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02/05 00:07:56
Name 타테시
Subject [일반] 외교통상부와 인수위원회 전면 충돌 양상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2042158505&code=910302
김성환 “통상 이관, 헌법 근간 흔들어” 진영 “궤변이자 부처 이기주의 발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2042141095&code=910302
진영 “외교부 장관이 대통령의 통상교섭권 침해” 맹비판

현재 외교통상부에 있는 통상업무를 개편되는 산업통상자원부로 옮기려는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해
김성환 외교통상부장관이 다음과 같이 강력하게 반발했습니다.

“대통령의 국가대표권 및 조약체결·비준권을 외교장관을 통해 행사하도록 하는 것은 헌법과 정부조직법 등에 구현된 정부조직의 기본 구성 원리”
“통상교섭에 대해 외교부 장관이 아닌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이를 행사하는 것은 헌법에 규정된 대통령의 국가대표권, 조약체결권의 골간을 흔드는 것”

헌법을 언급함으로써 박근혜 당선인이 추진하려는 정부조직개편에 위헌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나선 것이죠.
매우 강력한 발언이며, 거의 작정하고 한 발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여기에 진영 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이 반박 기자회견을 하면서 정면충돌양상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통상조약 체결은 헌법상 대통령의 권한이며, 이 권한은 정부대표법에 의해 외교부 장관에게 위임된 것”
“외교부 장관이 정부 대표가 되는 것은 헌법상 권한이 아니라 헌법상 대통령의 권한을 이 법에 의해 위임받은 것”
"헌법 정신을 왜곡하고 헌법상 대통령 고유 권한인 통상교섭 체결권을 마치 외교부 장관이 헌법상 가진 권한인 것처럼 왜곡해 헌법상 대통령의 권한을 침해하고 있다”
“정부조직법도 헌법에 근거해 법률로 만든 사항”
“외교부가 당연히 헌법상 권한을 가지고 있고, 이렇게 바꾸면 헌법을 흔드는 것처럼 얘기했다면 헌법에 어긋나는 궤변이자 부처 이기주의”

그야말로 전면충돌입니다.
정권재창출인데도 정권교체급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2042140585&code=910302
‘통상교섭’ 이관…지경부·외교부 논리 대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2042141245&code=910402
여야 “통상부문 독립기구 검토해야”

외교부에서는 산업형 통상조직으로 가게 된다면 보호주의를 하고 있다는 인상을 풍긴다고 하고 있습니다.
대외무역이 활발한 선진국은 대체적으로 산업형 통상조직을 외교형 통상조직 혹은 독립적 통상조직으로 바꾸고 있다는 것을
예로 들고 있습니다.
지식경제부에서는 반대의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동안의 FTA 등에서 외교부의 정치논리가 크게 작용해서 정작 산업분야에 별 도움을 주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외교부의 설명과는 달리 정무비중이 낮거나 제조업 비중이 낮은 나라에서나 외교형 통상조직이 운영되고 있을 뿐이지
무역규모 1조달러 이상의 경제 강국은 대부분 산업형 통상조직을 운영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여야정치권에서는 대체적으로 외교통상부가 현재를 유지하거나 혹은 통상조직이 독립조직으로 가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박근혜 당선인의 또 다른 철학을 엿볼 수 있는 통상조직의 산업자원부로의 이전이 가능할 것인지 앞으로 주목해야 할 점이라 생각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2/05 00:11
수정 아이콘
진영 인수위 부원장의 논리가 맞는 것으로 보입니다.

헌법 조문 좀 까보라고 하고 싶네요.
포켓토이
13/02/05 00:14
수정 아이콘
일단 실리적인 면에서 봐도 외교부는 별로 믿음직스럽지 않군요.
게다가 헌법이라니.. 갖다붙인다고 다 말이 되는 것도 아니고...
헌법이 그런거 정하라고 있는 법이 아닐텐데...
임노동자
13/02/05 00:55
수정 아이콘
헌법은 기본권과 통치조직 두가지로 구성되어 있죠.
통치조직에서 정부, 의회, 법원 등의 권한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제73조 대통령은 조약을 체결`비준하고, 외교 사절을 신임`접수 또는 파견하며, 선전포고와 강화를 한다.
이 조항인데 인수위 측 말이 좀 더 신빙성 있네요.
외통부 장관은 '외교 사절' 이 단어 때문에 헌법 어쩌고 저쩌고 한거 같은데 무리수같군요~
애패는 엄마
13/02/05 00:15
수정 아이콘
인수위 위원장이 좀 더 설득력 있게 들리네요
루크레티아
13/02/05 00:19
수정 아이콘
외통부가 그동안 너무 똥을 싸놔서 이건 애초에 불리한 싸움이죠.
통상교섭권 줬더니 뭐 하나 제대로 한 건수가 없어...
팔랑스
13/02/05 00:23
수정 아이콘
저도 외교와 통상부분은 분리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동안의 FTA 등에서 외교부의 정치논리가 크게 작용해서 정작 산업분야에 별 도움을 주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특히 이부분
공감하는 바입니다
좋아요
13/02/05 00:30
수정 아이콘
별다른 술수 없이 그냥 여론싸움으로만 가도 이 싸움은 게임이 안될듯
13/02/05 00:35
수정 아이콘
인수위 위원장의 말에 한 표 던집니다. 헌법이 외교부 밥줄 보장하는 철칙도 아니고...

