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7/13 20:26:03
Name Neandertal
Subject [일반] 다보탑은 비범한 천재가 설계했을까?


어제 티비 채녈을 돌리다가 우연히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이라는 프로그램을 보게 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역사적인 인물이나 사건, 또는 장소를 선정해서 그에 대해서 자세하고 쉽게 알려주는 프로그램이라 일부러 찾아보지는 않더라도 어제처럼 채널을 돌리다 걸리게 되면 지나치지 않고 꼭 보게 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어제는 마침 불국사 얘기가 나오더군요. 그런데 제가 채널을 맞췄을 땐 다보탑 얘기를 하고 있었습니다. 딱히 똑 부러지게 이유를 말할 수는 없지만 저는 불국사에 있는 국보인 두 개의 탑, 석가탑과 다보탑 중에서 다보탑에 더 호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석가탑은 무영탑의 전설도 있고 해서인지 다보탑보다 인지도에서는 좀 더 앞선 것 같은데 십 원짜리 동전에 새겨져 있어서 예전부터 익숙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왠지 모르게 다보탑이 더 정겹고 명작인 것 같은 생각을 하게 되더라고요.

안 그래도 어제 프로그램에서 다보탑은 중국이나 동아시아에서는 유사한 형태의 탑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독특하고 뛰어난 탑이라고 하더군요. 우리나라에서도 불국사에 있는 다보탑만이 이러한 형태를 가지고 있고 다른 어떤 탑도 이와 유사한 형태의 탑은 없다고 했습니다. 석가탑은 우리나라 3층 석탑의 전형적인 형태로서 이후에도 이러한 형태로 많은 탑들이 만들어지는데 반해서 다보탑은 불국사에 서 있는 게 유일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일본에는 다보탑이라는 명칭의 탑이 여러 개 있는데 우리나라 불국사에 있는 다보탑의 영향을 받은 것 같은 탑들이 있다고 합니다.

진짜 다보탑을 보게 되면 도대체 어떻게 돌을 다루었길래 저런 탑을 만들 수 있을까 하고 감탄하게 되지요. 지난 겨울에 오랜만에 불국사를 방문해서 20여 년 만에 다시 다보탑을 봤을 때도 역시 똑 같은 감흥을 느꼈습니다. 마치 돌을 나무처럼 다루었다고나 할까요? 그 시대에 어떻게 저런 조형을 생각해 낼 수 있었을까? 하는 감탄을 하게 되더군요.

그런데 여기서부터는 어디까지나 제 상상입니다만 다보탑은 아마도 미켈란젤로나 레오나르도 다빈치 또는 모차르트 같은 비범한 천재가 만든 것 같습니다. 옆의 석가탑도 물론 뛰어난 장인의 솜씨이지만 왠지 규범을 준수하는 모범생 타입의 장인이 만든 것 같다면 다보탑은 말 그대로 기인적인 성격의 천재가 번뜩이는 영감을 받고 미친 듯이 만들어 낸 것 같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그랬기에 석가탑 양식의 탑은 후대에도 전승이 되어 만들어지지만 다보탑은 딱 그 사람 혼자만이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후대에 그 양식이 전달되지 못하고 단 하나의 작품으로 끝난 것이 아닌가 하는 제 멋대로의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됩니다.

제 상상이 맞든 틀리든 이러한 국보들이 그 오랜 세월을 묵묵히 견디고 오늘날까지 우리 앞에 당당하게 서 있다는 것에 정말 감사함을 느껴야 할 것 같습니다.

