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9/05/18 11:39:40
Name 유유히
Subject [일반] 29년 전 오늘은 신군부가 무고한 시민들을 향해 발포한 날, 5.18입니다.
제 고향은 광주입니다. 제 외삼촌은 5.18항쟁 마지막 날, 도청에 끝까지 남으셨다가 돌아가셨다고 합니다. 비단 저뿐 아니더라도 제 주위에는 29년 전 5월에 가족 친지를 잃은 사람들이 그렇게 드물지만은 않았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5.18에 대한 이야기를 술자리에서, 식사자리에서, 학교에서 전해 듣곤 했습니다. 헬기에서 기관단총으로 거리에 사격했다던지, 임산부의 배를 대검으로 찌르고, 지나가던 할아버지의 머리를 곤봉으로 후려쳤다... 무슨 캄보디아나 이라크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29년 전, 광주에서 있었던 일이었습니다.

(아래의 사진들은 혐오스러운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거부감이 드시는 분들은 뒤로가기를 누르시길 권합니다.)


















좌측 머리부분이 함몰된 광주항쟁 사망자
5월 18일 오전 10시, 휴교령이 내린 상태에서 전남대 정문 앞에 모여든 학생 100여명과 무장 공수대원이 대치하였다. 200-300명 정도로 수가 불어나자 학생들은 "계엄해제" "계엄군 물러가라" "휴교령 철회하라" 라는 구호를 외치기 시작했다. 곧 대치 중이던 공수부대 책임자가 "돌격 앞으로" 라는 명령을 내렸고, 공수대원들은 학생들에게 파고들면서 곤봉을 휘둘렀다. 곤봉은 쇠심이 박힌 살상용 곤봉으로, 이를 맞은 학생들이 피를 흘리며 쓰러졌다.
-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인물과 사상, 2003)


사살되거나 타살되거나 대검에 찔려 방치된 시신들
21일 저녁, 드디어 시민군은 계엄군을 도청에서 몰아내고 점거하는데 성공한다.
-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택> (인물과 사상, 2003)


후일, 오랫동안 집을 떠나 있어 신고가 접수되지 않은 사망자 수까지 합하면 전체 사망자 수는 2천명에 이를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지만 확인할 길은 없었다. 공수부대원들이 처음부터 사상자수를 은폐하기 위해 사상자가 발생하는대로 트럭에 싣고 아무도 모를 곳에 파묻었기 때문에 더욱 그랬다.
-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인물과 사상, 2003)



더 많은 사진들이 있지만 잔인한 것들이 많아 달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저는 제 고향 광주에서 일어난 신군부의 만행에 분노하며, 29년 전 오늘 '민주화'를 외치며 쓰러져간 숭고한 넋들을 기리는 마음으로 경건히 추모합니다. 80년 광주의 넋들은 결코 폭도가 아니었으며, 간첩의 사주를 받은 빨갱이도 아니었습니다. '쿠테타 정권 물러가라'는 당연한 요구에, 전두환과 노태우의 무리들이 총알로 답한 것에 분노한 죄밖에 없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최근의 시위들에 이명박 정권이 대처하는 방식을 보면 신군부를 정신적으로 정통으로 계승하는 정권이 금번 정권이 아닌가 싶습니다. 29년전 총칼에 쓰러져간 이들이 피로서 외치던 외침, '민주화'가 지금은 진정 이루어졌는지 다시 한번 스스로에게 물어볼 때입니다.


80년 광주의 넋들을 위해 옷깃을 여미며
유유히


링크 : 5.18의 진행과정
http://tesada.egloos.com/1708597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5/18 11:43
수정 아이콘
광주 사람인데...

잊고 있었네요...죄송합니다
레이니선
09/05/18 11:44
수정 아이콘
비극을 잊어간다는것만큼의 비극은 없는듯 합니다.

그릇된것을 온몸으로 말하다 스러져간 영령들을 추모합니다.
밑힌자
09/05/18 11:45
수정 아이콘
다음에서는 '26년' 다시보기 특집이 마련되어 있더군요. 정주행하실 분들은 가보시면 좋을 듯...
The xian
09/05/18 11:48
수정 아이콘
밑힌자님// 만화는 정주행이 가능한데 왜 사회는 역주행하고 있을까 하는 생각에. 침울해집니다.
퍼플레인
09/05/18 11:50
수정 아이콘
잠시 숙연해집니다. 잊지 말아야죠. 이분들이 어떻게 피를 흘리셨는지, 결코 잊지 말아야 합니다.
The HUSE
09/05/18 11:53
수정 아이콘
아,
점심시간이 다가와서 잠깐 들어왔는데,
눈물이 나네요.
머리로 피가 쏠리고 있습니다. 잠시 쉬어야겠습니다.

