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5/31 11:11:48
Name 계층방정
Link #1 https://brunch.co.kr/@wgmagazine/23
Subject [일반] 사랑은 변하는 걸까? - 어지러움에서 파생된 한자들 (수정됨)


2000년대 한때 유행했던 한솔엠닷컴의 광고 시리즈에서 김민희는 '사랑은 움직이는 거야'를 외쳤다. 그런가하면 최근 IVE의 노래 'Payback'에서도 '사랑은 쉽게 변하지, 사람은 쉽게 안 변해'를 부른다. 정말 사랑은 움직이는 걸까?
지난 글, '패드립과 피리'에서는 거스름, 어지러움을 뜻하는 거스를 패(悖)를 다루었다. 현대에는 안 쓰이는 글자지만, 이 거스를 패에서 파생된 글자 중에 이런 글자가 있었다.
T4s0k44dRwmJ8f7it0sbj7dZeiA.png다스릴 불
바로 '다스릴 불'이다. 거스르고 어지럽히는 것을 쳐서 다스린다는 뜻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 글자가 어지러울 란(亂)과 변할 변(變)이라 했다. 이번 글에서는 變을 다뤄보겠다.變은 䜌(어지러울, 다스릴, 끊어지지 않을 련)과 攵(칠 복)이 합한 글자로, 䜌이 소리를 나타내고 攵이 뜻을 나타내는 형성자다. 형성자는 뜻을 나타내는 의부가 부수가 되는 것이 보통인데, 變은 특이하게도 소리를 나타내는 성부 䜌의 부수인 言이 부수다.이 글자의 자원을 풀이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이는 위쪽 반인 䜌을 풀이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이기 때문이다.
lsoy3KWwj-twdJrHue4v-CeuVI8.jpg
E_4XcWUk47gix5cVsvQbnUw3WPI.png
왼쪽은 금문, 오른쪽은 소전의 䜌
䜌은 서주 시대의 금문에서부터 볼 수 있는데, 옛날 형태를 지금까지 잘 이어오고 있는 한자다. 다른 의미인 끊어지지 않다는 의미대로 살아온 셈이다. 예나 지금이나 말씀 언(言)의 좌우 양편에 실 사(絲)를 나누어 쓴 형태다. 금문과 소전의 차이는 실 사가 말씀 언에 이어져 있냐 따로 있냐다. 그러나 絲와 言이 합쳐져서 어지럽다, 다스리다, 끊어지지 않다 세 가지의 서로 다른 뜻이 나오다 보니 학자마다 䜌의 해석이 분분하다. 어지럽다와 다스리다는 반의어에 가깝다 보니 한 글자가 둘 다 뜻하는 것은 의외로 자연스럽다. 반의어는 거의 다 비슷비슷한데 한 가지가 뚜렷하게 다른 경우에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앞서 설명한 어지러울 란과 다스릴 불에서도 볼 수 있다.실뭉치가 상징하는 것은 실로 '이어 끊어지지 않다'일까? 실뭉치가 '어지럽게 얽혀 있다'일까? '끊어지지 않다'를 주장하는 쪽에서는 䜌의 음이 聯(잇닿을 련)과 비슷하다는 점을 들어 두 글자가 서로 통한다고 한다. 더 나아가, 중국의 고문자학자 추시구이는 言의 한 획과 絲가 항상 이어져 있는 점에 주목해 사실은 言과 잇닿을 련(聯)의 다른 형태이자 亂의 이체자이기도 한 一+絲이 결합한 글자라고 본다.
5F4opVy0ub4nFY79LGDjXdiWH1M.png亂의 금문과 䜌의 고문.
 '어지럽게 얽혀 있다'를 주장하는 쪽에서는 설문해자에 나온 䜌의 옛 문자, 즉 고문을 근거로 든다. 이 고문의 모양은 실뭉치 세 개를 위아래에서 손으로 다듬고 있는 모습으로, 실뭉치 하나를 위아래에서 손으로 다듬고 있는 亂과도 비슷해 보인다. 이 글자가 䜌의 원형이라면 가운데의 言은 실뭉치 하나를 나타내는 糸(가는 실 멱) 중 하나가 잘못된 것이다.개인적으로는 서주-춘추 시대의 금문의 䜌의 모양이 일관되게 絲 사이에 言이 있는 형태라는 점에서 言이 糸의 잘못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그러나 설문해자에서 아무 이유 없이 䜌의 고문을 제시한 것은 아닐 테니 이 설도 그냥 무시하기에는 섣부르다.그 외에도 䜌의 言은 악기를 나타내며 絲는 악기를 장식하는 실뭉치라고 하기도 하고, 䜌의 言은 무녀를 가리키며 絲는 무녀의 장식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하기도 한다.
어쨌든, 䜌 자체는 지금은 쓰이지 않고 있지만, 음이 '란', '련', '만', '변', '완'인 한자들의 성부로 쓰이고 있다. 일본의 한학자 시라카와 시즈카는 자음이 서로 다른 점에 주목해 䜌이 들어가는 글자들에서 䜌이 성부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지만, 한자의 상고 시대 음인 상고음을 연구하는 정장상팡이나 벡스터, 사가르 등은 입술소리인 b나 p와, r이 같이 있는 br이나 pr 등으로 䜌과 䜌에서 파생된 글자들의 상고 자음을 추정한다. 곧 이 한자들은 상고 시대에는 지금보다 음이 더 비슷했으나, 복자음이 없어지면서 음이 변화해 갈라져 나왔을 것으로 본다. 䜌이 워낙 뜻이 많기 때문에 變의 자원도 여러 가지 설이 분분하나, 끊어지지 않는 것을 치니 변한다고 하기도 하고, 어지러운 것을 치니 변한다고 하기도 한다.
䜌을 성부로 삼는 한자들은 變 외에도 欒(모감주나무/단란할 란), 戀(그리워할 련), 攣(손발굽을 련), 蠻(오랑캐 만), 彎(굽을/활 당길 만) 등이 있다. 이외에도 많은 글자들이 있으나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한자는 이 정도일 것이다.

