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24 15:43:15
Name 이직신
Subject [일반] 진격의 거인을 보고 (스포 약간)


일본 애니 뿐 아니라, OTT, 영화 이런걸 거의 보지 않는 편입니다. 보는 시각적 취미라곤 롤 일정 쫓으며 대회나 유튜브 보는게 다 이기때문에 이런쪽으로 제가 자발적으로 찾아보는 일은 매우 드문데 진격거는 정말 하는 유튜브,사이트 마다 언급이 많이 되는 작품이라 결국엔 보게 되었는데요.

이번에 나온 단군 리뷰에서 단군이 한 감상평 첫마디가 저의 느낌과 정확히 일치하더군요. '놀랍다'.
제가 일본 소년만화에 거부감이 있는건 그 석연치않은 개연성때문에 그렇습니다.
보통 소년만화 하면 나쁜놈 A 를 물리치면 나쁜놈 B로 넘어가고 C로 넘어가고 이런 단계를 거치면서 당연히 주인공도 쌔지고 그 나오는 악당의 힘도 앞에 악당보다 파워업이 되는게 기본이죠.

근데 인기때문에 연재가 길어져서 그런가 나중 가다보면 아니 이렇게까지 억지로 적을 쥐어 짜야 되는거야? 그냥 앞에 그 놈도 정말 정말 쌨는데 그 즈음해서 이야기 마무리 했으면 안돼? 라고 생각이 들곤합니다. 제가 그래서 드래곤볼, 원피스 같은 메가히트작도 쉽게 건들지를 못하겠더라고요. 그 피곤함때문에. 그냥 작가가 인기 많으니 유지는 해야되겠고 계속 파워 인플레 소리 들어가면 적을 한 주 한 주 갑자기 생성 시키는 느낌. 실제로도 그렇게 하겠지요.

진격의 거인도 그런 느낌이 있습니다. 첨에는 열혈 주인공의 거인 소탕 대작전으로 시작했다가 나중에 다른 국가가 나오고, 갑자기 핏줄에 대한 얘기가 나오고.. 얘기가 계속 확장 되는게 소년만화의 클리셰랑 상당부분 일치하지요. 근데 진격거는 보면서 느낀게 처음부터 끝까지 작가가 줄곧 머리에 이미 다 짜여놓은 얘기를 그냥 쭉 그려놓은 느낌입니다. 갑자기 생성된게 아니라 이미 작가가 다 생각해놓은 이야기였고 확장이었고 그게 개연성이며 자연스러움이며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대로 전달이 되었습니다.

궁금해서 진격거 작가 인터뷰를 조금 찾아보았는데 '나중에 한참 뒤에 나올 이러이러한 부분을 그릴 생각을 할때는 매우 흥분되었다 ' 이런식의 말을 했던걸 보고 와 이 사람은 정말 앞에 그리면서도 뒤에 나올 부분까지 다 구상하고 그거에 대해 어떻게 그릴지도 생각하면서 했구나 라는게 절실하게 느껴졌습니다.  심지어 이를 증명하듯 미리 미리 본인이 알아서 암시도 주고 그걸 다 회수합니다. 정말 머리가 좋다 생각했어요.

그림체도 전체적으로 미형의 캐릭터를 그리는 기존 소년물과도 약간 거리감이 있지만 거인을 표현하는데 있어 그 그로테스크함을 정말 멋지게 잘 표현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종미의 거인 디자인이 정말 멋졌습니다. 하반신을 안보이게 배치해놓고 마치 목 멘 사형수 마냥 공중에 얼굴만 뼈대와 함께 날라다니는게 종말의 이미지와 찰떡이었습니다.

오랫동안 언급될만한  마스터피스 급 작품이라고 느꼈고요, 데스노트와 비교하는 분도 계시던데 오히려 데스노트는 본 입장에서 진격거에게 매우 실례가 될 정도로 차이가 있어 보였습니다.  강연금도 엄청나게 수작으로 감명깊게 봤었는데 개인적으로 진격거가 한단계 위의 작품으로 느껴졌고요.

