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8/01/31 09:40:58
Name DC 하는 준구씨
Subject [일반] 이명박정부 교육정책의 세가지 특징
[창비주간논평] 자율 강박증에 빠진 건가

이명박정부의 교육정책은 자율과 다양성을 강조한다. 자립형 사립고(자사고) 공약도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자율과 다양성을 강조하므로 얼핏 자유주의 철학에 기초한 발상으로 보인다. 그런데 속내를 들여다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 특히 교육의 가장 중요한 주체인 교사의 자율성은 온데간데없고, 학교의 자율성만 옹호되고 있다. 학교의 운영진, 특히 사학재단의 자율성만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자율이란 고전적인 근대의 개념으로서, 궁극적으로 개인의 수준에 적용되는 것인데, 이명박정부의 교육정책에서는 자율이 집단 혹은 단체의 수준에만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 교육에 다양성이 부족한 것은 교사의 자율성이 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무척 획일적인 교육과정과 학제를 가지고 있다. 교과서는 검인정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소단원과 제목까지 똑같아서 국정교과서나 다름없다. 교육과정은 극히 세부적인 영역까지 '가르쳐야 할 것'과 '가르쳐서는 안될 것'이 규정되어 있다. 다른 교육선진국과 비교할 때 교과목과 교과분량이 지나치게 많아, 학생들에게 탐구와 발견의 경험을 유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결국 전국 어느 학교에서나 붕어빵식 교육과 붕어빵식 평가가 이뤄진다. 제도가 획일적인 주입식 교육을 조장하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교육의 다양성이 꽃피는 것은 불가능하다.
  
  거짓 자유주의적인 교육철학
  
  2004년 노무현정부에서 내신성적 위주의 대입제도가 발표되었지만 결과적으로 내신 사교육 시장의 대호황을 가져온 것도, 교육과정과 학제가 획일적이고 주입식이기 때문이다. 반면 미국의 대학입시에서는 내신성적(GPA)이 수능(SAT) 못지않은 영향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최근 SAT나 AP 학원이 증가하고 있지만) 내신성적을 위한 학원은 없다. 그 이유는 교과운영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충분히 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교육선진국에서 학교교육의 핵심적인 목표를 '발견과 탐구의 경험'을 공유하는 데 두는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과도한 분량의 교과내용을 '주입'하는 데 급급하다. 따라서 학교는 '주입 전문가'인 학원과 경쟁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되고, 결국 학부모와 학생들은 학원교육을 통해 학교 성적을 높이려는 유혹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명박정부의 교육정책에는 이런 방향의 문제의식이 엿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다양성을 학교 수준에서만 묶어놓는 거짓 자유주의적 발상 때문이다. 기존의 학교 안에서 자율과 다양성을 꽃피우기 위해 어떤 체계로 관료적 통제를 철폐하고 교사와 학부모와 학생의 자발성을 유도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학교를 세워 운영진에 자율성을 주면 새로운 다양성이 출현할 것이라는 막연한 추측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새로운 학교를 세워봤자 새로운 다양성이 새삼스럽게 출현할 것 같지는 않다. 자사고들이 명문대 입학실적을 놓고 경쟁할 것이 분명한바, 그 교육과정이 입시에 유리한 방향으로 짜여질 것임은 자명하다. 많은 외국어고에서 제2외국어 교육이 유명무실해진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거창하게 자율성을 표방하고 있으나, 대입경쟁이라는 현실 속에서 결과적으로 획일성을 강화할 가능성이 큰 것이다.
  
  자율 강박증에 빠져 있는 교육정책
  
  이명박정부 교육정책의 또다른 핵심은 대학에 학생 선발의 자율권을 준다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1단계와 2단계를 거쳐 3단계에 이르면 학생 선발이 완전히 자율화된다. 그런데 대학에 완전한 자율권을 주면 본고사가 부활되지 않겠느냐는 반문에 대하여, 이명박 당선자는 후보시절부터 "대학들이 본고사를 보지 않을 충분한 여건이 형성되었을 때 3단계 자율화를 한다"는 애매한 말로 일관했다.
  
