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5/24 11:24:21
Name 욕망의진화
Subject [일반] 에이트 쇼(다소스포)
간단한 감상입니다

오징어게임의 아류인가? 시간 떼우면 각자조건에 맞춰 상금이 누적되는 시스템

오겜과 비슷한 포맷에  8명  각각의 심리묘사가 탁월합니다

층별로 상금이 다르다는 설정이 흥미로왔고 연기들도 평타 이상은 됩니다

총 8부작인데 각편마다  쇼에 참가하게된 이유와 함께 분량 배분은 황금배율.

류준열 3층의 서사로 시작되는 나레이션 주인공 입니다.모나지 않는 평범한 캐릭터.목소리가 좋네여.개인사가 자꾸생각

천우희 극의 흐름을 끌고가는 인물 컨덴츠와 재밌음에 미친 나르시시스트+@

배성우 복귀했죠 한재림감독의 보은캐스팅 치곤  잘하네여.게임의 기간을 결정한  10억맨

박정민 어딜가도 있을법한 브레인

박해준 꼭 있을법한 캐릭터 오겜의 허성태

나머지 배우들은 이름을 모르겠네여 각자분량껏 트롤짓  잘하고...

피보나치수열

1 2 3 5 8 13 21 34(₩10.000)
1분마다 쌓이는 각 층의 상금들

1층의 배성우는 1시간 동안 60만  하루 1440만원

8층의 천우희는 1시간 동안 배성우의 34배를 번다는 설정

물가는 100배

이설정에서 보듯이 어떤 일들이 벌어질지 대충 짐작이 가죠

인상 깊었던 씬

5층 누나의 트롤링으로  수면고문 이라는게 나오는데  굉장히 기괴하고 웃픕니다

오겜만큼 공전의 히트는 힘들겠지만, 심리묘사의 탁월함과 구멍적은 배우들의 열연과 괜찮은 음악 사운드로

8시간이 즐거웠네여. 닥추는 아니고 킬링타임때 몰아보시면 팝곤각은 나온다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무딜링호흡머신
24/05/24 12:22
수정 아이콘
아주 대중적인 작품은 아닙니다

음식으로 치면 민트초코, 오이 같이

그냥 반찬투정이 아니라 일부사람들에게는

역해서 못먹는 음식 같은거라고 생각해요

반면 좋아하는 사람은 좋아하고요

현대사회를 축약하여 자본에 따른 계급사회, 투쟁 등

여러가지를 비유하여 풍자하는 블랙코미디 라고 생각하고

재미있게 봤습니다
24/05/24 12:36
수정 아이콘
하층민들의 레볼루시옹까지는 숨도 안쉬고 달릴만했는데... 그 이후 후반부 텐션이 늘어지는게 문제네요. 그래도 재밌게 잘 봤습니다.
탈리스만
24/05/24 12:52
수정 아이콘
원작 작가의 팬이고 무척 재미있게 본 웹툰이라 (별점테러 구간도) 넷플에 뜨자마자 환호하면서 봤습니다.
초중반은 재미있었는데 후반이 좀 아쉬웠어요.
그러고보니 요즘 영화도 그렇고 넷플 오리지널도 그렇고 이렇게 초중반에 오오 역대급! 하면서 보다가 뒤에서 식는 경우가 많네요.
예전에 음원 앞부분만 듣고 구매를 결정하던 시기에도 앞부분에서 사람들을 잡지 못하면 안됐기 때문에
노래들이 예전처럼 기-승-전-결이 있는게 아니라 시작부터 클라이막스를 넣었다고 하던데 그런 식인 걸까 싶습니다.
아니면 원래 영화든 드라마든 마무리 수습이 어려운거라든가..
우울한구름
24/05/24 15:00
수정 아이콘
설정 잡고 초중반 전개하는 것보다 수습하고 잘 마무리 짓는 게 어려운건 모든 소설 만화 등을 포함한 스토리성 창작물 공통이긴 할겁니다. 심지어 시도요.
뾰로로롱
24/05/24 12:57
수정 아이콘
머니게임 바리에이션인듯요?
러신머닝
24/05/24 13:11
수정 아이콘
웹툰 머니게임 파이게임이 원작입니다.
강동원
24/05/24 13:07
수정 아이콘
저도 원작을 안봐서 그런가 단동진 리뷰가 공감이 많이 갔습니다.
계급화된 사회를 층으로 구분하면서 뭔가 전하고 싶은 내용이 있는 건 알겠는데
이게 결국 레볼루숑으로 뒤집어 지면서 카타르시스를 줄 것이냐, 결국 밑에서 아무리 발버둥쳐도 바뀌는 건 없다는 식으로 가느냐
의 기로에서 뭔가뭔가 아쉬웠습니다.
낭만서생
24/05/24 13:13
수정 아이콘
스포글이니 결말 질문있습니다 누군가 죽으면 상금 못받는거 아니 였어요? 자살이라 상금을 받은건가요?
욕망의진화
24/05/24 13:21
수정 아이콘
누군가 죽으면 쇼가 끝난다는 설정 아니였나여?상금 리셋은 없었던거로 기억합니다
오연서
24/05/24 13:57
수정 아이콘
누군가 죽게 되면 쇼가 끝나고 상금이 까이는건 본인이 사용하는거 외에 룰 위반일때만입니다(상금 절반 패널티) 그래서 마지막에 보면 류준열이 15억 받았는데 이거 룰에 없는 카메라들 다 부셔버려서 상금 반으로 까였죠(아마 2층도 까였을듯) 근데 사채업자한테 9억은 갚았니??
24/05/24 14:21
수정 아이콘
원작의 경우 중후반부의 늘어지는 고구마 전개 때문에 비판을 많이 받았으나 결말에서는 나름 준수하게 마무리하여 어느정도 댓글 민심을 회복했었죠. 그런데 드라마에서는 원작의 단점이었던 늘어지는 전개는 답습하고 정작 장점이었던 결말은 완전히 바꾸는 희한한 각색을 해버렸네요. 기대하고 있던 작품이라 개인적으로는 아쉬움이 큽니다.
호랑이기운
24/05/24 14:30
수정 아이콘
주어진 위치에서 자족하며 행복하게 살라는 인간찬가로 주제의식을 바꾸면서 조졌죠.
원작에선 상위층들에게 분명한 응징이 내려져 사이다가 있기도했고요
결국 아무 손해도 안당한 천우희가 드라마속엔 젤 문제였던거같습니다. 음주운전자는 왜 둘만 해꼬지해서 흑막 분위기만 낸건지 쩝
욕망의진화
24/05/24 14:42
수정 아이콘
원작내용을 알지 못하고 본거라 전 되려 마무리도 수준급이라 느꼈습니다.

