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04/28 20:30:02
Name 스톰브링어RX
Subject [일반] 허허.. 이거 진짜 큰일났네요..
제가 지금 타 커뮤니티에서 어떤 분의 글을 보고 왔는데.
이게 좀 여러 나라들을 멘탈 붕괴 시킬만한 상황이 터져버렸다는거에 대해서.. 저도 폭소를 금치못했습니다.
이게 무슨 뜻이냐면, 기존의 여러나라에서 현재 도입하고 있는 긴축재정 이론의 근거가 되는 논문에서 벌어진 실수인데요.
이 논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계산식에서 엑셀 5줄이 누락되버리는 엄청난 사고가 터졌습니다.
그러니깐 현재 이론상으로 보면 -0.1%의 성장률(정체상태)을 기록하는게 아니라 저 누락된 계산식 까지 포함해서 보게 된다면 +2.2%의 성장율이라는 엄청난 반전과 함께, 현재 여러 나라에서 이사실을 알고 대 멘탈 붕괴 중이라는거죠.

덕분에 우리나라 및 여러나라는 현재의 긴축정책을 철폐해야 할 상황에 놓였습니다.
그리고 스페인과 포르투갈,그리스 같은 서유럽 국가들도 마찬가지고요..
이 일 하나덕분에 여러나라에서 아주 대 멘탈 붕괴가 벌어질것 같아 두렵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저글링아빠
13/04/28 20:30
수정 아이콘
흐흐.. 진정하시길..
스톰브링어RX
13/04/28 20:32
수정 아이콘
아니 저도 저 글을 보고 나서 진짜 온갖 욕이 나올뻔했습니다..
엑셀 5줄때문에 저런일이 터진거면 당장에라도 우리나라 및 여러 나라들은 긴축 정책을 당장에 철폐해야 한다라는거죠..
Cafe Street
13/04/28 20:34
수정 아이콘
그 글에대한 링크나 자료첨부라도 해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가을방학
13/04/28 20:50
수정 아이콘
222
글쓴이분께 저도 더불어 부탁을 드립니다.
사티레브
13/04/28 20:46
수정 아이콘
당장에 철폐?... 각 국가의 중앙은행이나 경제부처가 바보가 아닐텐데요
13/04/28 20:31
수정 아이콘
어느 부분에서 큰일인지 이해가 되지 않네요...
긴축재정이론의 근거가 되는 논문이라는 것이 모든 나라가 그 노문 하나만 가지고 보고 사용하는건가...
이런 내용에 관련된 정보도 같이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스톰브링어RX
13/04/28 20:33
수정 아이콘
으음..
http://peopleeco.com/m/post/view/id/145
자세한것은 이 글을 보시면 될것 같아요.
13/04/28 21:52
수정 아이콘
이 글이 아주 좋네요.
사티레브
13/04/28 20:32
수정 아이콘
그 논문은 무엇인가요?

각 나라의 중앙은행이 그렇게들 안일할리가
젊은아빠
13/04/28 20:32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이 멘탈이 붕괴되어보고 싶은데....
정지연
13/04/28 20:33
수정 아이콘
근거도 없이 그냥 인터넷이 올라온 글만 믿고 멘붕이 오네 어쩌네 하는 것도 참...
그 글의 신뢰성보다는 각국의 중앙은행이나 정부를 더 신뢰하겠습니다..
13/04/28 20:36
수정 아이콘
기사도 있어요. 물론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단순 헛소리는 아닙니다.
http://www.moneyweek.co.kr/news/mwView.php?no=2013042314598053927&type=4&code=w0201
13/04/28 20:33
수정 아이콘
일단 타 커뮤니티 글을 링크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스톰브링어RX
13/04/28 20:34
수정 아이콘
타입문넷쪽 어떤 유저분의 링크입니다.
http://typemoon.net/bbs/board.php?bo_table=freeboard&wr_id=901552
레지엔
13/04/28 20:35
수정 아이콘
뭐 형월망이면 어떻습니까 글만 확실하면 되지... 형월망이 나쁜 사이트도 아니고...
후란시느
13/04/28 20:34
수정 아이콘
로고프-라인하트 논문의 오류를 말씀하시는거면 그렇게 엄청나게 생각할 것까지는 없는 일이라 봅니다. 다만 확장정책 쪽의 발언권이 어느정도 강해지는건 있겠지만요.
항즐이
13/04/28 20:45
수정 아이콘
저 논문은 직접적인 관련 학문을 하지 않는 저로서도, 경제 기사 때문에 레퍼런스로 접해 본 (직접 읽어보지는 않은-_-;;) 논문입니다. 폴 크루그먼이 비판하는 것 처럼, 긴축정책을 지지할 만한 뚜렷한 정량적 연구 성과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다는 게 문제겠죠. 긴축 정책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는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양적 완화 정책에 대한 학자들의 지지가 단순히 좌빨이라서가 아니니까요.
잭스 온 더 비치
13/04/28 20:35
수정 아이콘
매우 유명한 논문이고... 저자들이 지금까지는 데이터 공개를 안 해오다가, 어... 대학원생이 달라고 하네. 그냥 줄까? 해서 데이터를 통째로 주면서 니 맘대로 하세요...했던게 모든 문제의 시작.
DivineStarlight
13/04/28 20:36
수정 아이콘
딱히 멘탈이 붕괴될 만한 그런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사티레브
13/04/28 20:37
수정 아이콘
뭔일인가 했는데 그냥 긴축정책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던 하나의 논문의 신빙성이 낮아졌다 정도뿐인데
뭔 멘붕까지야
항즐이
13/04/28 20:49
수정 아이콘
하나의 논문이냐, 신뢰성 있는 정량 분석을 제공한 거의 유일한 연구이냐 의 차이겠죠.
저 기사에서 나타나는 반대 주장의 경제학자들은 "이제 근거가 사라졌다"고 비판하는 것일 테구요.

물론 좀 더 살펴봐야겠습니다만, 그 비판이 옳다면 사소한 문제는 아닙니다.
사티레브
13/04/28 20:56
수정 아이콘
그렇겠지요

저도 경제학은 배웠어도 경제학을 논문들을 찾아보고 할만큼 세미나수준까지 배운건 아니라 단언은 어렵지만
그 논문이 정량분석을 한 유일논문이고 나머지의 관련 논문이 그 논문에서 파생된 것 정도가 아니라면
이미 충분히 긴축정책의 효율성 효과성에 대한 교차분석을 할만한 세계 각국의 데이터가 충분할 수준이 아닐까 싶어요

한 논문의 결과만을 가지고 거시정책을 각국의 관료들이 결정할까에 대한 의구심과 신뢰가 깔려있기도 하구요
항즐이
13/04/28 21:13
수정 아이콘
과거 경우를 돌아보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마지막 문장에 대한 대답)
사티레브
13/04/28 21:49
수정 아이콘
그런 경우도 있었겠지만 안그런 경우가 더 많겠지요
하르피온
13/04/28 20:38
수정 아이콘
거시경제는 어렵군요..
DarkSide
13/04/28 20:40
수정 아이콘
아 ... 보고 말았습니다 ;;

제 멘탈은 완전히 개박살 났습니다 ;;

헤헤헤 ~~~ 나는 안 될 거야 ^^
위원장
13/04/28 20:42
수정 아이콘
뭐.. 큰일까지야...
13/04/28 20:43
수정 아이콘
글쎄요 겨우 논문 하나에 오류가 있다는 게 그렇게 큰 일인가요?
각 나라의 중앙은행이 논문 하나만 참고하지도 않을 뿐더러
전문가 적어도 몇 십명이 여러가지 논문과 자료를 참고해서 경제성장을 전망할텐데요.
항즐이
13/04/28 20:48
수정 아이콘
레이거노믹스와 래퍼 커브의 사례를 생각해 보면,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내가 하고 싶은 정책 방향을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괜찮은 연구 하나"면 충분하죠.

제 짧은 식견으로 설명하자면, 긴축 정책에 대한 근거가 되는 연구를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러던 중 저 연구는 꽤 명망있는 학자의 근거있는 정량적 연구여서 인기를 끌었죠. 그런데, 그 근거가 사실상 구라였다는 게 됩니다.

