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7/11/21 09:36:48
Name [NC]...TesTER
Subject [일반] [세상읽기]2007_1121
[테스터의 세상읽기]2007_1121

이 세상엔 수 많은 일들이 발생합니다. 또한 수 많은 정보도 생겨나고 소멸되죠. 우리 앞에는 너무나 많은 일과 정보들이 있어, 그것을 모두 수용하기가 힘듭니다. 그래도 가끔 한번 정도는 생각하고 싶은 일들, 같이 이야기 해보고 싶습니다. 아주 편하게... 이 세상읽기는 정답이 없습니다. 또한 누구의 말도 맞을 수도, 틀릴 수도 있습니다. 다만 바쁘시더라도 한번 쯤은 생각해 볼 만하다는 것. 이것으로 족합니다.






1. 이인제, 문국현 ‘단일화 NO’

2007 대선에 빅3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중에 범여권 단일화의 핵심 대상인 이인제 민주당 대선후보와 문국현 창조한국당 후보가 대통합민주신당의 정동영 후보와의 단일화를 거부하였습니다.

이인제 후보는 단일화 협상 중단과 독자 출마 강행을 선언했고, 문국현 후보는 정동영 후부의 단일화 제안을 사실상 거부하고 정 후보의 사퇴를 요구했습니다.

이에 따라 극적인 반전이 없는 한 후보 등록(25,26일)이전 범여권 3개 정당의 후보 단일화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의 통합은 규정 사실화 되었지만 쟁점 사항들에 대해 서로 합의를 이루지 못해 실패의 모습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통합에 대한 여러 가지 설들이 나돌고 있는데요, ‘보이지 않는 손’이 존재한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서로 이익을 위해 양보와 타협이 없는 논쟁만이 있음을 쉽게 예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통합민주신당 내에 다양한 계파들이 존재하여 쉽게 내부 통합도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문제일 것입니다.

사실 반 한나라당 세력들에게 범여권 단일화는 큰 기대감의 대상이었지만, 지금 이 시점에서는  그저 드라마틱한 반전이 있을지를 기대해야 할 것 같습니다.


2. 집에서 술 담그기

요즘은 참살이 시대라고 해서 건강에 관심을 많이 갖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취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많은 대상을 찾는데요, 혹시 술을 좋아하신다면 집에서 술 담그기를 한번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자신이 술을 못하더라도 직접 담가 부모님이나 가까운 친인척, 친구, 지인들에게 선물하는 것도 그리 나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직장인들에게는 퇴근 후 잠깐만 짬을 내도 술 담그는데 큰 지장을 주지는 않습니다. 요즘 이렇게 집에서 술을 담그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고 하는데요, 술 담그기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술을 빚는 건 일종의 음식을 만드는 것과 비슷한 이치인데요, 만드는 과정에 정성이 담겨야 그 맛이 제대로 낼 수 있는 이유에서 음식 만들기와 같은 이치인 것 같습니다. 또한 술을 만들어 직접 마시면 다양한 술 맛을 느낄 수 있어, 술집에서 파는 비슷한 맛의 술들과는 그 차원이 다르다고 합니다.

술 만들기를 즐기는 사람들은 보통 1년 정도 경력이면 파는 술보다 더 맛있게 빚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요즘에는 웹 사이트에 많은 정보가 있어 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몇 가지 팁을 정리해 보면,

-막걸리만 제대로 만들면 대부분 전통주는 응용해서 만들 수 있다. 막걸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위에 맑게 떠있는 액체를 뜨면 이것이 청주, 가라앉은 밥풀을 체를 이용해 걸러내면 막걸리, 막걸리를 증류하면 소주, 소주에 과실을 넣은면 과실주가 된다.

-요즘엔 탱자, 모과, 귤, 유자, 석류 등의 과실주가 제격이다.

-과일주는 과일 1kg에 소주 1.8L를 부어 잘 밀봉한 뒤 직사광선이 비치지 않는 서늘한 곳에 3개월 이상 보관해야 하고, 모과는 단단해서 6개월 이상 숙성시켜야 한다.

