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0/07/06 01:33:04
Name 마르키아르
Subject [일반] 옆동네 삼성 관련해 클리앙에서 답답한 일이 있었군요..
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2169550


간단히 요약하면..

삼성폰의 버그에 관한 글이 올라왔는데..

다수의 신고를 받고 글이 볼수 없도록 조취가 취해졌는데..

운영자님이 이상해서 확인해본 결과..

다수의 사람의 ip 주소가, 특정회사의 ip 주소라..

글을 다시 볼수 있도록 제한을 풀었다는 내용이었죠..




솔직히 제 주변에서 삼성과 관련해 알바하는 사람을 직접 본적이 있고..

알바가 아니더라도..

우리나라에 삼성과 관련된 직원만 20만명이 넘고.. 직원과 관련된 가족수만 해도 100만명쯤 된다는 이야기가 있죠..

삼성을 싫어하는 저라도.. 제가 삼성에 취업해 정년퇴직할때까지 일하게 된다면..

인터넷에서 굳이 삼성관련 옹호글을 쓰지는 않더라도, 비판하는 글 따위는 쓰지 않을꺼 같고요..

게다가 거의 방송, 신문은 삼성이 다 장악해서,  단순히 과대포장해주는 정도가 아니라..

온갖 거짓말까지 해가며 삼성 띄워주는건 뭐 흔한 일인거 같고요..

( 요즘은 대통령 한나라당 비판하는 기사보다, 삼성 비판하는 기사가 더 쓰기 어렵죠 )



조직적 알바 + 100만에 가까운 삼성관련된 사람들 + 완벽히 장악한 방송, 신문 (뭐 장악 당하지 않은 소수의 몇몇 매체가 있긴 합니다만...)

(검찰, 경찰이 삼성의 개인건 덤이죠.. )



따라서 요즘엔 솔직히 삼성 관련해서 나오는 기사나, 글들은 일단 색안경부터 끼고 보게 되는 경우가 많은거 같네요..




그 누구의 견제도 받지 않는 삼성...

예전에는 여론이 삼성을 견제할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적이 있었는데

그 여론마저도 완벽하게 삼성이 조절해나가는걸 보면..

삼성이란 기업의 그 끝이 어떻게 될까 참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그래프
10/07/06 01:45
수정 아이콘
삼성알바있는거 공공연연한 사실아닌가요? 몇군대 사이트를 돌아다니는데 걸린것도 몇번본지라.....

진짜 개버릇 남못주는듯
10/07/06 01:48
수정 아이콘
저 경우에는 알바가 아니라 그냥 삼성 직원들인 것으로 짐작되고 있죠 (이른바 정직원)
몽키D드래곤
10/07/06 01:58
수정 아이콘
흠 근데 나쁘다 사회적문제다 라고 문제시될건없는것같네요.