저 연구만한 다른 근거가 있느냐? 에 대해서 폴 크루그먼이나 다른 양적완화 지지자들은 굉장희 회의적인 비판을 하고 있는 것이구요.
햄치즈토스트
13/04/28 20:53
수정 아이콘
저런게 문제가 되는 이유는 이후 논문들이 저 논문의 이론이 맞다는 가정을 하고 거기에서 주제를 더 발전시키고 확장했을 경우이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비슷한 예로 시금치가 말도안되는 철분함량으로 철분왕으로 오랜기간 등극해 있었는데, 사실은 논문 작성시 소수점을 한칸 오른쪽에 찍어서 10배 부풀려졌던 것을 들 수 있겠네요.
항즐이
13/04/28 20:54
수정 아이콘
오호 적절합니다. 시금치 환상은 아직도 쉽게 사라지지 않고 있죠.
13/04/28 23:33
수정 아이콘
오 그렇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레지엔
13/04/28 20:47
수정 아이콘
저 논문이 긴축재정 패러다임의 핵심에 서있는 논문인가요? 그러니까 저 논문을 전제로 다른 논문이 성립할 정도면 어마어마한 타격일 거 같은데...
항즐이
13/04/28 20:51
수정 아이콘
제가 지금 영어권 뉴스 몇 개를 대강 훑어 본 바로는 반대 학자들은 "핵심 논거가 거짓으로 밝혀졌다"고 주장하는 것 같네요. 그렇다면 꽤 타격일 테고, 다른 정량 분석 연구가 꽤 있다면 뭐 별 일 아니겠죠.
13/04/28 20:47
수정 아이콘
최소한 제가 느끼는 경제 상태는 논문 오류 전 상태와 현 경제상황은 유사하다고 생각하고..
(물론,증시와 체감경제 등은 별개지만)
따라서 '그게 뭐 어쨌는데?' 정도의 감상밖에 생각나는건 없네요.
과연 어느쪽이 인지부조화가 되련지...하하;;
항즐이
13/04/28 20:53
수정 아이콘
경제 상황의 문제라기 보다는, 어떤 성향의 경제 정책에 대한 집행 근거의 문제겠죠.
좀 단순화 시킨다면, 긴축 정책이 필요하다 -> 힘들어도 참아, 복지 스톱. 의 근거로도 쓰입니다. 따라서, 경제를 살리고 못 살리고도 중요하겠지만, 사회 구조에 대한 영향력 자체가 만만치 않다고 봐야죠.
13/04/28 20:57
수정 아이콘
매번 발표하는 경제지표도 어떤 지표이냐에 따라서 경제상태를 가늠하기 어려운데..
저 논문이 100%잘못된게 맞으며 그에 따라 100%경제정책이 수정된다면 모르겠지만,그게 아니라면 크게 신경쓸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항즐이
13/04/28 21:02
수정 아이콘
일단 저 정도면 저 연구는 100% 잘못된 겁니다. 핵심 계량 분석이 거짓이네요.

경제정책이 수정된다면, 이 아니라, 저 연구를 근거로 두고 이미 집행되어버린 경제정책들의 부작용이 문제인 것이죠.
13/04/28 21:04
수정 아이콘
밑에 있는 불곰드랍님의 리플에 동의합니다.하하;;
항즐이
13/04/28 21:07
수정 아이콘
무슨 의미로 하하.. 하고 웃으신 건지는 모르겠는데.. 대화가 싫으신게 아니라면 별로 반갑지는 않은 태도입니다.
저는 그냥 AyuAyu님의 의견에 대해 제 의견을 제시하고 있는 겁니다.
그리고 불곰님은 저랑 같은 생각이신 거 같은데요..;;

옳다/그르다 에 대해서 제가 그르다고 생각하는 이유와,
수정된다면 문제다 에 대해서, 저 연구를 근거로 집행된 정책 자체가 이미 문제다. 라고 말한 것이죠.
射殺巫女浅間
13/04/28 20:50
수정 아이콘
해당 논문 위치가 어느정도인지 알아야 판단을 내릴 것 같은데요
항즐이
13/04/28 20:55
수정 아이콘
저도 직접 읽어보거나 citation 수치를 알고있는 건 아니지만, 일단 어떤 연구에 대해 다른 학자들이 반박 연구를 여러 개 내 놓고, 하다 못해 데이터를 요구했을 정도면 주목도는 굉장한 거죠.
13/04/28 20:54
수정 아이콘
연구라는게 기실 엄청난 조건통제를 하고 결론을 도출하기 마련인데, 이를 현실에 적용하면 적용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조율,변경점이 나타날테고
정책에는 순수한 논문 결과만 반영되어 있진 않을 것 같네요.
물론 정책기조를 바꾸거나 하는 영향이 있겠지만 경제 시스템이 무너진다거나 하지는 않을 것 같아서 멘붕은 필요 없을 듯 합니다.
항즐이
13/04/28 20:55
수정 아이콘
지금, 저 연구가 경제를 살렸다/죽였다- 가 중요한게 아니라, 위에 썼듯이 특정 정치 성향을 가진 정치가들의 입맛에 맞는 정책을 위해 근거로 사용되었다는거죠. 그 근거가 옳지 않다는 것이고.
13/04/28 20:57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그런데 일부러 조작하고 그런 것도 아니고 실수로 인한 건데 인간사에 어디 그런 실수 하나 없었겠나요.
제 생각이 지나치게 유한지는 모르겠지만, '그래서 어쩌라고 지금이라도 바꾸면 되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항즐이
13/04/28 21:00
수정 아이콘
물론 저도 지금 이 상황을 다 아는 건 아니지만, 폴 크루그먼등 긴축 정책에 반대한 경제학자들의 비판은 다음과 같습니다.

긴축정책은 사회 양극화를 초래하고, 오히려 경기를 악화시킬 뿐인 정책이다.
그러나, 몇몇 정치가들은 경제적인 이유보다는 정치적인 이유로 그러한 정책을 원했다.
경제학적 근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러한 편향은 편향에 그쳤을 것이나, 긴축정책의 효용을 증명한 연구가 있었다.
결국 정치가들은 긴축정책을 실시했고,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
어라? 그런데 근거가 된 연구 자체가 잘못된 거잖아? 이거 어떻게 할 거야!
13/04/28 21:07
수정 아이콘
경제는 잘 모르겠지만, 시뮬레이션 하는 사람으로서 인자 한두개만 바꾸면 상반된 결과를 얻는게 그리 어렵지는 않습니다.
물론 그 인자를 결정하는데 근거가 있어야겠지만요.
주류냐 비주류냐, 유명하냐 안유명하냐의 차이는 있겠지만 굳이 문제가 된 논문이 아니더라도 긴축정책을 뒷받침하는 논문은 있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정치가들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펀드를 줄 수도 있겠고요.
항즐이
13/04/28 21:09
수정 아이콘
저 정도의 주목도를 받는 같은 결론의 다른 연구가 이미 많았다면, 저 연구에 대해 경제학자들이 굳이 저 연구를 재현하려고 애쓰다가 데이터 오류를 발견해냈을 것 같진 않습니다.

정책적 근거로서 다른 연구가 충분히 많았느냐? 하는 것은 당연히 아직 의문입니다. 찾아봐야겠죠.
그러나, 학문적으로 저 연구가 해당 분야 (긴축 정책의 필요성과 효용성)에 있어서 주요 연구라는 건 학자들의 반응을 보았을 때 의심할 필요가 없을 듯 합니다.
13/04/28 21:14
수정 아이콘
네 저도 항즐이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정책에 따라 피해를 보는 사람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너무 나이브하게 생각한 것 같네요.
대가도 실수하는 마당에 저도 실수 좀 해도 괜찮겠다능..

참 궁금하긴 하네요. 그 정도 영향력이면 재현하려는 후속 연구들이 분명 있었을텐데요. 아무도 오류를 발견하지 못했다는게..
(추가) 보니까 10년도 논문이고 13년에 반박논문이 나왔군요. 이 정도 시간 간격이면 말이 되는 것 같네요.
그리고 10년도 논문인데서 결국 위정자들의 입맛에 맞는 논문을 낸 것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글쓴이
13/04/28 20:56
수정 아이콘
만약 저 논문이 토렌트로 쳤을 때 첫 시드급이라면

여파가 어마어마 하겠네요 정말
항즐이
13/04/28 20:58
수정 아이콘
뭐지 이 참신한 비유는...
13/04/28 22:23
수정 아이콘
문과인 저도 바로 이해했습니다. 탁월한 비유네요.
군인동거인
13/04/29 12:37
수정 아이콘
경제학은 굳이 따지자면 문과쪽 학문 아니었나요? 크크크
박초롱
13/04/28 20:56
수정 아이콘
링크글을 읽어보았는데 단순히 엑셀 5줄 누락만으로 그렇게 된 건 아니고 나머지 두 문제들까지 제대로 수정한 결과 -0.1%에서 2.2%로 바뀐다, 가 맞는 것 같습니다.
불곰드랍
13/04/28 20:56
수정 아이콘
정책을 펴는데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는게 아니에요. 정부 보고서를 보면 유명한 논문에서 주장하면 그대로 근거로 가져다 쓰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특히 정부 정책이란건 결론에 논거를 끼워맞추는 경우가 많아서 저런 논문 하나면 긴축정책을 추진하는데 그럴듯한 근거가 되는거죠. 예전에 4대강 추진할때 여기저기 정부출연연에서 관련 논문이 쏟아져 나오고 그걸 근거로 들었듯이요. 저 논문으로 인해서 긴축정책을 추진하는게 아니라, 긴축정책을 추진하고 싶을때 저 논문을 가져다 쓴 겁니다.
그리고 긴축정책이란건 생각보다 강력한 무기입니다. 워싱턴 컨센서스라는게 있죠. imf를 필두로 하는 미국의 입맛에 맞는 정책을 세계 각국에 전파하는 기제요. 그중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 긴축정책입니다. 이유야 당연히 국제정치경제상 미국에 이득이 되니까 그런거구요. 이에 관련된 정치경제학 논문은 수없이 많습니다. 우리나라도 imf의 요구로 긴축정책을 수용한바 있죠.
13/04/28 21:00
수정 아이콘
그렇죠. 그 논문이 아니더라도 누군가는 그런 결론을 냈을테고(이게 맞던 틀리던간에) 그걸 가져다 썼겠죠.
항즐이
13/04/28 21:05
수정 아이콘
물론 그렇습니다. 저도 위에 썼듯이 정책은 정치가의 성향에 좌우되는 것이죠.

그러나, 그 때에는 최소한의 학문적 근거가 필요합니다. 정치는 명분의 싸움이거든요. 특히 잘되지 않거나 잘못된 결과를 낳을 때를 대비해서 말입니다. 앞서 말한 레이거노믹스와 래퍼 커브처럼 말입니다.