그분들을 우리는 절대 잊어서는 안됩니다.
감사합니다.
09/05/18 11:56
수정 아이콘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다시한번 가슴이 아파오네요....
나야NaYa
09/05/18 11:58
수정 아이콘
우리는 또한 2009년판 광주학살인, 용산참사를 잊어서는 안됩니다.
이유여하를 막론하고 경찰의 공무집행 과정 중 광주 이후 민간인이 죽은 것은 용산이 처음이기 때문입니다.

광주순례단을 다녀왔는데,
기분이 참 묘하더군요.

5.18을 잊지 않는다는 것, 기억한다는 것, 열사 정신을 계승한다는 것은
5.18을 '기념'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당시 시대의 모순에 저항했던 그들처럼 지금 시대의 모순에 저항하는 것이겠죠.
다들 5.18을 잊지 맙시다. 용산 참사를 잊지 맙시다.
Grateful Days~
09/05/18 11:58
수정 아이콘
저도 그랬고, 광주에서 학교나오신분들은 위에것보다 훨씬 심한 강도의 자료들을 보고 자랐을겁니다.

저런짓을 저저른 놈들이 어떻게 살고있는지 모두들 또렷하게 기억해야합니다.

저같은경우는 어렸을때 가게갔다가 총탄이 바로 옆으로 지나간적도 있었죠. -_-;;
눈팅만일년
09/05/18 12:01
수정 아이콘
숙연해집니다.

이렇게 힘들게 한발짝씩 나아온 것이,
후퇴하는 것은 이렇게나 쉬운 것이군요.
Best[AJo]
09/05/18 12:01
수정 아이콘
역사를 잊은 지도자들은 패망한다는게 세상의 진리이긴 하죠. 제발 정치인들께서도 저걸 보시고 미래를 내다보시고 대비하셔야 하는데..싶은 생각이 듭니다.. 젊은(또는 어린) 청년이 정치인분들께 진심으로 '26년'이라는 만화를 권합니다..
09/05/18 12:05
수정 아이콘
용산 참사와 그와 관련된 사건을 폄훼하려는 것은 분명히 아닙니다. 하지만 5.18 광주 민주화 사태와 용산 참사를 위와 같이 연결짓는 것은 다소 비약이 심한 것 같네요. 5.18에게는 5.18에 어울리는 광장이, 용산 참사에는 용산 참사에 어울리는 광장이 분명히 있습니다. 그리고 그 광장은 분명히 다릅니다.

@ 군과 경찰이 뭐가 다르냐 하시겠지만, 5.18은 계엄군이 국민을 학살한 사건입니다. 용산 참사와 비교하시는것은, 안타깝지만 5.18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계신 겁니다.
공안 9과
09/05/18 12:12
수정 아이콘
역사는 망각에 대한 기억의 투쟁이다.
09/05/18 12:21
수정 아이콘
http://blog.naver.com/romanpic/150031413670
오늘 포스팅하면서 링크한 영상이 있는 페이지 주소 입니다.. 시간 나시면 한번 보시는 것도..

앞을 보지만 뒤를 생각해야죠.
강가딘
09/05/18 12:24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5,18을 다룬 연극 `짬뽕`을 보면서 아무 죄도 없는 소시민들이 폭도로 몰리고 피해를 입어야 했는가에 대해 화도 나고 슬프기도 했습니다.
특히 주인공의 거의 마지막 장면에서의 대사,"또 그날이 왔구마니라. 오늘은 이 동네 곳곳이 제사 날이요."가 너무 구슬폈다는....
Best[AJo]
09/05/18 12:27
수정 아이콘
5.18을 다룬 26년을 다시 보다가 인상적인 문장이 보여서 남겨봅니다.

