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10/28 22:35:45
Name 기쁨아붕
Subject [일반] 알기쉬운 자동차보험 - 중구난방 자동차보험 상식(1)
안녕하세요. 바쁜 일상에 치어 사는 기쁨아붕입니다.

애초 목표는 자동차보험에 대해 여러분에게 체계적이면서도 쉬운 내용으로 정리해드리려고 했는데,

회사에서는 연일 야근에 집에는 4개월짜리 공주님이 계셔서 도저히 짬이 안나네요.

그래도 나름 노력은 하고 있는데 차일피일 미루다보니 이도저도 안되고, 그래서 과감히 체계화를 벗어던지고자 합니다.

그냥 중구난방식으로 제가 평소에 "아, 이 분들이 이런 것들에 대해 생소해하시는구나."하는 것 위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Q1. 어느 회사가 좋아요?

A1. 어쩌면 여러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시는 질문인 것 같습니다. 저도 참 좋아하는데요, 저도 한번 물어보겠습니다.

"여러분이 좋다고 생각하시건 무엇을 의미하나요?"

뭐가 좋은 걸까요? 가격이 싼 보험? 서비스가 좋은 보험? 보상이 잘되는 보험? 사실 사람들마다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다 달라서 이러한 포괄적인 질문에 대해 답변하기가 쉽지가 않아요.

그런데 사실 자동차보험이라는 것이 다 고만 고만합니다. 자동차보험 위험률이라는 게 말이죠. 대한민국에서 일어나는 자동차사고 통계에 기반해서 만드는 겁니다. 그러니까 경부고속도로상에서 자동차사고가 발생하는게 삼성화재 가입차량은 사고가 덜나고 흥국화재 가입차량은 사고가 많이나고 이런게 아니잖아요..? 그래서 사실 우리나라 자동차사고 발생율은 거기서 거기입니다. 그래서 가입한도를 높이면? 당연히 보험료가 비싸집니다.

대물배상 가입한도를 5천만원으로 한 사람과 1억으로 한사람과 무한대로 한 사람의 보험료가 차이가 나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자동차보험료라는 것이 이 대인1, 대인2, 대물, 자차, 자손, 기타 특약의 보험료 합계로 이뤄지는 것이기에 각 담보의 한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보험료가 차이가 나죠..

라고는 거창하게 써놨지만, 실상 보험료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차 담보(자기차량 손해) 입니다. 이것은 순수하게 본인 소유한 차량의 실제 가치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는 건데요, 20년 다된 쓰러져가는 경차와 방금 뽑은 벤츠 S클래스는 차량 가격이 크게 차이가 날 수 밖에 없고요, 보험료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단, 대인배상이나 대물배상은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벤츠가 되었건, 티코가 되었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입힐 확률은 비슷하거든요.

그래서 보통 새차를 구입하게 되면 보험료가 크게 오릅니다.

Q2. 그러면 회사별로 보험료가 다른건 왜그래요?

A2. 사실 자동차보험료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것이라 금감원에서 심하게 통제를 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모든 보험회사가 자동차보험료를 마음대로 못올리고 있어요. 그러나 자동차사고는 항상 발생하는 대신 차는 점차 고급화가 되어서 손해는 점점 증가하고 있고요. 그래서 사실 대부분의 보험회사들이 힘들어하고 있어요. 팔면 팔수록 손해가 나기 쉽거든요.

그래서 보험회사들이 내놓은 자구책이 [[총 보험료율은 동일하지만 연령대별로 차등을 두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S사의 경우 40대 운전자의 보험료를 싸게 책정한 대신 20대 운전자의 보험료는 왕창 올립니다 그래서 총 합을 맞추는 거죠.

그러면 당연히 40대 운전자들이 S사 자동차보험에 많이 들겠죠. 대신 20대 운전자들은 다른 보험회사를 찾을 겁니다.

또, D사의 경우 50, 60대운전자의 보험료를 싸게 책정하고, 30대를 올릴수 있고요..이렇게 각 회사별로 전략에 따라 보험료를 다르게 책정하는 겁니다. 그래서 각 사람들이 자동차보험료 비교견적을 하면 보험료가 제각각으로 나오는 거죠..