(그건 그렇고 피지알 회원님들은 석가판가요 다보판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연아
14/07/13 20:27
수정 아이콘
감은사지3층석탑파입니다 크크
Neandertal
14/07/13 20:36
수정 아이콘
경주 갔을 때 일부러 감은사지 석탑도 보러 갔었는데...참...사찰이 남아있었더라면 더 좋았을 텐데...이런 생각을 했었지요...
14/07/13 23:55
수정 아이콘
저도요~ 제맘속의 경주 관광지 넘버원입니다.
내려올
14/07/14 17:34
수정 아이콘
정말 눈물나게 좋아하는 탑입니다.
G드라군
14/07/13 20:30
수정 아이콘
월정사 8각 9층 석탑파입니다 크크
14/07/13 20:30
수정 아이콘
저는 정림사지 5층석탑파입니다 크크
석가탑이 완성된 그 자체의 석가모니라면 정림사지 5층석탑은 아직 부처가 되지 못한 미륵불의 세계라고 할까요... ^^ 하늘로 오르는 무한한 자유로움이 느껴지더라구요
공상만화
14/07/13 20:32
수정 아이콘
미륵사터 9층 석탑파 입니다. 크크
부평의K
14/07/13 20:34
수정 아이콘
황룡사지 9층 목탑파입니다 크크크크
14/07/13 20:36
수정 아이콘
법주사 팔상전..(응?) 크크
유로회원
14/07/13 20:39
수정 아이콘
그렇죠.... 저도 왠지 그냥 다보탑이 더 좋던데....

근데... 미학적으로 석가탑을 더 높이 쳐준데서 이해가 안되더라구요 아직두요

저는 다보파입이니다
Neandertal
14/07/13 20:40
수정 아이콘
석가탑도 비례나 정제된 맛이 정말 뛰어나긴 하지요...
3층 석탑들 가운데서는 갑이라고 하더군요...
우리나라 스타일로는 분명 석가탑인데 다보탑은 이질적이어서 더 흥미로운 것 같습니다...
유로회원
14/07/13 20:45
수정 아이콘
어릴때 봐서는 다보탑은 뭔가 아기자기 한게 저 계단으로 올라가 숨어 보기도 하고 이층이나 삼층으로 오르고 싶기도 한 그런 재미있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젠다지나버린일
14/07/13 20:43
수정 아이콘
도움이 될까 모르겠지만
석가탑에 대한 유홍준 교수의 몇 마디를 인용하자면,

"고전미술의 본질은 전형(典型)의 창조에 있다. 앞 시기의 다양한 예술적 시도들을 수렴하여 하나의 모범 답안을 제시함으로써 이후 일어나는 모든 양식의 기준이 될 때 그것을 전형이라고 한다. 그러나 전형이 똑같은 양식의 되풀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진정한 전형에는 변화로 나아가는 길이 열려 있다. 석가탑이 탄생할 때 다보탑이라는 화려한 이형탑(異形塔)이 동반된 것과 같은 다양성이 보장된다."

'유홍준의 국보순례'라는 책에 있는 글인데,
한국 석탑의 전형으로서 석가탑이 지니는 가치를 매우 잘 설명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Neandertal
14/07/13 20:45
수정 아이콘
제가 갔을 땐 해체수리중이어서 아쉽더군요...같이 있어야 가치가 드러나는 건데...
유로회원
14/07/13 21:07
수정 아이콘
근데 다보탑은 로켓처럼 생겼거든요 달착륙선처럼 보이기도 하구요

.... 이상 국딩시절 유로회원이었습니다 흐흐
공상만화
14/07/13 20:50
수정 아이콘
한국형 석탑의 완성형이라 석가탑이 역사적, 미학적으로 인정받습니다.
목탑을 석탑으로 변환한 미륵사터 석탑이 석탑의 시작이 이었고 정림사지 5층석탑과 탑리 5층석탑이 백제계 석탑과 신라계 석탑으로 나뉘어 집니다.

신라계 석탑은 탑리5층-고선사지 3층석탑-감은사지3층-황복사지3층을 거쳐 석가탑에서 이르러 1층 1매라는 소재의 활용성과 몸돌과 지붕돌의 비례 층의 갯수, 낙수면의 기울기까지 고려해 완벽한 조형미를 이루어냅니다. 석가탑 이후 거의 모든 석탑은 3층석탑으로 만들어지고 창녕 동 삼층석탑, 갈항사지 3층 석탑, 실상사 3층석탑등 개성을 갖춘 3층 석탑들의 시발점이기도 합니다.
Neandertal
14/07/13 20:54
수정 아이콘
그런데 다보탑 같은 이형 탑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된 걸까요?...그리고 왜 후대에는 이런 이형 탑을 볼 수가 없는 걸까요?...
공상만화
14/07/13 21:06
수정 아이콘
확실한 근거는 없지만 비대칭의 대칭구조을 위해 만들었다는 설, 석가모니의 과거의모습인 다보불(多寶佛)이 석가모니의 환생과 설법을 증명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설 등이 있습니다.