䜌(어지러울 련)

䜌 + 木 = 欒(단란할 란) - 단란(團欒), 어문회 준특급

䜌 + 攵 = 變(변할 변) - 변화(變化), 이변(異變) 등, 어문회 준5급

䜌 + 心 = 戀(그리워할 련) - 연애(戀愛), 연인(戀人) 등, 어문회 준3급

䜌 + 手 = 攣(손발굽을 련) - 경련(痙攣), 어문회 준특급

䜌 + 弓 = 彎(굽을 만) - 만곡(彎曲), 측만(側彎) 등, 어문회 1급

䜌 + 虫 = 蠻(오랑캐 만) - 남만(南蠻), 만행(蠻行) 등, 어문회 2급

여기에 彎에서 파생된 灣(물굽이 만)도 짚고 넘어가야겠다.

彎 + 氵(水) = 灣 - 만(灣), 항만(港灣) 등, 어문회 2급

nMmnV_2LGgbYA45zWrerguHYMiY.png어지러울 련(䜌)과 이에서 파생된 글자들.
䜌의 해석이 분분하기 때문에 䜌이 들어가는 다른 한자들도 여러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戀은 그리워하면서 마음(心)이 어지러운(䜌) 것을 가리킬 수도 있고, 마음(心)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는(䜌) 것은 곧 그리워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사랑은 움직이는 것이라는, 한때를 풍미한 광고 문구는 과연 變과 戀의 관계를 아는 사람이 노리고 만든 것일까? 그리고 손발(手)이 어지러운(䜌) 것, 또는 끊임없이 움직이는(䜌) 것은 곧 경련하는 것이다.
위에서 䜌의 음이 '완'인 한자의 성부도 된다고 했는데, 어디에 있을까? 실은 彎의 원음이 완이고, 여기에 물 수(水)를 붙여 굽은 물가, 즉 바다의 만을 나타내는 물굽이 만(灣) 자도 원음이 완이다. 그래서 대만도 원어로는 타이완이 되는 것이다.
고대에는 어떤 의미로 썼을까? 의외일지 모르나 䜌을 여러 다른 의미로 썼다. 소수민족을 뜻하기도 하고, 성이나 인명, 지명으로 쓰기도 했다. 變을 쓸 자리에 䜌을 쓰기도 했다.한 가지 주목할 점은 䜌은 고대부터 지금까지 책으로 전해진 전래문헌에는 거의 쓰이지 않고 현대 고고학이 발전하면서 발굴한 옛날의 출토문헌에서 주로 볼 수 있단 것이다. 이 출토문헌과 전래문헌을 비교해 보면, 출토문헌에서 䜌이 쓰인 자리에 전래문헌에서는 䜌에서 파생된 글자들을 쓰고 있다. 예를 들면 발굴된 도덕경에서 䜌을 쓴 곳에 전래된 도덕경에서는 變을 쓰고 있다. 춘추시대 진나라의 귀족 가문 난(欒)씨를 유물에선 䜌으로 새겨 넣었다.여기에서 형성자의 기원 하나를 알 수 있다. 본래는 해당하는 뜻을 표현하는 한자가 없어 음이 비슷한 한자를 가차해서 쓰다가, 한 글자가 여러 뜻으로 쓰이다 보니 각 뜻을 구분할 수 있는 글자를 덧붙여서 서로 다른 형성자를 파생시킨 것이다.
䜌은 본래 뜻이 어지럽다/다스리다/끊어지지 않다였으나, 소수민족, 모감주나무, 성, 변하다로 다양하게 가차되었다. 이에 소수민족은 虫(살무사 훼)를 붙여서 蠻, 모감주나무는 木(나무 목)을 붙여서 欒, 성은 女(여자 녀)를 붙여서 孌 (아름다울/성 련), 변하다는 攵(칠 복)을 붙여서 變으로 갈려 나왔다. 이렇게 성부가 같은 글자들은 우연의 일치가 아니라 정말로 형제 관계에 있기도 한다.
