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7/04 11:41:43
Name 굿리치[alt]
Subject [일반] 자신을 희생하며 큰 사고를 막았는데 징계라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2&sid2=256&oid=421&aid=0000905056

얼마전 2호선 추돌사고는 다들 아실겁니다.

후속열차의 기관사가 보안제동까지 썻기에 큰 사고를 막을 수 있었는데 후속열차 기관사에게도 징계를 내렸다네요.

보안제동을 안 썻으면 70m정도 더 지나쳐서 대형사고가 날뻔 했다네요.

중징계는 아니라 경징계이지만 왜 징계를 받아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오히려 칭찬을 해줘도 모자랄 판에...

저도 물론 철도밥 먹고 있지만 이런건 진짜 의욕상실하게 하는군요.

차라리 메뉴얼대로만 비상제동을 쓰고 보안제동은 안써서 대형사고가 났으면 징계를 안받았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웨일리스
14/07/04 11:44
수정 아이콘
탁상행정의 한계죠 현장을 아는 사람들이 없으니 책상위에서 메뉴얼 보고 판단하고 징계 에휴...
그리고또한
14/07/04 11:54
수정 아이콘
책상위에서 현장을 보니까요.

저런 분들 밑에서 살아남으려면 그저 일이 안 터지길 빌거나 아니면 내가 책임질 일이 없어야 됩니다.
그래서 한국이 이리 돌아가는 걸지도 모르겠네요.
14/07/04 11:54
수정 아이콘
사실 세월호때도 어떤 해경이, 홀로 나서서 사람들에게 뛰쳐내리라고 하면서 지휘해서. 300명가까이 매장되어 죽을거 100명만 물에 빠져죽고 200명은 살수 있었다면...

그 해경은 200명 구한것에 대해 칭송을 받는게 아니라 100 명 죽은것에 대한 책임을 물고 독박썼을 가능성이 크지 않았나 싶네요.
영원한초보
14/07/04 12:08
수정 아이콘
그렇게 되면 안되죠.
박지영씨와 같은 몇명 희생적 승무원들을 칭찬하듯이
위험을 무릎쓰고 구조활동을 벌인 해경이 있었다면 칭찬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지하철사건은 감사원이 뭔가 큰 판단착오를 한것 같습니다.
에네스티
14/07/04 12:35
수정 아이콘
아마 그 해경이 박지영씨와 달리 살았다면 얘기가 다를 겁니다.
낭만토스
14/07/04 13:26
수정 아이콘
지금이야 300명 죽은 결과가 나와버렸으니 그런 생각이 가능하지만