천우희는 쇼타임 끝난후 불도자로 컨덴츠 즐기다
멸망했다는 언급은 있었네여.

오로지 컨덴츠와 익사이팅만을 추구하는 개쌍련의
모습을 능청스럽게 잘 연기하더라구여
호랑이기운
24/05/24 15:06
수정 아이콘
돈에 궁하지 않은 캐릭터가 머니게임에 들어오면 어떻게 망하는지는 드라마나 현실이나 같은거같습니다
원작에선 반전캐말고 모두가 금전적으로 쫒기는게있는 사람들이었는데 드라마에선 1층3층말곤 상금이 있으면 좋고 없으면 말고 수준으로 표현되어서요
Equalright
24/05/24 14:46
수정 아이콘
원작이랑 비교하면 너무 궤가 많이 바꼈고, 그 바뀐 방향이 너무 마음에 안듭니다.

원작이 언더도그마를 이용한 반전설정과 이를 통한 활용을 극한으로 했다면(어거지가 많았더라도), 에이트쇼는 그냥 계층의 불합리함을 끝까지 밀고가 그로 인한 불쾌감만 가득 키운 느낌이에요. 그러니깐 보고나도 찝찝함만 남습니다.

모르겠어요. 원작에 비하면 캐릭터들은 너무 착하고 자극적인 맛도 덜해서 좀 아쉬움이 크네요.
캡틴백호랑이
24/05/24 15:15
수정 아이콘
전 굉장히 재밌게 봤습니다. 오 잘되겠는데? 라고 생각했었는데 이렇게 호불호가 갈릴지 몰랐네요.

제 간단한 감상평으로는 일단 드라마를 보는 시청자도 이 쇼를 보는 주최자 느낌을 주는 연출은 굉장히 좋았습니다. 드라마를 보기 전에는 굳이 제목을 바꿨어야 했나 싶었는데 연출을 보고선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하지만 원작이 주는 매력을 100프로 잘 살리진 못해 그건 좀 아쉬웠습니다. 중후반 메시지를 주기 위해 긴장감이 조금 떨어지는건 아쉽지만 초반에 중반 넘어가기 전 까진 기분 나쁜 흥미로움(?)을 잘 살린거 같습니다.

또 요즘 원작이 있는 드라마들 중 10개 중 8개는 다 망치는 편이라 이 정도면 각색도 쏘쏘 라고 생각합니다.
24/05/24 15: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룰의 빈틈이 너무 큰 바람에...
머니게임과 파이게임을 합치다보니 설정에 아주 커다란 구멍이 뚫려있었는데 그걸 제작하면서 제작진들이 아무도 눈치 못챘다는게 황당하긴 하더라구요..

뒤에는 원작과 너무 달라서 좀 김이 새긴 했습니다만 그래도 마무리는 어느정도 했다라고 평하고 싶네요.