-술을 담그는 통은 전용 플라스틱 술통을 구입하면 된다.

-누룩과 찐쌀을 담는 통을 충분히 살균하지 않으면 제대로 술맛이 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에틸알코올을 사용해 통을 소독한다. 또 술을 담그면 탄산가스가 발생하므로 완전히 밀봉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막걸리 만드는 순서
① 찜통에 광목천을 두르고 쌀 2kg을 30분~1시간 찐 후 식혀 고두밥을 만든다
② 누룩과 술을 담글 수 있는 통을 준비하고, 누룩은 대형마트나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할 수 있다.
③ 쌀 양의 10%인 200g의 누룩을 잘게 부순 다음 고두밥과 함께 항아리(발효통)에 넣고 쌀 양의 150%인 3L 물을 붓는다. 항아리 대신 플라스틱 통을 사용해도 된다.
④ 5~7일 발효시키면 막걸리가 만들어지고 2, 3주 침전시킨 후 윗부분만 뜨면 청주가 된다.
⑤ 약간 단맛을 원하면 쌀 대신 찹쌀을 이용해도 좋다. 집에서 만든 막걸리의 도수는 16도.

-관련 인터넷 카페
① 전통주 만들기 : café.daum.net/Homebrewing
② 와인 만들기 : café.daum.net/winemania
③ 맥주 만들기 : café.daum.net/microbrewery
④ 약차, 약술 만들기 : café.daum.net/tedr
⑤ 술 만드는 사람들 : café.naver.com/homebrewing

3. 뻘소리

올드의 추억

11시 정도,,,잠을 청하려는데 갑자기 핸펀이 울린다.

“웬일이냐?”

“한 잔 하자”

귀찮다는 듯 씩씩거리며 그래도 간만에 나와 가장 친하다고 생각하는 친구 놈의 호출인데 난 거절할 수 없었다. 10분을 걸어 동네 술집에 그놈은 와있었다.

간만에 보는 지라 약간 반가운 기색으로 그놈은 히죽거린다.

“모 먹을래?”

“아무거나 시켜”

난 앉자마자 담배 한대를 물고 그 놈이 따라주는 잔을 개 눈 감추듯 들이켰다. 싸한 느낌이 식도를 타고 입과 콧속을 빠르게 통과하며 뒤통수를 한대 내리친다.

“웬일이냐? 니가 주중에 한잔하자고 하고?”

“그러게 갑자기 한 잔 땡기네. 하하 오늘 MSL 피시방 예선했잖냐?”

역시나 그놈은 그걸 말하고 싶었나 보다.

SKT 광팬, 박서의 추종자 그러면서 이동통신은 KTF를 쓰는 그 놈.. 이 바닥에 초창기 때부터 모든 일들을 다 아는척하고 지금은 약간 애정이 식은 척하는 그 놈..

“야? 이번 예선 보니 역시나 올드게이머들 다 떨어졌더군. 왜 그들은 안 되는걸까? 그리고 니가 좋아하는 그 선순 1차전에서 떨어졌던데?”

그 놈은 연신 입을 놀리며 안주를 먹어댄다. 입술 주위는 벌건 양념에 묻어 더 추잡스럽게 보였다.

“…………..뭐 뻔하지. 나이 들어 손도 느리고, 예전 스타일 버리기도 어렵고…다 알면서 왜 묻지?”

“음….나도 그렇게 생각하는데, 그게 다는 아닌 것 같다. 박서를 제외하고 어느 하나 부활을 못 하고 있어. 물론 젤로스가 깜짝 부활을 보였지만, 말 그대로 깜짝 쇼로 끝날 듯 하고,,, 도대체 왜 못하는 걸까?”

“일단 손이 느려지고, 옛날 스타일이 인이 배겨 요즘 스타일을 못 따라가는 거겠지. 바꾸려고 해도 안 바뀌고, 그리고 생각도 많아지지. 은퇴 후 뭐 먹고 살까..이런 이유로 집중력 떨어지고 연습 잘 안 되고, 그러다 몇 번 지고 나면 자신감도 잃고, 이런 게 악순환 되는 건 아닐까?”