후대에 이런 탑을 볼수 없었던 이유는 석굴암처럼 정밀한 수학적원리와 공학적기술이 요구되는 탑이었기에 신라의 국력이 쇠퇴함으로서 만들수 없었다고 보는 설이 유력합니다. 반면 석가탑처럼 단순한 모양의 탑은 다보탑만큼 수리, 공학기술이 필요하지 않으니 만들기 쉬워 지방으로 빠르게 확산되기 시작합니다.
이젠다지나버린일
14/07/13 20:4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갑이었습니다.
14/07/13 20:46
수정 아이콘
이런 모티브로 영화 만들면 재밌겠네요. 무영탑 이야기같은 거도 섞고요. 전 석가파입니다. 선이 굉장히 부드럽고 깔끔해요. 다보탑이 화장을 많이했다면 석가탑은 쌩얼미인의 느낌입니다.
Neandertal
14/07/13 20:48
수정 아이콘
같은 스승에게서 기술을 배운 두 라이벌이 불국사에 서게 될 탑을 만들기 위해 경쟁을 하게 되는데...
걸스데이 덕후
14/07/13 21:01
수정 아이콘
마지막 시험을 앞에 두고, 스승은 승자에게 자기의 딸을 주기로 하는데...
Neandertal
14/07/13 21:07
수정 아이콘
시험에 패한 석공은 스승을 떠나고 술을 떡이 되게 마신 후 이제까지 없던 제멋대로의 탑을 설계하는데...
걸스데이 덕후
14/07/13 21:12
수정 아이콘
그 탑을 보고 반한 딸은 그 석공을 따라가게 되는데...
아케르나르
14/07/14 04:07
수정 아이콘
그러나 두 탑이 완성되던 날. 석가탑을 만든 석공은 다보탑을 보고, 또 저 석공에게 가버린 스승의 딸을 목격하고 질투심에 눈이 멀어 라이벌을 죽이게 되는데..
공상만화
14/07/13 20:53
수정 아이콘
슬랜더와 글래머의 차이 아닙니까?
Rorschach
14/07/13 20:47
수정 아이콘
저도 감은사지 삼층석탑이요. 제가 아는 모든 탑 중에서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크크

석가탑 다보탑 중에서는 석가탑을 더 좋아합니다.
화려함에서 아름다움을 만들어내는 것 보다 단순함에서 아름다움을 만들어내는 것이 더 어렵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냥 보면 정말 단순한 3층 석탑일 뿐인데 그렇게나 아름답게 보이는게 놀랍습니다.
Neandertal
14/07/13 20:49
수정 아이콘
감은사지 3층 석탑은 석가탑에 비해서는 약간 덜 정제된 것 같지 않나요?...흐흐...^^
Rorschach
14/07/13 20:54
수정 아이콘
그건 그래요 크크

사실 감은사지 삼층석탑이 탑 그 자체로 최고라기보다 감은사터와 그 주변의 분위기가 너무 좋다보니 제일 좋아하는 탑이 된 것 같습니다.
Neandertal
14/07/13 20:55
수정 아이콘
분위기 고즈넉하고 좋더라구요...한나절 누워서 탑만 보다가 와도 좋을 듯...^^
14/07/14 00:02
수정 아이콘
저는 황룡사터도 그렇고 그런 쇠락한 느낌이 드는 잡초 우거진 절터나 폐허 같은데가 참 좋더라구요.
그치만 분위기와 별개로 감은사지 석탑은 그 자체로도 제겐 최고입니다. 단순 강건하면서 우악스럽지는 않은 느낌이..
그리고 감은사지 입구에 가면 몇년전까지는 블랙탠 멍멍이 한마리가 반겨줘서 그것도 플러스 요인이었는데 흐흐 지금도 있을라나 모르겠네요.
김연아
14/07/13 21:35
수정 아이콘
반갑습니다.
감은사지 3층석탑은 진짜 마초적인 탑이죠. 엄청난 빠워가 느껴지는..
대조적인 느낌의 터에서 우뚝 솟아 그런 힘을 발산해주는게 매력돋는 것 같아요.

