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0/03/05 04:24:59
Name 박루미
File #1 K_9.jpg (178.6 KB), Download : 60
Subject [일반] 예능


안녕하세요?

오늘도 어김없이 밤샘 근무중인 박루미입니다.

한 때는 본명이 팔려서 일부러 웹에서는 다른 이름으로 활동했었습니다.

그런데 베토벤바이러스를 통해 두+루미 라는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하니

본명으로 활동하는게 좀 낫더군요, 참고로 제 친구중엔 Male 인데도 불구하고

<한초희> 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넘도 있습니다.

결혼식 때 입명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깜짝 놀랐다지요?

식장 앞에서 "여자들이 결혼하는 거야?(수근수근)" 이라며


아무튼 오늘이 PFR 발표일인데 5분전에서야 간신히 지난 45일간

준비했던 자료들이 20분 분량으로 압축되었네요... 잠이 안옵니다.

프리젠터는 아니지만 이 자료를 주관기관에게 넘겨주려니

많이 허무하기도 하고요, 무능한 주관기관 탓만 하고 있을수도 없고

PFR은 해야하기에 이번에도 했지만, 정말 못할 짓입니다.

경쟁자들 사이에서 각자의 다양한 프로포즈 방법들을 이기고

그녀(!)에게 간택받기 위해 지금 이 시간에도 잠 못자고 예상질답지를

들춰가며 달달 외우는 사람들이 있으니까요


박루미의 오늘 제목은 '올해 보고 싶은 예능' 입니다.

평소 예능프로그램을 자주 챙겨보는데 그 중에서도 무한도전을 자주 챙겨보고 있는데요

무모한도전 시즌 1부터 전 편을 보고, MBC 가입해서 또 보고

야근할 때는 아프리카로 온게임넷 아니면 틀어놓는게 일상인지라

이젠 무도의 이야기라면 제목, 무슨무슨 특집만으로도 내용이 전부 떠오릅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보고 싶은 내용을 추려봤습니다.



1. 무릎팍도사 '유재석 편'

- 한 때 작년 추석특집을 통해서 가능성(??)을 살짝 엿 볼수가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출연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카더라식으로 떠도는 이야기들이 많더군요, 가령 '최후의 카드' 다. 아니면 '오히려 역효과다', '강호동이 MC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 등등의 이야기들이 말이지요, 하긴 그럴만도 합니다. 오히려 MC날유나, MC 호동이나 너무 많은
프로그램에 얼굴을 비추다 보니 생각보다 그 사람에 대해서 알고 싶은 사실이 적을 것이기 때문에 무릎팍도사의 역할을
못할 것이라는 예상 떄문이지요

그럼에도 가장 보고 싶은 프로그램입니다. 물론 강호동과 유재석이 한 프로그램에서 한 솥밥을 먹었던 적도 있었지만, 그 때와
지금은 비교할 수가 없지요

세컨드 임팩트, 예능계 최후의 날

이 가능성에 대해서는 MBC 드라마 리폼에서도 정말 리얼하게 패러디 된 적도 있습니다! 찾아보세요

유재석 : 여기가 무릎이 닿기도 전에....

강호동 : (활짝 독기를 품은 표정으로) 드디어 니가 왔구나!!!!



2. 무한도전 마이너리그

- 개인적으로 굉장히 보고싶은 프로그램입니다. 예능계의 테러리스트이자 예능계에서
소외받은 인종(박명수가 언급하는)들 만의 무한도전!

지난 추석 특집에도 나왔었지요? 멤버 구성도 제가 생각하는 것과 딱이어서 깜짝 놀랐습니다.
MC는 부동의 2인자 박명수, 그리고 마이너리그의 2인자는 한 단계 레벨이 상승한 쩌리짱
그리고 바퀴순, 어쩌다가 무도 공식가수가 되어버린 케이윌, 마이티마우스의 상추(있어야 합니다!!)
무한도전의 공식 MAD 바다(-_-;;) 정도랄까요?
더 덧붙이고 싶은 사람들도 많지만 여기서 패스~ 여러분들이 적어보아요, 진정한 무도 마이너리그의 멤버들을


3. 거성쇼

- 많이 모험(?)적인 방송 테마겠으나 그래도 꽤 기대가 됩니다. 지금 라디오를 진행하는 센스라면 박명수의
진행도 나쁘진 않겠으나,  아무래도 자신의 이름을 건 쇼는 뭔가가 있어야 합니다. 어찌 보면 예능이라고 보기에도
조금 난감한 부분이기에, 특히나 진행자의 영향을 많이 받는 클래시컬한 네임드 쇼 프로그램은 게스트들의
성향도 고려를 해야 하기에 왠만한 진행자가 설 수 없지요

