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7/12/20 10:31:54
Name [NC]...TesTER
Subject [일반] [세상읽기]2007_1220
[테스터의 세상읽기]2007_1220

이 세상엔 수 많은 일들이 발생합니다. 또한 수 많은 정보도 생겨나고 소멸되죠. 우리 앞에는 너무나 많은 일과 정보들이 있어, 그것을 모두 수용하기가 힘듭니다. 그래도 가끔 한번 정도는 생각하고 싶은 일들, 같이 이야기 해보고 싶습니다. 아주 편하게... 이 세상읽기는 정답이 없습니다. 또한 누구의 말도 맞을 수도, 틀릴 수도 있습니다. 다만 바쁘시더라도 한번 쯤은 생각해 볼 만하다는 것. 이것으로 족합니다.


☞ 운영진이 올린 대선 관련 글 금지와 관련해 오늘자 세상읽기 소재가 어울리지 않는다면 해당 내용을 삭제하겠습니다.



1. 최저 투표율, 최다표차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제17대 대통령으로 어제 당선되었습니다.

10년 만에 정권교체가 다시 이루어졌고, 민주와 진보세력에 대한 국민의 실망은 압도적인 지지율과 최저 투표율로서 보수와 실용주의 노선의 이명박 후보를 대통령으로 뽑았고 다시 한나라당은 재집권하게 되었습니다.

총 1149만 표를 득표해, 2위 정동영 후보에 531만여 표를 앞서, 1952년 2대 때 이승만 대통령과 조봉암 후보의 444만1265표 차이 기록을 갈아 치웠습니다.

또한 이번 대선은 1997년 15대 대선 투표율 80.7%, 2002년 16대 대선 70.8%보다 7.9% 하락한 역대 대선 최저 투표율인 62.9%의 저조한 투표율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앞으로 새로운 대통령의 경제 정책과 후보 당시 내세웠던 공약들을 잘 실현하는지 우리는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이번 대선을 통해 생각나는 것들을 정리해 보면,

’이명박 특검’ 진행 상황과 그 영향
내년 4월 총선의 향후 전망
저조한 투표율이 시사하는 점
2위와의 큰 득표 차와 서울, 경기 지역에서의 이명박 후보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율이 의미하는 점
역대 대선 당시 서울 강남 지역의 저조한 투표율과는 달리 이번 대선에서 보인 높은 투표율이 상징하는 의미
민주노동당, 민주당 몰락의 의미와 향후 총선에서의 영향
이회창 후보의 향후 행보
창조한국당과 문국현 후보의 향후 행보와 지지율의 의미
지역감정의 문제
현 정권에 대한 실망에 대한 반대급부의 문제


2. ‘기권’.. 왜 하는가?

이번 대선의 낮은 투표율은 국민의 정치에 대한 관심의 척도가 되기 충분할 것이다. 어떤 이는 기권도 하나의 ‘의사 표현’이라고는 말하지만 이는 궤변으로 들린다. 기권이 많다는 것은 그 결과에 대한 왜곡이 충분히 있을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사람들은 왜 기권을 하는가?

경제학적인 관점으로 보면 투표를 해도 그 ‘혜택’이 자신에게 돌아오지 않을 것으로 확신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은 기권을 한다. 일종의 ‘무시’로 의미 되는 ‘기권’은 차라리 투표할 시간조차 아깝고, 또는 ‘기권’으로서 현 정치 환경에 대해 ‘항의’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며, 투표 자체에 대해 자신에게 이익과 혜택을 주지 않기에 ‘기권’은 발생하는 것이다.(물론 생계 때문에 못하는 기권하는 사람, 뽑을 사람이 없어서… 등의 많은 이유는 존재한다)

‘기권’ 세력이 소수에 불과하다면 이는 사실 의미가 없어 보인다. 다만 그 세력이 집결되어 또 하나의 사회단체, 이익단체 등과 연계되어 민주선거를 통한 대통령(또는 국회의원)과 정치환경을 위협한다면 사회는 분명히 혼란에 빠지고 ‘민주정치’라는 큰 간판에 못을 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기권’은 ‘민주정치 왜곡’의 주범이 되는 것이다.