당시 상황에서 뛰어내리라고 해서 200명 살고 100명 죽었으면

차근차근 구했으면 살렸는데 니 맘대로 지휘체계 어기고 뛰어내리라고 해서 100명 죽었다

라고 했겠죠 뭐
사악군
14/07/04 13:10
수정 아이콘
왜냐하면 300명이 죽을 거라는 걸 지금 우리 입장에선 알지만 그런 상황하에서는 알 수 없는 불확실한 결과이니까요..
14/07/04 15:34
수정 아이콘
그렇죠 구조를 좀더잘해서 100명만 희생되었어도
그 희생된 인원에 대해 또 책임을 지게하려할걸요..
그 현장에는 없었던 사람은 그저 욕하겠죠
그따위로하니 100명이나 죽지!!하면서요
14/07/04 11:56
수정 아이콘
해당 기관사만 빼면 괜찮은 징계려나요. 기관사 징계가 경고 주의등의 처분이라고 했는데 처분수위는 높은 것 같지않지만 어떻게보면 상징적인 의미로 영웅을 깍아내린다는 느낌이 있긴 합니다. 우리나라 안전사고에 대한 처벌기준은 진짜 너무 미미한것 같은 생각은 드는데 200여명이 부상당한 사고 혹시나 엄청난 사망사고가 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징계는 필요했다고 보긴하네요. 정확히 저기관사가 어떤 상황이었는지 궁금하긴해요. '후속열차기관사승무교대 및 안전운행주의소홀' 이 징계이유라는데.
14/07/04 12:02
수정 아이콘
기사중에 "신호시스템의 오류를 인정해 기술본부장이 사퇴하고 사장도 불명예 퇴진" 이라는 말이 있는것 보면 직접적인 원인인 신호 시스템과 관련된 인력은 가장 강한 징계를 받은 듯합니다.
그외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사람도 그 시간에 근무했다는 이유 만으로 징계를 받게 된거 같은데.. 어떻게 생각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어쨌거나 신호 시스템이 문제가 됐고 그 시스템이 갑자기 이상을 일으킨게 아니라 먼가 징후가 있었다면 그 시간에 일하던 사람들이 알아차렸어야 하는 책임이 있지않나 생각합니다.
굿리치[alt]
14/07/04 12:07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론 후속열차 기관사의 제동사용 시점이 늦었는지 적당한지에 대한 조사결과도 '적당하다'로 나온걸로 알고 있습니다.
14/07/04 12:06
수정 아이콘
아무도 책임지지않으려는 사회가 되가고있죠
No52.Bendtner
14/07/04 12:09
수정 아이콘
끔찍하네요.
영원한초보
14/07/04 12:13
수정 아이콘
해당 기관사가 위험상황에 대한 조치때문에 징계 받았다는 것은 잘못된 일입니다.
자세한 내용이 나와봐야 알겠지만 신호고장에 대해서 기관사가 알고 있었다는 것에 대한 책임인지 모르겠네요.
그런데 신호고장에 대해 기관사가 알고 있었다면 할 수 있는 조치가 뭐가 있었을까요
그런게 없었다면 징계는 부적절한 것 같네요.
굿리치[alt]
14/07/04 12:16
수정 아이콘
신호고장에 대해 알고 있었다면 안가는게 정상 아닐까요?
신호고장을 알고 있었는데 출발한거면 경징계로 끝나지 않았겠죠
영원한초보
14/07/04 12:23
수정 아이콘
기관사에게 신호고장을 이유로 출발하지 않을 권한이 있을까요?
열차가 신호로만 간격 유지한다면 그래야 되겠지만 지휘통제 시스템도 있고 자동정지장치(고장나서 문제지만)도 있습니다.
전체적인 안전을 확인하고 운행가능을 지시하는 사람이 있을것 같은데요.
굿리치[alt]
14/07/04 12:26
수정 아이콘
기관사는 신호가 불확실할 경우 출발을 금지하여야 한다는 수칙이 있습니다.
전체적인 안전을 확인하고 운행가능을 지시하는 사람이 있을것 같은데요 -> 이건 관제사의 역활입니다.
그래서 열차간격을 제대로 보지 못한 관제사의 잘못이 있지요.
14/07/04 12:16
수정 아이콘
탁상행정 운운하기에는 노조 관계자의 주장만 나와있어서 이걸로 뭐라 판단하기는 어렵겠네요.
윤주한
14/07/04 12:17
수정 아이콘
{}
굿리치[alt]
14/07/04 12:24
수정 아이콘
보통 운행중에 쓰는 제동이 상용제동입니다. 그리고 사람이 뛰어내리거나 선로위에 물체가 있을때 비상제동을 씁니다.
그리고 상용제동과 비상제동이 둘다 작동안될경우 대비해서 따로 구축한게 보안제동입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89772&cid=2912&categoryId=2912
사악군
14/07/04 13:12
수정 아이콘
말하자면 비상제동도 안되면 하는 게 보안제동인데 비상제동은 안해보고 보안제동 했다는 건가요?
굿리치[alt]
14/07/04 14:31
수정 아이콘
비상제동까지 쓰고 보안제동도 사용했습니다.
굿리치[alt]
14/07/04 12:21
수정 아이콘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8477653&code=41121111&cp=nv

시 관계자는 “엄 기관사는 사고가 일어나기 10분 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교대를 한 상태였다. 이때 인수인계가 제대로 이뤄지고 행선표시기 상황을 보며 주의 깊게 운행했다면 애초에 추돌 자체가 안 일어났을 수 있다. 따라서 업무 인계를 한 전 근무 기관사와 인수한 엄 기관사도 주의·경고 대상에 포함된 것”이라고 말했다.

