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7/08/23 09:52:05
Name [NC]...TesTER
Subject [일반] [세상읽기]2007_0823
[테스터의 세상읽기]2007_0823

이 세상엔 수 많은 일들이 발생합니다. 또한 수 많은 정보도 생겨나고 소멸되죠. 우리 앞에는 너무나 많은 일과 정보들이 있어, 그것을 모두 수용하기가 힘듭니다. 그래도 가끔 한번 정도는 생각하고 싶은 일들, 같이 이야기 해보고 싶습니다. 아주 편하게... 이 세상읽기는 정답이 없습니다. 또한 누구의 말도 맞을 수도, 틀릴 수도 있습니다. 다만 바쁘시더라도 한번 쯤은 생각해 볼 만하다는 것. 이것으로 족합니다.






1. 미국의 아이팟, 겉은 일본 속은 한국

올 4월 판매대수 1억 대를 돌파해 글로벌 대박 상품이 된 휴대용 디지털 음악재생기 아이팟(iPod)은 과연 어느 나라 제품일까요? 물론 미국 제품이라는 대답에 부정할 수는 없지만 그 속을 뜯어 내 보니 껍데기는 미국, 알맹이는 한국제나 일본제에 가깝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있었습니다.

요미우리 신문은 소니컴퓨터엔터테인먼트 전 최고기술책임자에게 아이팟 ‘나노’를 분해한 결과를 어제 소개했는데요, 아이팟 ‘나노’에 사용된 한일 기술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면

한국 : 음악 데이터를 축적하는 플래시 메모리 등 총 3개의 반도체는 모두 삼성 제품
일본 : 빛의 흐름을 조절해 화상의 명암을 만들어 내는 핵심 부품인 편광필름, 이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일본 회사 2곳에서만 갖고 있는 기술

요미우리 신문은 아이팟 ‘나노’의 30~40%는 거의 일본 기술이 들어간 점을 강조하면서,

“반석 위에 서 있는 것처럼 보이던 일본 부품산업도 속 편한 시대는 갔다”

라는 말도 잊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의 브랜드가 이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기분 좋은 일이지만,

소비자는 아이팟을 기억하지 그 안에 부품에 대해서는 그렇게 기억을 못할 것입니다.


2. 승용차 50대 중 한 대는 수입차

국내 승용차 등록 대수에서 처음으로 수입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2%를 돌파했다고 합니다. 22일 자동차공업협회 발표에 따르면, 7월 말 현재 전체 승용차 등록 대수는 1193만3829대, 이 중 수입 승용차는 23만8729대로 2.0%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올해 상반기 국내 5개 완성차 업체의 신규등록 차량 대수는 49만902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41만7415대)보다 약 20% 증가했고, 수입차 신규등록 차량 대수는 2만3452대로 작년 같은 기간(1만2019대)보다 95%나 늘어났습니다.

수입차 브랜드 중 7월까지 누적 신규등록 차량 대수는 혼다가 4136대로 1위, BMW가 4132대, 렉서스가 4111대로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요즘 도로를 나가보면 수입차가 심심치 않게 눈에 보입니다. 예전에는 강남이나 일부 소득층이 많이 사는 지역에서만 그 빈도가 높았지만 이제는 서울 전 지역에서도 자주 눈에 띄게 됩니다. 이러한 요인은 수입차의 가격 인하가 가장 크게 작용했고, 소비자의 선택 기준도 매우 까다로워졌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 같습니다.

어떤 자동차 전문가는 국내 자동차 시장에 수입차 비중이 5%를 차지하는 순간 국산, 수입차 모두 가격인하가 폭발적으로 일어 날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했습니다. 앞으로 국내시장에서  수입차와 국산차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 질 것이며, 소비자 잉여 또한 상승 할 것으로 기대 됩니다.

너무 오랫동안 국가의 수출중심 전략으로 인한 국내 자동차산업의 과 보호로 인해 국내 소비자는 제대로 된 제품선택과 혜택을 받지 못했습니다.

국내 자동차 제조사들은 더 이상 국내 소비자들을 ‘봉’으로 생각하지 못 할 것입니다.







3. 미친 영화이야기

”판타스틱 死”

휴가철 내내 바빴던 테스터씨는 그래도 자칭 영화광인데 휴가 기간 동안 영화 한편 못 본다면 지나친 자만이 아닐까라는 생각에 아무 생각 없이 한편의 영화를 봤다. 아무 생각 없이 영화를 선택한 그 순간부터 삑딱선을 탄 테스터씨, 그래도 아름다운 여배우가 나온다는 이유로 영화를 볼 사람은 아닌데, 어쨌든 테스터씨와 영화관으로 입장했다.

전편과 마찬가지로 돌연변이가 되어버린 4명의 수퍼 히어로들은 이번 상대는 그들보다 훨씬 뛰어난 능력의 상대를 만나지만 천재적인(?) 두뇌를 가진 리더에 의해 지구를 구해낸다. 전 편의 악당이 분명 죽은 줄 알았는데 갑자기 나타나 재 악역이 되지만 역시 바닷속으로 처박혀 사라진다.

천만 다행으로 러닝타임이 길지 않아 테스터씨의 눈치를 덜 살펴도 된 건 그나마 다행이였다. 영화관을 나와 늘 그렇듯 차를 한잔 하면서 테스터씨의 말을 들었다.

“내가 이 영화를 아무 생각 없이 택한 건 아니야. 사실은 ‘디워’와 비교 좀 해볼려고 본건데, 뭐 그 놈이 그 놈이구만. CG야 이 놈이 좀 더 매끄럽고 시원스럽지만, 내용은 뭐 그게 그거구만. 물론 이 놈은 네임벨류가 있는 배우가 좀 나오고 아름다운 여 주인공이 있다는게 장점이긴 하지만, 결론은 돈이 그걸 다 좌지우지 한다는 것이지.”