3. 오늘의 솨진

”우울한 목요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2/20 10:35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좋은 글 읽고 갑니다.... 그런데 링크가 깨지네요 ^^;;
오소리감투
07/12/20 11:00
수정 아이콘
1.특검과 총선 여러모로 2008년도 다이나믹 코리아입니다~
그런데 민노당은 몰락이라고까지 말할 순 없지 않을까요?
3%면 퇴보하긴 했어도 0.7% 의 민주당 정도로 와해 분위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
일단 권영길후보의 3수가 정말 에러이긴 했죠...
태엽시계불태
07/12/20 11:03
수정 아이콘
이회창후보 득표율이 20대 30대에서 높더군요. 오히려 장년층에서는 낮았던게 정말 신기했습니다.
07/12/20 11:37
수정 아이콘
대선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셨군요~ 오늘도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쪽빛하늘
07/12/20 11:52
수정 아이콘
정말 우울한 목요일이네요...
여자예비역
07/12/20 12:47
수정 아이콘
우울합니다.. 개블리분들과 이야기했던 미국행을 결행할때가 왔나봐요..ㅠㅠ
07/12/20 13:57
수정 아이콘
추워서 귀찮아서 안간 사람들도 좀 있을듯 -_-;;
율리우스 카이
07/12/20 15:20
수정 아이콘
제주위에도 이회창 많았습니다. 의외가 아니라, 20~30대 인터넷의 세례를 받은 20대들은 MB의 대안으로 DY보다는 HC가 더 괜찮아 보엿다고 생각합니다. 쩝.
강가딘
07/12/20 22:09
수정 아이콘
1, 제가 걱정하느 것은 효율과 경제라는 점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뭐 지금도 그렇게 되가고 있긴 하지만 복지와 교육에까지 경제논리를 더욱 심하게 들이대지 않을까 하는 것입나다.
솔직히 교육과 복지는 효율과 경제논리로는 모든 사람들에게 해택이 돌아가지 않거든요.
아울러 대운하도 제고해 주시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986 [일반] [세상읽기]2008_0111 [20] [NC]...TesTER3855 08/01/11 3855 0
3972 [일반] [세상읽기]2008_0110 [11] [NC]...TesTER3505 08/01/10 3505 0
3964 [일반] [세상읽기]2008_0109 [10] [NC]...TesTER3959 08/01/09 3959 1
3950 [일반] [세상읽기]2008_0108 [25] [NC]...TesTER3898 08/01/08 3898 1
3937 [일반] [세상읽기]2008_0107 [10] [NC]...TesTER3786 08/01/07 3786 1
3896 [일반] [세상읽기]2008_0104 [29] [NC]...TesTER4063 08/01/04 4063 0
3884 [일반] [세상읽기]2008_0103 [12] [NC]...TesTER3975 08/01/03 3975 0
3871 [일반] [세상읽기]2008_0102 [12] [NC]...TesTER3896 08/01/02 3896 0
3836 [일반] [세상읽기]2007_1231(마무리) [42] [NC]...TesTER7206 07/12/31 7206 7
3803 [일반] [세상읽기]2007_1228 [9] [NC]...TesTER2897 07/12/28 2897 0
3794 [일반] [세상읽기]2007_1227 [11] [NC]...TesTER3704 07/12/27 3704 0
3778 [일반] [세상읽기]2007_1226 [5] [NC]...TesTER3508 07/12/26 3508 0
3753 [일반] [세상읽기]2007_1224 [13] [NC]...TesTER3072 07/12/24 3072 0
3716 [일반] [세상읽기]2007_1221 [10] [NC]...TesTER3801 07/12/21 3801 0
3704 [일반] [세상읽기]2007_1220 [9] [NC]...TesTER3505 07/12/20 3505 0
3666 [일반] [세상읽기]2007_1218 [9] [NC]...TesTER3480 07/12/18 3480 0
3650 [일반] [세상읽기]2007_1217 [11] [NC]...TesTER3458 07/12/17 3458 0
3602 [일반] [세상읽기]2007_1214 [9] [NC]...TesTER3492 07/12/14 3492 0
3581 [일반] [세상읽기]2007_1213 [9] [NC]...TesTER2993 07/12/13 2993 0
3570 [일반] [세상읽기]2007_1212 [14] [NC]...TesTER3620 07/12/12 3620 0
3556 [일반] [세상읽기]2007_1211 [12] [NC]...TesTER3849 07/12/11 3849 0
3542 [일반] [세상읽기]2007_1210 [17] [NC]...TesTER3411 07/12/10 3411 0
3506 [일반] [세상읽기]2007_1207 [15] [NC]...TesTER3681 07/12/07 368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