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7/01/31 10:00:37
Name [NC]...TesTER
Subject [일반] [세상읽기]_20070131
[테스터의 세상읽기]2007_0131

이 세상엔 수 많은 일들이 발생합니다. 또한 수 많은 정보도 생겨나고 소멸되죠. 우리 앞에는 너무나 많은 일과 정보들이 있어, 그것을 모두 수용하기가 힘듭니다. 그래도 가끔 한번 정도는 생각하고 싶은 일들, 같이 이야기 해보고 싶습니다. 아주 편하게... 이 세상읽기는 정답이 없습니다. 또한 누구의 말도 맞을 수도, 틀릴 수도 있습니다. 다만 바쁘시더라도 한번 쯤은 생각해 볼 만하다는 것. 이것으로 족합니다.

1. 과거 불행한 역사의 피해자들

과거사정리위원회는 유신시절 긴급조치 판결 판사의 실명을 오늘 공개한다고 합니다. 긴급조치란 박정희 대통령 시절 제정된 유신헌법 중의 내용으로 공공의 안녕 질서에 중대한 위협이 있을 경우 신속한 조치가 필요할 경우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잠정적으로 정시시킬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이 법규가 언론 출판 집회 및 시위의 자유 등을 억합하는데 악용된 과거 불행한 우리 역사의 한 단면이기도 합니다.

긴급조치로 인해 피해를 본 많은 국민을 위해서, 역사의 진실과 법의 정의 실현을 위해서 이런 과거사 정리는 필요한 부분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과연 그 당시 법을 집행한 판사의 실명을 공개해야만 하느냐에 대해 많은 논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판사야 뭐 법이 있는 그대로 해석하여 적용합니다. 소크라테스의 말처럼 악법도 법인데, 그 법이 잘못되었다고 하여 정해진 법의 적용을 안하는 것도 또한 판사의 업무에 어긋나는 일입니다.

법조계에서는 자칫 마녀사냥식 여론재판이 이루어 질 수 있다고 큰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 그 당시 판사였던 사람 들 중 일부가 고위직에 13명이나 포함되어있기도 한데요, 과연 무엇이 맞는 것인지 잘 판단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정말 불행한 과거로 인해 피해자만 더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2. 狂클

광클? 요즘 포털에서 사용되는 인기검색어가 여론조작의 가능성이 있다는 현상에 빗댄 신조어로, 일정 시간대에 포털 사이트 검색 창에 계획적으로 특정 단어를 집중 검색함으로써 이를 인기 검색어로 순위 1위에 올리는 행위를 뜻합니다.

여러분들? 혹시 모 포털에 인기검색어 1위에 올라오면 뭔가 궁금하지 않나요? 그런 궁금증은 사실의 진의 여부를 판단하기 보단 즉흥적이고 세뇌적일 수 있는 가능성이 큽니다. 더욱이 우리의 뇌에 각인이 되어진 사람 또는 사물, 현상, 사건 등에 대해 그것을 사실로서 인지해 버릴 가능성이 크다는 거죠. 굉장히 무서운 현상입니다.

이는 분명 여론 조작의 가능성이 다분합니다. 이러한 사례는 이미 많은 분들이 느꼈을 것이고 앞으로 더욱더 많이 발생할 것입니다. 특히나 대선을 앞둔 올해에 이 광클을 이용한 여론 조작이 일어나지 않을까 걱정이 앞섭니다.

인터넷은 수 많은 정보를 쏟아냅니다. 그 정보는 우리들에게 대부분 필요치 않는 것이죠. 그러나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그걸 전부 받아들여 소화를 못 시킵니다. 또는 우리가 필요한 정보는 못 찾고 엉뚱한 정보를 소화하게 되죠.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 정보를 사실화 한다는 점입니다. 이젠 우리에겐 정보의 질과 여과를 할 수 있는 필터링이 필요한 시대에 살고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렇지 못 하는게 현실 입니다.

3. 세계 최빈국 에티오피아

여러분 에티오피아라는 나라 아시나요? 에티오피아 하면 몇 가지 떠오르는 것들이 있습니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가난하고, 많은 어린이들이 굶어 죽고(We Are The World), 과거 올림픽 에서 맨발로 마라톤에서 우승을 차지한 그 선수가 생각나며, 또한 우리가 잊어서는 안될 하나, 바로 아프리가 국가 중 유일하게 6.25전쟁에 참전했던 나랍니다.