아쉽게도 戀은 䜌이 각자 다른 역할로 갈라지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후에야 만들어진 한자라 變 등 다른 형제 글자과 함께했던 적이 없다. 그래도 戀과 變의 기원이 䜌을 공유하는 데 있다는 걸 감안하면, 연인(戀人)이란 내 마음을 그대가 있기 전과는 완전히 변(變)하게 만드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䜌이 복잡하기 때문에 약자에서는 䜌이 들어가는 부분을 亦(또 역)으로 간략화하는데, 중국의 간화자에서는 亦과 구분해 다음과 같은 글자를 만들었다.
88spxFLHpzLSwVGcIs0wa-l78IE.png중국의 䜌 간화자
RFaTlndJaN2z0c7nzivDn5OkfqY.png중국과 일본의 다른 䜌 간화
이 때문에 중국 글과 일본 글을 나란히 놓고 비교해 보면 恋이나 蛮, 弯 등의 글자가 미묘하게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매우 비슷한 글자이기 때문인지 유니코드에서는 같은 코드를 사용하고, 글꼴에 따라 중국식이냐 일본식이냐가 달라질 뿐이다. 위의 예에선 중국식으로 Microsoft Yahei UI를, 일본식으로 PS PGothic을 썼다. 아예 다른 코드를 사용하는 건 變의 간화자 变과 신체자 変인데, 이는 간략화 과정에서 의부인 攵도 중국에선 又(또 우)로, 일본에선 夂(뒤처질 치)로 바꾸었기 때문이다. 사실 變의 의부는 역사적으로도 又나 夂, 심지어 久(오랠 구)를 쓰기도 했다. 강희자전에서 變을 言부에 배치한 것도 이 때문이 아닐까?
x8MWvLMXmA9HShc1SAaSwYb0Lf8.png끊어지지 않을 련
䜌은 현대에는 쓰이지 않고, 䜌으로 쓰던 글자들은 각자 자기에 맞는 의부를 지니고 제 갈 길을 갔다. 그러면 '어지럽다'와 '끊어지지 않다'는 어디로 갔을까? 어지럽다는 찾지 못했지만, '끊어지지 않다'는 糸을 의부로 삼아 파생되어 살아남았다. 이미 糸이 잔뜩 들어간 글자에 직접 糸이 들어가는 게 어색했는지 직접 파생되지 않고, 戀을 거쳐 纞으로 파생되었다. 무려 29획이나 되는 글자인데, 지난번 다스릴 불의 이체자가 뿔 각부의 마지막을 장식했듯 이 끊어지지 않을 련(纞)도 가는실 멱부의 마지막을 장식하고 있다.

요약

變은 䜌과 攵이 합한 글자로, '어지러운 것을 치니 변한다', 또는 '끊임없이 이어지는 것을 치니 변한다'로 볼 수 있다.

䜌은 變 이외에도 欒, 戀, 攣, 彎, 灣, 蠻 등을 파생시켰으며, 파생 이전에는 䜌을 가차해 사용했다.

䜌이 들어가는 글자의 약자에는 䜌 대신 亦이 들어간다.


최근 브런치스토리에 한자 관련 글을 연재하고 있는데, 여기에도 꾸준히 올려도 괜찮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전기쥐
24/05/31 11:14
수정 아이콘
글에 전반적으로 어떤 유튜브에 대한 하이퍼링크가 걸려있습니다.
계층방정
24/05/31 11:16
수정 아이콘
브런치에서 가져온 부분을 아예 지우고 PGR21식으로 유튜브 링크를 삽입해야 하네요. 지적 감사합니다!
전기쥐
24/05/31 11:18
수정 아이콘
글은 스크랩했다가 회사 퇴근 후에 각잡고 읽어보겠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닉언급금지
24/05/31 12:01
수정 아이콘
즐겁게 읽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계층방정
24/05/31 13:42
수정 아이콘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애기찌와
24/05/31 13:35
수정 아이콘
오 정말 재밌게 읽었습니다!!

