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12/01 12:45:55
Name Neandertal
Subject [일반] 이걸 원샷으로 찍다니...
2000년 이후에 만들어진 SF영화들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이라고 종종 거론되는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2006년 작 [칠드런 오브 맨 (원제: Children of Men)]은 작품 전체적으로도 수작이지만 영화 속에 사용된 롱 테이크 샷으로도 아주 잘 알려져 있습니다 (저도 며칠 전에 드디어 봤습니다...). 원래 쿠아론 감독이 롱 테이크 샷을 잘 구성해서 찍는 감독으로 유명한데 [그래비티]에서 영화 도입부에 보여주었던 그 롱 테이크 샷의 실력은 사실 이전부터 이미 제대로 발휘되고 있었다고 봐야겠습니다.

이 영화 [칠드런 오브 맨]에는 영화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기억에 남을 만한 롱 테이크 장면들이 들어 있는데 오늘은 영화의 앞부분에 나오는 롱 테이크 샷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한 유튜브 매체에서 영화사상 가장 뛰어난 롱 테이크 샷으로 선정이 된 장면이기도 한데 (관련 링크: http://www.youtube.com/watch?v=oLFHdagIw6o) 다섯 명이 등장인물이 차를 타고 이동하다가 반체제 단체 회원들의 습격을 받고 도망치는 장면입니다.

장면을 보시면 정말 감독이 등장인물들과 엑스트라들의 동선을 치밀하게 짰고 제작진들과의 호흡을 기가 막히게 맞췄다는 것을 알 수 있으실 겁니다. 제가 문외한이어서 어떤 식으로 카메라를 이동시키면서 컷을 내지 않고 전체 장면을 찍은 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일단 카메라를 차 안에 위치시키고 촬영했다고 합니다. 이 장면 하나 찍는 데만 무려 12일이 걸렸다고 하네요. 사실 저는 얼마 전에 이 영화를 볼 때는 이 장면이 롱 테이크 샷이라는 것조차도 의식하지 못했었습니다. 나중에 알아보고 나니 정말로 약 3분 57초 정도의 분량이 그냥 한 번에 쭉 간 롱 테이크 샷이었습니다.

쿠아론 감독...정말 대단한 감독인 건 확실한 것 같습니다.
자, 여러분들도 한번 3분 57초짜리 롱 테이크 샷 한번 감상해보시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12/01 12:52
수정 아이콘
후반 총격전 롱테이크 씬에 비하면 박력이 떨어지긴 하지만 이 씬 역시 대단하긴 하지요.
14/12/01 13:00
수정 아이콘
메이킹보면 나오지만, 이거 찍기 위해서 차를 그냥 새로 만들었습니다. http://youtu.be/cBfsJ7K1VNk?t=2m20s
14/12/01 13:02
수정 아이콘
엄청나네요.

이거랑 장르도 스케일도 다르긴 하지만, 결혼은 미친짓이다의 오프닝이 생각나네요.
하늘을 봐요
14/12/01 13:07
수정 아이콘
위 영상이 상당히 동적인 롱 테이크 씬이라면
정적인 롱 테이크이크로 서편제가 생각나네요.
5분이 넘는 롱테이크였는데 정말 지루하다는 생각 하나 없이 봤던 기억이 납니다.
즐겁게삽시다
14/12/01 13:26
수정 아이콘
얼마전 롤링스톤지 sf순위보고 이영화를 봤는데 정말 좋더군요. 그런데 저 장면을 굳이 롱테이크로 찍은 이유는 뭘까요? 보면서 롱테이크라고 느끼지도 못했네요. 흐흐흐
Neandertal
14/12/01 14:48
수정 아이콘
저 장면에서는 사건의 진행과 긴박감을 최고조로 올리는 데 롱 테이크가 기가 막히게 사용된 것 같습니다...
Go2Universe
14/12/01 18:58
수정 아이콘
저 장면을 롱테이크로 만든 이유는 '그렇게 하고 싶어서'가 정답입니다.
롱테이크가 가장 어울려서 쓰는게 아니라 난 편집을 하지 않고도 최고의 장면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감독의 목표의식이요.
일종의 실험영화이자, 형식상의 도전이라 보는게 정확해요.
이 실험이 이 영화에서 100%성공했다 못말하겠지만 덕분에 그래비티가 나올 수 있는 자양분이 된 것도 사실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213 [일반] 에네스 카야 사실 인거 같습니다 [127] 카스트로폴리스19618 14/12/02 19618 2
55212 [일반] 저도 뜬금 없이 군 시절 이야기를 풀어봅니다. [22] 하나5485 14/12/02 5485 0
55211 [일반] [야구잡담] '우선협상기간 폐지'보다 '보상선수 규정 완화'가 먼저 [29] 삭제됨4401 14/12/02 4401 2
55210 [일반] 내가 데려오고 싶은 슬램덩크 감독? [29] 인간흑인대머리남캐6203 14/12/02 6203 0
55209 [일반] 수지에게 악성 트윗을 남긴 네티즌이 잡혔습니다. [127] Leeka10303 14/12/02 10303 1
55208 [일반] (음슴체 주의) 군복무 시절 츤데레했던 선임 이야기 [18] 구름이가는곳8555 14/12/02 8555 4
55207 [일반] 수능 과목 별 1등급&만점 비율이 공개되었습니다. [35] Leeka5941 14/12/02 5941 0
55205 [일반] [잡담] 이대형은 왜 KT로 갔을까... [101] 언뜻 유재석13057 14/12/02 13057 1
55204 [일반] 2014 피파 발롱도르, 각 부문 최종 후보 명단 발표 [35] 반니스텔루이6765 14/12/02 6765 0
55202 [일반] 추남의 만화추천「 연애괴담 사요코씨 」 [5] 쎌라비20256 14/12/02 20256 0
55201 [일반] <삼국지> 곽가의 손책의 죽음에 대한 예측은 과연 우연이었을까. [16] 靑龍8021 14/12/02 8021 0
55200 [일반] <삼국지> 한중전, 관우의 번성 공방과 형주상실 [19] 靑龍7426 14/12/02 7426 0
55199 [일반] "중국인은 출입 금지" [20] Dj KOZE9637 14/12/01 9637 1
55198 [일반] 비정상회담 에네스 카야(유부남)의 총각행세논란 [171] 연의하늘48423 14/12/01 48423 2
55197 [일반] 후한말 사대부 사회의 성격과 조조시기의 부화 (부제 : 공융의 부화사건) [7] 靑龍5504 14/12/01 5504 3
55194 [일반] 서울시민 인권헌장이 표류하고 있습니다. [52] jjohny=쿠마8973 14/12/01 8973 5
55193 [일반] 해외 직구 열풍과 국내 유통 이야기 [51] Jun9119906 14/12/01 9906 5
55192 [일반] 서북청년단의 부활이네요. [38] 동지7085 14/12/01 7085 3
55191 [일반] IS의 수도 라까의 현실에 대한 기사 [6] swordfish-72만세4833 14/12/01 4833 0
55190 [일반] 한 대학병원에서 음주한 의사가 3세 아이를 수술하는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128] SCV11064 14/12/01 11064 0
55189 [일반] 김난도, 그의 다음 명언 [47] swordfish-72만세7561 14/12/01 7561 5
55188 [일반] [바둑] 라라의 바둑이야기 28. 기성 오청원 별세, 바둑책 출간소식 등. [33] 라라 안티포바8098 14/12/01 8098 2
55187 [일반] [K리그] 울산, 신임 감독에 윤정환 감독 선임 [7] Rorschach3223 14/12/01 3223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