“글쎄…충분한 연습을 그들은 하는 걸까? 난 회의적인데? 난 죽어라 연습 안 하는 것 같아. 연봉 계약 크게 해 놓고 돈도 생기고,, 과연 헝그리 정신이 생겨날까?”

“너무 냉소적으로 이야기 하는 군. 니가 좋아하는 박서는 그나마 좀 한다고 그따위로 말하지마. 최소한 올드들도 죽어라 연습한다고 본다. 다만 아까 말한 이유로 잘 안되는 것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아니야, 문제는 너 같이 생각하는 사람들이 이 판의 팬들이 대부분 갖고 있다는 것이지. 내가 유심히 보고 있던 예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팀 이적한 선수도 이번 예선에서 역시나 떨어졌더군. 물론 경기 결과도 중요하지만 내용을 봐야 하는데..일단 떨어졌다는 거야. 난 그 사례가 왜 올드들이 부활 못하는지를 확실하게 인식해 줄 수 있는 단초라 생각해”

“고만하지? 니 주둥이에서 무슨 말 나올지 모르겠다”

“하하. 언젠가 그도 피시방 예선 통과하는 날이 오겠지?

그 놈의 입은 그날따라 무지하게 벌겋게 익고 있었다.


4. 오늘의 솨진

”한 때는….”

































































File Hosted by playnow.co.k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信主NISSI
07/11/21 09:46
수정 아이콘
전 올드들이 부활하지 못하는 이유가 연습이 적어서라고 생각합니다. 정확하게는 요즘 신인들이 너무많이 연습해서 라고 생각해요. --; 올드들이 연습을 적게한다기보단, 전체적으로 지나치게 많은 연습량을 보이고 있다는 느낌? 할거 다하면서 연습하면 절대 못 좇아가고, 그렇다고 올드들에게 할거를 하지 말라라고 할 수 없는 시기가 된 그런 느낌입니다.(그들도 20대중반을 넘어섰으니까요.)

그리고 또한가지를 덧붙이자면, 맵 컨셉의 변화가 이유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안정적인 자원량은 빠른 경기진행과 다양한 경기양상및 전략, 좋은 밸런스를 보여주지만, 특징있는 경기들은 못 잡아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진+멀티의 자원량을 과감히 줄인 맵이 나오지 않는다면, 올드의 부활도 없다고 생각해요... 6개의 맵을 쓰면서, 여러가지 컨셉을 갖고 있으면서, 그러면서, 본진+앞마당의 자원량은 비슷비슷한게 현실입니다.
07/11/21 09:49
수정 아이콘
올드들이 힘을 좀 냈으면 하네요 홍진호 박정석 조용호 김동수 변은종등 올드들이 거의 다 떨어졌더군요...
성야무인
07/11/21 10:04
수정 아이콘
올드들이 힘을 못내는 이유가 몰까요? 머리는 40대 이후에 뇌세포가 감소한다고 하고, (이건 아직 학자들 사이에 논란이 있긴합니다.) 운동성은 잘만 하면 운동선수들도 적어도 30대 초반까지는 유지하는데, 관리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도 되네요. (사생활 측면이 아닌) 많은 1세대 혹은 2세대 프로게임머들이 어릴적부터 체력관리와 영양관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게임만을 파는 불규칙적인 생활을 한건 틀림없다고 보여집니다. 이런상황에서 20대중반에 체력이 급속하게 떨어져도 이상하지 않을것 같습니다. 信主NISSI님이 말씀하신것 같이 대규모 멀티테스킹 능력은 운동성이 떨어지지 않았을때 맞붙어도 괜찮지만, 올드들이 머리는 아는데 손이 안따라가는 거 같습니다. 이제라도, 프로게임머가 되려는 사람에 대한 철저하게 되지 않는다면, (영양사의 의한 영양및 운동 트레이너의 주기적인 중요한 체력관리와 규칙적인 생활) 아마도 수많은 프로게임머들이 20대중반쯤에 불규칙한 생활로 인하여 사장되 버릴것입니다. 하긴 그런 마인드를 협회차원에서 생각하기란 쉽지 않겠죠.. 이용만 하고 버릴려는 속셈이 큰 윗대가리이니까요~~
여자예비역
07/11/21 10:22
수정 아이콘
일찍부터 돈맛, 사회맛을 봐서.. 자기관리가 쉽진 않았을것 같아요... (이러는 저는 홍팬..ㅜㅜ)