재미삼아 몇 회 정도는 가능하겠지만 아마 거성쇼는 정규프로그램이 되기엔 무리가 있을지도요

10년 전에 방송했었던 김혜수 쇼(맞나?)는 참 재미있었다지요? 마치 오프라 윈프리 쇼를 벤치마킹한 듯한
여기의 주 테마 음악이 일본의 전설적인 뉴에이지 밴드 T-square 의 음악들이었습니다. 그 때 티스퀘어의 팬이 되었다지요
그런데 티스퀘어의 팬이 되다보니 알아서 카시오페아의 팬도 되더군요


요새는 알아서 기자들이 많아진 세상인지라 굳이 분석시트를 끄집어내지 않아도

공감할 부분은 공감하고, 그렇지 못한 부분은 적극적으로 부정하는 모습들을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TV 분야는 말을 꺼내기가 참으로 난감하고 무서운 분야이기도 합니다.

정보전달력이 모자랐던 옛날에야 1000원짜리 연예신문을 들춰보며 이니셜이 누구를

지칭하는 것일까? 라고 고민하는 재미가 있었지만

요샌 왠만한 프로그램(심지어 스튜디오의 모습조차)이 리얼리티로 포장되어 있어서

드러내놓고 감춘다는 것이 힘든 세상이지요, 그 때문에 연예인들의 좋지 못한 모습들도

자주 드러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 어떤 분은 예능에서 부적절한 단어 몇 마디로

그간 쌓아왔던 이미지를 송두리채 무너뜨린 적도 있으니까요

그래서 사람들 눈이 높아진 나머지 왠만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우리나라에서

경쟁하며 살아가기란 참 힘든 노릇같습니다


막말로 스타만 내세워 아무 프로그램이나 만들면 잘 나가던 시기도 있었는데

지금은 그런게 전혀 안통한다는 것이지요

그렇기에 롱런하는 프로그램에 지나치게 편중되는 것을 개인적으로 경계하는 편입니다.

하긴, 혼자서 보초경계를 신나게 서 봤자, 이런걸로 교양떠네 뭐네 하긴 좀 그렇고요


왜 이런 말을 하게 되었냐면

많은 분들도 공감하시겠지만 우리나라 예능의 1세대였던 '일요일 일요일 밤에' 의

현재 모습과 어떻게든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포맷을 동원하려는 자체적인 노력이

최근 사람들의 높아진 눈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궁금해서입니다.



졸린 관계로

이정도만 쓰도록 하겠습니다.

4시 24분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박루미
10/03/05 04:29
수정 아이콘
조우종의 왈가왈부 라는 프로그램도 꽤나 재미있습니다. 인터뷰를 차용한 20분 분량의 짧은 프로인데, 이 조우종이라는 진행자의 인터뷰를 이끌어내는 솜씨가 정말 환상적입니다. 인터뷰 아니었으면 한대씩 치고 받았을 '타루' 와의 스토리나, 자칫 인터뷰간 오빠-동생 사이를 넘어설 뻔 했던 '윤하' 의 경우도 그렇고 말이죠... 딱딱한 인터뷰잉의 인컴-아웃컴이 아닌 20여분을 저렇게 자연스럽게 생면부지의 사람과 대화할 수 있는 것도 능력은 능력입니다 -_- 모르는 분들은 한 번 재미삼아 보세요~
비소:D
10/03/05 04:40
수정 아이콘
저....저랑 코드가 많이 다르시네요
저도 봤던거 또보고 또보고 하는 편인데 제 기준에선 정말 정말 재미없었 날 들 BEST 같네요
무도는 같은 무도라도 호불호가 갈리는것같네요 크크
Noam Chomsky
10/03/05 04:42
수정 아이콘
조우종 아나운서 외모든, 말발로든 KBS를 대표할 만한 아나운서라고 생각해 왔는데 쉽사리 메인프로를 맡지 않더군요.
가끔 게스트로 나와서 터트리는거나, 본인이 엠씨를 보는 프로나 참으로 괜찮던데 말이죠.

4시 42분이네요?
10/03/05 08:45
수정 아이콘
거성쇼는 케이블(SBS ETV)에서 첫화를 마치고 오늘 2화 한다고 하네요. 김현철, 황현희, 상추 등과 같이 합니다.
10/03/05 10:49
수정 아이콘
무도 마이너리그는 재밌을 것 같습니다..
10/03/05 11:23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모르겠고, 무릎팍도사 - 유재석편은 꼭 끝나기 전에 마지막편으로라도 한번 했으면 합니다.
10/03/05 11:30
수정 아이콘
김혜수의 플러스유였던가요. 수요일 밤엔가 했던거 같은데, 맞나요? 흐흐.