그렇다면, 결국 천조국 같은 나라의 경제정책을 좌우하는데에는 어느 정도 확고한 근거가 필요합니다. 경제학자들의 비판은 그냥 학문하는 꼰대들의 입배틀이 아니니까요. 경제사조가 그대로 실무자 정책입안자들의 경제사조입니다. 그들이 배우고 근거로 삼는 게 경제학자들의 주장이니까요.

당연히 거듭말하지만 다른 연구들이 긴축정책을 얼마나 잘 뒷받침하고 있는지 찾아봐야 알 수 있는 문제입니다만, 현재로서는 저 연구만한게 없었다는게 비판의 중심인 듯 합니다. 긴축 패러다임의 근간이 되었다는 것이죠.
불곰드랍
13/04/28 21:09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후란시느
13/04/28 21:38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정도로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정부 역할 확대의 사조에 호의적인 것도 있고...단지 긴축은 다 망했다는 식의 주장만 그건 좀 앞서간거 아니냐 말하는 정도입니다.
jjohny=Kuma
13/04/28 21:02
수정 아이콘
대단한 일(그리고 학문적으로는 흥미로운 사건)이기는 하겠지만 별로 일반인들 입장에서 멘붕할 일은 아니지 싶습니다.
13/04/28 21:05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는 부먹파의 거두가 <찍어 먹은 탕수육 맛에 요로요로한 문제가 있음>라고 발표하고 지금까지 그에 기반해서 탕수육을 부어먹었는데, 논문에 사용한 데이터를 분석해보니 사실 찍먹이 미묘하게 더 맛있다는 결론이 나왔음 정도로 보입니다.
13/04/28 21:05
수정 아이콘
앞으로의 일에 큰 영향을 준다기보다, 지난 5년간 전세계적으로 누군가에 의해서 속았거나, 상당한 뻘짓을 했다는 것이겠네요.
사회안정망 확충(또는 복지)을 위해 재정을 쓰겠다고 하면서도 증세는 없는, '증세없는 복지'를 주장한다는 것이 딱 현 시점이라고 볼 수 있겠어요.
재정은 긴축해야한다하니 긴축해야겠고, 사회안정망 확충을 위한 재정의 필요는 이미 대두되었고.
저 오류가 없었다 하더라도 재정긴축이 이뤄졌을 수도 있겠습니다만... 그 영향력이 적다할 수는 없고, 그로인해 피해 본 사람들이 적지도 않으니...
항즐이
13/04/28 21:08
수정 아이콘
제 말이 그말입니다. 너무 좌편향으로 보일까봐 정책의 정치적 해석을 굳이 피하고 있었습니다.
후란시느
13/04/28 21:2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야 애초에 정부가 무엇을 해준다는 인식이 강한 나라니 굳이 좌우 따지지 않더라도 정부는 이런 일이 나쁘진 않을 듯 싶습니다. 국가부채에 대한 부담이 덜게 되었으니...
jjohny=Kuma
13/04/28 21:13
수정 아이콘
무언가 잘못된 일이긴 하지만, 또 막상 어느 한 주체에 책임을 묻고 도의적인 비판을 하기에는 또 애매한 사건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 중 잘못한 사람은?
1. 논문 쓸 계산을 수행하다가 실수로(혹은 일부러) 5줄을 빼먹은 교수와 대학원생
2. 오류가 있는 논문을 근거로 국가의 재정긴축정책을 입안했던 정치인들
3. 집에서 잠자던 낙성대 학생
13/04/28 21:16
수정 아이콘
4. 일본을 공격한다.
강준희
13/04/28 21:21
수정 아이콘
5. 이 모든 것은 북한의 소행 아닙니까?크크
DarkSide
13/04/28 21:18
수정 아이콘
3번은 재밌었습니다 ;;
13/04/28 21:21
수정 아이콘
6. 크리스마스 날 '거리를 활보하는 커플' or '홀로 유유자적하는 솔로'.
jjohny=Kuma
13/04/28 21:22
수정 아이콘
제가 잘못했습니다.
13/04/28 21:23
수정 아이콘
7. 노코멘트
13/04/28 23:17
수정 아이콘
8. 드디어 '커플이라는게 트루먼쇼같은게 아닌지' 라며 진리에 눈을 뜨기 시작한 솔로 구도자
애매한 포지션
13/04/28 21:25
수정 아이콘
할게 태산인데 오늘 하루종일 잠자던 낙성대 학생이 뜨끔하는군요 ㅜㅜ
FastVulture
13/04/29 01:10
수정 아이콘
왜 제 얘기를...
13/04/29 09:55
수정 아이콘
왜 제 얘기를...(2)
인간실격
13/04/28 21:20
수정 아이콘
이거 참 재밌네요. 경제정책 결정 뭐 별거 없나봐요?
나이트해머
13/04/28 21:21
수정 아이콘
해당 오류가 사실이면, 이를 수정한다 해도 그리스는 지금처럼 긴축재정 해야 할 겁니다.
하지만 스페인, 포르투칼, 이탈리아는 지금보다는 상당히 덜한 정도로 해도 충분할 겁니다.
그리고 EU를 붕괴의 공포로 몰고갔던 남유럽 경제위기는 그 파괴력이 반감되었겠죠. 그리스 하나 정도가 문제였다면 그렇게 압박할 필요도 줄어들고요. 여력이 남을 테니.

그 결과가 세계 경제에 어떠했을지는, 그리고 우리에게 어떠했을지는 상상에 맡깁니다.
13/04/28 21:36
수정 아이콘
댓글들중에 몇몇 재밌는게, 정작 여러 논점에서는 '권위에 의존하는 논리는 오류다'라는 것을 다 아시는 분들이, 정작 세계 경제 권위기관들의 권위가 있기에 그들이 일을 헛하지 않았을 거라는 믿음을 갖고 계시네요. 좀 놀랐습니다. 생각하기 귀찮다고 권위자의 일을 전부 그럴리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 만큼 어리석은일도 없죠. 최근에 벌어진 서브프라임 모기지 파생상품 사태만해도 금융 전문가들중 많은 사람들은 괜찮다고 했고 또 다른 많은 사람들은 문제가 있다고 했지만 대부분은 '전문가들인데 어련히 하겠지'하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았으니까요. 그리고 보기좋게 실패했죠. 이 건도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긴축재정에 대한 상당히 큰 논거를 가졌던 중요 근거논문이 사실상 '거짓'결과를 만들고 있었음이 확인되었고, 그 논거들이 전부 참에서 거짓으로 돌아서게 된 마당에 긴축재정을 신뢰하던 많은 연구소와 정부,금융기관들이 잘못된 논거를 근거로 삼고 있었다면 (혹은 알고있으면서도 긴축재정이 가져오는 정치적 이익때문에 반대파 설득을 위한 논거로서 저 자료를 타당한 대표자료로 제시했다면) 문제를 삼는게 맞죠. 이런것들이 내 일이 아닌 것 같아도 자본사회에서 국가의 재정정책에 따라서 많은것들이 크게 좌우됩니다. 가볍게 뭐 별거 있겠냐 알아서들 잘 하겠지 라는 입장도 있을수 있겠지만 적어도 긴축재정의 논거오류를 긴축재정측에서 타당하게 반박할 새로운 중요 논거와 논문을 확보하지 못하는 이상에야 긴축재정을 옹호하는 전문가 집단 및 정치집단에 대해 의구심과 거부를 표현하는 쪽이 긴축재정이 가져오는 이득의 당사자 이외의 사람들이 갖는 정상적인 사고흐름이라고 보는게 타당하겠지요.
쿠루뽀롱
13/05/01 14:06
수정 아이콘
흥미로운 댓글 잘 읽었습니다. 그러고보니 저도 오류에 빠져있었네요.
좋아요
13/04/28 21:41
수정 아이콘
제가 여자친구가 없었던게 사실은 하느님께서 엑셀 다섯줄을 빼먹으셔서 그런거였군요.
역시 그런거였어
13/04/28 21:42
수정 아이콘
그리고 각 정부의 주요 경제기관 및 금융기관과 연구소등은 그들에게 가장 이득이 되는, 그들에게 스폰서쉽을 대줄 수 있는, 그리고 그들과 가장 협력해야하는 정치적 세력(정권)과 면밀히 이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그들의 연구와 의사결정이 '목적'에 따라서 얼마든지 바뀌어 선별되어 공개될 수 있습니다. 그들이 경제적으로 합리적인 결정만을 한다는 믿음이야말로 크게 잘못된 것이죠. 그래서 현대의 경제는 정치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고, 그렇다보니 순수경제학보다 정치경제학적인 영역에도 크게 신경을 쓰고 많은 연구가 필요한데 정치경제학 이라는 학문 자체가 우리나라도 그렇지만 일반 경제학에비해 세계에서의 입지가 좀 좁은편이죠. 앞서 말했듯이, 정치와 경제의 관계를 아는 사람이 늘어날 수록 전문가를 자칭하던 최상위 경제관련 의사결정 및 연구발표 집단은 부담을 가질 수 밖에 없으니까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고, 정치경제학 자체가 갖는 학문으로서의 중립성이 경제학보다 사회학에 가까워 과학적임에도 불구하고 덜 과학적으로 보이는 분야라서 그럴수도 있겠지요.
크레팔
13/04/28 21:49
수정 아이콘
지나치게 논문 오류가 과대평가되는 분위기인 것 같네요.
엑셀 오류가 있지만 엑셀 오류만으로 -0.1%에서 2.2%로 변하는 것은 아니고
엑셀 오류는 0.3%만큼 차이난 것입니다.
나머지 2%는 Rogoff랑 Reinhart가 사용한 weighting 방식이랑
데이터 선택에 따른 차이인데 HAP이 선택한 방식이 RR이 선택한 방식보다 낫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http://www.nextnewdeal.net/rortybomb/researchers-finally-replicated-reinhart-rogoff-and-there-are-serious-problems
여기 초기 논쟁이 정리가 잘 되어 있고 RR의 반박은
http://www.nytimes.com/2013/04/26/opinion/reinhart-and-rogoff-responding-to-our-critics.html?_r=0
여기 있습니다.