예전 대만에서 몬헌 할 때 몬스터중에 이명이 굉룡(轟龍)인 몬스터가 있었는데 어느날 대만인 한명이 한자중에 굉(轟)이 왜 시끄럽다고 하는지 아느냐?? 하길래 왜?? 왜죠?? 했더니 차(車)가 세대나 있잖아!! 했던 기억이나네요!! 흐..
계층방정
24/05/31 13:4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역시 대만인은 자신들이 쓰는 글자라서 그런지 한자에 대한 감이 남다르네요.
24/05/31 17:07
수정 아이콘
저는 좋습니다 크크
계층방정
24/06/01 13:5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용기를 얻고 피지알에도 연재해보겠습니다.
24/05/31 20:38
수정 아이콘
글 쓰신 분이십니까?
정말 대단하십니다. 잘 배웠습니다.
더 올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계층방정
24/06/01 13:56
수정 아이콘
칭찬 감사합니다! 더 좋은 글을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4/06/01 09:13
수정 아이콘
한자에 대해 어렸을 때부터 관심 갖고 책도 읽어 보고 있는데 이런 걸 직접 쓰신다니 대단하시네요.
계층방정
24/06/01 13:56
수정 아이콘
지니팅커벨여행님도 한번 직접 써보시면 어떨까요? 쓰면서 배우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645 [정치] 한덕수 국무총리 유임 [18] 매번같은5819 24/06/05 5819 0
101644 [일반] 교사의 학생 통제, 체벌과 존중의 사이 [41] Icis3004 24/06/05 3004 8
101643 [일반] <존 오브 인터레스트> - 덧칠하고 외면해도 드러나는 실체들.(스포) [10] aDayInTheLife2051 24/06/05 2051 1
101642 [일반] 인천 주차장 폭행사건의 1심 선고가 나왔습니다. [64] Croove11020 24/06/05 11020 4
101641 [일반] 교감 뺨 때리는 초등학생, 담임 선생님 폭행하는 학부모 [191] 10998 24/06/05 10998 14
101640 [정치] 코스피에 대한 국내투자1황의 의견.news [93] 김유라14958 24/06/04 14958 0
101639 [일반] 고장난 트럭이 혼자 스르륵… 시민들이 참사 막아 [43] VictoryFood10195 24/06/04 10195 21
101638 [일반] 고깔 변(弁)과, 송사할 변(辡)에서 파생된 한자 [10] 계층방정4833 24/06/04 4833 8
101637 [정치] 12사단 훈련병 사망 사고 수사 상황 = 없음 [98] 덴드로븀11468 24/06/04 11468 0
101636 [정치] 천안문 6.4 항쟁 35주기 [11] 겨울삼각형4406 24/06/04 4406 0
101634 [일반] AMD 젠5 9천 시리즈 7월 출시. 클럭당 성능 16% 향상 [31] SAS Tony Parker 3038 24/06/04 3038 2
101633 [일반] 새로운 시대의 시작 [46] AW7754 24/06/04 7754 16
101631 [일반] 아는사람은 안다는 슈퐁크 [4] 머스테인3823 24/06/04 3823 0
101630 [일반] [F1] 레이스 없이 꿀잼찾기 - 드라이버 이적시장 [34] 항즐이3152 24/06/03 3152 9
101629 [정치] 성별 학력 수준에 따른 미혼인구 비율 [95] VictoryFood8131 24/06/03 8131 0
101628 [정치] 尹, 11·12·13·14호 거부권 행사 [95] 조선제일검10168 24/06/03 10168 0
101627 [일반] 블랙박스 고용량 SD카드 포멧방법 [15] 아델라이데4358 24/06/03 4358 5
101625 [일반] 안녕하세요. SC: Evo Complete 동호인 대회가 열립니다! [4] 흐윽표범3330 24/06/03 3330 2
101624 [일반] CGV 가던놈이 4년만에 롯시 가서 배려받고 감동 먹은 썰 [25] SAS Tony Parker 8764 24/06/03 8764 38
101623 [정치] [속보] 尹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140억배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270] Red Key18703 24/06/03 18703 0
101622 [일반] 뜬금 없게 한식뷔페에 꽂힌 이야기 [32] 데갠8956 24/06/02 8956 4
101621 [일반] [팝송] 걸 인 레드 새 앨범 "I'M DOING IT AGAIN BABY!" [1] 김치찌개4104 24/06/02 4104 3
101619 [일반] 취미 악기 찍먹러 - 주말 잡담 [41] 79년생6674 24/06/01 6674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