라고 거창하게 설명했지만 사실 자동차보험의 1위는 S화재입니다. 그래서 S화재는 사고도 잘 안내고 운전도 조심해서 하는 4, 50대 운전자 보험료를 엄청 낮춰버립니다. 다른 보험회사들도 그렇게 보험료를 낮춰서 따라가고 싶지만 S화재만큼 감당할 체력이 안되니까 울며 겨자먹기로 그나마 더 우량한 30대, 60대 운전자 보험료를 낮춥니다...이보다 더 사이즈가 작은 회사들은 어쩔수없이 20대를 운전자를 받을 수 밖에 없죠.

(어디까지나 예시고, 실제로는 더 디테일한 차등화가 일어납니다. 20세, 26세, 30세, 33세, 38세 등으로요. 각 회사의 가격 전략도 천차만별이고요 매번 바뀌기도 합니다.)

----
너무 늦었네요. 그래도 틈을 내어 계속 써보겠습니다. 궁금하신 거 있으면 댓글달아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치탄다 에루
13/10/28 22:50
수정 아이콘
외국 보험료에 비해서 한국 보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이런 차이는 어디서 나는걸까요? 라고 물으면 혼나려나요..ㅠㅠ
기쁨아붕
13/10/28 22:58
수정 아이콘
위에도 잠깐 언급했듯이 금융감독원과 언론(...)때문이 큽니다.

조금만 올려도 사정없이 압박이 들어오니까요. 외국의 경우는 우리나라에 비해 최소 3배에서 5배정도 차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전체적으로 보면 그렇다는 거고요. 실제로 외국은 사고를 내면 보험료 할증이 어마어마하게 붙습니다. 대신 사고가 없으면 저렴한 편이고요.
그래서 외국은 운전을 엄청 조심합니다. 이게 그들의 선진의식때문인지 아니면 자동차보험료 할증때문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에비해 우리나라는 비사고를 내도 할증 폭이 너무 작고, 또 면허취소나 정지받아도 광복절 특사니뭐니 해서 사면도 많이 해주고..뭐 그렇습니다
13/10/29 10:12
수정 아이콘
댓글이 많이 달려야 시리즈가 연제 될텐데 말이죠!

궁금한건 4개월 공주님 보면 어떤 기분이신지요?
(대전/30/남/미혼)
기쁨아붕
13/10/29 10:14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위 아래로 워낙 이슈가 되는 글들이 많아서...그래도 소수라도 도움이 되는 분들이 있으면 그걸로 만족하렵니다...

공주님은 최고죠~! 무조건 딸이 진리입니다.
13/10/29 10:31
수정 아이콘
저도 결혼하면 꼭 딸을 낳고 싶은데…
사실 불임도 걱정되고 그러네요

아무쪼록 앞으로의 연재 기대하고 또 응원하겠습니다
기쁨아붕
13/10/29 10:54
수정 아이콘
너무 걱정마세요 요새는 불임은 거의 없고 노력하면 가능하다고 하니까요.

응원 감사합니다.
13/10/29 11:49
수정 아이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다시 공부도 하고... 쉽게 쓰는 법도 배우고...
근데 나름 전문가라고 행세하는 입장에 있음에도 가입할 때 되면 걍 귀찮아서(찾아보는 시간을 따져보면 좀 깎아보려고 비교하는 것보다 노력이 더 든다는;;;) 대충 가입하고 말게 되는 건 함정 ;;;
기쁨아붕
13/10/29 13:0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은별님의 격려가 정말로 큰 힘이 됩니다..

저 역시 그냥 대충 가입합니다...귀찮아서요;;
13/10/29 13:23
수정 아이콘
아참... 공주님... 부럽습니다. 다시한번 축하드립니다.
(연일 야근에 집에 아기 없는 것보다는 낫잖아요? ^^)
그녀지킴이
13/10/29 12:05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이제 차 구입한지 1년 지나는 직장인 입니다.

자동차 보험 갱신을 해야 할텐데 기존 S사를 해야 할지 다른 업체를 택해야 할지 고민됩니다.