그래도 이게 웹툰 머니게임, 파이게임에 진용진의 머니게임까지 살짝 섞인 거 같다고 느꼈는데 그런거 느낀 분은 없으신가요 크크
24/05/24 19:00
수정 아이콘
1화를 굉장히 잘만들었더군요.
RapidSilver
24/05/24 21: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 이런 계급우화적인 작품은 뭔가 은유적인 맛이 있어야 높게 평가하는 입장에서...
캐릭터들의 설정이나 성별배치 성격 등등이 모두 너무 노골적이고 직설적이라서 오히려 좀 거부감이 들었네요
그래도 충분히 인기끌만하겠다는 생각은 들었습니다
오징어개임
24/05/25 07:38
수정 아이콘
저도 재밌게 봤습니다. 입체적이지 않은 한개의 사건으로 8화를 쭉 끌고 가는게 쉽지 않은데 흡인력 있더군요.

류준열 배성우가 핵심적인 역할인데 각각의 이유로 넷상에서 목소리 올리는 사람들의 비호감을 사서 화제성이 떨어지는 것 같네요. 이부분은 아쉽습니다. 이것만도 못한 넷플릭스 작품들이 얼마나 많은데. 
앵글로색슨족
24/05/26 06:39
수정 아이콘
저도 재밌게 봤습니다.
단지 7~8화에서는 더 무언가 터지길 바랬는데
초중반에 비해 조용히 마무리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711 [일반] <포트레이트 인 재즈> 읽고 잡담. aDayInTheLife1022 24/06/16 1022 0
101710 [일반] 장롱면허 레이 운전 분투기(3시간) [32] 사람되고싶다3380 24/06/16 3380 4
101709 [정치] 특이점이 와버린 선방위 [10] CV4458 24/06/16 4458 0
101708 [일반] 요즘 심상치 않은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사고들 [34] SAS Tony Parker 7012 24/06/16 7012 2
101707 [일반] [팝송] 두아 리파 새 앨범 "Radical Optimism" [7] 김치찌개3191 24/06/16 3191 1
101706 [일반] 대한민국은 우생학의 실험실인가? '인적 자본'의 허구성 [59] 고무닦이9085 24/06/15 9085 24
101705 [일반] [서평]《기억의 뇌과학》 - 기억하고 잊는 인간에게 건네는 뇌의 따스한 소개 [2] 계층방정2646 24/06/15 2646 3
101704 [일반] <인사이드 아웃 2> - 다채로운 '나'를 완성하는 과정.(약스포) [30] aDayInTheLife4220 24/06/15 4220 10
101703 [일반] 자작소설) [씨육수]1 [4] 프뤼륑뤼륑2685 24/06/15 2685 8
101702 [일반] 일본 동영상 플랫폼 '니코니코동화', 사이버 공격으로 서비스 중단 장기화 [17] 及時雨6810 24/06/14 6810 1
101701 [일반] 어느 대회 부정참가자의 변명 [28] 닉언급금지11440 24/06/14 11440 5
101698 [일반] 사람을 흉기로 죽였는데 가해자가 동정받는 사건이 있네요 [46] 北海道10972 24/06/14 10972 3
101697 [일반] 왕비(妃), 배(配)달, 비(肥)만의 공통점은? - 妃, 配, 肥 이야기 [7] 계층방정3672 24/06/14 3672 5
101696 [일반] 1400억 과징금을 맞은 쿠팡 [73] 주말9063 24/06/14 9063 1
101695 [일반] Apple Intelligence 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18] 김은동4213 24/06/14 4213 9
101694 [일반] 5월 야외에서 NewJeans의 'NewJeans'를 촬영해 봤습니다. [4] 메존일각3117 24/06/13 3117 11
101693 [일반] 사촌끼리 결혼하는거 막을 합당한 이유가 있나요? [129] 北海道9609 24/06/13 9609 2
101692 [일반] "PB 검색순위 조작" 쿠팡에 과징금 1천400억원…"즉각 항소"(종합) [75] Leeka6478 24/06/13 6478 0
101691 [정치] 우리에게 필요한 것 : 집단소송제도, 증거개시제도, 징벌적손해배상 [20] 사람되고싶다4044 24/06/13 4044 0
101690 [일반] [서평]《꼰대들은 우리를 눈송이라고 부른다》 - 쓸데없이 예민한 사람들의 불평이 세상을 진보로 이끈다 [7] 계층방정3653 24/06/13 3653 4
101689 [일반] 로스쿨 지원자수가 어마어마하게 폭등 중입니다. [59] 버들소리13259 24/06/12 13259 1
101688 [일반] 증권사 보고서란 대체... [48] 시린비10707 24/06/12 10707 0
101687 [일반] 단순 맞짱도 학폭으로 취급해야 하는가? [138] 北海道11235 24/06/12 11235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