엑셀 오류라는 것이 워낙 선정적인 토픽이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데 그 기저에는
데이터 셀렉션, 그리고 제외하는 방식, 웨이팅 방식에 따라 얼마든 원하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는
경제학의 슬픈 진실이 숨겨져 있죠.

사실 RR의 수치가 맞느냐 HAP의 수치가 맞느냐 논쟁보다는 RR의 수치가 맞다고 가정하더라도
그 것이 긴축 정책을 정당화하느냐가 더 중요한 논쟁이거든요.
RR의 논문이 정치적 토론에 많이 활용되고 많은 경우에 오남용된 것이 사실이지만
이 논문이 없었다고 해서 유럽 국가들의 정책이 유의미하게 달라졌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굉장히 큰 착각이라고 봅니다.
사티레브
13/04/28 21:51
수정 아이콘
'유럽 국가들의 정책이 유의미하게 달라졌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굉장히 큰 착각'에 공감해서
이전의 정책들이나 작금의 정책 상황을 어찌해야한다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의아한 입장입니다
13/04/28 21:57
수정 아이콘
이 논문이 없었다고 해서 유럽 국가들의 정책이 유의미하게 달라졌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굉장히 큰 착각이라고 봅니다.
에서, 이 논문이 논거로서 사용되었기에 그 정책이 더욱 반대를 이기고 힘을 얻을수도 있었던거죠. 반대로 말하자면 정책이 달라졌을 것이라고 생각하는것도, 정책이 지금과 같은 방향으로 흘렀을 것이라는 것도 착각이라는 뜻으로 읽는게 맞지 싶네요. 어쨌거나, 이렇게 되면 경제학이 취사선택에 따른 정치싸움으로 넘어가는건데, 그 상황의 정치싸움에 있어서 이런 논거의 변화는 가볍게 지나칠 일은 아니니까요.
명확한 것은, 지금의 긴축재정논거에 오류가 있고 기존 케인즈주의에서 주장하는 '정부부채는 중요한게 아니다' '실업률이 문제'라는 끊임없는 주장에 대해서 강한 반박자료로 존재했었는데 그것에 헛점이 생기며 현재 현실경제 자체가 실업률에 따른 생산계층의 무력화와 장기화된 스태그플레이션에 따른 경제경색이 가장 큰 문제로 자리잡고있는데, 이 부분에 대한 앞으로의 대책은 분명히 재논의가 되어야만 하는 상황을 맞이한거죠.
크레팔
13/04/28 22:13
수정 아이콘
상당히 냉소적으로 들릴 수 있는데 어차피 RR의 논문을 근거로 긴축 정책을 얘기하는 자들은
이미 긴축정책이라는 결론을 내린 사람들이 대부분이었거든요.
원래 긴축에 대해서 별 생각 없다가 RR 논문 보고 생각을 바꾼 정책입안자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죠.
이거는 물론 긴축에 반대하는 입장에서도 마찬가지.
원래 RR의 주장처럼 부채가 GDP의 90%를 넘어가면 GDP 성장률이 확 줄어든다까지는 아니더라도
높은 GDP 대비 부채의 비율과 GDP 성장률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은 명백하거든요.
다만 그 상관관계가 인과관계인가가 원래 논의의 핵심이 되어야 하는데...

제 결론은 원래 RR 논문을 그대로 받아들인다고 해도 이 논문은 그 자체만으로
긴축정책을 위한 강력한 근거가 되지 못하는데 정치인들에 의해 오남용되어왔다.
그렇기 때문에 애초에 강력한 근거가 되지 못하는 논문이 틀렸다고 해서
(틀렸다고 생각하지도 않지만) 긴축을 주장해온 정치인들 혹은 경제학자들이 생각을 바꿀 일은 없다.
정도 되겠네요.
나이트해머
13/04/28 22:39
수정 아이콘
해당 논문의 오류의 가장 큰 문제는 [저 오류들을 수정하여 계산했더니 30~60%, 60~90%, 90~120% 구간간 비교에서 GOP 대비 부채의 비율과 성장률 사이에서 상관관계가 있음을 통계적으로 증명할 수 없었다]입니다. 왜냐하면 해당 구간간 비교에 대해 회귀분석상에서 상관계수가 동일하다는 가설을 기각하는 데 실패하는 결과가 나왔거든요. 이건 R-R의 반박이 불충분하다는 뜻이 되 버리죠.
13/04/29 12:18
수정 아이콘
[이미 긴축정책이라는 결론]을 내리는데 해당 논문이 결정적인 [INPUT]의 하나였을 가능성은 없을까요?
13/04/28 21:55
수정 아이콘
본문 내용이 사실이라면 ,
____________________
어떤 화가가 찻집에서 차를 주문하려는데, 탁자에 놓인 신문의 큰 기사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경기불황이 시작되었다>. 그 기사를 보고, 화가는 급히 자리에서 일어났습니다. 경기불황이 오면, 차 한잔 값이라도 아껴야. 불황을 이겨낼 수 있다면서.

화가의 말을 듣고 찻집 주인이 <경기불황이 온다고? 그럼, 내일 맞추려고 했던 양복을, 다음 기회에 맞춰야겠다>며, 주문하려던 양복을 취소했습니다.

찻집 주인의 전화를 받고, 양복점 주인이 <경기 불황이라고? 그럼, 가게를 늘리 려고 했는데, 좀더 있다가 늘려야겠다>하면서, 가게 확장을 연기시켰습니다.

양복점 주인의 전화를 받은 건축가는 <불황이라고? 그럼, 부부 초상화 한 장씩 그리려던 계획을 다음으로 미뤄야겠다>면서, <그림 예약>을 취소시켰습니다.

화가의 <말>이 돌고돌아서, 결국 <자신의 일감>이 취소되어, 큰 손실이 생겼습 니다. 얼마 후 화가가 그 신문을 다시 보았더니,

<10년 전> 신문이었습니다.
_______________

저 엑셀 5줄 누락 건이 10년 전 신문을 오늘 신문으로 착각한 것 같은, 그런 건가요?
후란시느
13/04/28 22:19
수정 아이콘
실증적인 문제에서 오류가 나온 부분이니 특별히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진 않지만...뭐랄까...공수가 비슷하긴 하네요;;.
13/04/28 21:55
수정 아이콘
이야기하자면, 애초의 논문의 주장은 GDP대비 90%가 넘는 정부부채를 가진나라의 경제성장률은 확연히 떨어진다는 것이고, 경제의 성장을 위해서 재정부채를 90% 이내로 줄여야한다는 것이군요. 그래서 정부재정은 긴축하고, 그로인해 복지재정이 줄어들었구요. 즉, 원래의 논문은 경제성장과 복지는 서로 반하는 관계라는 주장인 거네요. 재정긴출이 꼭 복지예산만을 줄이는 것은 아니지만.
이에 대해서 꾸준히 복지재정을 늘려서 양극화를 줄이는 것이 경제성장하는 길이라는 주장들이 있었죠.