요즘 반기문 유엔총장이 아프리카 정상회의 참석 겸 아프리카를 방문 중입니다. 콩고를 거쳐 에티오피아에 머물고 있다고 하네요. 그곳의 인프라나 경제환경, 사회환경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더욱 더 최악이라고 합니다. 2005년 기준 1인당 GDP가 126달러로 아프리카 최빈국인 에티오피아, 그러나 그들에게도 굉장한 자부심은 있습니다. 솔로몬왕과의 로멘스로 유명한 시바 여왕의 나라이고, 아프리카 중 유일하게 식민지 생활을 안해 본 나라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나라의 성장시계는 1960년 대 이후로 멈춰 버렸죠. 60년대까지만 해도 우리나라보다 훨씬 잘 살았던 에티오피아.. 복잡한 정치 환경과 사회주의 경제제도 도입으로 인한 그들의 빈곤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느끼게 해줍니다.

6.25전쟁에 참여한 한 노병은 한국을 방문하고 깜짝 놀랬으며, 에티오피아가 북한과 친밀한 관계를 맺을 때는 굉장한 핍박도 받았다고 합니다. 1달에 한번 나오는 연금(4400원)을 받는 그 노병은 젊은 나이에 생전 듣도 보도 못한 아시아의 작은 국가 한국을 돕기 위해 21일간 배를 타고 부산항에 도착했다는 그의 말이 왠지 가슴을 메어지게 합니다.

4. 오늘의 솨진

File Hosted by playnow.co.k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y name is J
07/01/31 10:17
수정 아이콘
단순히 있는 법을 해석하고 판결을 내릴줄만 안다면 그자리에 컴퓨터를 앉혀 놓지 굳이 사람을 앉혀 놓을 이유가 없지 않을까요.. 또한 그들이 단순한 직업인이라면 현재와 같은 사회적 존경과 권력을 가질만한 자격도 없는 걸겁니다.

그러나...역시 개인으로 좁혀본다면 과거 사회분위기에서 반동적 선택을 할수 있느냐...는 다른 물음이겠지요. 먼산-
밀로비
07/01/31 10:42
수정 아이콘
광클뿐 아니라 네이버 인기검색어 자체가 무언가 조작이 가해지지 않느냐 하는 의문이 제기된지 꽤 됐었죠.
사실 인기검색어에 올랐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사람들이 더 클릭하기 때문에 궁금증에 클릭하는 사람들이 자신도 모르게 조작에 동조하기도 하고요.
개인적으로는 한 때 유행했던 플래시몹과 비슷한 이유로 발생한게 아닐까 생각합니다만 그게 정략적, 상업적으로 이용되다보니 문제가 되는게 아닌가 싶네요.
뭐.. 어차피 쏟아지는 정보, 자기가 잘 알아서 골라 취득해야겠습니다.
[NC]...TesTER
07/01/31 11:01
수정 아이콘
제이님..//제 표현이 약간 부족했네요. 제가 말하고자 했던 부분은 법에 그 피고가 유죄라면 그 법리 자체가 악법이라도 해당 판사는 유죄로 판결할 수 밖에 없었던 그 당시 사회분위기를 말하고 싶었습니다. 단순히 법데로만 판결하라는 의미는 아니였습니다. 이해해주세요^^
07/01/31 11:02
수정 아이콘
1.:
제일 먼저 나는 생각은, 좀 억울하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저 시대에 법관을 하고 있었다면 위에 어떤 분 말씀대로 그 시대에 그런 선택을 쉽게 내릴 수 있겠느냐는 것이지요...
혹시 책임을 지우려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봅니다. 인혁당 사건 같은 경우에는 경과가 비교적 명확하고 기록도 온전하게 남아있는 편이기 때문에 저렇게 `누구누구`라고 지명이라도 하겠지만, 5/18의 경우 그 누구도 책임지려는 사람도 없고 기록조차도 부실하잖습니까.

3.:
대한민국이 강대국 사이에 끼여있다가 이만큼이라도 큰 것을 보고 친구들끼리 농담으로 말하죠: 만약에 아프리카에 있었다면 이스라엘급의 강력한 국가가 됐을지도 모른다구요^^