징계이유를 보니 교대할때 행선표시기 상황을 안봐서 그렇다고 하네요... 지하철이란게 실시간으로 여러대가 움직이는 거라서 교대할 때의 상황과 사고날 당시의 상황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건데 그걸로 징계를 내리네요.
영원한초보
14/07/04 12:26
수정 아이콘
행선표시기라는게 어떤건지 모르겠는데
그걸 보면 앞차의 위치가 확인이 되나요?
전역에서 출발할 당시 앞차 정지시간이 정상시간이 아니였다면 뒷차 기관사의 책임도 있겠네요.
굿리치[alt]
14/07/04 12:27
수정 아이콘
행선표시기가 저도 용어는 잘 모르겠는데 스크린도어 위에 나오는 열차위치표시 그걸 말하는게 아닐지..??
굿리치[alt]
14/07/04 12:33
수정 아이콘
행선표시기로는 앞차 확인이 안된다네요. 역에 있는 행선표시기 말하는거 같습니다.
14/07/04 12:27
수정 아이콘
시 관계자는 “일부 매체에서 주의·경고도 경징계에 포함된다고 나온 건 사실과 다르다”며 “경징계에는 불문경고·견책·감봉 1,2,3개월이 들어간다. 따라서 엄 기관사는 징계 대상까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냥 보면 서울시 해명들어보면 탁상행정까지는 아닌것같은데... 납득이 되는 처분같은데요.. 애초 첫기사가 너무 노조의 입장을 반영한 것 같았습니다만..
굿리치[alt]
14/07/04 12:30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사측의 정확한 입장도 나왓으면 좋겠네요
14/07/04 12:29
수정 아이콘
그리고 서울시의 사후 상황 판단상 애초에 방비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주의 경고의 징계를 내린거라면 차후 이런 사건 사고 방비차원에서 경종을 울릴 수 있는게 아닐까요? 영웅적 행동을 했지만 애초에 영웅적 행동이 필요없는 시스템을 만드는게 중요한 것 같아서요.
사악군
14/07/04 13:16
수정 아이콘
그런데 이건 진짜 몰라서 물어보는 건데.. 자기를 희생했다는 건 어떤 부분이죠?
보안제동과 연관이 있는건가요? 비상제동보다 작동시키기가 위험하다던가..
굿리치[alt]
14/07/04 14:33
수정 아이콘
끝까지 제동핸들을 잡고 있다가 어깨쪽 부상을 당했죠.
막말로 그냥 비상제동만 써놓고 운전실에서 나와 객실로 도망나왔으면 안다칠수도 있었겠죠. 그래도 끝까지 운전실에 남아 추돌상황을 지켜보았기에 희생이라 표현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스카이
14/07/04 16:41
수정 아이콘
기관사가 아마 제일 앞에 있을텐데 끝까지 붙잡고 있다가 큰 충돌 없었기에 살았지 끝까지 잡고 있다고 이번처럼 살 수 있으리란 보장이 없죠. 피해는 줄였을지언정 자신은 혹은 자신만 죽을 수도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어깨를 다친 것은 실질적 희생이지만, 자신이 죽을 각오로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했던 그 희생정신을 더 높이 생각합니다.
굿리치[alt]
14/07/04 17:10
수정 아이콘
예전에 중국에서 고속철도끼리 추돌?충돌? 사고가 있엇는데 그때 기관사의 손이 핸들을 쥐고 있었었죠
종이사진
14/07/04 17:02
수정 아이콘
보통 사고가 생기면 현장에 있던 사람들 중에 가장 약한 사람에게 책임을 미루기 마련입니다.

좀 다른 이야기입니다만,
졸업학년에 공모전 준비로 여름방학에 친구 둘이서 학교에 남아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
실습실에 불이난 것을 우연히 발견했습니다.
저는 소화기를 들고 불을 껐고, 친구는 자고 있던 경비원을 깨워 사태를 알렸죠.
다행히 화재는 그리 크지 않아 쉽게 진압되었습니다.
그런데 왠지...저와 제 친구가 뒤집어 쓸 것 같은 찜찜함을 느꼈어요.