그런데 전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문이 오류였다는 것이네요. GDP대비 정부부채가 높을수록 경제성장률이 낮기는 하지만 90%대에서 유의미하게 성장률이 낮아지는 것은 오류라는 것. 그러면서, GDP대비 정부부채가 높을수록 경제성장률이 낮은 것도 정부부채가 높아서 경제성장률이 낮아진 것이 아니라 경제성장률이 낮아져서 정부부채가 높아졌다는 것이 좀 더 연관성이 있다는 주장도 한 것이구요.
후란시느
13/04/28 22:09
수정 아이콘
그냥 확대재정과 긴축재정의 사이에서만 생각해야지 복지나 양극화까지 가서 결론을 내는건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그게 일환이 될 수는 있겠지만요.
13/04/28 22:22
수정 아이콘
제 댓글에서 결론 내린 것은 전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문이 오류였다는 것 뿐입니다. 복지와 양극화까지 가서 결론 내린 것은 없는데요.
후란시느
13/04/28 22:36
수정 아이콘
제가 좀 어폐가 있게 썼네요. 원래의 논문은 확대재정로 인한 정부부채의 증가가 경제성장을 막는다는 것 뿐이지 그것을 경제성장과 복지가 반한다는 주장으로 볼 수는 없다는 의미에서 한 말이었습니다. 반론 역시 마찬가지고요.
13/04/28 22:48
수정 아이콘
글쎄요. 제가 간편하게 쓰려고 복지라는 단어를 썼지만, 실업률을 줄인다거나 최소임금을 늘린다거나하는 것을 복지에 포함시킨 겁니다. 넓은 의미에서의 복지를 이야기한 것이고, 그렇게 볼 때 반한다는 주장으로 충분히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후란시느
13/04/28 22:54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일환으로 볼 수는 있다고 했는데, 혹시 그걸 잘못 보고 그걸 전부로 보시는 분이 계실까봐 부족하게나마 첨언해봤습니다. 불쾌하셨다면 사과드리겠습니다.
구밀복검
13/04/28 22:25
수정 아이콘
(사실이라면) 논문의 빈약함 이상으로 학계와 각국 정부 정책 입안 과정의 빈약함을 질타할만하겠네요.
결국 뭐 제대로 된 검토 없이 확대 재생산되었다는 이야기고, 다시 말해 안 보고 아는 척 한 거나 다름이 없으니..
13/04/28 22:40
수정 아이콘
뭐. 이미 논문이 출간된 이상 받아들일 수 밖에 없지요. 레프리도 논의 전개 과정의 문제가 아닌 이상 제대로 잡아내기 힘들고요.
결국 이바닥도 권위에 굴복할 수 밖에 없는지라... 이번 경우처럼 반박논문이 나오지 않는 이상 어쩔 수가 없습니다.
구밀복검
13/04/28 22:42
수정 아이콘
옙 전문성의 첨단에 위치한 학계에서조차 엄밀하게 합리성에 의해 좌우되는 영역이 그리 넓지 않음을 입증하는 사례인 듯 하여 안타까워 한 마디 해봤습니다.
구밀복검
13/04/28 22:37
수정 아이콘
더불어 정책 입안자들의 입장과 선입견은 고정적이었음일 따름이고, 해당 논문은 그저 도구적인 역할을 맡았을 따름이었기 때문에 해당 논문의 오류 정도와 무관하게 정책적인 흐름에는 변화가 없었을 것이라는 식의 주장에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지나치게 이모티비즘적이죠.
물론 그 어떤 주장이든 이론도 학설도 정책도 논증도 모두 특정한 대상에 대한 선호와 입장과 취향과 빠심과 까심을 정당화하기 위한 도구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입니다만, 결국 그러한 정당화를 가능케 해주고 생명력을 유지시켜주는 것이 바로 그 도구의 정교함이니까요. 면도칼이 손의 연장이라 한들, 면도날이 빠져있다면 수염은 깎이지 않습니다. 정념이 정념에서만 연원한다면 오래갈 수 없고요. 결국 불멸하는 건 근거와 논증의 견고함이죠. 그리하여 똑같은 빠심에 기인한 주장이라고 하더라도, 정교하게 표현된 빠심은 표준적인 레퍼런스가 되는 반면, 조야하게 표현된 빠심은 개소리가 됩니다. 똑같이 정부의 개입력 증대에 대한 열망에서 나왔다고 하더라도, 모든 저작물이 <<고용·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만큼의 지위를 확보할 순 없죠.
그리고 (역시나 사실이라면) 지금 상황은 표준인 줄 알았던 것이 알고보니 개소리였던 상황이고요.
영원한초보
13/04/28 23:22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 보통국민이 맨붕할건 아닌것 같고요.
그리스 국민들은 좀 난리가 날 것 같은데...
나이트해머
13/04/28 23:32
수정 아이콘
그리스는 논문을 수정한다고 해도 지금처럼 해야 합니다. 근데 스페인, 포르투칼, 이탈리아는 애매해지죠.
13/04/29 00:41
수정 아이콘
뭐지 이 이해 불가능한 본문과 리플들은…
Nangmantoss
13/04/29 01:48
수정 아이콘
질게에 빼고는 pgr 에 처음 글을 남기네요..
우선 전 현재 미국에서 경제학 박사 과정에 있는 학생이구요, pgr에 요새 핫한 이슈인 Reinhart and Rogoff (2010) 페이퍼에 대한 글이 올라와서 전공 글이 올라왔다는 반가운 마음에 댓글을 남깁니다.

우선 이 페이퍼에 대한 이야기를 하자면, 이 페이퍼의 핵심은 1. gdp 성장률과 정부 빚(gov't debt)/gdp ratio 의 negative relationship 이 있고, 특히 2. gov't debt/gdp ratio가 90% threshold 를 넘기면 gdp 성장률이 뚝 떨어진다인데요..

먼저 전공자들이 아니면 모를 법한 사안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이 페이퍼가 퍼블리쉬된 저널은 American Economic Review (이하 AER) Papers and Proceedings(이하 P & P) 입니다. 원래 AER 이란 저널은 경제학계에서 최고 저널인데(제가 이공계는 잘 모르지만, 왠지 Science 가 최고라면 그 정도급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매년 5월에는 특별판이 나오는데 그걸 AER P & P 라고 해요. 이 특별판의 특징은 여기에 실린 페이퍼들은 레프리를 받지 않는 다는 겁니다. 그럼 어떤 페이퍼들이 실리느냐? 경제학계에서는 매년 1월 초에 전미 경제학회 (ASSA 미팅) 컨퍼런스가 열리는데, 여기에서 발표된 논문들 중 일부가 실립니다. 보통은 미리 초대(invitation)을 해요. 유명한 경제학자에게 내년 1월에 발표하고 5월에 AER P & P에 실리게 할 페이퍼를 써줄 수 있느냐.. 이런 식으로요. 그래서 발표한 눈문 중에 일부가 이 특별판에 실리는데 특이하게도 레프리가 없습니다. 그래서 아무도 R & R 에 에러가 있었는 걸 몰랐던 것도 있구요.

그리고 더욱 문제는 이 둘 - Reinhart 와 Rogoff - 가 이 쪽 경제학 문제의 대가라는 점입니다. 아마 한국에도 나왔을 "This time is different" 라는 책도 이 둘이 썼는데, financial crises 에 대한 역사적 데이터를 가지고 연구를 오래한 이 둘의 페이퍼에 이 정도의 에러가 있을 거라고 (네, 권위에 의지하는 오류라고 해도 맞겠죠) 생각하기 힘들었죠.. 그 결과 이 문제의 논문의 인용횟수는 Google Scholar 에서 보면 450회가 넘어갑니다. 보통 AER P & P 에 실린 논문으로서 이 정도 인용되기 힘들다고 할 때, 굉장히 히트친 논문이죠.

특히 2007년 이후의 경제 불황이 계속되면서 이 불황을 극복하는 방안으로서의 '정부 지출 증가'가 경제학계에서 논쟁의 핵심 중에 하나인데요, 학부 거시 경제학을 들어본 분이라면 들어봤을 '정부지출승수'가 1보다 큰 지 아닌 지 등등 해서 굉장히 많은 논문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정부 지출 증대로 문제를 해결하자면 정부의 빚이 늘어나고 (세금은 불황인 상태에서 덜 겆히니까요), 그럼 이게 장기적으로 좋냐? 에 대한 하나의 대답으로서 RR 논문이 대답은 '아니다' 라고 하는 거인데.. 이게 특히 유럽에서 위기인 국가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논의되다 보니까 아마도 원래 페이퍼의 학문적 중요성보다 정치적 중요성 때문에 더 인기가 있어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윗 댓글에서도 논의되었다시피 이들이 발견한건 우선 인과관계가 아니라 단순한 상관관계일 뿐이라는 점인데요.. 논문을 보면 correlation (상관관계)가 있다라고 이야기는 하지만 논조는 사실상 causation (인과관계)가 있는 것처럼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보수 정치인들 - 정부 지출 증대가 싫다! 유럽 문제도 정부 빚 줄이면 해결할 수 있다! 이렇게 주장하는 정치인들 - 이 이 페이퍼를 인용하면서 "정부 빚이 많아서 성장률 낮은 문제가 있는 거니까 정부 빚을 줄여라!"라고 주장하게 된 거죠. 참고로 상관관계는 두 변수 X, Y 가 있을 때 "X 가 높을 때 Y 도 높다" 이라면, 인과관계는 "X 가 높기 때문에 Y 가 높다"라고 주장하는 거니까, 경제학에서 인과관계를 증명하려면 1. 모델이 있거나 2. 인과관계를 보일 수 있는 방법론이 제시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RR 페이퍼에서는 그런 게 없구요.. 사실 반대의 인과 관계도 얼마든 가능하죠 : "경제 성장률이 낮아서 세금이 덜 겆히고, 똑같은 정부 지출을 하더라도 정부의 빚이 늘어난다". 그런데 이런 점이 무시되고 반대의 인과관계만 정치인들이 이용하는 게 문제인데, 그 것에 대한 RR 의 비판이 없었다는 점과, RR 이 사실 그로 인한 명성을 누려왔던 점에서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논문이 더욱 큰 지적을 받는 것 같네요.

두번째 문제는, 사실 이 RR 논문의 핵심이 그 "90%" threshold 인데, 이 게 깨졌다는 게 제일 중요한 거 같습니다. 아마 다른 분야도 그렇겠지만, 논문이 사람들에게 읽히고 유명해지려면 Selling point가 필요한데, 이 논문의 핵심 selling point 가 그 "90%" threshold 거든요. 단순히 negative relation 만 보인 거면 사실 별로 의미 없는 게, 그건 당연한 거 거든요(경제학 적으로). 오히려 반대 결과 - positive relationship - 가 나왔으면 더욱 흥미로웠겠죠. 그런데 이 둘은 정부 빚/gdp 비율이 90%를 넘는 순간 그 경제의 성장률이 엄청 떨어진다는 걸 보여서 사람들이 주목을 했던 거인데, 그 주장 자체의 허구성이 입증되는 거라서 더욱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거 같습니다.