  이명박정부의 교육정책을 보면 자율 강박증에 빠져 있는 듯하다. 보수언론들이 노무현정부의 교육정책을 '대학에 대한 자율이냐 규제냐'라는 프레임에 가둬버린 것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그래서 대학에 자율적 권한을 줘야 한다는 강박에 빠졌고, 자율화로 예상되는 부작용을 제어하는 데 애를 먹고 있다. 당장 본고사에 대해서도 시행을 막겠다는 건지 대학 자율에 맡기겠다는 건지 애매한 태도를 취하는 바람에, 학생과 학부모 들의 혼란과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저소득층 학생을 위하여 자사고 학생 30%에게 장학금을 주겠다는 정책도, 외고의 자연계반 운영을 허용하는 문제도 그렇다. 자사고와 외고의 설립 및 운영에 대한 책임을 시·도교육청에 이관하겠다고 공언하는 한, 중앙정부 차원에서 특정한 정책내용을 관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자사고에서 장학금을 전혀 주지 않아도, 이미 자율권을 부여했다면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아무런 제재를 하지 못한다는 얘기 아닌가? 차라리 "완전한 자율성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겠으나 이런저런 것들은 허용할 수 없으며 이를 어길 경우 중앙정부 차원에서 제재하겠다"라고 못박는 것이 낫다. 이것이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는 정책이다.
  
  목표와 위배되는 방법론
  
  또한 이명박정부의 교육정책을 보면 목표와 방법 사이에 심각한 모순이 엿보인다. 예컨대 '사교육비 절반'을 지향한다지만, 구체적으로 내놓은 방법은 사교육비를 오히려 늘릴 것이 분명하다. 우선 자사고에는 그 원리상 학생 선발에 자율권을 줄 것이기 때문에, 그들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명문대 진학실적을 높이기 위해 국·영·수 중심의 학업능력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할 것이다. 따라서 자사고 입시는 그 과목들 중심의 상당한 난이도를 가진 시험이 될 것이며, 그 시험에서 높은 성적을 거두기 위한 사교육이 팽배할 것이다.
  
  이명박 당선자는 후보시절 "자사고에 들어가려는 학생들이 많으면 공급을 늘리면 된다"고 가볍게 발언했지만, 이것은 공급논리만 알고 서열화논리는 모르기 때문에 나오는 말이다. 우리나라 대학 정원이 수험생 숫자를 넘어선 지 오래지만 대입경쟁은 여전히 치열하다. 이것은 대학이 서열화되어 있어 좀더 상위권에 있는 대학으로 진학하려 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자사고와 특수목적고(특목고) 숫자가 늘어난다고 해서 입시 열기가 낮아질 것이라고 보는 건 어불성설이다. 더 많은 학생들이 더 높은 서열의 고등학교에 들어가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게 될 것이다.
  
  일단 자사고나 특목고에 들어가고 나면 사교육비가 절감되지 않느냐는 주장도 있다.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외고를 비롯한 특목고 학생들이 오히려 일반고 학생들보다 많은 사교육비를 쓴다는 것이 한국교육개발원 등의 공식적인 연구조사에 나와 있다. 입학사정관(査定官)제도 마찬가지다. 그 목표는 전국 학교들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을 평가하여 학생평가에 반영하겠다는 것이지만,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여건과 권한이 실질적으로 특목고와 자사고에만 주어진 현실에서 결국 그 제도는 변형된 고교등급제로서 기능할 우려가 크다.
  
  새 정부, 노무현정부의 실패에서 배워라
  
  결국 이명박정부의 교육공약은 노무현정부의 실책을 재탕할 가능성이 크다. 국민들이 노무현정부 교육정책의 목적이나 취지에 공감하지 못했던 것이 아니다. 현실적인 여건과 토양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비현실적인 방법론이 결과적으로 국민의 불만을 폭발시킨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명박정부의 교육정책은 자율이나 다양성 같은 솔깃한 정책목표를 가지고 있으나 치열하지 못한 현실인식으로 인해 매우 적절치 못한 방법론에 근거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명박정부는 노무현정부의 실책을 비슷한 방식으로 답습할 가능성이 크다.
  