오늘도 잘 읽었습니다...
큐리스
07/01/31 11:20
수정 아이콘
1. 판사에게 책임을 묻기는 힘든 사안이지만 명단은 공개해야 된다고 보구요.
공개후 아무 일도 안 일어난다면 우리 사회가 약간 더 성숙했다는 뜻이겠지요. (근데 과연... --; )
2. 저는 야후를 1차 검색엔진으로 씁니다. 네이버에 비해서는 검색어 순위가 잘 안 바뀌죠. ^^;
야후 검색에서 부족함을 느끼면 2차로 네이버로 다시 검색합니다만, 네이버 검색어 순위 같은 건 믿지 않습니다.
로리매냐
07/01/31 11:39
수정 아이콘
테스터님의 세상읽기 항상 잘 읽고 있습니다 ^^ 감사드립니다~
07/01/31 12:18
수정 아이콘
저당시 판사분들 중에서 시대상황에 반기를 들고 퇴직하신 분이 한분도 없을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런 분들에 대해서는 아무도 관심이 없고, 오로지 '나쁜놈 족치기'만 이루어지죠. '존경과 보상'은 없고 '질투와 형벌'만 존재하는 이상한 상황입니다.

결국 대선이 가까워졌다는 생각이 드는건.. 어쩔수가 없네요.
sway with me
07/01/31 12:37
수정 아이콘
오늘도 잘 읽었습니다^^

1번 사안은 과연 어떤 분이신지는 모르지만 조금 우려는 됩니다.
얼마 전에 석궁테러 사건도 있었고 해서....
푸른기억
07/01/31 12:39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레지엔
07/01/31 12:44
수정 아이콘
역시 검색은 구글...
07/01/31 13:02
수정 아이콘
잘못 아시고 계신데 일단 악법은 법이 아닙니다. 파시즘을 극복한 문명화된 현대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결코 악법은 법이 될 수 없습니다. 그야말로 히틀러 나찌체제에나 통용될 논리일 뿐입니다.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의 어원에 대해선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2차 대전 이전 일본의 군국주의를 옹호하기 위해 일본의 법학자가 소크라테스의 발언을 왜곡 해석했다는 것이 유력합니다. 실제 소크라테스의 저 발언을 전했다고 알려진 플라톤의 저서를 뒤져봐도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은 찾을 수 없다고 하는군요. 그럼에도 잘못된 상식이 국내에 널리 퍼진 이유는 박정희 시절 정통성 없는 독재 정권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교과서 등에 관련 내용을 홍보한 결과 '악법도 법이다'라는 터무니 없는 명제가 마치 진리인 것처럼 널리 퍼졌을 뿐입니다. 그래서 [NC]...TesTER 님의 글은 오히려 청산되지 못한 역사가 현재에 어떠한 악영향을 끼치는지를 보여주는 것같아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NC]...TesTER
07/01/31 13:19
수정 아이콘
루저님..//그 당시 시대상황이 말도안되게도 그런 법률이 통과되어 긴급초지란 법률이 생긴거죠. 법이 있으면 그 법을 위반했을테의 해석은 판사의 몫이기도 합니다. 그 시대 상황에 긴급조치란 법이 잘못됐기 때문에 판결을 내릴 수 없다고 말하라고 해당 판사에게 말하기엔 그 시대 상황이 너무나 비정상적이었고, 암울했죠.
제 사견으론 긴급조치란 법 자체가 악법이었지만, 그 시대상황에선 그 법은 분명 존재했고, 그거에 피해를 본 국민은 존재합니다. 우리의 아픈 과거의 한단면이기에 지금에서야 과거사를 정리하려고 하겠죠^^
07/01/31 13:25
수정 아이콘
일반 법관은 법을 그대로 적용할 뿐이고, 현행법이 올바른지 그른지 - 결국 합헌인지 위헌이지 - 는 헌법재판소에서 행하는 것 아닌가요? 그런 관점에서 볼 때, 판사가 양심의 가책을 심하게 느꼈다면 판결을 거부할 수는 있겠지만, 자기 재량껏 무죄를 선고할 수는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DNA Killer
07/01/31 13:37
수정 아이콘
[NC]...TesTER님// 판결을 내릴 수 없다 라는 것이 아닌 어떻게 판결을 내리느냐죠.
사법부가 법대로가 아닌 사회분위기(라기보단 정권의 분위기)를 따라 가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긴급조치에 걸린 것들이 "공공의 안녕 질서에 중대한 위협이 있을 경우 신속한 조치가 필요할 경우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잠정적으로 정시시킬 수" 있는 것이었는지는 상식적으로 봐도...
또한 모두가 '억울한' 유죄판결을 내린 것도 아닙니다.
피해자만 늘어나는 기분이 아니라 가해자가 밝혀지는 기분입니다.
(당시 상황이 어떻다 해도 이미 했던 행위가 변하지는 않습니다.)
<a href=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87598.html
target=_blank>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87598.html
</a>
07/01/31 13:41
수정 아이콘
DNA Killer님/
저런 기사도 있군요. 저같은 사람들의 미심쩍은 시선을 피하기에 가장 적절한 타이밍에 올라온 기사입니다.
07/01/31 13:43
수정 아이콘
[NC]...TesTER // 그러나 그런 악법의 적용을 거부하고 사표를 내거나, 무죄를 선고한 많은 판검사들도 존재합니다. 정권에 비협조적인 수많은 판사들이 유신헌법 이후 재임용제도에 의해 해직당하기도 했습니다. [NC]...TesTER 님의 말씀대로라면 이 분들의 희생은 아무 의미가 없어집니다. 불의에 맞선 사람들만 손해고 독재 정권에 적극 협조하여 개인의 영달을 추구한 사람들은 민주화가 된 이후에도 여전히 권세를 누리고 있다면 악법에 의해 인혁당 사건 같은 사법살인이 되풀이 될 때 과연 누가 나서서 이에 저항할까요? 독립투사의 자손들은 어렵게 살고 있는데 친일파들은 일제시대 때 얻은 권력과 재산으로 아직도 부귀영화를 누리고 있는 것과 같은 이치지요.

