [일반] 19일 오전10시 통합진보당 헌재심판 선고 [45] 어강됴리7333 14/12/17 7333 0
55487 [일반] [야구] 내년시즌 야구관련 방송에도 큰 변화가 있을거 같습니다 [47] 강가딘8670 14/12/17 8670 0
55486 [일반] 필리핀 납치 피해자 홍석동씨의 시신이 발견된듯 합니다. [13] 어리버리11382 14/12/17 11382 0
55485 [일반] [야구] 가해자 한화, 김성근감독과 선수협 [76] 향냄새13850 14/12/17 13850 10
55483 [일반] 2015 프로야구 일정이 발표되었습니다 [38] SKY927198 14/12/17 7198 0
55482 [일반] 지하철에서 멱살잡힌 이후 후기 [120] MayLee13125 14/12/17 13125 0
55481 [일반] '땅콩 회항 조현아'논란에 "대한항공 '대한' 명칭회수 검토중" [45] 로즈마리8930 14/12/17 8930 0
55480 [일반] 탈레반 파키스탄서 학생들에게 총격. [25] 하정우4041 14/12/17 4041 0
55479 [일반] [야구] FA보상선수 정현석 위암 투병 중 [193] Victor14109 14/12/17 14109 0
55478 [일반] '구글 나우'... 좀 섬뜩하다는 생각마저 드네요. [52] 피들스틱12020 14/12/17 12020 4
55477 [일반] 이 친구 생각보다 멋진 친구군요. [35] Anti-MAGE8802 14/12/17 8802 5
55476 [일반] [연재] 빼앗긴 자들 - 24 [8] 가브리엘대천사2139 14/12/17 2139 1
55475 [일반] 이 추위에 70미터 높이에 올라가 있는 사람들 [26] 상상력사전5780 14/12/17 5780 6
55474 [일반] 갑의 횡포를 욕하는 나 또한 갑의 횡포를 부리진 않았을까? [44] 하정우6064 14/12/17 6064 0
55473 [일반] - [26] 삭제됨4279 14/12/16 4279 8
55472 [일반] JTBC '청와대 회유 의혹' 녹음파일 있다 [39] 삭제됨6339 14/12/16 6339 2
55471 [일반] 문희상 비대위원장, 조양호 대한항공 회장에게 ‘처남 취업 청탁’ [74] 알베르토8449 14/12/16 8449 1
55470 [일반] 제2 롯데월드에 관해서. [23] 카롱카롱5659 14/12/16 5659 0
55469 [일반] 러시아 제국의 흑횽 장군 [1] swordfish-72만세4447 14/12/16 444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