  이명박정부 출범 이후 사교육업체가 자사고를 설립하거나('대교'가 추진하는 자사고가 최종설립인가를 앞두고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자사고·특목고에 더욱 많은 특혜를 줄 가능성(이미 김포시는 김포외고에 2년간 50%를 지원한 바 있다) 등이 감지되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대입 본고사가 부활하거나 자연계 논술이 본고사화할 가능성 등에 대해서 항상 주의깊게 지켜보면서 감시의 끈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것이 교사와 학생의 자율성을 신장하고 우리 교육을 정상화하는 데 선결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이범/곰TV 교육총괄이사,EBS 강사

언제나 늘 그랬듯 이범을 보면 예전 "공통과학 1000제"를 풀던 기억이 새록새록
사교육의 주범 대치동 명강사가 이런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는게 새삼 신기할뿐
이범이 정동영을 지지할때도 느꼈지만 과연 정동영이 저런 문제를 풀어 낼 의지가 있었는지...
그래도 이범식 개혁안이 나름 대안이 될 수 있을지도 결과평가가 아닌 과정을 평가한다...
우리가 고시와 의치약대를 위해 너무 많은 다양성을 포기하고 있는건 아닌지...
모두 고시합격 의치약사가 된다고 해도 행복한건 아닐텐데...
이런 면에서 보면 역시 스칸디나비아반도는 대단한 나라로 밖에 생각이 안드는
노르웨이는 고교과정을 딱 3단계로 구분한다는데 못함 보통 잘함으로
그래도 역시 우리나라보다 잘하더구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brasax_:Respect
08/01/31 11:41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평소 한겨레 '함께하는 교육'에서 이분이 쓰시는 칼럼을 보면서 의식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해왔는데 말입니다.
참 교육이라는 게... 답답하네요. 쉽지 않습니다.
[sunny[nada]
08/01/31 11:51
수정 아이콘
절차적 민주주의에 대한 기본도 안되있는 사람들 머릿속에는 노무현 정권과 다르게, 이것만이 선이라 인식되고 있는듯 합니다. 수많은 희생을 감내하며 하나씩 하나씩 쌓아온 세상의 보편적 가치들이 허무하게 무너지는 순간을 바라보니..답답하기도 하고 우리네 후손들이 걱정이 됩니다. 이기주의와 몰합리성이 판치는 세상이 도래하고 있다는게..서글프네요..
08/01/31 11:56
수정 아이콘
스크랩 하고 싶은데 -_- 방법이 없군요...
DC 하는 준구씨
08/01/31 12:10
수정 아이콘
센스있는 분이시는 하죠... 의치한의학전문대학원 진학 목표시 고3학생들은 화학,생명공학계열보다 약대가 낫다는거
맞는 말이기는 하지만 커리큘럼상 근데 뭔가 아쉬움이...
전면적인 개혁보다 현상황에서 살아남기에 급급한 미봉책 수준의 해결책이라...
루이스 엔리케
08/01/31 12:4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사학 재단의 비리가 엄청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명박씨의 교육정책이 고교 서열화 때문에 경쟁과 사교육이 더 심해진다던지 그런 걱정들이 표면적인데 사실 우리나라의 대학진학에 대한 교육열은 노무현 정권때도 마찬가지였기때문에 그런 쪽으로는 나빠져봤자 매한가지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한나라당이 꾸준히 추구하는 교육정책은 이미 비리의 온상인 사학재단의 자율성을 더욱 더 키우는 쪽이기때문에 그 위험성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 글을 보니 공감이 가요. 그리고 우리나라 교육정책은 대학의 전문화, 평준화를 최대한 이뤄내는게 핵심이 아닐까 싶네요. 평준화가 어렵다면 전공 별로 특별화되어서 전공마다 서울대가 다 다른 그런거 말이죠. 학생운동권이 망해버렸지만 기존의 좌파 성향의 학생운동이 등록금 인상을 막는 쪽으로 잘 이어졌다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자주 드네요. 요즘 사립대들이 등록금 인상하는거 보면 브레이크가 없는 기관차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사회 전체가 대학 진학에 혈안이 되있으니, 밀어주니까 대학들이 겁이 없는 거죠. 미국같은 경우 우리나라와 똑같은 자유주의라도 밑바탕에 교육에 대한 철학이 전제되어있는거 같은데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초중고 대학교 교육부 학원 참고서 출판사 등등이 자본과 너무 맞닿아있어서 이 고리를 끊기 못하는것같아요. 또한 학벌의 연줄에 기생하는 또 이용하는 사회 역시 마찬가지죠. 교육 자체가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고 이미 교육기관들이 거기에 손을 빼기에는 너무 크게 의존하고 있어서 누구도 이 체제를 근본적으로 고치려 하지 않는것같네요. 이다도시씨 말로는 우리나라 중고생들처럼 학교 학원에서 밤늦게 공부시키면 청소년 학대로 잡혀갈 일이라는데 대한민국의 모든 학교와 학원에서 이런일이 벌어지는 이유인것같습니다.
the hive
08/01/31 15:44
수정 아이콘
2MB모든 정책의 특징