아니나 다를까...
학과장님과 조교는 저희를 범인으로 몰더군요.
둘다 비흡연자였고, 밥은 학식으로만 해결했는데,
담배를 피우지 않았냐, 라면 끓여먹는다고 버너를 사용한것 아니냐 등등...
게다가 경비원은 순찰도중 화재를 발견하여 실습실에서 술먹고 잠들어있던 우리를 발견했다더군요...
실습실 관리의 정은 학과장, 부는 조교니 어떻게든 면피하려고 참...

결국 친구와 저는 강제 휴학을 당했습니다.
졸업 한학기를 앞두고 말이죠...
14/07/04 18:26
수정 아이콘
우어억 뭐 이런경우가 다 있답니까.. 이 것이 정녕 한국의 현실이란 말입니까.. 약자는 그저 죽어지내야하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630 [일반] 배려가 반복되면 의무가 된다. [46] 부끄러운줄알아야지10665 14/09/04 10665 6
53408 [일반] 1차 대전사(2)- 전쟁 발발 후 일어난 일들 [11] 요정 칼괴기4995 14/08/24 4995 2
53321 [일반] 한일병합과 테디 루즈벨트, 카네기 [4] kurt3566 14/08/21 3566 0
53152 [일반] 미국 "정밀폭격" vs 북한 "무차별 테러폭격" [44] Neandertal9019 14/08/10 9019 1
52968 [일반] [책 리뷰] 악역을 맡은 자의 슬픔 – 사회귀족의 나라에서 연대를 말하다 [5] Eternity4914 14/07/29 4914 6
52788 [일반] 제헌절인데 헌법이나 읽죠 [11] 당근매니아4449 14/07/17 4449 5
52533 [일반] 자신을 희생하며 큰 사고를 막았는데 징계라니.. [35] 굿리치[alt]7826 14/07/04 7826 0
52111 [일반] (스포) 고질라 보고 왔습니다. [17] 王天君5734 14/06/06 5734 2
51456 [일반] 어째서 노동자들은 박근혜 퇴진을 외치는가 [84] nickyo10114 14/05/01 10114 130
51388 [일반] 나의 일본문화유산 답사기 [10] 자이체프4155 14/04/28 4155 2
51125 [일반] [펌] 서울역 바닥이 내려 앉고 있다. [41] Manchester United9162 14/04/18 9162 0
51118 [일반] 사고에 묻힌 현 정부와 집권여당이 시행한 굵직한 일들 [146] 곰주7961 14/04/18 7961 3
51104 [일반] 국회가 철도요금 인상에 동의했습니다. [48] Manchester United7346 14/04/17 7346 0
50701 [일반] 엔하위키에 있는 PGR관련 글들... [63] Duvet11946 14/03/27 11946 1
50694 [일반] 실패한 이념 [35] Acecracker5616 14/03/26 5616 5
50568 [일반] [펌] 대중문화(에 관한) 책의 족보 [4] eLeejah6066 14/03/20 6066 3
50448 [일반] 드보르작 교향곡 9번 "신세계로 부터" - 교향곡이 뭐야? 먹는거야? [30] 표절작곡가4874 14/03/14 4874 5
50392 [일반] 임시수도 부산 - 달동네의 시작 [41] 눈시BBv38334 14/03/11 8334 17
50298 [일반] 철도 적자와 관련하여 떠오른 한가지 의문점. [3] 중년의 럴커3661 14/03/07 3661 0
50208 [일반] 중국 쿤밍시 철도역내 무차별 학살극 [97] V.serum8181 14/03/03 8181 0
50201 [일반] 노암 촘스키의 47달러 [18] 어강됴리5494 14/03/03 5494 12
50115 [일반] 법원은 언제나 그 정의로움을 보증하는가 [17] 당근매니아4039 14/02/27 4039 9
50036 [일반] 혼자 유럽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 가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79] 해바라기22308 14/02/24 22308 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