그냥 아 이런일도 있구나..
elecviva
10/07/06 02:21
수정 아이콘
특정 기업이 자사의 이익을 위해 공공연하게 조작적으로 소비자들의 정보를 은폐하려는 것이 사회적 문제가 아니라면 무엇이 문제가 될지 모르겠습니다. 이는 해당 기기를 쓰는 소비자의 알권리이기도 했습니다.
10/07/06 02:35
수정 아이콘
운영자는 삼성이란 소리는 한마디도 안했는데 글쓴이는 삼성 알바라고 단정짓는군요.
AggreSSive
10/07/06 02:52
수정 아이콘
차라리 회사 이름이 특정이라고 우기는게 낫겠네요. (주)특정
The_CyberSrar
10/07/06 02:55
수정 아이콘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초기화 버그 문제를 굉장히 비중있게 다루고 있는데 정작 언론에서는 한군데도 그와 관련된 기사가 없는걸
보면 새삼 삼성 언론장악이 심하긴 하구나하고 느낍니다.
아이폰 결함에 대해서는 쉴새없이 올려대더니 말입니다.
갤럭시s 구입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조속히 그리고 조용히 해결되길 바라지만(사용자수를 늘려야 사후지원이 빵빵하기때문에;;;)
대한민국 국민으로선 일개 기업의 힘이 너무 막강한게 불안하네요.
불한당
10/07/06 03:02
수정 아이콘
1 더하기 1이 2라는 건, 누구나 아는 자명한 사실이지만 이걸 수학적으로 증명하기란 쉽지 않죠.
하지만 사람들은 1 더하기 1이 2라는 사실을 경험을 통해 체득합니다.
마찬가지로 물증은 없을지라도, 그동안의 전례와 현재의 상황을 결합해서 보면 S모사가 아닌 다른 회사에서 했다고 말하는게 더 어려운 일 아닐까요?
10/07/06 03:50
수정 아이콘
옆동네 일 만큼은 아니지만 피지알에도 삼성제품 광고 유투브영상이 3회올라왔었죠. 근데 회원정보를 보니 게시물 작성 3회, 리플 0회. 담당업무가 바뀌셨는지 해당부서 제품이 안나왔는지 모르지만 요새는 안보이시네요. 뭐, 광고정도야 영상도 그럭저럭 볼 만 했으니 넘어가더라도 본문의 경우는 고객을 돈줄로만 보는건지..;
다만 애사심 때문인지, 본인이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애착 때문인지, 정말 회사내부에서 조직적인 것이었는지는 판단을 보류해야겠지요.
옹정^^
10/07/06 04:27
수정 아이콘
참.. 삼성.. 정말 무서울 정도의 기업이죠.. 태안앞바다 기름유출 사건이 일어났을때 하나의 일간지만을 제외한 모든 일간지에서 기사일면을 할애했음에도 불구하고(심지어 조선과 동아마저도), 단 하나의 일간지만 그렇지 않았죠. 물론 그 이후에도 책임을 추궁하는 기사 또한 존재치 아니했습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6&aid=0000034796&)
삼성의 비자금 문제와 관련해서도 축소보도하거나 침묵했죠. 이쯤되면, 거의 삼성이라는 기업의 기관지 수준입니다.
mbc의 민영화가 초래할 두려움이란게 바로 이런거죠.. 자본에 의한 언론지배,^^..씁쓸할 정도입니다.

삼성공화국이라는 우스갯소리 괜히 있는게 아닙니다.. 삼성의 덩치가 국가와 맞먹을 정도로 커졌다는 거, 웃어야할지 울어야 할지.. 간혹 '삼성 = 대한민국'이라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던데,^^; 결코 아닙니다.
그 어떤 기업이나 단체도 초법적 존재로 군림할수도 없고, 군림해서도 안되는 거죠.

p.s 라이온즈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오래토록 삼성이라는 그룹을 보고싶다는 소망은 있네요. ^^..이율배반적인가요..
3배빠른
10/07/06 05:43
수정 아이콘
파이널 판타지 7이라는 게임에 보면 국가 위에 존재하는 기업이 나오죠? 신라컴퍼니라고.
거짓말 조금 보태면, 딱 삼성이 그 짝인 것 같습니다.

뭐, 소위 '알바' 정도야 놀랍지도 않습니다.
어쩌다가 삼성 내부에서 노조 결성하려고 하시는 분과 친분을 맺게 되었는데,
그분의 일상 전체가 삼성에 의해 감시, 아니 간섭당하고 있습니다. 핸드폰 도청 정도는 기본중에 기본이더군요.
재미있는 건, 그런 행위들이 '아 내가 감시당하고 있구나' 라고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아주 티나게 이뤄지고 있었다는 점이었습니다. 마치 '우리가 네 모든 걸 캐고 있다 그러니 그만둬! 계속하면 가만 안둔다?' 라고 말하는 듯 한 느낌이었죠.
영화에서나 볼 법한 일들을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하고 나니, '대체 정체가 뭐지?' 라는 생각도 들고, 여튼 상상을 초월하는 공포를 느꼈습니다. 무서워요. 저 회사. (회사라고 말 할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검은창트롤
10/07/06 08:39
수정 아이콘
단순히 삼성에 일한다고 넷상에서 조차 삼성을 옹호하고 다닐거라 생각하진 말아주세요.
제가 아는 대부분의 삼성 직원들은 대부분 비판적 입장을 갖고 있습니다. 위에서 대놓고 '옹호댓글 쓰고 보고해라' 하지 않는 한 옹호하고 다닐 사람 거의 없습니다.
허저비
10/07/06 09:03
수정 아이콘
의외로 KT나 애플에서 그랬는지도...
의도적으로 들키도록 한 다음에 쏙 빠지면 나머지는 사람들이 알아서...