최형사 - 이봐, 문목사. 아무 죄나 대 보란 말이요....버티지 말고....도대체 왜 이렇게까지 하는거요. 뭘 위해서...
문목사 - 허허..그럼 자네는 뭘 위해서 이렇게까지 하나...
최형사 - 나는..국가를 위해서 일 하고있소. 내가 하는 일은 국가를 위해서 옳은 일이오.
문목사 - 국가..? 허허..자네가 말하는 국가란 무엇인가..
자네가 말하는 국가란게.. 멀쩡한 사람 죄 없이 잡아다 가두고..권력을 위해서 무슨 짓이든 하는..
그런..그들만의 국가인가..?
최형사 - ....
문목사 - 자네도 세상 돌아가는 것을 알텐데...지금 자네가 말하고 있는 국가라는것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를..
어떤 자들이 국가를 내세워서 무슨 짓을 하고 있는지를...

문익환 목사님이 지금까지 살아계셧다면 그때의 5.18을 어떻게 기억하고 계실까 묻고 싶어집니다..
우리는 이 문목사님의 말씀을 기억에 담아두고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세이시로
09/05/18 12:43
수정 아이콘
어제 5.18 29주년 기념제를 준비하고 있던 광주에 다녀왔습니다.
다른 지방 사람이라 광주에 가 본 일도 별로 없었지만 오월에 가 본 것은 처음이었죠.
도시에 남아있는 집단적 기억의 냄새를 맡을 수 있더군요.
축제건 문화제건 젊은이들을 위한 상업적 행사가 되어가는 서울과는 다르게
그 날을 기억하고 있는 주민들이 바로 자신들을 위한 기념제라고 생각하고 많이들 나와 계셨습니다.
주먹밥을 나눠주는 행사 앞에 길게 늘어선 사람들을 보니 왠지 뭉클해졌습니다.
달덩이
09/05/18 12:45
수정 아이콘
아.. 이런, 밑힌자님 댓글 보고 다음에 들어갔다가 지금 헤어나지 못하고 있네요
옆에 사무실 사람들 다 계신데, 눈물 나올꺼 꾸욱 참고 보고 있습니다.
5.18에 무지했던 사람이고, 지금도 많은 것을 알지는 못하지만..
이 분들의 무엇을 위해 노력하신지는 반드시 기억하겠습니다..
나두미키
09/05/18 12:50
수정 아이콘
그저 부끄러울.....
Helsinki
09/05/18 12:57
수정 아이콘
어제 저녁에 TV에서 광주항쟁 고문 피해자들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하길래 보고있는데,
아버지께서 "광주사태얘기야?" 그러면서 들어오시더군요.
그러면서 전두환이 잘했다는둥, 전라도사람들은 어쩔수 없다는둥...
괜히 싸움날까봐 가만히 있었지만 많이 찝찝하더군요.
아버지같이 생각 하는 어르신들이 많겠지... 생각하니 참....
Ms. Anscombe
09/05/18 12:59
수정 아이콘
요즘 네이버에서 옛날 신문 다시보기 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당시의 기사를 읽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shadowtaki
09/05/18 13:02
수정 아이콘
아직도 우리나라는 저 당시 대통령을 사랑하는 모임이 있고 매해 우파 정당의 무려 소장파 의원이 그 분을 찾아가 신년인사를 드리는 정당이 제 1당으로 있는 나라입니다. 제 머리로는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marchrabbit
09/05/18 13:16
수정 아이콘
그분 고향에 가면 버젓이 일해공원이 있는데요 뭐. -_-; 그쪽 출신의 좀 배우신(유학 갔다오신) 분과 얘기해봤는데 이건 뭐...... 아는 어른분이라 화낼 수도 없고, 그저 막막하더군요.
Who am I?
09/05/18 13:22
수정 아이콘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부족하겠지만 잊지 않겠습니다.
09/05/18 13:46
수정 아이콘
shadowtaki님//
원희룡 의원이 전두환 씨에게 07년 이외에도 "꼬박꼬박" 신년인사를 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shadowtaki
09/05/18 13:54
수정 아이콘
zigzo님// 내용 수정했습니다. 딱히 저 수식어를 뺀다고 해서 제가 바라보는 원희룡 의원과 그 정당의 모습이 그리 달라보이진 않는것 같네요.
화이트푸
09/05/18 14:34
수정 아이콘
조용히 추천 누르고 갑니다.
이윤상
09/05/18 15:50
수정 아이콘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부족하겠지만 잊지 않겠습니다. (2)