RR은 마치 negative relationship이 robust (어떤 방법으로도)하게 보이기 때문에 문제가 아닌 것처럼 이야기하지만 사실 큰 문제는 그 논란의 "90%"가 그동안 정치적으로 엄청 인용되어 왔는데 그 것에 대해서는 억울한 것처럼 이야기하고, 문제도 아닌양 이야기하기 때문에 경제학자로서의 윤리가 좀 더 문제가 되고 있지 않나..싶습니다.
항즐이
13/04/29 01:54
수정 아이콘
오오 수준 높은 설명 글 감사합니다. ^^
저도 연구 분야가 걸치다 보니 econometrics 쪽 논문을 많이 읽는데 항상 문제가 되는게 causality test죠. 제대로 검증하는 경우가 너무 적어서..

아무튼 RR 연구가 가졌던 위상과 그에 따른 정치적 파급력을 생각할 때, 이 사안이 사소하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상세한 설명 덕에 눈이 좀 밝아지네요.
Nangmantoss
13/04/29 02:02
수정 아이콘
헉 항즐이님께서 제 글에 댓글을..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다면 저야 기쁘죠. ^^

Econometrics 쪽 논문도 읽으시는 군요! 제 주변에 이 쪽 공부하는 분들 꽤 있는데 이 쪽은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미 경제학보다는 통계쪽에 가까워지고 있지 않나..싶습니다. 전 정말 이해를 못하겠더라구요. 하하..
항즐이
13/04/29 02:13
수정 아이콘
크크 저도 잘 모릅니다. (수업을 듣긴 했는데 뭘 했는지 나의 머리는 고요한 바다요...) 그냥 읽고 베껴서 따라해보고 그러는 것들이 좀 있는 정도죠. 어차피 간단한 test는 matlab이나 eviews가 다 해 줍니다?
Nangmantoss
13/04/29 02:51
수정 아이콘
매틀랩과 이뷰스라니! 참 훌륭한 도구들이죠. Stata 도 참 친절한 우리의 친구죠..하하
jjohny=Kuma
13/04/29 02:08
수정 아이콘
아니 이게 무슨 소리요 박사 양반 ㅠㅠ... 은 아니고 잘 읽었습니다. 헤헤
사실 이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논문이 그런 기초적인 에러를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 좀 의아했는데, 그런 속사정이 있었군요.
구밀복검
13/04/29 02:10
수정 아이콘
맥락에 대한 간명하고 명쾌한 정리 감사드립니다.
13/04/29 02:17
수정 아이콘
먼저 댓글 잘 봤습니다. 무슨 이야기인지 정확하게는 모르겠지만요. (...)
하여튼 그래서 전문가가 보시기에 위에 적은 제 댓글의 해석에는 큰 문제는 없는지 궁금합니다.
"
제 생각에는 부먹파의 거두가 <찍어 먹은 탕수육 맛에 요로요로한 문제가 있음>이라고 발표했고, 지금까지 그에 기반해서 탕수육을 부어먹었는데 논문에 사용한 데이터를 분석해보니 사실 <찍먹이 미묘하게 더 맛있다는 결론이 나왔음> 정도로 보입니다.
"
Nangmantoss
13/04/29 03:13
수정 아이콘
전문가는 아니지만..

그렇게 비유를 할 수 도 있겠네요. 다만 "찍먹이 미묘하게 맛있다"라기 보다는 "부먹이 낫다가 맞는지는 모르겠다" 정도가 아닐까 싶기도 하구요. 조금 뉘앙스가 다르지만..
13/04/29 12:26
수정 아이콘
헤헤, 감사합니다.
란츠크네히트
13/04/29 02:29
수정 아이콘
엑셀 오류로 망신 당하고 있지만, 이건 페이퍼를 무효화 할 정도의 큰 문제가 아닙니다.

이것과는 별개로 RR의 연구에 대한 비판은 2010년부터 쭉 있었습니다.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은것, 상관관계를 보이는데서 그치고 인과관계를 보여주지 못한점. 엑셀 오류는 부차적이고 진정한 논리적인 문제는 이부분입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페이퍼 자체의 논리적인 문제라기 보다는 페이퍼를 정치인들이 인용하면서 오는 문제입니다. 정치인들이 인용하는것도 그냥 교수 이름 대보고 싶어서 인용하는거지 이 페이퍼가 긴축재정 이론의 근거는 아닙니다.
항즐이
13/04/29 02:40
수정 아이콘
음 그렇다면, Nangmantoss님의 이야기와는 사뭇 다른 상황이라고 인식하시는 것 같은데요. 물론 긴축 재정의 모티베이션 자체는 당연히 정치인들의 성향 혹은 이데올로기겠습니다만, 그 근거는 다른 어떤 곳에서 찾아야 할까요?

또한 다른 근거가 계기가 있다고 해도, 경제 정책에 있어서 학문적 근거는 항상 유용한 도구로 쓰이는게 사실입니다. 늘 그래왔구요. 그것이 잘못된 상황에 대한 비판은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잘못 쓰고 있는 정치인들이 더 문제이긴 합니다만, 나이트해머님 말씀대로 특정 정책의 수치적 근거까지 제공해주었으니 기여도가 사소하다고 보긴 어렵죠.

더불어, 엑셀 오류는 페이퍼의 중요 쟁점 중 하나인 90% threshold에 닿아 있다는 점에서 문제이구요. 물론 causality를 증명 못한 robustness 또한 문제입니다. 명성 있는 학자가 명성 있는 저널에 게재한 연구가 이래서는 안되겠죠. 제가 이해하는 게 맞다면, 페이퍼는 무효화 되는게 맞다고 봅니다.
크레팔
13/04/29 03:02
수정 아이콘
란츠크네히트님의 이야기와 Nangmantoss님의 이야기는 상충되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방점을 어디 찍느냐에 따라서 받는 느낌이 달라지지만.

그리고 엑셀 오류를 보완하더라도 correlation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여러 번 언급되었지만 낮은 GDP 성장->GDP 대비 부채 비율이 높아진다는 causation이 존재하는 이상
(사실 이 causation이 없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지만)
그 correlation만으로 causation을 주장할 수는 없죠.

그래서(?) RR은 논문에서 혹은 그 이후에 직접적으로 causality를 주장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오독 및 무지로 인해서든, 그냥 선택적 취사로 인해서든 correlation을 causality로 오해한
정치인들 및 경제학자들 덕분에 반사 이익을 얻은 것도 사실이고 그 것에 대해 비판받아야 마땅하지만
이 포인트는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여전히 correlation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고 HAP도 약간은 과도한 것이
unconventional weighting method라고 RR을 비판했는데 그게 그렇게 unconventional한 것은 또 아니거든요.
RR 논문의 원래 결론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다만 그 correlation의 정도가 줄어드는 것이고
그로 인해 페이퍼가 무효화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긴축 재정의 모티베이션을 어디에서 찾아야 되는가?
Krugman이 비웃는 confidence fairy랑 bond vigilante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부채가 너무 커지면 국가의 부채 상환 능력에 대한 의문이 생기게 되고
그러면 국채 가격이 떨어지고 국가는 보다 높은 비용으로 돈을 빌릴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죠.
물론 이 역시나 굉장히 뜨거운 논쟁에 휩싸여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도 있죠.
일반적인 경기 상황에서는 확장정책을 사용하면 그만큼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거든요.
다만 현재 경기 침체 상황에서도 그 것이 유효한가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논쟁이 있고요.
여기서 유럽이랑 미국 상황이 약간 다른게 미국 연방 은행은 dual mandate이라고 해서
'고용 최대화'와 '물가 안정'의 두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는데
유럽 중앙 은행의 주된 목적은 '물가 안정' 하나입니다.
특히 현재 유로존에서 가장 힘이 강력한 독일이 과거 경험 때문에 인플레이션 하면 치를 떨기 때문에
유럽에서 더욱 긴축 정책이 잘 먹힌 측면이 있습니다.
항즐이
13/04/29 03:20
수정 아이콘
음, 연구의 value에 대한 결론은
1) causality는 전혀 test되지 않았다. correlation을 causality로 보고 오남용한 비판은 다른 학자와 정치인들에게 돌아가야 한다.
2) correlation은 약화되었지만 남아있다.
인데,

correlation의 robustness가 얼마나 타격을 받았는가가 문제가 되겠군요. Nangmantoss님의 지적처럼 주요 selling point를 잃었다면, contribution이 약화되었다고 보아야 하는게 아닌가 싶어서.


긴축 재정의 모티베이션 부분은 좀 더 공부를 하겠습니다. ^^ 아 오늘 정말 많이 배우네요. 즐겁습니다.
Nangmantoss
13/04/29 03:30
수정 아이콘
RR이 직접적으로 causality 를 주장하지는 않았지만 (사실 못하죠) 2012년 JEP 페이퍼에 보면 다음과 같이 논의를 했죠:

"Another line of reasoning for dismissing concerns about public debt and growth is the view the causality mostly runs from growth to debt. The multi-decade long duration of past public debt overhang episodes suggests that at very least, the association is not
due to recessions at business cycle frequencies (이하 생략...)"

즉, 이들은 causality 가 "debt -> gdp" 이렇게 흐른다고 간접적으로 이야긴 하죠.. 단순히 다른 사람들이 무지하거나 의도적으로 선택하기만 한 건 아닌 것 같습니다. 나머지 방법론에 대해서는 제가 그 정도의 전문가는 아니라서 코멘트하기가 그렇네요.