경주가고 싶네요 ㅠㅜ
사상최악
14/07/13 20:51
수정 아이콘
제발 한국인이면 황룡사 9층 건물이죠. 전설로만 존재하는 유일무이한 건물인데 본 사람이 없음..ㅠㅠ

전 석가탑입니다.크
14/07/13 20:56
수정 아이콘
여친과 황룡사지 9층목탑의 공통점....
기아트윈스
14/07/13 21:23
수정 아이콘
황룡사지에서 여친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지구를 지키기 위해 와계인과 경기중인 일본 1군...
Scharnhorst
14/07/13 21:0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탑이 참 아름다워요.
정육점쿠폰
14/07/13 21:01
수정 아이콘
에네르기파입니다
버들피리
14/07/13 21:03
수정 아이콘
저도 화려한 다보탑에 비해 단순하고 소박한 아름다움을 지닌 석가탑이 더 좋습니다.

작년에 불국사를 방문했는데 무영탑은 해체 수리 중이어서 못봤어요.
Neandertal
14/07/13 21:05
수정 아이콘
음...피지알에는 석가파가 좀 더 우세하군요...^^
버들피리
14/07/13 21:10
수정 아이콘
하지만 다보탑은 창의적이고 참 독특하지 않나요? 볼때마다 그런 생각이 들어요...독특함.
공상만화
14/07/13 21:12
수정 아이콘
그 독특함을 위해 희생된 공돌이 및 석공들의 비애는 모르시군요... 공밀레... 공밀레...
유로회원
14/07/13 21:18
수정 아이콘
석공: 이야 정말 멋있는 석탑그림이다 근데 이거 어떻게 쌓는거야?

.... 그건 지금부터 니가 연구해서 만들어야지

석공: ??!!
Neandertal
14/07/13 21:19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제 생각에도 설계한 사람은 약간 아웃사이더 내지는 이단의 기운이 있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버들피리
14/07/13 21:24
수정 아이콘
하하하~역시나 다보탑 만큼 독특한 관점인데요~^^
14/07/13 21:07
수정 아이콘
저는 63빌딩파입니다.
...And justice
14/07/13 21:21
수정 아이콘
처음본 순간부터 상대적으로 화려한 다보탑이 훨씬 이뻤습니다.
석가탑이 무명저고리를 입은 여성이라면 다보탑은 꽃비녀에 꽃신 신은 양갓집 규수같다랄까요.
신중에신중을기한
14/07/13 21:43
수정 아이콘
다보탑은 정말 매력적입니다. 예전에 불교미술에 관한 수업을 들었는데 다보탑은 층층이 화려한 궁전(?)을 형상화해서 만들었고 그 속엔 어떤 보물이 들어있을지 모른다고 하신걸 듣고 너무너무 매력을 느꼈어요
그런데 막상 불국사 가면 석가탑에 시선을 뺏겨버립니다 정말 완벽한 탑이에요 어쩜 그렇게 아름답죠
아케르나르
14/07/14 04:10
수정 아이콘
정작 다보탑 내부는 일제시대때 털리고, 석가탑에서 무구정광 대다라니경이 나와버린..
신중에신중을기한
14/07/14 05:30
수정 아이콘
아직 뭐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을거라고 보시더라구요
감모여재
14/07/13 21:54
수정 아이콘
석가파입니다. 전형적인 아름다움의 극을 보여주는 작품이라 생각해요.
14/07/13 21:58
수정 아이콘
어렸을 때는 다보탑이 화려하고 멋있어서 석가탑은 안중에도 없었는데

나이들 수록 석가탑이 정말로 탑으로서 거의 완벽한 모습이 아닌가 싶더군요
14/07/13 22:02
수정 아이콘
탑은 감은사지 삼층석탑이 최고라고 감히 주장합니다. 모든 면에서 실로 압도적이거든요.
노름꾼
14/07/13 22:10
수정 아이콘
석가탑은 단순미와 절제미의 극치의 극치이고
다보탑은 화려함과 극치이지요.