* 그리고 제가 알기로는, 헌법에 '외교부'의 이응 자도 안 들어가 있는 것으로 압니다. 국민들을 바보로 아나...
영원한초보
13/02/05 01:22
수정 아이콘
이건 싸워 봤자 외통부가 질 것 같습니다.
감사한번 하면 여러명 목 날릴 수 있을텐데요.
떡고물 지키려다가 밥상 걷어차는 상황이 나올 수 있어요.
13/02/05 02:38
수정 아이콘
감사도 필요없죠
바로 자기가 믿는사람 장관임명해서 쓸어버리면 끝이죠
지금이 정권말기도 아니고 가장 힘이쎄다는 인수위시절인데
도대체 무슨깡으로 장관이 그런얘길했는지 모르겠네요
wonderswan
13/02/05 04:57
수정 아이콘
장관은 이제 끝나서 나가는 사람이니 미련없이 소신껏 발언할 수 있죠.
뒷짐진강아지
13/02/05 01:25
수정 아이콘
외통부 : 밥그릇을 빼앗길 순 없어!!
발악으로 보이는군요...
펠릭스
13/02/05 01:34
수정 아이콘
그동안 지네들이 한걸 생각하면 외교부 놈들이 저렇게 뻔뻔할 수가 없지요.
13/02/05 01:58
수정 아이콘
부처 통폐합이나 권한 이전시 일어나는 전형적인 현상입니다.
자기 밥그릇 뺏기기 싫은 거죠.
단빵~♡
13/02/05 02:09
수정 아이콘
위키리크스 보면 우리나라 외교부인간들이 하는 짓은 거의 미국 스파이수준이던데...인수위를 응원하면서 잘 하기를 바랍니다.
홍승식
13/02/05 02:45
수정 아이콘
아니. 헌법에 대통령 위에 외교부 장관이랍니까?
외규부 장관을 선거로 뽑는 것도 아닌데 어떻게 헌법상의 권리가 보장됩니까?
적울린네마리
13/02/05 03:53
수정 아이콘
출범도 하기 전에 레임덕부터 시작인지???

이럴 땐 모두까기 시전을...
무슨 여야가 바뀌는 정권교체도 아니고 그 나물의 그 밥에서 바꾸는 데 뭔 이리 지들끼리 기 싸움을 하시나요?
출범하기 전에 이미 정권의 피로도를 느끼면 어쩌라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288 [일반] 시대를 역행하는 액티브X 지원 브라우저 스윙 브라우저 [78] 타테시7746 13/02/14 7746 0
42261 [일반] 박근혜 정부의 1차 장관인선이 발표되었습니다. [22] 타테시6922 13/02/13 6922 0
42191 [일반] 박근혜 정부 1차 인선, 국무총리에 정홍원 변호사 지명 [29] 타테시8364 13/02/08 8364 0
42170 [일반] 박보영 소속사 대표, 정글의 법칙 디스 사건 [78] 타테시21576 13/02/07 21576 0
42130 [일반] 이명박 대통령의 조선일보와의 인터뷰가 화제입니다. [131] 타테시12432 13/02/05 12432 0
42116 [일반] 외교통상부와 인수위원회 전면 충돌 양상 [17] 타테시5382 13/02/05 5382 0
42103 [일반] 눈이 많이 내리고 있네요. [29] 타테시5996 13/02/04 5996 0
42046 [일반] 수영연맹, 박태환 선수 포상금 박탈 논란 [44] 타테시7930 13/01/31 7930 0
42000 [일반] 한국대중음악상 후보작 들어보자~! - 1부 [7] 잠잘까6161 13/01/30 6161 2
41990 [일반] 김용준 국무총리 지명자 전격 사퇴 [50] 타테시5857 13/01/29 5857 0
41985 [일반] 2013 한국대중음악상 후보가 발표되었습니다. [40] 타테시4949 13/01/29 4949 0
41964 [일반] 연령별 시청률로 본 일요일 저녁 예능 [22] 타테시8071 13/01/28 8071 0
41963 [일반] 삼성전자 화성공장서 불산누출사고, 17시간 넘도록 쉬쉬 [17] 타테시5859 13/01/28 5859 0
41928 [일반] 한편의 영화와도 같았던 그것이 알고싶다 - 비정한 대한민국의 현실 [47] 타테시9001 13/01/27 9001 2
41921 [일반] 대통령 특별사면을 둘러싼 청와대와 인수위의 정면 충돌 [16] 타테시5140 13/01/26 5140 0
41915 [일반] 정글의 법칙, 시청률 돌풍을 일으키다. [48] 타테시8743 13/01/26 8743 0
41893 [일반] 대한민국 13대 가요기획사의 현재 위치와 전망 [40] 타테시9103 13/01/25 9103 0
41891 [일반] 도서정가제를 둘러싼 출판사와 온라인 서점과의 대립 [99] 타테시6419 13/01/24 6419 0
41877 [일반] 박근혜 정부 첫 총리인선 - 김용준 현 인수위원장 [30] 타테시5466 13/01/24 5466 0
41874 [일반] 택시업계, 통학 통근버스 확대, 투명경영법 반대하는 사업계획 추진 [30] 타테시5032 13/01/24 5032 0
41863 [일반] 정부 전례 없는 4대강 감사 사후검증 하기로 결정 [77] 타테시6748 13/01/23 6748 0
41853 [일반] 택시 대중교통 법의 문제점과 각 언론들의 사설 및 여론조사 모음 [24] 타테시4466 13/01/23 4466 0
41839 [일반] 이명박 대통령, 일명 택시법 거부권 행사 [92] 타테시10587 13/01/22 10587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