애니나 이런쪽으로 해석해가며 리뷰할 능력은 안되는 문외한 이라 이정도 짧은 감상을 적어봤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잠이오냐지금
25/07/24 16:04
수정 아이콘
저도 참 재밌게 봤습니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1위는 강연금입니다
1위 강연금
2위 진격거
3위 슬램덩크 정도
마음속의빛
25/07/24 18:39
수정 아이콘
저에게도 1위는 강철의 연금술사입니다.
다만, 다회차(여러번 반복) 시청을 할 때는 제외입니다.

1번 봤을 때 정말 완벽하다 생각되는 작품이 있고,
여러번 봤을 때 계속 재미있다는 작품은 따로 있더라구요.
한방에발할라
25/07/24 16:07
수정 아이콘
진격거가 진짜 소름 돋는 씬이 몇 개 있는데 1화에 앨런 아버지가 앨런에게 지하실을 보여주겠다면서 말할 때 의도적으로 아버지의 시선이 어디에 있는지 절대로 보여주지를 않죠. 애니에서도 여러 각도로 나오는데 어느 각도에서도 절대 아버지의 눈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진짜 한참이나 뒤에 나오고요
25/07/25 15:51
수정 아이콘
엇...제가 본 지 오래돼서 그런가 기억이 안 나는데 이유가 뭔가요?
한방에발할라
25/07/27 09:30
수정 아이콘
그때 에렌 아버지는 미래의 에렌이 보여준 기억에 이끌려서 에렌을 보고 에렌이 하라는 대로 하고 있었거든요 그래서 시선이 전혀 다른 허공에 고정되어 있고 표정도 귀신을 보고 있는 것 같은 표정입니다. 최소한 1화 그릴 때 저 후반부 까지는 확실히 생각해 두고 있었다는 거죠
...And justice
25/07/24 17:10
수정 아이콘
10년 간 정주행하고 끝난 이후에 2번 더 정주행 했습니다
이런 감정 드는 작품이 몇 없었는데 언젠가 또 충분한 휴식 시간이 주어진다면 보고 싶을 작품입니다
플리트비체
25/07/24 18:03
수정 아이콘
재미,작품성,메시지 3박자를 모두 갖춘 작품은 정말 흔치 않습니다 아카데미 유명 영화들을 봐도 정말 흔치 않은데 진격의 거인은 다 갖췄다고 감히 평가합니다
고민시
25/07/24 18:15
수정 아이콘
거의 연재 10년했다고하는데 어떻게 저렇게 판을 짜놨는지 신기합니다.
ost도 엉망인 독일어라고는하지만 그로테스크한 분위기가 너무 좋아요
이직신
25/07/24 19:08
수정 아이콘
매우 공감합니다. 독일인이 보면 발음이 어떻게 들릴지는 모르겠으나 오히려 일본어 선택을 안하고 장엄하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추구하는 OST에 불분명한 언어가 더 잘 맞다고 느꼈습니다.
ArcanumToss
25/07/24 19:58
수정 아이콘
저는 진격거는 재밌었지만 강철의 연금술사는 너무 유치하고 지루해서 못 보겠더라고요.
Chrollo Lucilfer
25/07/26 10:40
수정 아이콘
저도 강연금 재밌다는 말엔 도통 공감을 못하겠더라구요
명작이다 재밌다 해서 언제 재밌어지지?
하면서 참고 억지로 보다가 끝나버린..
ArcanumToss
25/07/26 14:00
수정 아이콘
저만 그런 게 아니었군요.
다 보긴 봤는데 시간 낭비였어요.
실제상황입니다
25/07/24 21:23
수정 아이콘
그런데 진격거가 개연성이 높은 작품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개연성이 높다기보단 아다리가 잘 맞는 작품이었다고 봐요. 그 아다리 설계가 나름 치밀했긴 했지만 아다리 맞추려고 그때그때 편의적이고 작위적인 전개방식을 썼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개연성을 포기하는 대신 만화적인 임팩트와 박진감을 최대한으로 이끌어냈다고 봐요. 서사를 밀어붙이는 힘이 정말 대단한 작품이었습니다.
Chrollo Lucilfer
25/07/26 10:45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하게 생각합니다. 개연성을 만들어 내기 위한 설정과 조작이 정말 많아서, 보는 내내 끊임없이 수용하고 받아들여가며 이해 해야했달까요?