이분들의 희생으로 지금 우리에게 주어진 권리와 의무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되네요.
SG망월
09/05/18 17:23
수정 아이콘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부족하겠지만 잊지 않겠습니다. (3)
Mercury]Lucifer
09/05/18 18:08
수정 아이콘
묵념, 5분 27초.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부족하겠지만 잊지 않겠습니다. (4)
오소리감투
09/05/18 18:32
수정 아이콘
잊지 않겠습니다.
모 신문들은 화물연대 파업에 대한 기사를 보니 예나 지금이나 여전하더군요.
T.M.W.C.A
09/05/18 19:19
수정 아이콘
절대로 잊어서는 안되겠죠......
Wanderer
09/05/18 19:32
수정 아이콘
shadowtaki님// 뭐 그런건 착각할 수도 있죠. 일단 07년에 저 '쓰레기'한테 신년인사를 했다는것만으로도 그 수준을 대변해 주는 것 아니겠습니까? 겉으로 실실 거리면서 뒤로는 욕먹을짓 다하고 다니는 원희룡의원의 '자연스러운'모습이죠 뭐.
09/05/18 21:17
수정 아이콘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부족하겠지만 잊지 않겠습니다. (5)
발컨저글링
09/05/18 21:31
수정 아이콘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부족하겠지만 잊지 않겠습니다. (6)
09/05/19 01:47
수정 아이콘
5.18기념일에 특전사 방문한 의원들은 무슨의미로 방문했을까요?
abrasax_:JW
09/05/19 02:33
수정 아이콘
잊지 않으면 됩니다. '절대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291 [일반] [오늘] 5.18 (2) [16] 눈시BBver.27873 12/05/18 7873 23
37290 [일반] [오늘] 5.18 (1) [4] 눈시BBver.28194 12/05/18 8194 16
37277 [일반] [그날]5.18....후추알(1) [7] 후추통5073 12/05/16 5073 3
37263 [일반] [오늘] 5.16 [16] 눈시BBver.28789 12/05/16 8789 9
36825 [일반] [오늘] 4.19 [39] 눈시BBver.28847 12/04/19 8847 8
36413 [일반] [오늘] 4.3 (1) [14] 눈시BBver.28774 12/04/03 8774 11
35929 [일반] 이영조 후보에 이어 박상일 후보의 역사인식도 논란이 되고 있네요. [26] 타테시4692 12/03/14 4692 1
35251 [일반] 대몽항쟁 4부 - 2. 김준, 고종, 그리고 마지막 항쟁 [8] 눈시BBver.25102 12/02/10 5102 0
35217 [일반] 대몽항쟁 3부 - 완. 다가온 파국 [20] 눈시BBver.24470 12/02/09 4470 3
35200 [일반] 대몽항쟁 3부 - 7. 마침내 그들이 나섰다 [13] 눈시BBver.25150 12/02/08 5150 1
32422 [일반] 한국전쟁의 어둠. 거창 양민 학살사건 [64] 드라고나7064 11/10/18 7064 2
30373 [일반] 오마이뉴스가 일본인 교수의 독도관련 주장을 왜곡했네요. [6] Alan_Baxter6631 11/07/18 6631 1
29609 [일반] 일본 공식적으로 『멜트 스루』 인정; [25] 람파드10446 11/06/07 10446 1
24595 [일반] 키메라앤트 [9] 루미큐브5528 10/08/26 5528 0
22403 [일반] 6월2일 투표에 임하는 우리들의 자세 [39] 머릿돌3958 10/05/31 3958 8
21902 [일반] 5·18 민주화운동을 아십니까? [44] Benaiah4132 10/05/14 4132 1
21598 [일반] [오유펌][손석희 시선집중에서] 9월부터 집회시 경찰이 아닌 군(軍)투입! [33] 멍하니하늘만5492 10/05/02 5492 0
16541 [일반] [음악이야기] 손을 잡고 오른쪽으로.. [9] 대츄붸리핫5521 09/10/08 5521 2
13104 [일반] [謹弔] 2009년 5월 27일. 노무현 대통령 분향소 순례기(스크롤 압박 주의/사진수정 완료) [33] The xian5470 09/05/28 5470 6
12816 [일반] 다음 아고라에 서명을 하나 올렸습니다. [1] MoreThanAir3570 09/05/23 3570 0
12687 [일반] 뭔가 이상한 5.18이 지나고 나서야.... [5] 적 울린 네마리3887 09/05/19 3887 0
12674 [일반] 29년 전 오늘은 신군부가 무고한 시민들을 향해 발포한 날, 5.18입니다. [37] 유유히4120 09/05/18 4120 4
9525 [일반] DJ와 지역주의 [43] [NC]...TesTER4708 08/11/28 4708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