TV 본다고 안 자서 엄마한테 뒤지게 혼나고 그랬던 기억이..
10/03/05 14:57
수정 아이콘
저도 기억이 나네요 크크 그 프로그럼에서 차승원씨를 첨 알게됬죠 마지막회에선 배철수씨가 나왔던게 생각나네요
10/03/05 11:58
수정 아이콘
저는 라디오스타 무한도전편,2pm편,샤이니편을 한번 보고싶네요

무한도전,2pm은 소재가 너무 방대해서 재밌을것같고 샤이니는 요새 리얼리티에서 보여주는 예능감들이 장난이아니라 왠지 재밌을것같아요
권보아
10/03/05 13:22
수정 아이콘
무한도전 마이너리그는.. 재범군이 뛰기로 되어있었죠..
10/03/05 15:27
수정 아이콘
그...김경민 씨인가??....

얼마전에 아프리카 타조 흉내내신분요..

아 그분 정말 보고싶어요.. 하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2795 [일반] [기획잡담] 일본연예기획사 쟈니즈 사무소에 대해서! (7) 타키&츠바사 and NEWS [16] 슬러거9968 10/06/10 9968 0
22639 [일반] 떠나간 연인을 그리워 하며 쓴 노래들 [10] 뜨거운눈물5734 10/06/06 5734 0
21662 [일반] 2010년 17주차(4/19~4/25) 박스오피스 순위 - '베스트셀러, 스테디셀러가 될까' [12] AnDes4410 10/05/05 4410 0
21310 [일반] 2010년 16주차(4/12~4/18) 박스오피스 순위 - '신작 잔혹사' [14] AnDes5143 10/04/21 5143 0
21142 [일반] 2010년 15주차(4/5~4/11) 박스오피스 순위 - '타이탄의 거대한 흥행' [17] AnDes5011 10/04/15 5011 0
21068 [일반] 기타를 배우면 치고 싶은 곡들입니다 [39] Cand6952 10/04/12 6952 0
20945 [일반] 2010년 14주차(3/29~4/4) 박스오피스 순위 - '비수기를 헤쳐가라' [18] AnDes4899 10/04/07 4899 0
20191 [일반] 추억에 빠져 봅시다.... 95년 드림콘서트 (1부) [23] 유르유르6027 10/03/14 6027 0
19960 [일반] 예능 [11] 박루미4743 10/03/05 4743 0
19398 [일반] 제44회 전미 비평가 협회상 & 제67회 골든 글로브 수상결과 [11] AnDes4580 10/02/08 4580 0
18633 [일반] 2009년 52주차(12/21~12/27) 박스오피스 순위 - '크리스마스 빅뱅, 굿바이 2009' [14] AnDes4559 09/12/30 4559 0
18419 [일반] 최악의 크리스마스[잡담] [9] 고요함4620 09/12/21 4620 0
17957 [일반] [이벤트] 드디어 시작됩니다. [1653] Claire8783 09/12/01 8783 4
16420 [일반] [염장] 무언가 좋은일 [22] Toby3794 09/10/03 3794 0
16294 [일반] [염장] 황정음 엘레베이터 이벤트... [33] Calcu10050 09/09/28 10050 0
16186 [일반] 신해철의 숨은 명반 - 비트겐슈타인 1집 (2000) [17] V10551 09/09/23 10551 0
16177 [일반] 목소리가 명품이다. - after 90's [22] 후치5908 09/09/23 5908 0
16153 [일반] 2009년 39주차(9/14~9/20) 박스오피스 순위 - 이제는 당당한 애자!! [14] 마음을 잃다4965 09/09/22 4965 0
16074 [일반] 가슴속에 묻어 두었던... 이해하지 못했던... 인연 [17] Amy Sojuhouse3919 09/09/18 3919 0
16032 [일반] 2009년 38주차(9/7~9/13) 박스오피스 순위 - 조금은 쑥스러운 애자.. [21] 마음을 잃다4988 09/09/17 4988 0
15827 [일반] 2009년 37주차(8/31~9/6) 박스오피스 순위 - 과연 언제까지.. [16] 마음을 잃다4558 09/09/08 4558 0
15652 [일반] 2009년 36주차(8/24~8/30) 박스오피스 순위 - 잔잔한 검은 파동.. [9] 마음을 잃다4323 09/09/01 4323 0
15217 [일반] 왠지모를 원피스 리뷰 2편 : 그들은 원래부터 강했다 [31] 이슬먹고살죠8718 09/08/14 8718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