석가탑이 좀더 높게 치는 데엔 비교대상이 많이 존재한다는 점도 작용하지 않았나 싶네요.

개인적으로는 석가탑을 좀더 좋아합니다.
지금뭐하고있니
14/07/13 23:02
수정 아이콘
저도 석가탑좋아합니다.
깔끔하고 담백한데 계속 눈길을 끄는 매력이 있거든요.개인적으로 조선이 억불을 하면서 탑이 덜발달한게 아쉽습니다.
미네기시 미나미
14/07/13 23:20
수정 아이콘
전 역시 운주사 와불파.... 퇴마록을 봤다면 와불파죠 역시
성스러운분노
14/07/14 00:41
수정 아이콘
와 마침 3일전에 불국사 다녀왔습니다! (저도 약 20년만이었어요..)
저도 다보파에요. 이뻐서요^^
홍승식
14/07/14 00:46
수정 아이콘
석가탑 좋아합니다.
어렸을 때 경주로 수학여행 갔을 때는 십원짜리 동전에 있는 다보탑만 눈에 들어왔는데 나이가 먹을 수록 석가탑만 보이네요.
아무런 장식없이 네모난 돌만 쌓아놓은 건데 왜 그렇게 단아하고 고운지 모르겠어요.
14/07/14 02:11
수정 아이콘
전 다보탑에 한표. 만일 다보탑이 프로그램이고 기획자가 그렇게 UI를 구성해서 기획서를 주었다면 개발자들 파업했을 거라는데 한 표 던집니다. 설계자가 어디서 듣도보도 못한 근본도(?) 없는 복잡한 설계도를 갖고 온거죠. 그런데 그게 만들어졌다는 사실은 윗대가리가 바빠서 안보고 결재했거나, 승인한 감독관의 취미가 덕후에 가깝거나, 그도 아니면 중국이나 인도 유학파를 고용해서 설계했다는 추측을 가능케 합니다. 물론 아님 말구요.
아케르나르
14/07/14 04:12
수정 아이콘
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B%A4%EB%B3%B4%ED%83%91 엔하위키 다보탑 항목 내용도 재밌네요. 다보탑의 돌사자는 어떤 사정으로 대영박물관까지 가게 된 걸까요...
14/07/14 04:53
수정 아이콘
탑은 아니지만 전 화엄사 각황전파입니다...
참치마요
14/07/14 06:53
수정 아이콘
이름하야 열파참입니다.
14/07/14 07:34
수정 아이콘
지디앤탑이 나올때가 됐는데...
종이사진
14/07/14 07:43
수정 아이콘
다보탑은 돌로 만들었지만, 마치 나무로 만든 것 같다는 본문의 이야기는 매우 중요한 점입니다. 목조 건물을 짓는 가구식 구조의 형태를 구현한 것인데..돌이라는 소재하곤 무관한 방법이라 특이하죠.
마치 콘크리트로 한옥의 형태를 재현한 듯 한...
지포스2
14/07/14 09:12
수정 아이콘
무영탑!
엘롯기
14/07/14 10:20
수정 아이콘
저도 티비 돌리다가 그 프로 본거 같군요. 기억나는게 불국사의 불상은 특이하게 왼손을 들고 있다는데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는...
그리고 저도 석가파...수리하다가 안에서 보물이 똬~ 그게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
지니팅커벨여행
14/07/14 13:05
수정 아이콘
저는 미륵사지 석탑파인데요;;
해체 전 그 탑을 봤을 때 울음이 쏟아질 뻔 했습니다.
마치 백제의 역사를 그대로 안고 있는 듯 하더군요.
해체한지 몇 년 됐는데 아직까지 복원을 못한 걸 보면...