전 개인적으로 긴축 재정이 gdp 회복에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만.. 결국 정책을 정하는 건 정치인들이니까요.
크레팔
13/04/29 03:39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RR이 disingenuous하다고 비판받는 측면이 이런 거죠.
직접적으로 causality가 있다고 얘기하지는 않지만 그런 뉘앙스를 풍기는 얘기를 하기도 하고
자신들의 연구가 그런 식으로 misquote될 때 그 것을 의도적으로 방조한 것처럼 보입니다.
적어도 그들 본인은 높은 debt가 GDP 증가율 감소로 이어진다고 믿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애초에 큰 의미 있는 페이퍼가 아닌데 (어찌 보면 당연한 결론이 나온)
정치적 이유로 부당한 이득을 얻은 RR에 대해서 그 크지 않은의미가 살짝 퇴색되었을 때
얼마나 비판할 수 있는가는 단순히 학문의 영역은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그리고 사실 저도 긴축 재정에 대해서는 상당히 회의적인 입장입니다.
다만 저는 단기적 GDP 회복에는 긴축 재정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결국 장기적으로 (고용 감소 및 인프라 훼손 등의 이유로 인해) 손해라고 생각해서 반대합니다.
Nangmantoss
13/04/29 03:47
수정 아이콘
혹시 크레팔님도 이쪽 분야에서 일하시나요? 코멘트들이 전문가같으신데.. ^^

disingenuous 하다는 말이 참 와닿네요. 사실 경제학자들 중에 그런 사람들이 꽤 되죠.. ㅠㅠ
항즐이
13/04/29 04:07
수정 아이콘
멋진 코멘트의 향연이군요.

사실, 우리가 늘 조심해야 하는 것이 인과관계 vs 상관관계의 차이점과 그에 따른 연구의 의의에 대한 한계인데,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 사람들의 실질적인 삶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경제에 관련된 연구라면 더더욱 그러할 텐데, 개념적인 연구와 실증적인 연구 사이에서 좀 정도를 잃은게 아닌가 싶네요.

저도 긴축 재정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짧게 사용되어야 하는 극약 처방이라고 생각합니다. 경제학 전공하신 분들의 고견이 많으니, 더 길게 쓸 필요는 없을 듯 합니다.
Nangmantoss
13/04/29 03:07
수정 아이콘
전 페이퍼를 무효화 시켜야할 지 아닐지까지는 모르겠지만.. 제 개인적으론 가장 큰 selling point를 잃어버렸다는 점에서 큰 의미는 잃어버리지 않았나 싶습니다..

논문의 기본적인 문제점이야 차치하고, 저는 거시 논문은 기본적으로 자신의 정치적 성향 내지는 가치가 들어갈 수 밖에 없는 학문이라고 봐서 이게 단순히 정치인들이 인용했기 때문에 오는 문제인 거 같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란츠크네히트님 말씀처럼, 이 페이퍼 자체가 긴축재정 이론의 근거는 아니지만, 자신들의 입장을 정당화하는데 쓰일 수 있는 페이퍼였기 때문에 더욱 큰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학자들은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만, 일반 사람들에겐 "아, 이런 유명한 하버드 교수들이 입증했으니 정부 지출을 줄이는 게 당연히 좋겠구나" 라는 정당성을 보여줄 수 있으니까요.

물론 개인적으로 이 페이퍼의 학문적 가치가 크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항즐이
13/04/29 03:22
수정 아이콘
저도 그래서 거시 쪽은 읽다가 늘 드는 생각이 "왜 나는 같은 걸 보면서 다른 생각을 하게 되는가? 이게 내가 거시를 제대로 공부 안해서 생기는 문제인가, 아니면 내 영어 독해력이 중3이라서 그런 것인가?..." ... 뭐 다른 생각이라도 하면 다행이고, 논문이고 투고 에세이고 간에 뻑하면 뭔 말인지 모르는 경우가 더 많지만..
Nangmantoss
13/04/29 03:37
수정 아이콘
부인할 사람이 있을 지 모르지만 거시는 정말 가치 중립적이지 않은 학문인 거 같습니다.

그래서 다른 이론을 다루는 학문과 달리 저널도 그렇고 학회도 그렇고 굉장히 다툼이 잦고;; 논쟁이 많죠. 다음에 시간이 나면 관련된 글이라도 한 번 쓸까.. 생각중입니다.

우리끼리 하는 말로, 이쪽은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긴다고..
항즐이
13/04/29 12:14
수정 아이콘
오오 기다리겠습니다. ^^ 기대되네요.
란츠크네히트
13/04/29 03:48
수정 아이콘
일반인들에게는 This Time Is Different가 더 영향이 컸을것 같습니다.

의미가 퇴색되기는 했지만, 애초에 무슨 의미가 있어서 인용됬던것도 아니므로, 당분간은 계속 볼 것 같습니다.

당장 RR 2012 페이퍼가 있는데, 읽어본사람 말에 의하면 마찬가지로 인과관계는 없다고 하더군요.
블랙비글
13/04/29 04:32
수정 아이콘
한국이 최근 긴축정책했었나요?
PGR에서도 이명박 정부 중 국가부채 늘었다고 비판하던 분들 많지 않았나요?

게다가 유럽의 긴축정책도 긴축이라고 부르기에도 민망한 수준아닌가요?
한국이 IMF때 겪은거에 비하면 정말정말 아무것도 아닌 수준인데요.

사실 R&R의 오류는 결과에 큰 영향 없고, 평균을 어떻게 내냐가 관건인거 같은데,
아무래도 긴축을 반대하는 측에서는 결과에 별 영향없는 오류에 주목해서
마치 그 오류만 아니면 결과가 상반되는 것처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사실 오류보다는 평균내는 방법이 결과 차이에 더 중요하다고 합니다.

R&R 논문이 학문적으로 큰 주목을 받은 것은 아닌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유는 앞의 분들의 설명처럼,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 만으로는 학계에서 관심을 주지
않기 때문이죠, 그래도 인용이 많은 것은 학문적 중요성보다는 시의성하고
정치권의 관심 때문이겠죠.
항즐이
13/04/29 04:37
수정 아이콘
긴축 정책이 실제 어디에서 어떻게 집행되었나 하는 문제와 이 연구의 문제는 좀 다릅니다.

RR의 오류의 문제는 위에서 많은 분들이 의견을 나누어 주신 것 같고, 결과에 영향이 없진 않습니다.
게다가, RR의 연구 자체가 가지는 인과관계 vs 상관관계에 대한 느슨한 결론과, 그것을 편의적으로 이용한 정책 입안자들의 태도가 문제라는 게 요지겠죠. RR의 연구를 전가의 보도처럼 쓴 몇몇 정책에 대해서, 비판할 근거가 생겼다- 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긴축 정책의 필요성/실효성은 정말이지 거시경제 학회에서도 만만치 않은 주제일 겁니다.
블랙비글
13/04/29 04:41
수정 아이콘
거시에서 통계적으로 인과과계를 자신있게 밝힌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인과과계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는 곳는 노동경제학과 같은 분야죠.
그래서 거시는 응용이론 논문들이 많죠.

굳이 RR연구 아니더라도 지출정책은 비판할 방법이야 많죠.
Nangmantoss
13/04/29 05:50
수정 아이콘
조금 다른 이야기인데, '불가능'에 가깝다는 게 어떤 의미인가요? 블랙비글님이 말씀하시는 게 VAR 같은 방법에서 "exogeneity of shock"을 밝히는 걸 말씀하시는 건가요, 아니면 정말 인과관계 자체가 알아내기 어렵다는 건가요?

labor 나 macro 나 인과관계를 이야기하려면 - 아니 경제학 전반에서 - 결국 모델이 필요한 건 매한가지일 거 같은데 말이죠.. structural model 이 양쪽 분야 모두에서 성장하고 있(었)던 것은 같은 이유에서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리고 블랙비글님 말씀대로, 확장적 지출정책이 맞냐 아니냐는 워낙 많이 논의되고 하는 주제라 굳이 RR 이 아니더라도 할 말은 많죠. 재밌는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블랙비글
13/04/29 06:16
수정 아이콘
뭐 사실.. 음.. 방법론을 이야기하기도 전에,
전 미시데이터를 가지고 하는 empirical 연구가 데이터가 제한적인 empirical macro보다
신뢰성이 훨씬 크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선택지도 많고요.. 물론 제가 empirical macro를
아는것도 아닌데 너무 앞서 나갔다면 죄송합니다... (__)

VAR은 너무 맘에 안들어요 ㅠ.ㅠ
Nangmantoss
13/04/29 06:31
수정 아이콘
아 아닙니다! 저도 macro data 가지고 하는 연구들을 그렇게 좋아하는 게 아니어요..

이 바닥이 너무 좁아서 조금만 이야기하면 정체가 추적 가능하니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기는 좀 그렇고..(;;) 저도 개인적으로 micro level data 에서부터 하는 걸 선호합니다. 실제로 하고 있는 연구도 그렇구요.

