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11/02 02:27:39
Name 오티엘라
Subject [일반] 학교에 온 김어준 총수님, 그가 들려준 이야기.




11월 1일, 세종대학교에 김어준 총수님이 오셨습니다.
최근에 나는꼼수다 팬이 된 저는 일부러 시간을 맞춰 강의실로 갔지만...
사람 엄청 많더군요.
나꼼수 팬도 있을테지만, 주변에서 들리는 목소리들을 들어보니 단지 김어준이 누구야? 라는 생각에서 온 사람도 있고,
강의실 벽에 붙어있는 현수막에 '나꼼수의 독설가 김어준' 이라고 적힌 것을 보고 독설가래! 하며 들어온 사람도 있었습니다.

강연 주제는 20대들에게 하고싶은 말... 이었습니다.
뭐 나꼼수에 나오는대로 적절히 욕도 섞어 주시면서 ^^; 처음에는 자신의 어린 시절 얘기를 해주시고,
고등학생, 20대 얘기도 해주시면서... 한마디로 자신에 대해 모든 것을 다 말씀해주셨습니다.
한 시간 동안 들려주신 얘기의 결론은 '닥치고 니 맘대로 살아'. 심플했습니다.
강연 끝내시면서 마지막에

"우리 가카 얘기라면 열두시간도 더 할수 있는데... 주제를 20대들을 위해 하고싶은 말? 뭐 그런거로 정해놔가지고. 여기서 줄여야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가카 얘기도 듣고 싶었는데! 아쉬웠어요.

물론 정치 관련 얘기는 강연이 끝나고 마련된 질문시간에 들을 수 있었습니다.
전부 다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서도... 최근 자게에서 본 글과 연관되는 질문도 있어서 한번 적어 봅니다.


-

Q1 ) 진중권 씨 트위터에 나꼼수에 대해 말한 것이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1 ) 저는 트위터도 하지 않고 소셜 뭐... 하나도 안합니다만, 비판을 한다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Q2 ) 저희 학교가 사학비리가 심합니다. 사학비리에 대해 다룰 생각은 없으신가요?
A2 ) 사학비리... 덩치가 엄청 큰 놈이죠. 언젠가 다루기는 할 겁니다. 다다음주나... 그 다음주? 세종대 얘기 빼놓지 않구요. 이번주는 FTA에 대해 합니다. 떨거지들의 관훈토론회. 기대해주세요.


Q3 ) 나꼼수를 진행하면서 부풀려지거나, 거짓말을 한 건 없으신가요?
A3 ) 없습니다. 그 1억 피부과 말이죠... 나경원 전 후보의. 그거 녹취 다 있습니다. 담당자와, 그곳을 찾는 손님들까지.
저희는 근거 없이 말을 하진 않아요. 다 갖고 있는데도, 그 사람들은 그런적 없다, 아니라고 해요.


Q4 ) 주말 내내 이슈였던 눈찢어진아이, 대체 누군가요?
A4 ) 그건 지금 여기서 말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많은 분들이 오해하시는데, 에리카 김과 눈찢어진아이는 연관시키면 안됩니다.


Q5 ) 가카께서 퇴임하시는 날, 나꼼수가 끝난다고 하셨는데 더 하실 생각은 없으신가요?
A5 ) 없습니다. 제 인생의 1년 6개월 (이부분은 정확히 기억나지 않습니다. 제가 듣기로는 이랬습니다) 을 딱 이 나꼼수에 투자하기로 한 것이고, 처음 시작할 때부터 그런 생각을 한 것이기 때문에... 더 할 생각은 없습니다.



-

여러모로 유쾌하고 재미있는 말이었습니다. 조금 뻔-한가? 싶은 말들도 있었지만. 좋았어요.
앞으로도 저는 나꼼수를 열심히 들으려고 합니다. 특히 머지 않아 나올 사학비리 편이요. 기대합니다.
김어준 총수님, 저희 학교를 찾아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p.s


사인받았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개미먹이
11/11/02 04:42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m]
11/11/02 07:06
수정 아이콘
같은 학교분을 만나니 반갑네요. ^^
학생회관 그 넓은 공연장 냅두고 왜 삐그덕소리나는 의자들이 즐비한 충무관에서 했는지 모르겠지만 ㅠ
사람이 너무 많아 가지 못했습니다. 주위에 친구들이 갔다와선' 정말 재밌었다고 하더군요.

지금까지 어떤 사람이라는 것만 알고 자세한건 몰랐는데, 우리학교의 비리 얘기를 한다니 그 편은 꼭 챙겨들어봐야겠군요.
클로로 루실루플
11/11/02 07:18
수정 아이콘
쫄지마라는 문구가 괜시리 울컥하게 만드네요. 한번 강연듣고 싶은데...
뜨거운눈물
11/11/02 08:52
수정 아이콘
글을 덤덤히 읽어가다가 싸인에 쫄지마에서 빵터졌네요

원래대로라면 쫄지마 이후에 하나의 거친 추임세가 나와야하는데
11/11/02 09:22
수정 아이콘
역시 언변 하나는 끝내주네요. 토크 '콘서트'가 가능한 인물이니 정말 재미있었을거 같습니다.
지난 주에 도올선생 사건이 없었다면 FTA가 주제였겠군요. 어제 밤에 꼼수녹화한걸로 알고 있는데 기대해 보겠습니다.
하늘연데보라
11/11/02 10:06
수정 아이콘
FTA편이라니 기대되데요
일반인이 막연히 알고 있는 부분과 상당히 괴리가 있는 것 같던데 정리가 좀 될수 있겠네요
사령이
11/11/02 11:17
수정 아이콘
오옷!! 좋은 글 잘봤습니다.
난동수
11/11/02 14:40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재밌는 시간이었겠네요.