생각보다 오늘은 덜 까칠해 보이는 테스터씨의 말에 조금은 의아스럽게 느껴진다. 정말 그 여배우 때문에 저 정도인지…

마지막 말을 덧붙이는 테스터씨.

“이 영화 3편도 나올텐데, 원작이 워낙 유명한거니까 뭐 기대하든 말든 상관은 없지만 그래도 그 여배우는 또 나오겠지?”

역시 그 배우 때문에 이 영화를 본 테스터씨였다.


4. 오늘의 솨진

”제가 낙서 좀 했습니다”


















































File Hosted by playnow.co.k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녀메딕
07/08/23 10:16
수정 아이콘
제시카 '알바'에게 낚이셨군요^^
07/08/23 10:18
수정 아이콘
판타스틱4는 전작이 워낙에나 최악! 이었기 때문에 2는 제작자들이
좀 정신차리고 만들었다고 하는데 별반 다를 바는 없어보이는군요;;
07/08/23 10:2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저가형 외제차나, 유럽에서 많이 팔리는 환경차,소형자들도 많이 들어왔으면 좋겠어요. 저 외제차들 중 대부분이 대형차인거 생각하면 아직은 한계가 있는거 같네요. 아직은 외제차래봤자 에쿠스 안타고 벤츠나 렉서스 타는거니까요.
카이레스
07/08/23 10:53
수정 아이콘
혼다가 BMW보다 많군요. BMW가 1위일 줄 알았는데
카오루
07/08/23 11:44
수정 아이콘
저거설마 한사람이 하지는 않겠지..덜덜
쪽빛하늘
07/08/23 13:05
수정 아이콘
맨 위 건물은 예쁜데 다른 건물들은 정말 낙서를 한 느낌이랄까...
이렇게 느끼는건 제가 취향이 특이해서???
07/08/23 13:54
수정 아이콘
저렇게까지는 아니더라도, 건물들이 좀더 다채로왔으면 좋겠습니다. 숨막히는 빌딩숲은 이제 그만~!!
信主NISSI
07/08/23 15:47
수정 아이콘
그래도 안그래도 간판때문에 복잡한데, 벽면이 저리 지저분해 보이면... --;

유명 음악가의 공연도 시끄러운 지하철역에서는 소음일 뿐이고, 유명화가의 그림도 혼잡한 곳에서는 혼잡만 가중 시킬 뿐이죠... 여백을 주세요. 여백을.(차라리 덕지덕지 광고판을 붙이느니 벽에 광고를 그리는 것도... --;)
오소리감투
07/08/23 19:20
수정 아이콘
알바는 역시 몸매가 ....

1. 딱 떠오르는 단어는 일본의 '엄살'이랄까...
왠지 부자 몸조심 하는 것 같아요..
세계 부품 산업의 중추국이 일본인데요~
김밥천국라면
07/08/23 20:13
수정 아이콘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07/08/24 10:11
수정 아이콘
와 저 사진들 어떻게 한 걸까요 대단한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15 [일반] [세상읽기]2007_0917 [25] [NC]...TesTER3639 07/09/17 3639 0
2689 [일반] [세상읽기]2007_0914 [11] [NC]...TesTER3328 07/09/14 3328 0
2675 [일반] [세상읽기]2007_0913 [21] [NC]...TesTER3393 07/09/13 3393 0
2665 [일반] [세상읽기]2007_0912 [17] [NC]...TesTER3190 07/09/12 3190 0
2657 [일반] [세상읽기]2007_0911 [18] [NC]...TesTER3581 07/09/11 3581 0
2644 [일반] [세상읽기]2007_0910 [10] [NC]...TesTER3299 07/09/10 3299 0
2604 [일반] [세상읽기]2007_0906 [15] [NC]...TesTER3410 07/09/06 3410 0
2580 [일반] [세상읽기]2007_0905 [15] [NC]...TesTER2720 07/09/05 2720 0
2569 [일반] [세상읽기]2007_0904 [10] [NC]...TesTER3334 07/09/04 3334 0
2554 [일반] [세상읽기]2007_0903 [20] [NC]...TesTER3118 07/09/03 3118 0
2520 [일반] [세상읽기]2007_0831 [18] [NC]...TesTER3287 07/08/31 3287 0
2509 [일반] [세상읽기]2007_0830 [41] [NC]...TesTER3563 07/08/30 3563 0
2494 [일반] [세상읽기]2007_0829 [17] [NC]...TesTER3180 07/08/29 3180 0
2476 [일반] [세상읽기]2007_0828 [17] [NC]...TesTER3037 07/08/28 3037 0
2465 [일반] [세상읽기]2007_0827 [15] [NC]...TesTER3396 07/08/27 3396 0
2423 [일반] [세상읽기]2007_0824 [13] [NC]...TesTER3392 07/08/24 3392 0
2406 [일반] [세상읽기]2007_0823 [11] [NC]...TesTER2698 07/08/23 2698 0
2399 [일반] [세상읽기]2007_0822 [16] [NC]...TesTER3052 07/08/22 3052 0
2386 [일반] [세상읽기]2007_0821 [17] [NC]...TesTER3494 07/08/21 3494 0
2373 [일반] [세상읽기]2007_0820 [18] [NC]...TesTER3252 07/08/20 3252 0
2288 [일반] [세상읽기]2007_0810 [10] [NC]...TesTER3474 07/08/10 3474 0
2274 [일반] [세상읽기]2007_0809 [11] [NC]...TesTER3558 07/08/09 3558 0
2252 [일반] [세상읽기]2007_0808 [23] [NC]...TesTER3284 07/08/08 328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