그럼에도 지금 과거사 청산을 하자는 것이 유신시대 판사들을 처벌하고 재산을 박탈하자는 것도 아닙니다. 단지 당시의 잘못을 가리고 이런 일들이 다시 되풀이 되지 않도록 역사의 교훈으로 남기자는 것이지요. 동시에 당사자들의 진심어린 사죄가 있을 때 비로서 용서라는 것도 가능할 겁니다. 그러나 해당 법관들이 [NC]...TesTER 님의 말씀처럼 당시에는 어쩔 수 없었다는 식의 변명만을 늘어 놓는다면 진정한 역사의 화해는 불가능할 것이고, 우리 사회는 약자에게는 가혹하고 강자에게는 비굴하며 자신의 출세를 위해서라면 무고한 사람의 희생도 서슴치 않는 기회주의만이 판을 치게 될 겁니다.
[NC]...TesTER
07/01/31 14:36
수정 아이콘
루저님..//그 당시 모든 판사가 잘못된 법에 순응했다고 말한 적 없습니다. 킬러님이 올린 기사처럼 저항한 판사들도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점은 긴급조치가 발생됐던 그 시대가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의 비정상적이었다는 거죠. 긴급조치 자체도 비상식적인 부분이었습니다. 긴급조치라는 법 자체가 만들어진 것 부터가 어쩌면 이번 문제의 핵심일 것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점은 그 당시에 판사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비정상적인 법임에도 불구하고 판결을 내려야 했던 그 사회가 암울했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본문 글은 그런 판사의 도덕적 문제는 아닙니다. 과거에 한 사건을 통해 지금의 그 판사들을 실명을 공개하는 것에 대해 찬성도, 반성도 아닙니다. 왜냐하면 각각 장단점이 있을테니까요. 다만 그 본연의 문제과 변질될까봐 걱정이 드는 겁니다.
DNA Killer
07/01/31 16:42
수정 아이콘
[NC]...TesTER님// 저의 언급은 "정말 불행한 과거로 인해 피해자만 더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라거나 "판결을 내릴 수 없다고 말하라고 해당 판사에게 말하기엔 그 시대 상황이 너무나 비정상적이었고, 암울했죠." 라는 말씀에 대한 꼬투리일수도 있겠네요. 음... 적절한 표현이... ^^;
(아... 그래도 법조계에 대한 마녀사냥이라는 표현은 아닌 듯 합니다. 긴급조치나 인혁당 사건의 피해자분들이야말로 마녀사냥이죠. 아, 법조계 스스로 칭한말이라면 더더욱 반성보다는 자기 안위를 걱정한다는 기분이 듭니다.) 아무튼 넘어가서...

네, 확실히 중요한 것은 그 판결을 내린 판사들의 잘못보다도
긴급조치가 나온 이유와 그 시대에 대한 반성입니다.

사법부는 자신들의 과오(라고 생각합니다)에 대한 반성이 보이지 않는 것도 문제고,
사람들도 박정희에 대한 향수이전에 독재정권 시대의 어두운 단면을 잊지 말아야합니다.
당시 판사들의 문제로만 간단히 (그것만으로도 간단하지는 않겠지만) 넘어가서는 안되겠죠.