그런데,

개인적으로 존대/높임말이 상당히 어색하네요.
제목에 총수'님'이라고 해서... "오잉?"하며 첨부터 쬐끔 낯설었는데, 본문마저도 크헉!
마치 교주님을 소개하는 듯 느껴지네요.
피로링
11/11/02 16:13
수정 아이콘
사장님 시장님 의원님 회장님 선생님 다 되는데

왜 총수님만 교주소개처럼 느껴지시나요;;

뭐 저는 총수자도 잘 안붙이긴 합니다만. 대통령님같이 님자를 안붙여도 되는 단어였던가? 잘 모르겠네요.
난동수
11/11/02 20:55
수정 아이콘
아래 개미먹이님과 함께... 제 뜻을 잘못 이해하시고, 뭔가 오해를 하신 거 같네요. 물론 님자는 그 모든 경우에 붙일 수 있어요(특히나 여기 PGR21에서 익명의 상대방에게 2인칭으로 호칭할 때는 물론이고). 하지만 보통 여기 자게에 자신과 직접 관련이 없는(예를 들어서 부모님/선생님 등등 몇몇을 제외한, 더불어서 덕망있는 종교인 등등 몇몇 직업군도 제외) 3인칭의 글을 올릴 때(리플 달 때도 마찬가지로), '님'자를 붙이는 경우는 흔치 않죠. 물론 높임/존대 어법으로 쓰지도 않고 말이죠. 간혹 그런 경우가 있긴 한데(대개 유머게시판에 흔한데), 그건 비꼬거나 혹은 그 반대로 존경/칭송의 의미를 뭔가 유머스럽게 만들기 위한 장치로 활용하는 경우죠.

잡설이 길었는데, 그냥 간단하게 제가 좋아하는 어느 한 분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학교에 온 유시민 의원님, 그가 들려준 이야기> 어제 학교에 유시민 의원님이 오셨습니다....."
보다는
"<학교에 온 유시민 의원, 그가 들려준 이야기> 어제 학교에 유시민 의원이 왔습니다(방문했습니다)......"
가 더 자게에 익숙하고, 일반적이지 않냐는 정도로 제 뜻을 받아주셨으면 해요. 따라서 전자가 약간 어색하다는 거.
흰코뿔소
11/11/02 15:07
수정 아이콘
'쫄지마'라는 얘기와 어느 정도 언행일치가 된다고 생각해 김어준을 꽤 높이치는 편입니다.
그리고 그런 김어준의 삶의 방식뒤에는 어머니가 계시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9062 [일반] 12월1일 김어준의 뉴스공장 도올 김용옥 선생 출연(+김어준의 생각,내부자둘) [25] 인사이더6123 16/11/30 6123 0
68983 [일반] 11월 28일 김어준의 생각 - 최순실 관련 재판은 역사의 관점에서(+양희은 '상록수') [14] 인사이더5800 16/11/28 5800 2
68918 [일반] 김어준의 파파이스 <박근혜 5촌 살인사건> [9] 스타듀밸리9511 16/11/26 9511 2
68906 [일반] 김어준총수가 오고 tbs 교통방송이 바뀐 것들 [13] 인사이더11997 16/11/25 11997 1
68084 [일반] 김어준의 파파이스에서 최순실의 거주지로 의심되는 곳이 특정되었습니다. [61] 어리버리17960 16/10/21 17960 16
62404 [일반] 김어준이 또 슬슬 카더라 시동거나요? [89] 삭제됨16829 15/12/06 16829 4
55987 [일반] 김어준 주진우 항소심 무죄 [30] 어강됴리7259 15/01/16 7259 4
50488 [일반] 김어준의 귀환 - 김어준의 KFC - [43] Rein_117655 14/03/16 7655 2
47263 [일반] 주진우 기자, 김어준씨 무죄 판결 [21] 애패는 엄마8423 13/10/24 8423 35
44244 [일반] [책 소개] 닥치고 정치 - 김어준의 명랑 시민 정치 교본 [63] DarkSide7624 13/06/03 7624 1
42965 [일반] <귀국 보고서> 주진우, 김어준 “우리가 도망갔다고?” [84] 어강됴리9645 13/04/01 9645 9
37394 [일반] 이번 <김어준의 뉴욕타임스>, 너무 불편하네요. [62] 난동수8430 12/05/25 8430 0
36632 [일반] 내 멋대로 평해본 진중권의 약점 vs 김어준의 약점 [66] 가라한5503 12/04/12 5503 1
36534 [일반] 김어준 씨의 키스발언 관련 생각해 본 대중의 정치적 이용.. [149] 캇카5810 12/04/08 5810 2
35099 [일반] 김어준 - “여성들 예민해하는 것 당연하고 이해하지만 사과는 안 한다" [143] 차사마7733 12/02/03 7733 2
33229 [일반] 나는 꼽사리다 전격 업로드! (+ 김어준의 뉴욕타임즈 추가) [22] Charles7167 11/11/19 7167 0
32767 [일반] 학교에 온 김어준 총수님, 그가 들려준 이야기. [14] 오티엘라8549 11/11/02 8549 1
32745 [일반] 뜨거운 가슴의 김어준, 차가운 머리의 진중권 [128] sungsik8384 11/11/01 8384 2
31484 [일반] [나꼼수]민변에서 여는 김어준 총수님 강연회에 가실 분? [4] 어려울때도4267 11/09/01 4267 0
29310 [일반] [일부스포가능성]나가수 PD가 김어준의 라디오에 나왔다고 합니다 [34] 궁상양7462 11/05/25 7462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