그럼에도 초반부의 기괴함과 공포, 재미, 생각할 거리, 감동과 여운을 풍부하게 주는 명작이라고 생각은 합니다.
사부작
25/07/26 11:00
수정 아이콘
저도 엄청 재밌게 봤고 명작이라고 생각하지만
흑화 이후 전개는 좀 고등학생 망상 같았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592 [정치] "다신 안 그럴거죠? 믿어요" '법원 폭동' 다 선처한 판사 [65] 카린6909 25/07/24 6909 0
104591 [일반] 진격의 거인을 보고 (스포 약간) [15] 이직신1733 25/07/24 1733 1
104590 [일반] 유럽에서 초지능이 태어날 가능성 [28] 번개맞은씨앗4469 25/07/24 4469 2
104589 [일반] 웃기는 트럼프의 첼시 클럽월드컵 우승 세레모니 [11] lightstone2014 25/07/24 2014 3
104588 [일반] 고이즈미 신지로가 바보 흉내를 내야만 했던 이유 [39] 페이커756128 25/07/24 6128 7
104587 [정치] "미국, 한국에도 15% 관세 조건으로 548조원 투자 요구" [85] 유머7320 25/07/24 7320 0
104586 [정치] 역린을 건든다 [187] 육돌이8606 25/07/24 8606 0
104585 [일반] AI채팅을 해보고 느낀 플랫폼별/모델별 차이 [20] 티아라멘츠3597 25/07/24 3597 5
104584 [일반] 제미나이와의 대화를 해봤습니다. [1] 된장까스3426 25/07/24 3426 0
104583 [일반] 골 때리는 일본의 극우정당 돌풍 [51] 헤일로6209 25/07/24 6209 4
104582 [일반] <미세리코르디아> - 욕망이 그려내는 막장극. (노스포) [2] aDayInTheLife1912 25/07/24 1912 2
104581 [일반] 세상에는 "악행"이 생각보다 흔한 것 같습니다 [19] 헤일로3974 25/07/23 3974 1
104580 [일반] AI에 대한 두려움 극복 방법 [1] Categorization2600 25/07/23 2600 2
104579 [정치] 호송 중 여성 피의자 성추행 사건 무죄 선고 [25] 如是我聞4946 25/07/23 4946 0
104578 [일반] 결혼한 부부가 서로 맞춰가기 [16] 글곰5257 25/07/23 5257 79
104576 [정치]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 자진 사퇴 [202] 제논11294 25/07/23 11294 0
104575 [일반] 인천 송도 사제 총기 살인 사건 지금까지 알려진 팩트 [82] 페이커758877 25/07/23 8877 12
104574 [일반] "칸예"가 온다. [29] 해시택6291 25/07/22 6291 3
104573 [일반] 대한민국에서 보행자 우선 문화가 정착될 수 있을까? [95] 럭키비키잖앙7148 25/07/22 7148 19
104572 [일반] 외국어론 그냥 수다만 떨어도 즐겁다 [14] 깃털달린뱀4276 25/07/22 4276 5
104571 [정치] 따라가기도 벅찬 김건희 관련 뉴스 [61] lemma8989 25/07/22 8989 0
104570 [일반] 로마 제국이 중세에 남긴 흔적 [13] 식별6743 25/07/22 6743 10
104569 [일반] 내가 이상한건가 인터넷 세상이 이상한건가 모르겠습니다 [93] 능숙한문제해결사11564 25/07/21 11564 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