석가탑과 다보탑 중에서는 석가탑이 더 좋네요.
어릴 때는 다보탑이었는데 나이를 먹을수록 석가탑이 더 아름다워보입니다.
abyssgem
14/07/14 15:03
수정 아이콘
저는 Neandertal님과 반대의 느낌을 받았습니다. 다보탑은 모든 기술과 경력에서 만렙을 찍은 불세출의 거장이 자신의 모든 능력을 마음껏 발휘해서 화려하게 완성한 '걸작'이라고 하면 석가탑은 선이 굵은 천재 기인이 어느날 하늘의 계시(?)를 받아 만든, 다시 만들래야 만들 수도 없는 일생일대의 '문제작'이랄까요? 제게는 그런 느낌입니다.
Neandertal
14/07/14 18:44
수정 아이콘
모든 수식을 다 쳐내고 정수 가운데 정수 만을 뽑아낸 것처럼 말이군요...^^
내려올
14/07/14 17:37
수정 아이콘
감은사지 삼층석탑을 정말 좋아하는데요.

누가 탑에 낙서해놓은 흔적을 보고 정말 분노했었습니다. 이런 아름다운 탑을 제대로 보존하지 않다니 피가 거꾸로 솟을 일입니다.
Neandertal
14/07/14 18:43
수정 아이콘
정말 안타깝습니다...이건 국영수 성적하고는 아무런 상관도 없는 기본 양식이 문제이거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282 [정치] 與 "풍수학 최고권위자에 또 '무속 프레임'…野 말바꾸기 졸렬" [103] 유료도로당14962 23/07/23 14962 0
92181 [일반] [역사] 에어컨 만든 사람 노벨평화상 줘라 / 에어컨의 역사 [46] Its_all_light94079 21/06/21 94079 19
78630 [일반] 정보 위주로 적어보는 교토 여행기 [30] Fysta8123 18/10/24 8123 6
78452 [일반] 이동진은 쇼 호스트인가? [73] 마스터충달19541 18/10/07 19541 53
72997 [일반] 전라도 음식은 정말 맛있는걸까? [195] 자전거도둑22951 17/07/23 22951 3
71391 [일반] 제가 돌아다닌 한국 (사진 64장) [281] 파츠18952 17/04/10 18952 120
71340 [일반] 국민들 세금으로 국립 박물관이 만들고 있는 것들...jpg (약데이터?) [128] Ensis18568 17/04/05 18568 36
68777 [일반] 그것이 알고싶다 [대통령의 시크릿]편 감상 [74] 아케이드15176 16/11/20 15176 16
52703 [일반] 다보탑은 비범한 천재가 설계했을까? [70] Neandertal11938 14/07/13 11938 0
52634 [일반] 유홍준 교수, 문화재 입장료에 대해서 [55] Duvet7775 14/07/10 7775 2
45948 [일반] 문화재,박물관 관람하는데 돈을 받아야하는 이유.jpg [69] 김치찌개11397 13/08/19 11397 2
42193 [일반] 무릎팍도사 초난강 편 이야기 [51] 트릴비12043 13/02/08 12043 0
38303 [일반] [서평] 안철수의 생각 [42] Toppick11815 12/07/24 11815 2
36293 [일반] 박물관 만찬 [33] nickyo6911 12/03/29 6911 0
32602 [일반] 김여진씨... 이런 연예인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네요. [100] 흰코뿔소12451 11/10/25 12451 0
32533 [일반] 일제시대 일본군 관사를 문화재로 복원 [79] 풍경7955 11/10/22 7955 0
31783 [일반] 무릎팍도사 결국 폐지 [42] Lovepool12743 11/09/17 12743 0
31037 [일반] [한국 문명 출시 기념] 세종대왕 특별편 (중요부분 정정 봐 주세요) [135] 눈시BB15778 11/08/12 15778 13
16695 [일반] [잡담] 이런저런 이야기들 [33] 달덩이5676 09/10/15 5676 0
11272 [일반] [세상읽기]2009_0306 [15] [NC]...TesTER6287 09/03/06 6287 0
8140 [일반] 소소한 답사이야기)잊혀진 신화를 찾아 익산으로 [9] happyend6472 08/08/31 6472 11
5276 [일반] [퍼온글] 노회찬을 이긴 홍정욱의 모든 것 [82] 戰國時代14386 08/04/12 14386 12
5082 [일반] 북한과 전쟁하자는 여론이 50%를 넘었군요.. [111] 꼭데페8247 08/04/02 824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