사실 별 문제 없으면 그대로 S사 갱신하려 했는데 2년차부터는 보험금 일부를 일시불로 내라고 나와서 영 맘에 안듭니다. -_-;;;

온라인 다이렉트로 보험을 들었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예정이라 영 감이 안옵니다.

각각 견적을 다 뽑아 보고 하는 게 맞는 거겠죠?
기쁨아붕
13/10/29 13:11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각각 견적을 뽑아서 결정하시는게 원칙적으로 맞는데요...그 견적을 비교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노력과 절약할 수 있는 보험료와 비교를 해보셔야 할 것 같아요.

저 같은 경우는 그냥 한 회사 계속 가입합니다. 왜냐면 귀찮기 때문에...

잘 판단하셔서 가입하세요~
그녀지킴이
13/10/29 13:32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고민해 봐야 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514 [일반] 지어지지 못한게 너무나 아쉬운 노선.jpg [13] 군디츠마라11059 15/12/12 11059 3
62359 [일반] 한명숙 불법자금수수 판결에 대한 파파이스 방송. [126] 솔로11년차12021 15/12/04 12021 1
62131 [일반] [야구] 트루볼쇼가 예상한 FA계약금액(+FA공시명단추가) [58] 이홍기10122 15/11/21 10122 0
61661 [일반] 국내 철도역 이용객 순위 (2014) [47] D.TASADAR13161 15/10/24 13161 2
60940 [일반] 대법 "바람피운 배우자 이혼청구 허용 아직 안돼" [12] endogeneity7104 15/09/15 7104 2
60339 [일반] 아버지와 박정희 [166] 하정우10936 15/08/13 10936 17
57656 [일반] [WWE] 스티브 오스틴을 스타로 만들어준 오스틴 VS 하트 파운데이션의 대립 [15] 신불해8951 15/04/19 8951 3
57241 [일반] 문란한 세대 허구론 [36] AhnGoon7833 15/03/28 7833 1
56815 [일반] 역이름으로 낚시하는 수도권 전철의 역들 [65] Fin.9727 15/03/01 9727 4
56813 [일반] 국내 힙합 추억팔이 [2007~2009 한국힙합 Golden Era] (2) [10] 에일리4225 15/03/01 4225 0
55911 [일반] 경부고속도로 대신 동서고속도로가 먼저 지어졌다면? [31] 발롱도르8197 15/01/12 8197 0
50822 [일반] [백 투 더 퓨처 2] 제작진을 고소합니다... [16] Neandertal10802 14/04/01 10802 0
50782 [일반] 소년탐정 김전일 신 File 시리즈를 봤습니다. [26] Duvet6806 14/03/31 6806 0
50643 [일반] 인간 인큐베이터 [50] 미모진6438 14/03/24 6438 13
49637 [일반] 혹시 이레전자를 기억하십니까? [17] Walkoff13238 14/02/04 13238 0
48538 [일반] 부산대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입니다. (파업 반대) [128] 낙하산10262 13/12/15 10262 18
48175 [일반] 하이패스 차량만 통과할 수 있는 고속도로 요금소가 두 군데나 있다네요. [32] 광개토태왕8364 13/12/03 8364 0
47538 [일반] 어디든지 가고 싶을 때 - 8. 광주발 S-트레인 [15] ComeAgain6673 13/11/07 6673 9
47354 [일반] 알기쉬운 자동차보험 - 중구난방 자동차보험 상식(1) [12] 기쁨아붕3522 13/10/28 3522 0
47008 [일반] 교통 사고를 당했습니다. [39] ♡효연♡세우실6532 13/10/12 6532 0
46944 [일반] 어디든지 가고 싶을 때 - 7. S-트레인 패스 [2] ComeAgain9705 13/10/09 9705 5
46767 [일반] 어디든지 가고 싶을 때 - 6. 남도해양관광열차 [23] ComeAgain10765 13/10/01 10765 -10
46698 [일반] 코레일, 호남·전라선에 '노후 열차' 집중 배차했다 [108] 보고픈8516 13/09/27 851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