...드라마를 너무 많이 봤나?
10/07/06 09:40
수정 아이콘
애플과 삼성의 논쟁으로 정신이 없는 또다른 옆동네에도 퍼가겠습니다.
10/07/06 10:06
수정 아이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7060306155&code=930100

이 뉴스를 봐서는 삼성이 했다고 믿을 수 밖에 없겠군요.
자유인바람
10/07/06 11:28
수정 아이콘
이러면서 삼성에 대한 기업 이미지는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기능'으로만 말하라는것도 넌센스라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그렇게 '기능'으로만 이야기 하려고 했다면 도가 넘은 언플이나 이런짓들을 하지 말았어야죠.
'기능'으로만 이야기 하지 못하게 만든게 애초에 삼성입니다.
평소에도 미운짓을 많이 하던 기업이 생산한거라 색안경끼고 보게 되는데
미운짓을 그치지도 않고 반성도 하지 않으니... 그러면서 '제품의 기능'만을 봐달라?
그동안 삼성이라는 이름으로 해온 수많은 짓들은 무시하고? 진짜 누구 좋으라고요.


노파심에 이야기하자면 애플빠 아닙니다.애초에 애플 제품 갖고 있지도 않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073 [일반] 한나라당, 내년부터 `0세 전면 무상보육' 추진....... [62] 마르키아르5962 11/11/14 5962 1
32732 [일반] FTA와 영리의료법인, 의료민영화와는 무슨 관련성이 있을까.... [23] 마르키아르4249 11/10/31 4249 0
31706 [일반] 집의 도움을 못받는 서울에 사는 대학생이..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는게 가능한 이야기일까. [147] 마르키아르7686 11/09/14 7686 0
31620 [일반] 총 플레이 타임이 가장 길었던 패키지 게임들이 어떻게 되세요? [37] 마르키아르8236 11/09/08 8236 0
31416 [일반] 조중동에선.. 곽노현 뉴스 기사 3일동안 80건 , 공정택 뉴스 기사 2년 4개월 동안 40건... [109] 마르키아르5497 11/08/30 5497 0
30724 [일반] 우리나라에서 큰 싸이트의 운영자가 된다는 것은... [19] 마르키아르4331 11/07/31 4331 0
29668 [일반] 진보, 좌파, 내편 의 비리, 실수, 부패 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까.... [91] 마르키아르4456 11/06/11 4456 0
29296 [일반] 정말 실사와 구분되지 않는 게임도 나오겠죠?^^; [33] 마르키아르7310 11/05/23 7310 0
28028 [일반] 여러분들의 자식이.. 게임에 빠져 산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106] 마르키아르7267 11/03/28 7267 0
27260 [일반] 결혼을 할때, 남자가 집을 준비하는게 당연한걸까.. [21] 마르키아르7083 11/02/13 7083 0
27220 [일반] 음주중 뺑소니 사고로 사람 죽여놓고..기상청장이라니..ㅡ.ㅡ;;; 이명박정부는..정말.. [237] 마르키아르9219 11/02/11 9219 3
26996 [일반] 스폰서 검찰은 무죄입니다..... [23] 마르키아르5761 11/01/28 5761 1
26828 [일반] 한나라당, 오세훈 시장 덕분에 복지의 개념에 대해서 새롭게 배우고 있습니다. [128] 마르키아르6313 11/01/20 6313 2
26346 [일반] 남자 능력, 재력을 따지는 여자는 비난받아야 할까요? [81] 마르키아르9540 10/11/12 9540 1
25627 [일반] [타블로에 대한, PGR의 자취 되돌아보기] [69] 풍경8470 10/10/09 8470 7
25373 [일반] 누구의 잘못인가요? [10] 마르키아르4905 10/09/27 4905 0
25004 [일반] MC 몽 사건이 어떻게 결판날지 참 궁금하네요.. [58] 마르키아르8601 10/09/11 8601 0
24541 [일반] 병역비리에 대해 너무나 관대한 우리나라... [32] 마르키아르5761 10/08/24 5761 0
23478 [일반] 군대가기 싫으면 절에 가면 되는군요... [22] 마르키아르6891 10/07/13 6891 0
23440 [일반] 가지고 있는 보험 전부다 해약하고 제말 들어주세요! ㅜㅜ [87] 마르키아르11401 10/07/12 11401 0
23320 [일반] 옆동네 삼성 관련해 클리앙에서 답답한 일이 있었군요.. [33] 마르키아르8901 10/07/06 8901 0
22824 [일반] 타블로에게 어떻게 사과를 해야 할까..... [16] 마르키아르5636 10/06/11 5636 1
22323 [일반]  천안함이 어뢰에 맞았다는 생각이 자꾸 드네요 [40] 마르키아르5530 10/05/28 553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