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4/19 20:07:54
Name 소마에프
Subject [일반] 에어포켓 생존자 구조영상(나이지리아)


과거 한 나이지리아인이 에어포켓 속에서 약 60시간 동안 생존했다고합니다.
그리고 2009년 일본에서 침몰 선박 에어포켓에 머물러 있던 3명이 4일만에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사례가 있다고하네요. 기적이 일어나길.....

세월호에도 기적이 일어나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VividColour
14/04/19 20:11
수정 아이콘
대서양과 서해의 수온차이, 그리고 경과시간을 생각하면....에휴...
14/04/19 20:17
수정 아이콘
이제 현실을 바라볼 때가 아닌가 합니다
닉부이치치
14/04/19 20:21
수정 아이콘
처음에 손 나올때 시신인 줄 알아서 "Ok..." 하다가 그 손이 잠수부 손을 잡는 순간 소름돋네요...

근데 저기는 대체 수온이 어느정도길래 아무리 따듯하더라도 60시간동안 웃통을 벗고 저렇게 물에 담겨있는데도 체온손실이 없었는지...
밤식빵
14/04/19 20:40
수정 아이콘
http://www.bom.gov.au/products/IDYOC045.shtml

여기서보면 어제 나이지리아쪽해수온도 29도 서해 12도정도로 보이네요. 게다가 나이지리아분 사고당시 5월달이었으니 온도가 지금보다도 따뜻했겠죠.cnn뉴스의 해수온도별 생존가능시간보니까 26도이상에서는 무기한이더라구요.
여러기사 찾아봤는데 3일동안 에어포켓때문에 살아났다는 이야기만 있지 해수온도 이야기는 아예 없는걸로 봐서 희망고문을 주는게 아닌가 싶네요
사카모토료마
14/04/19 20:40
수정 아이콘
기적을 바라지만 냉정하게 판단해서는 이미 늦었지 않을까 합니다...
아리아
14/04/19 20:45
수정 아이콘
일단 저 분은 식수가 있었고 수온이 높고 물에 안 젖는 공간이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운이 좋았던 분이죠
응답하라1994
14/04/19 20:56
수정 아이콘
한가지 희망을 없애는건 수온뿐아니라 수압도 있을듯 싶습니다 10m당 1기압씩올라가게 되니까요 30m정도라치면 4기압이 작용하죠 자동차한대가 전신을 누른다고 보면 슬프네요
저글링아빠
14/04/19 21:02
수정 아이콘
에어 포켓이 형성되어 그 안에 의탁하고 있는 상황이면 몸 일부가 물에 들어가 있어도 수압 영향은 괜찮습니다..
azurespace
14/04/19 21:04
수정 아이콘
저기는 열대바다라서...
그라쥬
14/04/19 21:09
수정 아이콘
냉정하게 현실을 직시해야 할 때가 온 듯 싶네요 마음으로는 놓기 싫은데 머리로는 다를거란걸 알면서도..그래도 만의 하나란게 있으니.. 참..
난나무가될꺼야
14/04/20 00:55
수정 아이콘
이번 사고전에 이 영상을 pgr에서보고 우와 이런일도 있구나 했는데 이런 사고가 발생하다니 참 ...
너무나 안타깝네요 대부분 사망자들도 구명조끼를 입고있었다 그러는데 .. 정말 빨리 위층으로 대피마만 시켰어도 훨씬 더 많은 인원이 살았을텐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1220 [일반] 사고의 경험과 사회의 변화, 보수인가 진보인가 [15] 찬솔3093 14/04/21 3093 0
51219 [일반] 오늘 JTBC 뉴스9에서 세월호 전 항해사와의 전화연결에 나온 내용 요약입니다.(수정) [60] InSomNia8810 14/04/21 8810 3
51218 [일반] 조선시대 대형 재난 사고 - 1 [8] 자이체프5387 14/04/21 5387 1
51217 [일반] [해축] 모예스 경질설이 속속 보도되고 있습니다 [120] Vienna Calling7157 14/04/21 7157 1
51215 [일반] SNS, 각종 커뮤니티를 점령한 허위사실과 루머들.... [192] Duvet11073 14/04/21 11073 18
51214 [일반] [축구]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경우의 수 [17] 잠잘까4613 14/04/21 4613 3
51213 [일반] 세월호 선원들, 자신들만 아는 통로로 탈출 [85] 카스트로폴리스9145 14/04/21 9145 0
51212 [일반]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다이빙 벨, 무턱대고 도입하는게 맞을까? [162] Alan_Baxter8351 14/04/21 8351 0
51211 [일반] JTBC를 비롯한 방송사 징계 예정 [45] 당근매니아9114 14/04/21 9114 0
51210 [일반] 피지알 간담회 후기-를 빙자해 쓰는 조선의 시스템 이야기 [9] 글곰5470 14/04/21 5470 8
51208 [일반] 요즘 겪었던 일 [35] 외계인5987 14/04/21 5987 0
51207 [일반] Pgr21간담회 공감 후기 -2- 불량유저 대응과 벌점제도 [18] 사악군4888 14/04/21 4888 0
51206 [일반] 진짜 간담회 후기.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29] 삭제됨3935 14/04/21 3935 9
51205 [일반] 장애인의 날, 장애인들의 시위 중 경찰과의 마찰이 있었습니다. [59] 스테비아6371 14/04/21 6371 2
51204 [일반] 세월호에 탑승했던 교감선생님 이야기. [41] Leeka8465 14/04/21 8465 13
51203 [일반] PGR21 간담회 후기 [8] 동네형5115 14/04/21 5115 0
51202 [일반] 저기.. 정부의 수장은 대통령 아닌가요? [134] 영원이란9060 14/04/21 9060 15
51201 [일반] 찌질한 사랑의 감성을 노래하는 힙합가수 - 산이 [61] 삭제됨5710 14/04/21 5710 2
51200 [일반] 이번 세월호사건, 정부의 대응책에 대해. [129] 랜슬롯6157 14/04/21 6157 3
51199 [일반] Pgr21 간담회 공감 후기 -1- 독점게임 [10] 사악군4406 14/04/21 4406 0
51198 [일반] 민간잠수부 인터뷰 홍가혜 검거 [57] 記憶喪失11163 14/04/21 11163 3
51197 [일반] EPL의 1, 2, 3위팀의 우승 경우의수 정리해봤습니다. [18] 카미쿤4606 14/04/21 4606 0
51195 [일반] 정몽준 아들이 세월호 유족들을 욕보이는 군요 [212] 김익호12761 14/04/21 12761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