VAR 마음에 안드실 수 있죠, 그렇구 말구요.. 그래도 현재로서는 이보다 편한 툴이 없으니까요. 굳이 theory가 없이도 되고, 사실 theory에는 연구자의 주관이 결국 들어가니까 말이죠..
항즐이
13/04/29 12:13
수정 아이콘
현실적으로 causality test와 impact analysis를 정량적으로 할 수 있는 도구로 VAR이 많이 쓰이지 않나요?
VAR의 estimation 자체가 지나치게 민감하다는 문제는 저도 인정합니다..
블랙비글
13/04/29 04:47
수정 아이콘
아직도 그리스의 정부지출은 수입보다 큽니다. 걱정 안하셔도 되요. 긴축은 무슨.
Nangmantoss
13/04/29 05:32
수정 아이콘
긴축 정책은 상대적인 개념 아닌가요? 예컨대:

http://www.imf.org/external/pubs/ft/weo/2013/01/weodata/weorept.aspx?sy=2000&ey=2013&scsm=1&ssd=1&sort=country&ds=.&br=1&pr1.x=52&pr1.y=5&c=174&s=GGX_NGDP%2CGGXCNL_NGDP%2CGGXWDN_NGDP&grp=0&a=

여기서 보시면 2009년 이후로 gdp 대비 정부의 빚이나 정부 지출이 감소, 혹은 최소한 비슷한 수준 이하로 유지되고 있죠. net debt는 그 이후까지 증가하는 추세이긴 한데, 아마 debt 레벨 자체를 줄이는 데는 좀 더 lag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블랙비글님 말씀대로 지출 자체는 수입보다 클 수 있지만, 보통 이야기하는 재정 긴축으로서의 작업은 하고 있는 것 아닐까요? 제가 모든 데이터를 본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공신력 있는 데이터는 그리스에서도 긴축 정책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생각되네요.
블랙비글
13/04/29 06:01
수정 아이콘
낭만토스님의 댓글에 동의하지만, (물론 긴축의 정의가 뭐다라고 내려진 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원작성자의 글을 보시면, RR의 연구가 잘못되었기 때문에 긴축정책을 철폐해야 한다고 하고 있습니다.
저는 지금 그 "긴축" 이라는 것이 재정적자의 감소에 불구하며, 무슨 멘탈이 붕괴되고 철폐대상일 정도로
대단하지 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긴축이라는 단어를 붙일려면 IMF때 한국정도는 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Nangmantoss
13/04/29 06:09
수정 아이콘
아.. 그 말씀이시라면 동의합니다.

여러모로 역사적인 (...) 일이었죠....
FreeAsWind
13/04/29 06:33
수정 아이콘
논문 폐지가 맞지요. debt/gdp inverse relationship 이란건 그냥 anno 같은 게임만 해봐도 쉽게 이해할수 있는거고
저 90% threshold 빼면 논문의 가치가 없고 그냥 당연한 소리인데요? R-R 의 해명글은... 할말이 없네요.
Uncertainty
13/04/29 11:25
수정 아이콘
제목 보고 가볍게 들어왔다가 놀랐습니다. 세상을 넓고 배울 건 참 많네요. 흐흐.
군인동거인
13/04/29 12:53
수정 아이콘
아.. 피쟐 클라스...
좋은 내용 공짜로 많이 배우고 갑니다.
본문보다도 댓글에 양질의 내용이 참 많아서 글 자체가 추게 갔으면 하는 바람에 추천 누르고 갑니다~
애패는 엄마
13/04/29 12:56
수정 아이콘
크크 진정한 굇수분들의 출현이네요 저같은 초짜 원생 나부랭이는 잘 감상하고 읽었습니다
13/04/29 14:41
수정 아이콘
많이 배우고 갑니다.
대답 안해?
13/04/29 15:09
수정 아이콘
별 큰 일은 아닐거라 생각하고 클릭하긴 했지만
이건 그야말로 극소수를 위한 계층 글인데 제목을 너무 자극적으로 쓰신것 같네요..
관련된 단어를 넣어주시던지 이런 클릭할수 밖에 없는 낚시성 제목은 지향했으면 좋겠어요
항즐이
13/04/30 16:17
수정 아이콘
글쎄요. 극소수를 위한 계층 글은 아니죠. 정치 관련 이슈들 보다 어쩌면 더 의미있는 이야기가 나올 만한 주제입니다.
제목의 충격적인 요소를 [지양]해야 하는 건 맞는 말일지도 모르지만, 그 동안의 글들을 봤을 때 큰 무리는 없어 보입니다.
13/04/30 01:48
수정 아이콘
다시 봐도 배울 수 있는 게 없어 ㅠㅠㅠㅜ
FreeAsWind
13/04/30 02:42
수정 아이콘
갑자기 궁금한게 정말로 Reinhart/Rogoff 가 실수로 저런 계산을 한건지, 주장을 위해서 의도적으로 근거와 방식을 왜곡한건지 모르겠네요.
분명 예상을 이탈한 트랜드를 보았다면, 그의 대한 원인을 파악하려하거나 오류의 가능성을 생각해서 검산정도라도 해봤을 텐데요.
하필 채택한 계산방식과, 누락시킨 항목들이 일관성있게 주장과 상반되는, 정확히는 threshold 를 없애는 계산결과를 내놓았다는게 단순우연의 일치인건지,
그리고 2013년에 와서야 Massachusetts대 학생들의 요청에 의해서 자료를 공개했다는 점도 이상합니다.
R-R 의 반박문을 다 읽어봐도 "selective exclusion of available data” 그리고 “unconventional weighting of summary statistics"
항목에 accusation 에 대한 납득할만한 반박도 안보이고 그냥 입장때문에 '단순히 실수였을뿐이다' 라면서 넘기려는듯한 느낌이 강하게 드네요.
Nangmantoss
13/04/30 02:58
수정 아이콘
RR 이 의도적으로 했는 지 아닌 지는 자기들만 알 것 같습니다. 아님 정말 결과 조작인데 설마 그럴까 싶구요. 사실 학계에서도 실수가 나오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그냥 현재로서는 설마 이 사람들이 진짜로 일부러 그랬겠어? 라고 믿는 분위기인데 사람의 깊은 마음 속까지야 모르죠.. ㅠ
FreeAsWind
13/04/30 03:35
수정 아이콘
두 교수의 위치와 영향력을 생각했을때 단순히 이목을 끌기 위한 의도는 아니었던거 같고, 내용을 볼수록 실수라기보다는 결과를 의도했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어서요. Peer review 도 안된 이 논문이 이미 작년 미국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에까지 인용되었고
이 논문으로 다수의 국가들이 debt/gdp 90% 를 마지노선이라 믿고 정책을 펼치도록 한게 의도였다면 두 하버드대 교수의 세계정부들을
대상으로 한 정치적 개입 내지는 희대의 장난질(?) 이 되겠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123 [일반]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할까? [20] endogeneity4669 14/08/08 4669 0
50153 [일반] 이승만과 교육 [46] 하이엨6376 14/03/01 6376 0
50148 [일반] "어르신들이 느끼는 박통에 대한 생각...?"에 달린 댓글들 '관견'(管見) [17] endogeneity4948 14/03/01 4948 7
47218 [일반] 자본주의 맹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 정리와 생각-요정 칼괴기님 글에 덧댐 [34] 이든8277 13/10/22 8277 0
46302 [일반] 박정희는 진짜로 경제를 발전시켰을까요? 발전시켰습니다! [281] 야율아보기24125 13/09/04 24125 24
44584 [일반] 90년대 초반의 변화들 : 어떻게 클럽 축구가 국가대항전을 제치고 축구판의 중심이 되었을까? [4] 구밀복검5297 13/06/18 5297 5
44258 [일반] 윤동주의 서시, 사람의 이기심에 대하여 [5] 먼곳을향해4194 13/06/04 4194 0
44029 [일반] [책 소개] 박정희의 맨 얼굴 [29] DarkSide8621 13/05/26 8621 2
43467 [일반] 허허.. 이거 진짜 큰일났네요.. [149] 스톰브링어RX15885 13/04/28 15885 2
41896 [일반] 2012년 경제성장률 2%로 집계, 이명박 정부 평균경제 성장률 2.9% [128] 어강됴리11278 13/01/25 11278 3
41216 [일반] 성장률로 정부를 평가하는 시각에 대한 단상 [37] 탑픽7448 12/12/22 7448 25
39902 [일반] 제18대 대통령 선거 10대 공약 (1)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12] 타테시5767 12/10/25 5767 1
39857 [일반] 경향신문 대선 쟁점인터뷰 (1) 경제민주화 : 김종인, 이정우, 장하성 [4] 타테시3973 12/10/23 3973 0
35766 [일반] 은혜로운 나라 일본 [208] happyend11106 12/03/06 11106 12
34265 [일반] 서기 2012년을 맞아하는 가벼운 미래 예측 [40] kimera5372 11/12/29 5372 1
34249 [일반] 중국 경제에 대한 잡다한 지식 모음. [42] OrBef6444 11/12/28 6444 4
31186 [일반] 간밤의 주가 지수 현황 [7] 낭천5403 11/08/18 5403 0
30030 [일반] [독서감상] 한윤형 외,『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 [8] 쌈등마잉3720 11/06/30 3720 0
23333 [일반] 기득권의 한계를 보여주는 조선일보의 기사. [15] nickyo4081 10/07/06 4081 4
20559 [일반] 작년 1인당 국민소득 1만7천불…5년來 최저 [139] 부끄러운줄알4462 10/03/26 4462 0
17485 [일반] 731부대를 능가하는 대한민국 독립군, 이승만과 친일정부? [19] 이적집단초전5271 09/11/13 5271 6
12690 [일반] 노무현 정부는 어떻게 경제를 말아먹었나? [31] 애국보수8102 09/05/19 8102 6
12578 [일반] [세상읽기]2009_0513 [13] [NC]...TesTER4901 09/05/13 490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