개인적으로는 박근혜씨가 정치인으로서 더 나아가려면 아버지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일반인으로서는 아버지에 대한 자부심이나 긍정적인 면만 보는 것이 문제가 없더라도 대권까지 노리는 거물 정치인으로서 아버지의 잘못을 보려하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07/01/31 20:31
수정 아이콘
갑자기 든 생각인데 저 시대를, 박정희를 그리워하는 인간들한테는 저 실명 공개의 의미가 조금 다르지 않을까요 :)
실명공개된 전,현직 판사들에게 유신체제의 유지에 공헌해주셨다는 의미로 감사패라도 전달되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지금의 사회 분위기로는 충분히 가능한 일 같은데 말이죠.
맛있는빵
07/01/31 22:17
수정 아이콘
재미있군요. 하긴 몇십년간 반공 파시즘에 빌붙어서 잘먹고 잘살아온 종자들입장에서 보면 실명공개가 꽤 아프긴 아픈 모양입니다. 꼭 친일파가 반민특위를 무력화 시키려고 발버둥 치는거 비슷하네요 허허
07/01/31 22:4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이번 실명공개 시점이 참으로 어정쩡한 것이, 결국 박근혜 후보를 겨냥하는 것이라고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박근혜 후보 본인이 대놓고 그렇게 말하니 상당히 짜증나더군요. 본인이 어떻게 처신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또 정치적으로 옳은지 전혀 판단을 못하는 것 같던데, 비도덕적인데다 판단력도 흐리다면.. 도저히 뽑아줄 여지가 없는 듯하네요.
쥐스킨트빠
07/02/01 09:44
수정 아이콘
실명공개에 대해서 대부분의 해당 법관들이 묵묵부답에 안타깝다는식의 대응을 하는걸 보면서 참 우리나라 윗분들은 부끄럼움이라는 말을 너무 모른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번처럼 당연한 결정에도 논란이 생겨나는걸 보면 우리나라는 아직도 할일이 많다는 생각도 드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2 [일반] [세상읽기]_20070226 [11] [NC]...TesTER3829 07/02/26 3829 0
648 [일반] [세상읽기]_20070223 [8] [NC]...TesTER3672 07/02/23 3672 0
636 [일반] [세상읽기]_20070222 [9] [NC]...TesTER3387 07/02/22 3387 0
622 [일반] [세상읽기]_20070221 [10] [NC]...TesTER3797 07/02/21 3797 0
605 [일반] [세상읽기]_20070220 [4] [NC]...TesTER4158 07/02/20 4158 0
580 [일반] [세상읽기]_20070216 [7] [NC]...TesTER4057 07/02/16 4057 0
571 [일반] [세상읽기]_20070215 [10] [NC]...TesTER4679 07/02/15 4679 0
554 [일반] [세상읽기]_20070214 [5] [NC]...TesTER3875 07/02/14 3875 0
538 [일반] [세상읽기]_20070212 [5] [NC]...TesTER3881 07/02/12 3881 0
510 [일반] [세상읽기]_20070209 [3] [NC]...TesTER3821 07/02/09 3821 0
485 [일반] [세상읽기]_20070208 [15] [NC]...TesTER4088 07/02/08 4088 0
479 [일반] 어느 cctv에 잡힌 정말 화나는 운전자의 모습 [61] [NC]...TesTER7999 07/02/07 7999 0
475 [일반] [세상읽기]_20070207 [12] [NC]...TesTER3942 07/02/07 3942 0
461 [일반] [세상읽기]_20070206 [10] [NC]...TesTER4207 07/02/06 4207 0
455 [일반] [세상읽기]_20070205 [6] [NC]...TesTER4356 07/02/05 4356 0
424 [일반] [세상읽기]_20070202 [7] [NC]...TesTER3904 07/02/02 3904 0
403 [일반] [세상읽기]_20070201 [15] [NC]...TesTER3963 07/02/01 3963 0
395 [일반] [세상읽기]_20070131 [22] [NC]...TesTER4220 07/01/31 4220 0
376 [일반] [세상읽기]_20070130 [3] [NC]...TesTER4057 07/01/30 4057 0
363 [일반] [세상읽기]_20070129 [8] [NC]...TesTER4349 07/01/29 4349 0
327 [일반] [세상읽기]_20070126 [9] [NC]...TesTER4443 07/01/26 4443 0
312 [일반] 딸 아이를 100원에 팝니다 [11] [NC]...TesTER6501 07/01/25 6501 0
306 [일반] [세상읽기]_20070125 [5] [NC]...TesTER4785 07/01/25 478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