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08 16:36
개폐식은 로저스센터 빼고 닫는날이 몇배 많은거보고 애초에 비효율의 극치인 시스템이라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이제 미국도 라스베가스 돔구장보면 이제 반투명의시대가 오는거 같아요
25/07/08 17:33
야알못이라서 여쭤보는데...
천장이 투명하면 온실이나 다름 없지 않나요? 한여름에는 웬만한 냉방으로는 내부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은데 어떻게 운영하는지 궁금합니다.
25/07/08 17:43
뭐 완전 투명은 보통 아니고 반투명이죠...
아마 어느정도 투명하다면 뭔가 소재가 자외선같은건 튕기던가해서 들어오는 열을 줄이거나 하는거 아닐까...
25/07/08 16:42
민원 때문에 콘서트 앵콜도 못듣는 뚜껑열리는 상황보단
민원 때문에 연장전 응원도 크게 못하는 열받는 상황보단 닫아놓는게 더 행복할것 같습니다.
25/07/08 17:01
지역에 따라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하는데 잠실은 개폐식 하기엔 여건이 너무 안 좋다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남부 지방의 도시들이 개폐식에 더 어울린다고 생각해요.
25/07/08 17:09
개폐식의 큰 장점중 하나가 천연잔디일텐데, 천연잔디의 큰 문제점은 돔을 야구 전용으로만 쓰게 되는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건설비나 유지비 생각하면 비는날짜에 콘서트 박람회 다른 스포츠 등등 최대한 돌려야 하는데, 천연이면 이게 잘 될지 모르겠어요.
25/07/08 17:10
사실 개폐식을 한다면야 이유는
[야구장 관람석에 들어갈때, 노을 섞인 탁트인 하늘이 너무 그립기 때문이긴 하죠. + 야구장 응원가 + 무언가 설레는 그 느낌] 당연히 폐쇄식의 장점보다 나을게 없구요. 아쉬운 건 맞긴 합니다. 잠실 야구장 공사 전에 한번이라도 더 가서 그 하늘을 눈에 담고 싶네요.
25/07/08 17:31
개폐식 돔은 아무리 봐도 오바육바같고,
요즘 나오는 자동차 루프들 보면 버튼 터치할때마다 루프가 불투명과 투명을 오가는 스마트 글래스가 설치되어 있던데 이걸 돔구장 천장에 적용하는건 어떨까 하여 제미나이에게 물어봤습니다. ============================= 돔구장 지붕에 스마트 글래스 기술을 적용하는 아이디어는 매우 흥미롭고 잠재력이 큰 솔루션이라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다양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돔구장 지붕에 스마트 글래스 적용의 이점 쾌적한 실내 환경 유지: 여름철 복사열 차단: 태양이 강한 날에는 불투명 상태로 전환하여 직사광선과 복사열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냉방 부하를 크게 줄여 에너지 비용 절감에 기여하고, 관람객의 불쾌지수를 낮춰 쾌적한 관람 환경을 제공합니다. 자연광 활용: 외부 기온이 적절할 때는 투명하게 유지하여 자연광을 실내로 유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공 조명 사용을 줄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자연광이 주는 쾌적함과 개방감을 선사하여 관람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UV 차단: 스마트 글래스는 대부분 자외선(UV) 차단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여, 관람객과 선수들을 유해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다목적 활용성 증대: 다양한 이벤트에 유연하게 대응: 야구 경기뿐만 아니라 콘서트, 전시회 등 다양한 이벤트에 맞춰 빛 환경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콘서트 시에는 어둡게 하여 조명 연출 효과를 극대화하거나, 낮 시간에도 최적의 조도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조망권 확보: 투명 상태에서는 외부 경치를 조망할 수 있어 개방감을 제공하고, 돔구장이 도심에 위치할 경우 주변 경관과의 조화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심미적 효과 및 현대적인 이미지: 스마트 글래스는 현대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건축 디자인을 가능하게 하여, 돔구장의 상징성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전력 소비 문제 가장 큰 관심사이자 우려 사항 중 하나가 전력 소비일 것입니다. PDLC 방식: PDLC 스마트 글래스는 투명 상태를 유지할 때 지속적으로 전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불투명 상태에서는 전력을 소모하지 않거나 매우 적게 소모합니다 (전원이 꺼지면 불투명해지는 것이 일반적). 전기변색(Electrochromic) 방식: 전기변색 글래스는 투명도 변화 시에만 전력이 필요하고, 한 번 투명도가 설정되면 그 상태를 유지하는 데는 거의 전력이 소모되지 않습니다 (기억 효과). 이 점에서 대규모 설치에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전력 소비량 측면에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스마트 글래스는 단위 면적당 전력 소비량이 매우 낮습니다 (예: 제곱미터당 6W 정도). 이는 일반적인 전구 하나보다 훨씬 적은 수준입니다. 돔구장의 지붕 면적은 엄청나게 넓기 때문에 총 전력 소비량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냉난방 부하 감소로 인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고려해야 합니다. 스마트 글래스가 태양 복사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면, 냉방에 필요한 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에너지 소비량은 오히려 감소할 수도 있습니다. 건물 에너지 효율을 최대 60%까지 절감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과의 연계: 돔구장 지붕에 스마트 글래스와 함께 태양광 발전 패널을 통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는 스마트 글래스 운영에 필요한 전력을 일부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전력 소모 문제를 완화하고 친환경 이미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및 경제적 과제 물론 이 기술을 돔구장 지붕에 적용하는 데에는 몇 가지 현실적인 과제가 따릅니다. 초기 투자 비용: 스마트 글래스는 일반 유리보다 훨씬 비싸기 때문에 돔구장처럼 거대한 면적에 적용하려면 엄청난 초기 투자 비용이 발생합니다. 설치 및 유지보수 복잡성: 대규모 설치는 기술적인 난이도가 높고, 각 패널의 전기 연결 및 제어 시스템 구축이 복잡합니다. 또한, 유지보수 시에도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내구성 및 신뢰성: 대형 건축물에 적용되는 만큼 오랜 시간 동안 극한의 기후 조건(강한 햇빛, 비, 눈, 바람, 온도 변화 등)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과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무게 문제: 일반 유리보다 더 무거울 수 있는 스마트 글래스 패널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 설계가 필요합니다. 완벽한 암막 가능 여부: PDLC 방식은 불투명 상태에서도 빛이 완전히 차단되지 않고 뿌옇게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기 진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수준의 완벽한 암막이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차광 장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전기변색 방식은 더 높은 수준의 차광이 가능합니다. 결론 돔구장 지붕에 스마트 글래스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가능하며, 에너지 효율 증대와 쾌적한 관람 환경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매력적인 아이디어입니다. 전력 소비는 냉난방 에너지 절감 효과를 고려하면 오히려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다만,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과 대규모 설치 및 유지보수에 대한 기술적, 경제적 해결 방안이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에너지 절감 효과와 관람객 경험 향상을 고려하면 충분히 투자할 가치가 있는 기술이라고 판단됩니다. 미래의 돔구장은 이러한 스마트 기술을 통해 더욱 진화된 형태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기술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부분이 많겠지만 솔직히 고척만 가봐도 너무 답답하기도 하고... 합리적인 방안이 나오기를 바래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