졸속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83 [일반] 인터넷 종량제는 명백한 이명박 정부의 공약입니다. [19] 요르문간드5334 08/05/04 5334 0
5622 [일반] (기사펌) 이명박 정부! 독도 포기하는가? [36] The MAsque5515 08/05/02 5515 0
5609 [일반] 이명박 대통령의 그간 두달간의 행보~ [40] 글세다5923 08/05/02 5923 1
5494 [일반] 이명박 외교의 삽질 퍼레이드. [54] 펠쨩~(염통)7588 08/04/26 7588 1
5180 [일반] 이명박 정부의 규제철폐와 그 실효성 [11] 戰國時代3675 08/04/08 3675 0
5012 [일반] 이명박 정부의 무능한 외교력. [76] 펠쨩~(염통)6522 08/03/28 6522 2
4877 [일반] 이명박 시대의 경제 [46] 용용5175 08/03/17 5175 2
4840 [일반] 바보 노무현 vs. 천재 이명박 (공공기관장에 대응하는 자세) [25] 재떠리6217 08/03/14 6217 2
4829 [일반] 아예 책상을 빼고 없는 사람 취급하겠다는 졸렬한 이명박의 사고방식 [57] The xian4897 08/03/14 4897 0
4701 [일반] 이명박 대통령, 경제는 언제 살리실 건가요 ? [85] 말콤X7297 08/03/04 7297 2
4658 [일반] 저는 이명박 대통령이 두렵습니다. [85] 펠쨩~♡6957 08/02/29 6957 3
4518 [일반] [펌] 이명박 장관 발표- 뒷 이야기 [63] 냐옹까꿍5716 08/02/19 5716 0
4514 [일반] 이명박에게 보내는 삼성연의 어이없는 보고서 [7] DC 하는 준구씨4587 08/02/19 4587 0
4508 [일반] 대단합니다. 대통령 이명박! [30] 戰國時代5488 08/02/18 5488 1
4499 [일반] 이명박 정부의 타이타닉 [14] 폭풍검4028 08/02/18 4028 1
4486 [일반] 예상했던 대로 - 이명박, 끝내 대운하 강행 천명 [80] The xian5417 08/02/17 5417 0
4481 [일반] 이명박 당선인이 아니었더라도? [23] pkcstar4568 08/02/17 4568 0
4463 [일반] 이명박이 감춘 이념 [19] DC 하는 준구씨4031 08/02/16 4031 0
4379 [일반] 이명박 안찍으면 생명책에서 지운다! , 2012년 12월 21일의 이변 [32] 공유4690 08/02/11 4690 0
4276 [일반] 이명박정부 교육정책의 세가지 특징 [6] DC 하는 준구씨3888 08/01/31 3888 0
4272 [일반] 이명박 당선인이 생각하는 서민 [45] 우울한구름4928 08/01/31 4928 0
4270 [일반] [퍼옴]싱가포르식과 이명박식 영어의 차이점 [31] 戰國時代4821 08/01/31 4821 0
4247 [일반] 이명박 당선자와 바다의 도시 이야기 [27] OrBef5554 08/01/29 5554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