오늘의 사진이... 무리뉴 과거의 영광인가요..?
김밥천국라면
07/11/21 11:50
수정 아이콘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밀가리
07/11/21 14:53
수정 아이콘
제가 보기에도 연습부족아닐까요. 나이나이 하지만 그래도 20대 중반대인데 말이죠. 나이들어서 반응속도가 떨어진다고 쳐도
KTF에 조용호선수나 이병민선수 그리고 SKT의 2명의 토스 등을 보면 습을 열심히하나 실력이 떨어진다고 2군이나 온라인연습생으로 떨어뜨릴 것 같지는 않습니다. 연습이나 생활면에서 분명 문제가 있기 때문에 감독이나 프런트들이 자극을 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면에서 공군에서 연습시간도 없는데 5:5인 임선수는 대단하다고 봅니다. (FM으로 치면 멘탈능력을 모두 20줘야 될 것 같습니다.-_-)

물론 100% 제 가정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490 [일반] [세상읽기]2007_1206 [20] [NC]...TesTER3868 07/12/06 3868 0
3480 [일반] [세상읽기]2007_1205 [19] [NC]...TesTER3536 07/12/05 3536 0
3469 [일반] [세상읽기]2007_1204 [11] [NC]...TesTER3029 07/12/04 3029 0
3457 [일반] [세상읽기]2007_1203 [14] [NC]...TesTER3268 07/12/03 3268 0
3446 [일반] [세상읽기]2007_1130 [12] [NC]...TesTER3628 07/11/30 3628 0
3435 [일반] [세상읽기]2007_1129 [10] [NC]...TesTER2958 07/11/29 2958 0
3424 [일반] [세상읽기]2007_1128 [14] [NC]...TesTER3326 07/11/28 3326 1
3416 [일반] [세상읽기]2007_1127 [17] [NC]...TesTER3503 07/11/27 3503 0
3405 [일반] [세상읽기]2007_1126 [19] [NC]...TesTER3197 07/11/26 3197 0
3372 [일반]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이 얼마나 진실일까요? [27] [NC]...TesTER7537 07/11/23 7537 7
3370 [일반] [세상읽기]2007_1123 [12] [NC]...TesTER3257 07/11/23 3257 0
3356 [일반] [세상읽기]2007_1122 [8] [NC]...TesTER3138 07/11/22 3138 0
3343 [일반] [세상읽기]2007_1121 [6] [NC]...TesTER2954 07/11/21 2954 0
3329 [일반] [세상읽기]2007_1120 [11] [NC]...TesTER3082 07/11/20 3082 1
3278 [일반] [세상읽기]2007_1116 [10] [NC]...TesTER3221 07/11/16 3221 0
3262 [일반] [세상읽기]2007_1115 [10] [NC]...TesTER2960 07/11/15 2960 0
3252 [일반] [세상읽기]2007_1114 [12] [NC]...TesTER3441 07/11/14 3441 0
3242 [일반] [세상읽기]2007_1113 [11] [NC]...TesTER3377 07/11/13 3377 0
3235 [일반] [세상읽기]2007_1112 [24] [NC]...TesTER3822 07/11/12 3822 0
3198 [일반] [세상읽기]2007_1109 [33] [NC]...TesTER3419 07/11/09 3419 0
3184 [일반] [세상읽기]2007_1108 [6] [NC]...TesTER3242 07/11/08 3242 0
3177 [일반] [세상읽기]2007_1107 [24] [NC]...TesTER3872 07/11/07 3872 0
3171 [일반] [세상읽기]2007_1106 [10] [NC]...TesTER3013 07/11/06 301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